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569A - 발광 유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발광 유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569A
KR20170026569A KR1020177002805A KR20177002805A KR20170026569A KR 20170026569 A KR20170026569 A KR 20170026569A KR 1020177002805 A KR1020177002805 A KR 1020177002805A KR 20177002805 A KR20177002805 A KR 20177002805A KR 20170026569 A KR20170026569 A KR 2017002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ing
light source
edge
light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 기에렌스
리차드 울프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7002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32B17/10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air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t0에서 파장 λ1에서 방출하는 제1 판유리에 커플링된 제1 광원(4)을 갖는 제1 판유리(1), 제1 판유리와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1 광 추출 수단(5), 시간 t0에서 λ1과 상이한 파장 λ3에서 광을 방출하는 제2 판유리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제2 광원(4')을 갖는 제2 판유리(1'), 제1 추출 수단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광 추출 수단(5'), 제1 판유리에 제1 적층 분리부(3)에 의해 적층되고 제2 판유리에 제2 적층 분리부(3')에 의해 적층되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2)를 포함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 유리 어셈블리 {LUMINOUS GLASS ASSEMBLY}
본 발명은 조명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유리 시트 내에서 도광되는 광을 추출함으로써 발광성이 된 글레이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리 시트를 에지 면을 통해 광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어셈블리로 조명함으로써 발광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써 주입된 광은 주위 물질과의 굴절률 차이 때문에 이 유리 시트 안에서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광된다. 그 후, 이 광은 통상적으로 산란성 층인 신호 형성 수단을 이용해서 추출된다.
물론, 다이오드를 조절하여 산란성 특징부를 통해 연속 또는 섬광 발광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심지어 이 연속 또는 섬광 발광 영역은 변색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글레이징 유닛의 제1 측으로부터 보이는 제1 색의 제1 발광 영역 및 또한 글레이징 유닛의 이 제1 측으로부터 보이는 상이한 제2 색의 제2 발광 영역을 동시에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제1 발광 구역 및 제2 발광 구역의 크기 및 분포에 관해 설계 자유를 갖는, 제1 에지 면을 통해 조명되는 도광 유리 시트를 기재로 하는 이용가능한 발광 글레이징 유닛의 범위를 넓힐 것을 제안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한 대상은
- 다중 글레이징 유닛으로서,
- 내부 면 및 제1 면이라고 지칭되는 주면 및 제1 에지 면을 갖는, 굴절률 n1, 바람직하게는 550 nm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1.6 미만, 심지어 550 nm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1.55 미만 또는 훨씬 더 좋게는 1.53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3의 굴절률 n1의 바람직하게는 (코팅되지 않은 또는 이전에 코팅된) 광물 및 심지어 템퍼링된 또는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유기 유리로 제조된 제1 (투명한, 맑은, 대단히 맑은) 글레이징 판유리;
-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맑은 또는 대단히 맑은 광물 또는 심지어 (강직성) 유기 또는 심지어 템퍼링된 유리로 제조됨)로서, 특히 1개 이상의 층 (넓은 의미의 층)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 면을 대면하는 결합 면 및 제2 면이라고 지칭되는 주면, 및 제2 에지 면이라고 지칭되는 에지 면 (제2 에지 면은 제1 에지 면과 정렬되거나 또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외부 쪽으로 제1 에지로부터 오프셋되어 제1 에지 면 또는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는 결합 면의 주변 밴드를 남김)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550 nm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1.6 미만, 심지어 550 nm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1.55 미만 또는 훨씬 더 좋게는 550 nm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1.53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3의 굴절률 n'1의 제2 글레이징 판유리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맑은 또는 대단히 맑은 광물 또는 심지어 (강직성) 유기 또는 심지어 템퍼링된 유리로 제조됨)
를 포함하는 제1 외부 면 및 제2 외부 면이라고 지칭되는 외부 주면을 갖는 (적층된) 다중 글레이징 유닛;
- 제1 에지 면을 통해 또는 심지어 제1 에지 면의 주변부에서 면들 중 하나를 통해 (특히, 다이오드에 로징(lodging)이 제공되는 경우)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제1 (가시) 광원, 바람직하게는 (스트립(들)인 제1 PCB 캐리어 상에 정렬된) 발광 다이오드의 어셈블리 또는 일차 광원 (다이오드(들))을 갖는 추출 광섬유로서,
