KR20170027054A -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054A
KR20170027054A KR1020150123484A KR20150123484A KR20170027054A KR 20170027054 A KR20170027054 A KR 20170027054A KR 1020150123484 A KR1020150123484 A KR 1020150123484A KR 20150123484 A KR20150123484 A KR 20150123484A KR 20170027054 A KR20170027054 A KR 2017002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rimary
screw conveyor
conveying screw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265B1 (ko
Inventor
김중관
Original Assignee
김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관 filed Critical 김중관
Priority to KR102015012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산 볏짚이나 옥수수대처럼 뻣뻣한 조사료를 빠른 속도로 절단 및 파쇄할 수 있고, 절단 및 파쇄 길이를 2∼10㎝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며, 조사료를 이송할 때 스크류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장 내의 분진 발생과 운반 중의 조사료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한 조사료 이송시 조사료가 마찰 및 마찰열에 의해 더욱 보들보들한 상태로 연화됨과 아울러 패킹할 때의 조사료 온도가 초기발효에 적합한 35∼40℃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는, 조사료 원료를 절단 및 파쇄하여 전처리 가공물로 만드는 전처리부와, 전처리 가공물을 1회 이상 절단 및 파쇄함으로써 전처리 가공물보다 길이가 더 짧거나 섬유 조직이 연화된 최종 가공물로 만드는 주처리부와, 전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출량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주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정량 공급부와, 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최종 가공물을 포장대에 패킹하여 제품화하는 패킹부와, 패킹부로부터 완제품을 반출하는 반출 라인과, 반출 라인 상의 완제품을 픽업하여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재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Production system for chopping and softening roughage in high speed and without dust}
본 발명은 TMR원료인 조사료를 고속으로 또 원하는 길이로 절단 및 파쇄하여 포장대에 패킹(포장)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ⅰ) 가공 전의 조사료 원료(예를 들면 절단 및 파쇄 전의 볏짚이나 옥수수대 등)를 여러 작업 단계에 걸쳐 절단 및 파쇄함으로써 2∼10㎝ 길이의 조사료 가공물을 얻을 수 있고,
ⅱ) 이전의 작업 단계(예를 들면 1차 절단 및 파쇄 단계)로부터 다음 작업 단계(예를 들면 2차 절단 및 파쇄 단계)로 조사료 가공물을 이송할 때 조사료 가공물끼리의 마찰 및 그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조사료 가공물의 섬유 조직이 연화(軟化)됨과 아울러, 포장대에 패킹할 조사료 가공물의 온도가 초기 발효에 적합한 온도로 상승 및 유지되며,
ⅲ) 조사료 가공물의 패킹(포장)시, 단위 포장대(수십㎏부터 톤 백까지) 안으로 공기가 확 불어넣어져 단위 포장대가 접힌 부분 없이 팽팽한 상태로 포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사료 가공물을 패킹할 때 포장대가 접히지 않게 하기 위해 포장대를 팽팽한 상태로 붙잡고 있어야 하는 인력을 감축할 수 있으며,
ⅳ) 각 작업단계(공정) 사이에서의 조사료 가공물의 이송시에 분진의 발생과 조사료 가공물의 낙하 등이 생기지 않아 작업장이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고,
ⅴ) 조사료 원료와 조사료 가공물의 시간당 이송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볏짚을 주원료로 하는 조사료 제조장치로서, 도어로 개폐되는 투입구가 전면에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도어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발효실을 가지는 밀폐형 동체와, 이 동체의 외벽에 열매체가 순환하면서 발효실의 발효 환경을 조성시키는 발열조 및 동체의 내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스크루형 교반수단을 구비한 가축 조사료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사료의 분쇄 및 배합 과정과 발효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서 이루어지므로, 각 작업 단계에 필요한 전용 장비를 한 대씩 구비할 때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밀폐형 동체 내에서 발효가 진행되므로, 발효가 끝나고 나서 동체 내부를 완전히 비우기 전까지는 다른 조사료를 동체 안으로 도입하여 처리할 수 없어, 대규모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볏짚, 수단그라스, 호밀짚 등의 베일 사일리지(bale silage)를 빠르게 또 안정적으로 세절할 수 있는 조사료 세절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세절기는 절단된 조사료를 다음 공정에 공급할 때 벨트 컨베이어로 실어 나르는 구조여서, 운반 중에, 절단된 조사료가 벨트 컨베이어 주변으로 떨어져 작업장 내부가 지저분해지고, 그 양만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배경기술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베일러 제조장치에 의해 원형 단면을 갖도록 말아진 베일러 네트를 풀림부에 투입시킨 후, 제어부를 통하여 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베일러 네트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풀어져 절단부에 공급되고, 이 절단부에서 베일러 네트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혼합부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사료 절단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혼합부측에 구비되는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조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절단된 조사료가 이송 중에 주위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번호 10-2010-0119159 특허문헌 2: 공개번호 10-2015-0012726 특허문헌 3: 공개번호 10-2013-0016658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조사료 원료나 조사료 가공물의 공정간 이송시에 분진이나 낙하물이 생기지 않도록 한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및 파쇄시에 발생하는 조사료의 분진이 날려서 주변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사료 원료(또는 중간 가공 과정에 있는 조사료 가공물)를 여러 단계에 걸쳐 절단 및 파쇄할 수 있어, 2∼10㎝ 범위 내에서 원하는 길이의 최종 조사료 가공물을 용이하게 또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번에 걸쳐 절단 및 파쇄 작업이 행해질 때, 이전 단계에서 이후 단계로의 조사료 