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878A -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878A
KR20170026878A KR1020150122598A KR20150122598A KR20170026878A KR 20170026878 A KR20170026878 A KR 20170026878A KR 1020150122598 A KR1020150122598 A KR 1020150122598A KR 20150122598 A KR20150122598 A KR 20150122598A KR 20170026878 A KR20170026878 A KR 2017002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bezel
unit
data correspon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459B1 (ko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명암대비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멀티비전의 베젤의 폭이 작게 보이게 하는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디스플레이는 베젤에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는 영상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MULTIVISIO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명암대비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멀티비전의 베젤의 폭이 작게 보이게 하는 멀티비전 및 그의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정보화기기인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발전하고 있다. 음극선관(CRT)에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LED)로 발전되면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박형화, 슬림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기장, 공연장, 병원과 같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볼 수 있도록 100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단일제품으로 10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10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대신,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서로 결합한 멀티비전이 개발되었다.
멀티비전의 개발로서 10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현실화되었으나,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의 결합으로 베젤 폭이 2배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베젤 폭을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서브디스플레이와 서브디스플레이 사이에 3mm정도의 베젤을 갖는 산업용 디스플레이도 등장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베젤이 얇은 디스플레이는 가격이 매우 고가이다.
또한, 상기 고가의 서브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베젤 폭이 두꺼운 저가의 서브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멀티비전을 제작하면 사람들의 관심도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젤 폭이 줄어 보이는 효과를 갖는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은 베젤을 경계로 분할된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상기 베젤과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베젤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베젤에 인접한 화소의 휘도를 증가시켜, 명암대비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베젤의 폭을 작게 보이게 할 수 있고, 베젤 폭을 줄이기 위해 베젤폭이 얇은 값비싼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보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단위 픽셀들, 수평표시라인 및 수직표시라인을 포함하는 서브디스플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보정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에서 보정된 멀터비전 영상과 보정되지 않은 멀티비전 영상을 나타낸 비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연산부의 가중치(α)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된 멀티비전 영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100)은 다수개의 서브디스플레이(1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120)와 상기 서브디스플레이(120) 사이에는 베젤(180)이 존재한다.
도 2를 잠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100)은 영상입력부(131), 영상분배부(132),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들(120 내지 125)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입력부(131)는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영상신호를 영상분배부(132)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분배부(132)는 상기 영상입력부(131)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상정보를 각 서브디스플레이(120)의 해상도에 맞추어 스케일처리를 한 후에 각 서브디스플레이(120)에 영상정보를 공급한다.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120 내지 125)는 각각 표시패널(170), 게이트 드라이버(160), 데이터 드라이버(150), 및 타이밍컨트롤러(140)을 포함한다.
상기 각 표시패널(170)은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다수의 게이트라인이 교차함으로서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들(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픽셀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현하는 R 서브픽셀, G 서브픽셀, 및 B 서브픽셀이 있고, 상기 R, G, 및 B 서브픽셀들은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한다. 수평표시라인, 수직표시라인은 단위 픽셀을 기준으로 한다. 즉, 하나의 수평표시라인 및 수직표시라인에는 각각 R, G, B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이 존재한다.
상기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영상분배부(132)로부터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클럭신호(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DE) 등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클럭신호(CLK)는 영상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로서.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는 영상의 한 프레임 주기로 입력되고, 수평동기신호(Hsync)는 하나의 수평표시라인마다, 다시 말하면, 스캔펄스가 입력되는 게이트라인이 바뀔 때마다 입력되고, 데이터 인에이블(DE) 신호는 데이터가 있는 유효 구간을 나타낸다.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DE)신호는 모두 클럭신호(CLK)를 기준으로 동작한다.
상기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클럭신호(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이용하여 데이터제어신호(DCS)와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펄스, 게이트 쉬프트클럭, 게이트 출력인에이블 등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도트클럭, 소스 쉬프트클럭, 소스 인에이블신호, 극성반전신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상기 멀티비전(100)의 영상분배부(132)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를 표시패널(170)의 구성에 맞게 정렬하여 상기 정렬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와 함께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0)에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60)에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보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디스플레이의 단위 픽셀들, 수평표시라인 및 수직표시라인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젤보정부(143)은 베젤에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검출부(141)와, 상기 영상검출부(141)로부터 입력받은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보정하는 영상보정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검출부(141)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가 표시패널의 베젤에 인접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에 공급하고, 나머지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를 거치지 않고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수평표시라인과 각 수직표시라인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단위 픽셀 단위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서브디스플레이의 표시패널은 V행, H열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위 픽셀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들로 구성된다. 상기 각 표시패널의 수평표시라인은 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이 존재하고, 수직표시라인은 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이 존재한다.