이로써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게 되고, 상기 제1 광원은 순간 t0에서 λ1이라고 지칭되는 제1 파장으로 제1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정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동적으로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순간 t'≠t0에서 바람직하게는 λ1과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λ1과 적어도 20 nm, 40 nm, 심지어 적어도 80 nm 차이가 나는) λ2라고 지칭되는 제2 파장으로 제2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및 임의로, t3≠ t0 및 t3≠t'에서 훨씬 더 좋게는 제1 주 방출 및/또는 제2 주 방출과 상이한 주 (장식적 또는 기능적) 방출을 (백색, 적색, 녹색, 청색 등에서) 방출하기 위해 전환가능한 것인 제1 광원;
- (바람직하게는 제1 광원과의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변연 구역 밖의 내부 면 및/또는 제1 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지하고, 특히 제1 에지 면에서부터 반대쪽 에지 면까지 연장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변연 구역을 제외한 구역, 예컨대 밴드를 차지하는) 제1 추출 영역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제1 (바람직하게는 산란) 추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도광부에 의해 전달되는 광을 추출하기 위한) 제1 광-추출 수단으로서, 추출된 광이, 바람직하게는 제1 면인 제1 외부 면 측에서 보이게 하고, 제1 추출 수단 (특히, 백색 산란성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의 명도 L*로 정의됨)이 추출된 광이 상기 t0에서 C1이라고 지칭되는 제1 색 (예를 들어,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주 방출 λ'1의 C1) 및 특히, 상기 t'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색 C1과 상이한 C2라고 지칭되는 제2 색 (주 방출 λ'2의 C2)을 갖도록 하는 것인 제1 광-추출 수단,
(이 제1 광-추출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 측에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 상에, 심지어 제1 적층 중간층 내에 또는 제1 적층 중간층 상에), 및/또는 제1 면 측에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제1 면 상에) 및/또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벌크 내에 위치하는 산란성 수단임);
- 제2 에지 면을 통해 또는 심지어 제2 에지 면의 주변부에서 면들 중 하나를 통해 (특히, 다이오드에 로징이 제공되는 경우)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제2 광원,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의 어셈블리 (스트립(들)인 제2 PCB 캐리어 상에 정렬된, 바람직하게는 제1 광원과 동일한, 다이오드) 또는 일차 광원 (다이오드(들))을 갖는 추출 광섬유 (여기서, 제2 에지 면은 제1 에지 면과 동일한 측에 있고, 정렬되거나 또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내부 쪽으로 오프셋되거나, 또는 제1 에지 면의 반대측에 있음)로서, 이로써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게 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t0에서 λ1과 상이한 λ3 (λ3은 바람직하게는 λ1과 적어도 20 nm, 적어도 40 nm, 심지어 적어도 80 nm 차이가 남)이라고 지칭되는 파장으로 제3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간 t'에서 예를 들어 λ3과 상이한 (λ3과 적어도 20 nm, 적어도 40 nm, 심지어 적어도 80 nm 차이가 나는) 및 심지어 λ2와 상이한 λ4라고 지칭되는 파장으로 제4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및 특히, t3≠t0 및 t3≠t'에서 훨씬 더 좋게는 제3 주 방출 및/또는 제4 (심지어 제1 및/또는 제2) 주 방출과 상이한 주 (장식적 또는 기능적) 방출을 (백색, 적색, 녹색, 청색 등에서) 방출하기 위해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인 제2 광원;
- 제2 추출 영역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제2 (바람직하게 산란) 추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도광부에 의해 전달되는 광을 추출하기 위한) 제2 광-추출 수단으로서, 상기 제2 특징부(들)은 1개 이상의 제1 특징부로부터 오프셋되고, 임의로 이 오프셋이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cm, 심지어 최대 20 cm 또는 최대 10 cm이고, 상기 제2 특징부(들)은 결합 면 및/또는 제2 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과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측에 위치하는 제2 변연 구역 밖이고, 특히 제2 에지 면에서부터 반대쪽 에지 면까지 연장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변연 구역을 제외한 구역, 예컨대 밴드를 차지하고), 이로써 추출된 광이 제1 외부 면 측에서 보이고, 제2 광-추출 수단 (특히, 백색 산란성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의 명도 L*로 정의됨)이 추출된 광이 t0에서 C1과 상이한 C3이라고 지칭되는 색 (λ3과 실질적으로 같고 λ'1과 적어도 20 nm, 적어도 40 nm, 심지어 적어도 80 nm 차이가 나는 주 방출 λ'3) 및 임의로, 상기 t'에서 C3과 상이한 및 심지어, C2와 상이한 C4라고 지칭되는 색(λ4와 실질적으로 같고 λ'3과 적어도 20 nm, 40 nm, 심지어 80 nm 차이가 나는 주 방출 λ'4의 C4)을 갖는 것인 제2 광-추출 수단
을 포함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이다.