가공물의 이송시, 조사료 가공물끼리의 마찰과 그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조사료 가공물의 섬유 조직이 연화(軟化)되고 또 조사료 가공물의 온도가 초기 발효에 적합한 온도로 상승 및 유지될 수 있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사료 원료와 조사료 가공물의 시간당 이송량 또는 공정간 이송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조사료 가공물의 패킹(포장)시, 포장대 안으로 공기가 분출됨에 따라, 이 분출된 공기에 의해 포장대가 접힌 부분 없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료 원료를 절단 및 파쇄하여 전처리 가공물로 만드는 전처리부와, 전처리 가공물을 1회 이상 절단 및 파쇄함으로써 전처리 가공물보다 길이가 짧거나 섬유 조직이 연화된 최종 가공물로 만드는 주처리부와,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출량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주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 공급부와, 주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최종 가공물을 일정량씩 포장대에 패킹하여 제품화하는 패킹부와, 패킹부로부터 완제품을 반출하는 반출 라인과, 반출 라인 상의 완제품을 픽업하여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재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2] 상기 [1]에서, 주처리부는 1대의 처리기로 구성되며, 이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챔버와,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되고 패킹부에 배출측이 연결된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반입용 및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반송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3] 상기 [1]에서, 주처리부는 2대의 처리기로 구성되며,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이 연결된 1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반입용 및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고,
패킹부에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연결된 2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2차 챔버와, 2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2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2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2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2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2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1차 처리기의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2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2차 반입용 및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4] 상기 [1]에서, 주처리부는 1차 처리기와 중간 처리기와 최종 처리기로 구성되며,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이 연결된 1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반입용 및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고,
중간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중간 챔버와, 중간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중간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중간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중간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되고 최종 처리기의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에 배출측이 연결된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중간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반입용 및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며,
패킹부에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연결된 최종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최종 챔버와, 최종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종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최종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최종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최종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최종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최종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최종 반입용 및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5] 상기 [4]에서, 중간 처리기가 복수인 경우, 상대적으로 1차 처리기에 가까이 배치된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상대적으로 최종 처리기에 가까이 배치된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에 밀폐 상태로 연결되거나 그 중간 처리기의 중간 챔버의 투입구측에 밀폐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6] 상기 [1] 내지 [5]에서, 전처리부는 통상 구조의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7] 상기 [1] 내지 [5]에서, 정량 공급부는 벨트 컨베이어와 롤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롤 브러쉬는 벨트 컨베이어와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8] 상기 [1] 내지 [5]에서, 패킹부는 1회 토출량이 다른 둘 이상의 토출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에 의하면, 빠른 속도로 조사료를 절단 및 파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사료의 길이를 2∼10㎝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며, 조사료 이송시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장 내의 분진 발생과 운반 중의 조사료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로 조사료를 이송할 때 발생하는 조사료끼리의 마찰 및 그에 따른 마찰열로 조사료가 더욱 보들보들한 상태로 연화됨과 아울러 패킹시의 조사료 온도가 초기발효에 적합한 35∼40℃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입 건초에 비해 섬유 조직이 뻣뻣하고 가공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그동안 잘 이용되지 않았던 국내산 조사료의 