도 4에서 사선으로 빗금친 영역은 베젤에 가장 인접한 단위 픽셀들을 나타낸다. 즉, 베젤에 가장 인접한 단위 픽셀들은 1번째 수평표시라인과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에 있는 단위 픽셀들과, 1번째 수직표시라인과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에 있는 단위 픽셀들이다. 상기 영상검출부(141)는 가장 근접하고 있는 단위 픽셀들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와는 달리, 상기 영상검출부(141)은 상기 베젤로부터 k번째(k는 2 이상의 자연수)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까지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베젤로부터의 거리를 단위픽셀 단위로 정의하고, 해당 단위 픽셀들을 수평표시라인과 수직표시라인으로 나타내면, 상기 영상검출부(141)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1 내지 k번째수평표시라인들 상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들 상의 단위 픽셀들 및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들 상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들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여 영상보정부(142)로 공급하고, 나머지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검출부(141)는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클럭신호(CLK), 및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를 이용하여,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가 ON일때에만 클럭신호(CLK)를 카운트하는 클럭카운팅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클럭카운팅부는 해상도와 보정 대상인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고, 카운트한 클럭신호(CLK) 수를 이용하여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이 10×10 단위 픽셀로 이루어진 경우, 제1수평표시라인, 제10수평표시라인, 제1수직표시라인, 제10수직표시라인에 위치한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해, 클럭카운팅부는 한 프레임마다 리셋되며,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가 ON되었을 때부터 클럭신호(CLK)를 카운팅을 시작한다. 카운팅된 클럭수가 10일 때에 첫번째 수평표시라인이 끝난다. 이때까지의 영상데이터는 모두 영상보정부(142)로 전송된다. 클럭카운팅부는 카운팅된 클럭수가 11이 되는 경우, 첫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에 해당되므로, 해당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로 전송한다. 그리고, 클럭카운팅부는 카운팅된 클럭수가 12부터 19까지인 경우에 해당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를 거치지 않도록 출력한다. 또한 카운팅된 클럭수가 20이 되면, 마지막번째인 10번째 수직표시라인에 해당되는 단위 픽셀이므로, 상기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로 전송한다. 다시 카운팅된 클럭수가 21 내지 90 까지는 상기 카운팅된 클럭수가 11 내지 20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카운팅된 클럭수가 21, 31, 41, 51, 61, 71, 81이면 해당 영상데이터가 영상보정부(142)로 출력되고, 카운팅된 클럭수가 30, 40, 50, 60, 70, 80, 90이면 해당 영상데이터가 영상보정부(142)로 출력된다. 또한, 카운팅된 클럭수가 91 내지 100 까지는 카운팅된 클럭수가 1 내지 10까지와 동일하다. 그리고, 영상의 한 프레임이 종료되므로 카운팅된 클럭수가 0으로 리셋된다.
상기 영상검출부에서의 영상검출과정은 베젤에 가장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만을 검출한 것이지만, 베젤로부터 k번째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즉,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1 내지 k번째 수평표시라인과 V-k+1 내지 V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카운팅수를 저장하고 있으면, 카운팅시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여 영상보정부(142)로 공급하고, 나머지 영상데이터를 영상보정부(142)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검출부(141)은 상기와 다른 방법으로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검출부(141)는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을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 메모리 상에 상기 베젤과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대한 위치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영상검출부(141)은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베젤 라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만 읽어 들여, 영상보정부(142)에서 가중치 보정을 하고, 보정된 영상데이터로 프레임 메모리의 해당 위치에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프레임 메모리가 보상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보정부(142)는 역감마변환부(144), 휘도보정부(146), 및 감마변환부(148)를 포함한다.
상기 역감마변환부(144)는 영상검출부(141)로부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데이터(RGB Data)에 대해 각각 역감마보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영상검출부(141)로부터 입력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영상데이터(RGB Data)는 감마보정이 적용된 데이터이므로, 감마보정이 적용된 상태에서 휘도보정부에서 보정하면 비선형적으로 보정되기 영상이 왜곡되기 때문에, 상기 영상검출부(14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를 역감마보정하여 감마보정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가중치보정부(146)는 상기 역감마보정된,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가중치(α, α2,.. αk)를 이용하여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각각 증가시키는 가중치보정을 한다.