게다가,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제1 광원 (및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아이솔레이터가 있는 경우 제2 광원, 및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의 파장에서 n1-n2가 적어도 0.08, 심지어 적어도 0.2,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이도록 (및,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아이솔레이터가 있는 경우, n'1-n2가 적어도 0.08, 심지어 적어도 0.2,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이도록) 하는 굴절률 n2의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는 연속, 평편한 또는 굴곡된) 투명한 광학 아이솔레이터 (일체형 구조)를 결합 면과 내부 면 사이에 포함하고,
-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적어도 제1 추출 특징부들 사이에서 (1개 초과가 있는 경우, 또는 심지어, 폐쇄되지만 애퍼처가 있는 특징부의 애퍼처 내에서) 내부 면을 대면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추출 영역을 덮어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및) 제1 에지 면과 제1 추출 영역(의 인접하는 에지) 사이에서 내부 면을 대면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추출 영역과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 사이에서 내부 면을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바람직하게는 (아마도, 제1 광원과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제1 변연 구역 및 심지어, 내부 면의 하나 이상의 주변 구역을 제외한) 내부 면을 실질적으로 덮고;
- 제1 아이솔레이터가 유일한 아이솔레이터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단일의 광학 아이솔레이터)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적어도 제2 추출 특징부들 사이에서 (1개 초과가 있는 경우, 또는 심지어 폐쇄되지만 애퍼처가 있는 특징부의 애퍼처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영역을 덮어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및) 제2 에지 면과 제2 추출 영역(의 인접하는 에지) 사이에서, 및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영역과 제2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 사이에서 결합 면을 대면하여 위치하고,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아마도 제2 광원과의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제2 변연 구역 및 심지어, 결합 면의 하나 이상의 다른 주변 구역을 제외한) 결합 면을 실질적으로 덮는다.
제1 추출 수단이 내부 면 측에 있을 때,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제1 추출 수단보다 내부 면으로부터 더 멀고,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수단이 결합 면 측에 있을 때,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오직 1개 있는 경우)는 결합 면 측 제2 추출 수단보다 결합 면으로부터 더 멀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가짐 - 는 - 제1 주 표면을 통해 -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내부 면 측에 및 심지어, 밑에 있는 제1 추출 수단에) 제1 광원의 파장에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 심지어 0.03 미만이도록 하는 굴절률 n3을 갖는 제1 투명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또는 심지어 열경화성 중합체로 제조된 제1 적층 중간층에 의해 적층된다.
제2 광원 (및 훨씬 더 좋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의 파장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 심지어 0.03 미만이도록 하는 굴절률 n'3을 갖는 제2 투명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또는 심지어 열경화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제1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함)로 제조된 제2 적층 중간층이 결합 면과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사이에 있고, 제2 적층 중간층은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결합 면과) 접착성 접촉한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가장 특히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표면을 대면하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표면을 실질적으로 덮고,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조명의 두 가지 상이한 색의 독립성을 촉진한다.