가공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1차 처리기와 2차 처리기와 패킹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성 개념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의 구성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주요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더 이해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도면에서, 구성 또는 작용ㆍ효과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 요지를 불필요하게 흩트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는 조사료 원료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 및 파쇄하여 전처리 가공물로 만드는 전처리부(A)와, 전처리 가공물을 2회에 걸쳐 절단 및 파쇄함으로써 전처리 가공물보다 길이가 짧거나 섬유 조직이 더 보들보들하게 연화된 최종 가공물로 만드는 주처리부(B)와, 전처리부(A)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출량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주처리부(B)에 투입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정량 공급부(C)와, 주처리부(B)에서 배출되는 최종 가공물을 일정량씩 포장대에 패킹하여 제품화하는 패킹부(D)와, 패킹부(D)로부터 완제품을 반출하는 반출 라인(E)과, 반출 라인(E)으로부터 완제품을 픽업하여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재 로봇(F)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전처리부(A)는, 다수의 특허문헌 등을 통해 공지된 2대의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a1, a2)가 병렬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병렬 배치」란, 2대의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a1, a2)에서 각각 배출된 전처리 가공물이 서로 합쳐져 주처리부(B)에 이송되는 형태를 일컫는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한쪽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a1)로부터 배출된 전처리 가공물이 다른쪽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a2)에 투입되도록 함에 따라, 상술한 「병렬 배치」구조에 비해 조사료 길이를 더 짧게 하거나 섬유 조직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직렬 배치」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전처리부(A)는, 1대의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3대 이상이 병렬 배치되거나 직렬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주처리기(B)는 1차 처리기(b1)와 2차 처리기(b2)가 직렬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b15)의 도입측이 정량 공급부(C)의 배출측(즉, 벨트 컨베이어(c1)의 단부 하측)에 이어진 1차 처리기(b1)는, 양 측면에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또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1차 챔버(b11)와, 1차 챔버(b11)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챔버(b11)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b12)과, 1차 챔버(b11)의 양 배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개폐 도어(b13)와, 1차 챔버(b11)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b14)와, 1차 챔버(b11)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상기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b15)와, 1차 반입용 및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b14, b15)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b12)으로서는 유압모터에 의해 40rpm 이하의 속도로 구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오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반입용 및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b14, b15)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는, 감속기가 달린 전기 모터보다, 최대 40rpm의 속도로 구동 가능한 유압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처리기(b1)와 거의 동일한 구조로 된 2차 처리기(b2)는, 양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2차 챔버(b21)와, 2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2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2차 파쇄 및 절단 수단(b22)과, 2차 챔버의 양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b23)와, 2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되고 패킹부(D)에 배출측이 연결된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b24)와, 2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1차 처리기(b1)의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b14)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2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b25)와, 2차 반입용 및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2차 파쇄 및 절단 수단(b22)으로는 유압모터로 구동시키는 오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 반입용 및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도 유압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쇄 및 절단 작업이 행해지는 각각의 챔버는 조사료의 분진이 챔버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밀폐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스크류 컨베이어와의 연결부위도 밀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정량 공급부(C)는, 벨트 컨베이어(c1)와 롤 브러쉬(c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롤 브러쉬(c2)는 벨트 컨베이어(c1)와의 간극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벨트 컨베이어(c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롤 브러쉬(c2)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c1)에 실려 나오는 전처리 가공물과의 충돌에 의해 무동력 방식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롤 브러쉬(c1)의 롤 축이 감속모터에 의해 저속 