가중치보정부(146)는 역감마보정된, 베젤에 가장 인접한 단위 픽셀 중 1번째 및 V번째 수평표시라인과 1번째 및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는 가중치 α를 이용하여 가중치연산을 한다.
그리고, 가중치보정부(146)는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 중 베젤로부터 두번째 단위 픽셀 거리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 즉 2번째 및 V-1번째 수평표시라인과 2번째 및 H-1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를 가중치 α2를 이용하여 가중치연산을 한다. 그리고, 가중치보정부(146)는 베젤로부터 k번째 단위 픽셀 거리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 즉 k번째 및 H-k+1번째 수직표시라인과 k번째 및 V-k+1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에 위치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RGB DATA)를 가중치 αk를 이용하여 가중치보정을 한다.
상기 k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 상기 k가 3이면, 1 내지 3수평표시라인과 V-3내지 V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 그리고, 1 내지 3수직표시라인과 H-3내지 H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데이터영상을 상기 가중치 a1, a2, a3로 거리에 따라 다르게 가중치보정을 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서브유닛의 베젤은 대체로 검정색이고, 검정색의 베젤과 명암 차이가 최대로 될 수 있도록, 상기 베젤에 가장 근접한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는 가중치를 가장 크게 하여 가중치연산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젤로부터 가장 거리가 먼 단위 픽셀들의 영상데이터는 가중치를 가장 작게 한다. 가중치는 0 초과 1 미만의 값으로, 가중치들 간의 관계는 1 >α>α2> .. > αk> 0 를 만족한다. 베젤에 가까운 부분이 휘도가 제일 크게 보정되므로 베젤과 인접 영상의 명암대비를 더욱 크게 하여 착시효과를 일으켜 베젤 폭이 작게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α는 음수가 아니므로, 휘도가 감소되는 보정은 되지 않고, 언제나 휘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보정된다.
감마변환부(148)는 상기 가중치보정부(146)로부터 선형적으로 보정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값을 다시 감마변환하고, 상기 감마변환까지 된 영상데이터(R', G', B' Data)를 출력한다.
상기 역감마변환부(144), 상기 가중치보정부(146), 및 상기 감마변환부(148)을 거치는 영상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아래 수학식1과 같이 보정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P2는 휘도보정된 단위 픽셀의 R'G'B' Data값이고, P1은 휘도보정전의 단위 픽셀의 RGB Data값이다. 또한, γ은 감마보정부 및 역감마보정부에서 사용되는 감마값이며 α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상기 가중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0 초과 1미만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베젤보정부의 최종 출력값에는 영상보정부(142)를 거쳐서 나온 휘도보정된 데이터(R'G'B' Data)와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바로 출력된 휘도보정되지 않은 데이터(RGB Data)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50)는 상기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데이터(RGB Data)와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따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60)는 상기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게이트 스타트 펄스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스캔펄스의 전압을 픽셀들의 구동에 적합한 전압레벨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레벨쉬프터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TC)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따라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보정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베젤에 인접한 단위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베젤에 인접한 단위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인 경우 휘도보정단계(S230)를 거쳐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베젤에 인접한 단위픽셀에 해당되지 않는 영상데이터인 경우 휘도보정단계(S230)를 거치지 않고,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바로 출력한다. 상기 휘도보정단계(S230)은 역감마변화하는 단계(S231), 가중치연산하는 단계(S232), 감마변환하는 단계(S233)으로 구성된다.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베젤에 인접한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는 상술한 영상검출부의 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휘도보정단계(S230)에서 역감마변환하는 단계(S231), 가중치연산하는 단계(S232), 및 감마변환하는 단계(S233)는 각각 상술한 역감마보정부(144), 가중치보정부(146), 및 감마보정부(148)의 내용과 동일하다.
즉, 베젤을 경계로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우선,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거쳐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판단한 결과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하지 않은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S2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S230)는 역감마 변환하는 단계(S231), 가중치 연산하는 단계(S232), 그리고, 다시 감마변환하는 단계(S233)를 거친다.
특히, 상기 가중치 연산하는 단계(S232)는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V행, H열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을 구비하고 있을 때에, 베젤에 바로 인접한 픽셀의 영상데이터만을 휘도보정할 것인지와 , 상기 베젤에 인접한 1 내지 k번째(k는 2이상의 자연수) 수평표시라인 상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 및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 상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휘도보정할 것인지에 따라 가중치의 적용방법이 다르다.