게다가,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보다 제2 추출 수단에 더 가까운, 제2 광원 (바람직하게는 모든 가시 스펙트럼)의 파장에서 n'1-n'2가 적어도 0.08, 심지어 적어도 0.2,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이도록 하는 굴절률 n'2의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이고 평편한) 투명한 광학 아이솔레이터 (일체형 구조)를 내부 면과 결합 면 사이에 포함할 수 있고,
-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적어도 제2 추출 특징부들 사이에서 (1개 초과가 있는 경우, 또는 심지어, 폐쇄되지만 애퍼처가 있는 특징부의 애퍼처 내에서) 결합 면을 대면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영역을 덮어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및) 제2 에지 면과 제2 추출 영역(의 인접하는 에지) 사이에서 결합 면을 대면하여, 및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영역과 제2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 사이에서 결합 면을 대면하여 위치하고,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아마도, 제2 광원과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제2 변연 구역 및 심지어, 결합 면의 하나 이상의 다른 주변 구역을 제외하여) 결합 면을 실질적으로 덮는다.
제2 추출 수단이 결합 면 측에 있을 때,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제2 추출 수단보다 결합 면으로부터 더 멀다.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제2 적층 중간층에 의해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따라서 결합 면 측에서 및 심지어 제2 추출 수단에) 적층된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제1 글레이징 판유리보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고 (위치하거나) 그의 위치 및/또는 규모 때문에 제2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선을 (충분히) 아이솔레이션시키지 않는 경우,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지수 필름 (아래에서 상세히 서술됨)인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와 내부 면 사이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 외의 다른 요소가 첨가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지수 필름 (아래에서 상세히 서술됨)인 임의적인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와 결합 면 사이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 외의 다른 요소가 첨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장식적 발광 패널, 발광 디바이더(divider), 발광 창문 또는 심지어 상업적 냉장 장비 (수직형 인클로저 및 심지어, 체스트)의 문에 응용가능하다.
제1 외부 면은 디스플레이 면, 즉, 2-색 조명이 보이는 면이고, 바람직하게는
- 제1 면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의 자유로운 면);
- 및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냉장 장비의 문 (이중 또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의 사용자측 면
에 상응한다.
제2 추출 특징부는 제1 애퍼처가 있는 (환형, 임의의 기하학적 패턴 등) 추출 특징부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그러면, 이 제1 추출 특징부가 제2 추출 특징부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1 특징부는 제2 특징부와 연접할 수 있고, 심지어, 제2 특징부가 이웃하는 제1 특징부들 사이에, 임의적으로 규칙적으로, 삽입되어 연속 이색(bicolor) 발광 영역을 형성한다.
2개의 제1 추출 특징부 사이에 제2 추출 특징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호관입할 수 있다 (이격된 특징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번갈아 존재하는 특징 등의 망상구조).
"1개 이상의 제1 특징부로부터 오프셋된 제2 특징부"이라는 표현은 제2 추출 특징부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추출 영역을 대면하지 않는다 (제1 추출 영역과 중첩하지 않고 따라서 (외측에서) 제1 추출 영역을 지나서 돌출한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추출 영역의 평면에서 제2 추출 영역의 직교 돌출이 제1 추출 영역과 일치하지 않는다. 직교 돌출부 및 제1 추출 영역이 연접할 수 있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색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요망되지 않으면, 제2 추출 특징부의 일부가 제1 추출 특징부를 대면하지 않고 (제1 추출 특징부 상에 중첩하지 않고), 그 경우, 그러면, 중첩은 적어도 0.5 mm에 걸쳐서 일어난다.
제1 추출 영역과 제1 추출 영역의 평면에서 제2 추출 영역의 직교 돌출부 사이의 최소 거리는 최대 50 mm, 심지어 최대 20 mm일 수 있다. 두 가지 색의 실질적 혼합이 없는 그러한 이색 특징부가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특징부에 가장 가까운 에지에 배치된다. 일부 구성에서는, 제2 광원이 제1 에지 면을 갖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에 인접하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의 에지 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해서, 제2 광원은 (직사각형) 글레이징 유닛의 외측 에지에 있을 수 있고, 제1 광원은 종방향 에지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종,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서로 반대쪽에 있는 두 에지 또는 동일한 에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부가 프레임 유형인 경우에는, 4개의 광원 (에지 당 1개)이 있을 수 있다.
제2 특징부(들)은 X (제1 에지 면에 수직인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서의 전파 방향임)에서 및/또는 X에 수직인 Y에서 오프셋될 수 있다.