회전하는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분진이 날리지 않게, 벨트 컨베이어(c1)와 롤 브러쉬(c2)의 주변이 덕트 모양의 함체로 둘러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패킹부(D)는 총 3개의 토출 유닛(d1, d2, d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토출 유닛은 1회 토출량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토출 유닛에는 포장대의 입구 부분을 벌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크류 컨베이어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스크류 컨베이어의 공급 슈트의 하단부분에 스크류 컨베이어의 내부 청소시나 또는 내부 상태 점검시에 개폐하는 작은 도어를 마련해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대 이상의 중간 처리기가 1차 처리기(b1)와 2차 처리기(b2)(본 명세서에서 최종 처리기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다) 사이에 직렬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처리기에 구비된 중간 반출용 및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양 단부가 각각 어디에 연결되느냐 하는 점에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이 중간 처리기의 구조는 1차 처리기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처리부(B)와 패킹부(D)와 반출 라인(E)과 적재 로봇(F)은 작업장에 배치되고, 전처리부(A)와 정량 공급부(C)는 작업장과 분리된 다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처리 가공물이 주처리부(B)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량 공급부를 구성하는 벨트 컨베이어(c1)의 일부분만이 작업장 안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스크류 컨베이어 및 오거의 구동원으로서 최대 40rpm으로 회전 가능한 유압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수입 건초에 비해 섬유 조직이 뻣뻣하고 가공하기 어려운 국내산 조사료를 짧은 시간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 및 파쇄할 수 있고, 조사료 가공물의 공정간 이송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분진의 발생과 낙하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류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조사료 가공물끼리 마찰하여 마찰열이 발생함으로써 조사료 가공물의 섬유 조직이 연화됨과 아울러 조사료 가공물의 온도가 초기 발효에 적합한 35∼40℃로 상승 및 유지 가능하고, 패킹시에 입구 부분을 벌린 상태로 토출 유닛에 고정해 둔 포장대 안으로 공기가 확 불어넣어져 포장대가 접힌 부분 없이 팽팽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소의 기호성과 소화성이 극대화되는 조사료를 제공할 수 있고, 그동안 잘 이용되지 않았던 국내산 조사료의 가공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A: 전처리부
a1, a2: 통상의 조사료 절단 및 파쇄기
B: 주처리부
b1: 1차 처리기
b11: 1차 챔버
b12: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
b13: 개폐 도어
b14: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
b15: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
b2: 2차 처리기
b21: 2차 챔버
b22: 2차 파쇄 및 절단 수단
b23: 개폐 도어
b24: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
b25: 2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
C: 정량 공급부
c1: 벨트 컨베이어
c2: 롤 브러쉬
D: 패킹부
d1, d2, d3: 토출 유닛
E: 반출 라인
F: 적재 로봇

Claims (5)

  1. 조사료 원료를 절단 및 파쇄하여 전처리 가공물로 만드는 전처리부와;
    전처리 가공물을 1회 이상 절단 및 파쇄함으로써, 전처리 가공물보다 길이가 짧거나 섬유 조직이 연화된 최종 가공물로 만드는 주처리부와;
    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출량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주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처리 가공물의 반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 공급부와;
    주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최종 가공물을 일정량씩 포장대에 패킹하여 제품화하는 패킹부와;
    패킹부로부터 완제품을 반출하는 반출 라인과;
    반출 라인 상의 완제품을 픽업하여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재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처리부는 1대의 처리기로 구성되며, 이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챔버와,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되고 패킹부에 배출측이 연결된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반입용 및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반송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처리부는 2대의 처리기로 구성되며,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이 연결된 1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반입용 및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고,
    패킹부에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연결된 2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2차 챔버와,
    2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2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2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2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2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2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1차 처리기의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2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2차 반입용 및 2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처리부는 1차 처리기와 중간 처리기와 최종 처리기로 구성되며,
    정량 공급부의 배출측에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이 연결된 1차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차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차 파쇄 및 절단 수단과,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1차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1차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1차 반입용 및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고,