즉, 바로 인접한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 즉, 첫번째 수평표시라인, V번째 수평표시라인, 첫번째 수직표시라인, H번째 수직표시라인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만을 보정하는 경우, 가중치를 라인마다 다르게 적용할 필요없게 된다.
하지만, 1 내지 k번째(k는 2이상의 자연수) 수평표시라인 상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 및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 상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는 베젤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되, 베젤로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록 가중치가 작게 설정된다. 상기 가중치는 0초과 1미만의 값이다. 상기 가중치는 1 >α>α2> .. > αk> 0 을 만족한다. 베젤에 가장 인접한 단위 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가장 크게 보정하면, 대체로 검정색인 베젤과 명암대비 착시효과를 크게 일으킬 수 있어 베젤폭을 작게할 수 있으며, 상기 베젤로부터 거리가 먼 단위픽셀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는 가중치를 작게 하여 보정되지 않은 영상과 휘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도록 하여 보정되지 않은 영상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에서 보정된 멀터비전 영상과 보정되지 않은 멀티비전 영상을 나타낸 비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왼쪽 영상은 보정전의 영상이며, 오른쪽 영상은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보정한 영상을 나타낸 확대한 것으로서, 검은색을 띠는 가로줄은 베젤에 해당한다. 왼쪽 영상은 오른쪽 영상보다 두껍게 보인다. 오른쪽 영상은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들의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상승시켜, 흰색 띠가 형성된다. 상기 흰색띠는 검은색을 띠는 베젤과 명암대비가 되며, 검은색을 띠는 베젤의 폭이 얇게 보이는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연산부의 가중치(α)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된 멀티비전 영상이다.
도 8a는 보정되지 않은 영상이고, 도 8b는 가중치(α)가 1/8인 경우의 보정된 영상이고, 도 8c는 가중치(α)가 1/6인 경우의 보정된 영상이고, 도 8d는 가중치(α)가 1/4인 경우의 보정된 영상이고, 도 8e는 가중치(α)가 1/2인 경우의 보정된 영상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가중치(α)가 증가할수록 베젤의 양측면에 흰색선이 잘 보인다. 영상보정부에서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의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베젤에 인접한 흰색선이 보이게 된다. 상기 흰색선은 검정색 베젤과 바로 인접하고 있어서 명암이 대비된다. 따라서,명암대비 착시효과에 의해 베젤 폭이 보정되지 않은 영상에 비해 작게 보인다. 즉, 베젤 폭을 실제로 줄이지 않지만, 가중치를 크게 할수록 베젤폭을 작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베젤 폭을 줄이지 않더라도, 베젤 폭이 줄은 것 같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멀티비전 제작시, 매우 작은 베젤폭을 갖는 고가의 서브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초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가중치가 너무 크면 베젤 측면에 상기 흰색선이 artifact로 인지될 수 있어, 초기 설정시 0 초과 1미만의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 조건 및 사용 영상에 따른 최적화된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미리 설정된 k값, 즉 베젤로부터 어느정도 거리에 있는 수평표시라인 및 수직표시라인까지 휘도보정을 할 것인지에 관한 것도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값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멀티비전 120 내지 125: 서브디스플레이
131: 영상입력부 132: 영상분배부
140: 타이밍컨트롤러 141: 영상검출부
142: 영상보정부 143: 베젤보정부
150: 데이터 드라이버 160: 게이트 드라이버
170: 표시패널 180: 베젤

Claims (13)

  1. 베젤을 경계로 분할된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상기 베젤과 인접한 단위 픽셀들에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베젤보정부를 구비하는 멀티비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보정부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베젤에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는 영상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역감마 변환하는 역감마 변환부와,
    상기 역감마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 보정을 하는 가중치 보정부와,
    상기 가중치 보정된 영상데이터를 감마 변환하는 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V행, H열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보정부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1 내지 k번째(k는 2이상의 자연수)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과,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멀티비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보정부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1 내지 k번째(k는 2이상의 자연수) 수평표시라인 상의 픽셀들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픽셀들과,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픽셀들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영상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화소들의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역감마 변환하는 역감마 변환부와,
    상기 베젤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가중치를 작게 설정하여 상기 역감마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 보정을 하는 가중치 보정부와,
    상기 가중치 보정된 영상데이터를 감마 변환하는 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0초과 1미만의 범위를 갖는 멀티비전.