물론, 제1 방출은 제1 주어진 스펙트럼 범위를 갖는다. 물론, 제2 방출은 제2 주어진 스펙트럼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각각) 주 방출"이라는 표현은 제1 광원에 의해 순간 t0 (t', 각각)에서 방출되는 스펙트럼 범위에서 가장 강렬한 방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제4, 각각) 주 방출"이라는 표현은 제2 광원에 의해 순간 t0 (t', 각각)에서 방출되는 스펙트럼 범위에서 가장 강렬한 방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방출의 스펙트럼 범위는 좁고 최대 50 nm이며, 마찬가지로 좁은 제2 방출의 스펙트럼 범위와 겹치지 않거나 또는 0.15 미만의 정규화된 세기에서 50 nm 미만이 겹치고, 예를 들어, 적색과 호박색 사이에서 또는 녹색과 청색 사이에서 겹친다.
예를 들어, 두 가지 색이 적색 및 녹색일 때,
- t0에서: 제1 광원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1 및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고 (및 C1에서 추출된 광이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1'에서 추출되는 제1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이고),
제2 광원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3 및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고 (및 C3에서 추출된 광이 λ3과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3'에서 추출되는 제3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이고) 심지어 백색이고,
- 및 임의적으로, t에서:
제1 광원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2 및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고 (및 C2에서 추출된 광이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1'에서 추출되는 제2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이고),
및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 및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고 (및 C4에서 추출된 광이 λ4와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4'에서 추출되는 제4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이고), 또는 별법으로, 제1 광원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 및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계속 방출한다 (및 C4에서 추출된 광이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4'에서 추출되는 제4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이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t3에서 각각의 광원이 녹색으로 또는 백색으로 방출한다. 또한, 광원들 중 1개가 꺼지는 것이 가능하다(따라서, 다음 구성을 생성한다: 적색 및 꺼짐-상태; 녹색 및 꺼짐-상태; 백색 및 꺼짐-상태). 상이한 색의 많은 장식 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C1이 백색이고 C2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색일 수 있고, 그 역일 수도 있다.
물론,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또한 정적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즉, 단지 조합 C1 및 C3 (또는 C1 및 꺼짐-상태의 C2, 또는 C3 및 꺼짐 상태의 임의적인 C4)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심지어 제1 광원이 오직 λ1의 제1 다이오드를 함유할 수 있고 제2 광원이 오직 λ3의 제3 다이오드를 함유할 수 있다.
t0에서, 제1 광원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1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녹색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원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3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적색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눈의 반응은 적색에서보다 녹색에서 더 좋고, 게다가, (광물 또는 유기) 유리는 녹색 광보다 적색 광을 더 많이 흡수한다. 따라서, 순간 t0(또는 t')에서는, 인지되는 적색이 너무 희미할 수 있다. 이러해서, 바람직하게는,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1이 제2 광원의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3의 0.8 배 미만, 심지어 F3의 0.7배 또는 0.6배 이하일 수 있다.
F3보다 낮은 플럭스 F1을 얻기 위해, 적색 다이오드의 광 세기가 그것이 녹색 다이오드의 광 세기보다 높도록 조정될 수 있고/있거나 제1 PCB 캐리어 상의 PCB 캐리어의 단위 길이 당 적색 다이오드의 수가 제2 PCB 상의 PCB 캐리어의 단위 길이 당 녹색 다이오드의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의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의 경우, 각각의 캐리어 상에 다음 순서: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이 n회 (n은 1 이상의 정수임) 있을 수 있고/있거나, t'에서 제1 광원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2를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원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를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t'에서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4가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2의 0.8배 미만이다.
게다가, 적색이 너무 희미하게 나타나지 않게 제1 추출 영역의 색을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심지어, t'에서 2개의 추출 특징부의 색을 뒤바꾸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적색 다이오드 및 녹색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광원의 경우, 녹색 제1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1은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2의 0.8배 미만, 심지어 플럭스 F2의 0.7배 또는 0.6배 이하일 수 있다. 다음 순서: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을 n회 (n은 1 이상의 정수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광원도 마찬가지이고, 즉, 다음 순서: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을 n'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n'는 1 이상의 정수이다.