    중간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중간 챔버와,
    중간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중간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중간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중간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되고 최종 처리기의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에 배출측이 연결된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1차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중간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중간 반입용 및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며,
    패킹부에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연결된 최종 처리기는,
    어느 일면측 또는 양면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최종 챔버와,
    최종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종 챔버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최종 파쇄 및 절단 수단과,
    최종 챔버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개폐 도어와,
    최종 챔버의 배출구측에 도입측이 연결된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최종 챔버의 투입구측에 배출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되고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에 도입측이 밀폐 상태로 연결된 최종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와,
    최종 반입용 및 최종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중간 처리기가 복수인 경우,
    상대적으로 1차 처리기에 가까이 배치된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출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측이 상대적으로 최종 처리기에 가까이 배치된 중간 처리기의 중간 반입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도입측에 밀폐 상태로 연결되거나 그 중간 처리기의 중간 챔버의 투입구측에 밀폐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KR1020150123484A 2015-09-01 2015-09-01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KR10173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84A KR101732265B1 (ko) 2015-09-01 2015-09-01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84A KR101732265B1 (ko) 2015-09-01 2015-09-01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828A Division KR20170027315A (ko) 2016-11-26 2016-11-26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54A true KR20170027054A (ko) 2017-03-09
KR101732265B1 KR101732265B1 (ko) 2017-05-02

Family

ID=5840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484A KR101732265B1 (ko) 2015-09-01 2015-09-01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538B1 (ko) * 2017-07-03 2019-03-12 (주)지금강이엔지 가축용 발효 조사료 제조장치
KR102034865B1 (ko) * 2018-02-19 2019-11-08 김중관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59A (ko)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웅비기계 가축 조사료 제조장치
KR20130016658A (ko) 2011-08-08 2013-02-18 정기봉 조사료 절단 공급장치
KR20150012726A (ko) 2013-07-26 2015-02-04 안태완 조사료 세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91B1 (ko) 1998-08-26 2001-08-07 방경숙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하는 방법
KR101195966B1 (ko) * 2010-08-26 2012-10-30 (주)한텍 부화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및 제조방법
KR101358974B1 (ko) 2013-06-18 2014-02-21 배희동 감귤가공부산물 무방류 통합 처리 설비 및 처리 방법
KR101535900B1 (ko) * 2013-11-19 2015-07-14 대한민국 양돈의 tmr사료 조제용 원형베일 사일리지 해체, 세절 및 연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59A (ko)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웅비기계 가축 조사료 제조장치
KR20130016658A (ko) 2011-08-08 2013-02-18 정기봉 조사료 절단 공급장치
KR20150012726A (ko) 2013-07-26 2015-02-04 안태완 조사료 세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265B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6869A (zh) 一种农产品加工稻谷用碾碎装置
CN108325646A (zh) 一种饲料自动粉碎装袋一体机
CN106171278B (zh) 青贮穗茎兼收多功能一体玉米收获机
KR101732265B1 (ko)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CN103950079A (zh) 一种带烘干功能的碎屑机
KR20170108722A (ko) 섬유질 사료 이송용 스크류컨베이어
KR20150015720A (ko) 다축 분쇄 시스템
CN204769051U (zh) 一种草颗粒加工生产线
KR102034865B1 (ko)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48218B1 (ko) 사료 제조 플랜트
CN205995493U (zh) 玉米深加工系统
KR20170027315A (ko) 조사료용 haccp 제조 장치
KR101897497B1 (ko)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CN110746212B (zh) 秸秆微贮肥生产线
KR101795913B1 (ko) 사료 제조 플랜트
CN206078155U (zh) 一种可对玉米芯进行粉碎的玉米脱粒机
KR101950647B1 (ko) 사료 첨가용 코코넛 분말 제조 장치
CN205447797U (zh) 一种生物质发电用进料装置
CN107511099A (zh) 一种带有刀片的立式多搅龙搅拌机
CN204448097U (zh) 螺旋输送器连接式双辊碾米机
CN203818270U (zh) 一种带烘干功能的碎屑机
KR100907054B1 (ko) 칩 컨베이어 장치
CN112602470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秸秆粉碎处理装置
CN202823553U (zh) 一种组合式一体化垃圾预处理系统
CN205865125U (zh) 青贮穗茎兼收多功能一体玉米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