  8. 베젤을 경계로 다수의 서브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거쳐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베젤에 인접하지 않은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V행, H열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에 가장 인접한 1 수평표시라인 상과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 및 1번째 수직표시라인 상과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보정하고 출력하는 3단계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역감마 변환하는 단계;
    상기 역감마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 보정을 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 연산된 영상데이터를 감마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디스플레이는 V행, H열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에 인접한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에 가장 인접한 1 내지 k번째(k는 2이상의 자연수) 수평표시라인 상과 V-k+1 내지 V번째 수평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 및 1 내지 k번째 수직표시라인 상과 H-k+1 내지 H번째 수직표시라인 상의 단위 픽셀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휘도를 보정하고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에 인접한 단위 픽셀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역감마 변환하는 단계;
    상기 베젤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되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역감마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가중치 보정을 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 연산된 영상데이터를 감마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0 초과 1미만의 범위를 갖는 멀티비전의 구동방법.
KR1020150122598A 2015-08-31 2015-08-31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39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98A KR102396459B1 (ko) 2015-08-31 2015-08-31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598A KR102396459B1 (ko) 2015-08-31 2015-08-31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78A true KR20170026878A (ko) 2017-03-09
KR102396459B1 KR102396459B1 (ko) 2022-05-11

Family

ID=5840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598A KR102396459B1 (ko) 2015-08-31 2015-08-31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22A (ko) * 2017-07-17 2019-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78079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1435583A (zh) * 2019-01-15 2020-07-2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系统
EP3683669A1 (en) * 2019-01-16 2020-07-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WO2020149619A1 (ko) * 2019-01-14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1386832B1 (en) 2021-01-08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WO2022177060A1 (ko) * 2021-02-18 2022-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73A (ja) * 1995-04-21 1996-11-05 Sony Corp 合成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調整方法
KR100848778B1 (ko) * 2002-03-14 2008-07-2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픽셀 서브콤포넌트 지향형 화상의 렌더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9376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KR20110082361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083920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112011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4684A (ko) * 2010-11-20 2012-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비젼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34740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4374A (ko) * 2011-12-26 201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24613A (ko) * 2013-08-27 2015-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73A (ja) * 1995-04-21 1996-11-05 Sony Corp 合成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調整方法
KR100848778B1 (ko) * 2002-03-14 2008-07-2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픽셀 서브콤포넌트 지향형 화상의 렌더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9376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KR20110082361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083920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112011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4684A (ko) * 2010-11-20 2012-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비젼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34740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4374A (ko) * 2011-12-26 201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24613A (ko) * 2013-08-27 2015-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7546B2 (en) 2017-07-17 2019-10-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90009022A (ko) * 2017-07-17 2019-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78079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0149619A1 (ko) * 2019-01-14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1468823B2 (en) 2019-01-14 2022-10-11 Lg Electronics Inc. Video wall including multiple displays with reduced afterimage
CN111435583A (zh) * 2019-01-15 2020-07-2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系统
EP3683670A1 (en) * 2019-01-15 2020-07-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11355052B2 (en) 2019-01-15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CN111445871A (zh) * 2019-01-16 2020-07-2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系统
KR20200089385A (ko) * 2019-01-16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US11056067B2 (en) 2019-01-16 2021-07-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EP3683669A1 (en) * 2019-01-16 2020-07-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CN111445871B (zh) * 2019-01-16 2023-11-10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系统
US11386832B1 (en) 2021-01-08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WO2022177060A1 (ko) * 2021-02-18 2022-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59B1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459B1 (ko) 멀티비전 및 그의 구동방법
CN109147712B (zh) 一种改善显示面板的视角色偏的方法及系统
US9311873B2 (en) Polarity inversion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981208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gray scale correc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262867B (zh)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10137442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도트 인버젼 제어방법
US113802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compensating grayscale data voltages to offset voltages of common electrode (VCOM) shift
CN102547335B (zh) 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WO2018214188A1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显示装置
CN104900205B (zh) 液晶面板及其驱动方法
US936805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improving side visibility
KR20130094095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04599656B (zh) 校正液晶面板的子像素的成像时灰阶的方法
CN111161678B (zh) 一种曲面显示面板的伽马电压调整方法、驱动方法及装置
US201603147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Gamma Parameters and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US20210217373A1 (en) Method for driving pixel matrix and display device
TWI660634B (zh) 雙介質顯示面板之驅動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及顯示系統
US11132979B2 (en) Device for correcting image of transparent display device,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CN106560880A (zh) 显示装置和该显示装置的图像渲染方法
CN111965907A (zh)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5703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691024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08005181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감마 곡선 생성 방법
TWI469130B (zh) 立體顯示系統
KR20060111148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