공통 PCB 캐리어의 경우:
-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경우, 다음 순서: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이 n회 (n은 1 이상의 정수임) 이용될 수 있고;
-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경우, 다음 순서: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이 n'회 (n'은 1 이상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과 같음) 이용될 수 있다.
제1 외부 면 측에서 C1을 갖는 제1 추출 특징부(들)에 의해 또는 제2 추출 특징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법선 휘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cd/㎡이다.
제1 추출 영역 및/또는 제2 추출 영역의 제1 외부 면 측에서 법선 휘도는 +/- 10 cd/㎡ 내에서 균일할 수 있다. 그러나, t0에서, C1이 녹색이고 C2가 적색인 경우, 눈의 반응을 고려하기 위해 제1 추출 영역의 제1 외부 면 측에서의 법선 휘도가 제2 추출 영역의 제1 외부 면 측에서의 법선 휘도보다 낮을 수 있다.
광선의 대부분은 공기/제1 면 계면에서 및 제1 중간층과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계면에서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광된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및 제1 적층 중간층은 투명하고, 도광된 광선의 전파에 적당한 굴절률을 갖는다. 이러해서, 내부 면/제1 중간층 계면에서 굴절된 후 제1 중간층/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계면에서 굴절된 광선의 대부분이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에 의해 반사되고, 광학적 커플링이 일어나는 에지 면에 가까운 구역에서의 큰 각도(large-angle) 광선은 예외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cm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5 c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 cm의 폭 W에 걸쳐서 프로파일에 의해 핫스팟이 가려진다.
제1 및 제2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이 보이는 경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배열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제1 면 (제1 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면 (디스플레이 면)임) 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의 거리 W 연장되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봉입하거나 또는 담지하는 특히 금속으로 부분적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을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주변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해서, 프로파일은 핫스팟을 보이지 않게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 예를 들어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봉입할 수 있고 심지어 보관/담지할 수 있는 (글레이징 유닛 등을 장착하기 위한) 프로파일에 의해 - 차폐되는 경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두 반대측에 배열된다. 더 드물게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두 인접하는 측에 배열된다. 이러해서,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 제1 광원을 봉입하거나 또는 담지하는, 제1 에지 면의 주변부에 있고 제1 면 (제1 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면 (디스플레이 면)임) 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의 거리 W 연장되는 제1 잼(jamb), 및
- 제2 광원을 봉입하거나 또는 담지하는, 제2 에지 면의 주변부에 있고 제1 면 (제1 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면 (디스플레이 면)임) 위에서 연장되는 (반대쪽에 있는) 제2 잼
을 갖는 특히 금속으로 부분적으로 제조된 프로파일,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을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주변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파일 (제1 잼 및/또는 제2 잼)은 반드시 제1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할 필요는 없고, 바람직하게는 제1 면은 (제2 외부 면이라기 보다는) 제1 외부 면이다. 그것은
- 큰 각도 광선을 흡수할 불투명한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 결합될 수 있거나;
- 또는, 투명한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 결합될 수 있고, 큰 각도 광선이 반사성 프로파일에 의해 반사되어 더 앞으로 나가거나 또는 불투명한 (불투명하게 된 표면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의해 흡수된다.
게다가, 비용 및 추출 효율 때문에, 제1 (외부) 면 상의 또는 내부 면 상의 제1 (산란, 백색 또는 광택을 없앤) 추출 특징부는 제1 에지 면으로부터 적어도 거리 W (프로파일의 폭)만큼 이격될 수 있고, 따라서, 글레이징 영역의 가로막는 것이 없는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부분과 수평으로 시작한다.
게다가, 제1 에지 면에서부터 시작해서 - W보다 작은 - 폭 D0의 주변 밴드에서는,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이 내부 면 측에서 제1 적층 중간층 내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굴절률이 여전히 너무 높음) 내로 및 제2 적층 중간층 내로 굴절되고, 그 다음, 결합 면에서
-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추출 수단을 통해 직접 추출될 수 있거나,
- 또는 결합 면 상의 제2 추출 수단을 통해 (특히, 제2 에지 면에 가장 가까운 특징부에 의해) 직접 추출될 수 있거나,
- 또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 내에서 (제2 면/공기 계면에서 (단일의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인 경우) 또는 제2 면/공기-충전된 캐비티 계면에서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일부인 경우)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광된 다음, 결합 면 상의 제2 추출 수단에 의해 (특히, 제2 에지 면에 가장 가까운 특징부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해서, 이 광선은 제2 추출 수단에 도달하고 색 C3을 오염시킨다. 마찬가지로, 색 C1도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해서, 제1 "혼합-방지" 구성에서는, 내부 면의 주변부에서 내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제1 에지 면 (제1 광원이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에지 면)에서부터 제1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애퍼처가 없는) 이른바 제1 혼합-방지 밴드가 제공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0.8 Dmin와 같은, 훨씬 더 좋게는 Dmin (여기서 Dmin = d1 / tan((π/2) - arcsin(n2/n1)))과 같은 폭 D0을 가지며, 훨씬 더 좋게는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 심지어 1 cm 미만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W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여기서 d1은 제1 광원과 내부 면 사이의 거리이다.
제1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흑색이고), 예를 들어 제1 추출 영역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고, 제1 에지 면으로부터 더 먼 제1 추출 영역으로부터 이격된다.
별법으로, 제1 밴드는 산란성 (백색 등)일 수 있고, 내부 면 측에서 최대 2%의 가시 범위에서의 투과 계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동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는 제1 추출 수단과 동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혼합-방지 밴드가 산란성인 경우, 이러해서, 제1 혼합-방지 밴드는 내부 면 반대측에서 광을 추출하지 않기에 충분하게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 추출 특징부(들) (프로파일 또는 차폐 층에 의해 차폐되지 않음)은 내부 면 반대측에서 광을 추출하지 않기에 충분하게 두꺼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광원 (각 다이오드)은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두께보다 작은 규모 (방출 면의 폭) W0을 가지며, W0은 전형적으로 최대 5 mm이고, 제1 광원 (각 다이오드)은 제1 에지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앙에 있고, d1은 1 내지 5 mm, 훨씬 더 좋게는 1 내지 3 mm이다.
d'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에서부터 가장 먼 제1 광원의 에지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0.8Dmin과 같은 폭 D01의 또 다른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바람직하게 흑색) 제1 혼합-방지 밴드가 제1 면 측에 첨가될 수 있고 (심지어, 제1 면 상에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 제1 면이 제1 외부 면임), 바람직하게는, 이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는 제1 혼합-방지 밴드와 합동을 이룬다.
예를 들어, 그것은 제1 면 상의 불투명한(바람직하게는 흑색) 코팅, 예컨대 에나멜 또는 페인트 코트의 문제이거나, 또는 심지어, 불투명한 단면 접착 테이프의 문제이거나 또는 불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임의로, 제1 면에 프로파일을 체결하는 역할도 하는 접착제의 문제이거나, 또는 심지어, 제1 면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플라스틱, 금속) 프로파일의 표면의 문제이고, 상기 표면은 불투명하고 (불투명하게 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불투명한 (바람직하게는 흑색) 코팅, 예를 들어 페인트 코트를 포함한다.
이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는 다음 구성 모두로 이용된다:
- 자유로운 제2 면 (혼합에 관해서 불리한 광선을 포함해서 도광되는 대부분 광선, 그 다음, 이것은 제2 산란성 특징부 쪽으로 투과됨);
- 그들 사이에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반사성 프로파일을 갖는 제2 면 (혼합에 관해서 불리한 광선을 포함해서 반사되는 광선, 그 다음, 이것은 제2 산란성 특징부 쪽으로 투과됨), 및
- 공기-충전된 캐비티를 갖는 프로파일을 갖는 제2 면 (불리한 광선이 도광된 다음에 제2 산란성 특징부 쪽으로 투과됨).
게다가, (애퍼처가 없는) 이른바 제2 혼합-방지 밴드가 바람직하게는 결합 면의 주변부에서 결합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제2 에지 면 (제2 광원이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에지 면)으로부터 제2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밴드가 적어도 0.8 D'min과 같은, 훨씬 더 좋게는 D'min (여기서 D'min = d'1 / tan((π/2) - arcsin(n2/n'1)))과 같은 폭 D'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 심지어 1 cm 미만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W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여기서 d'1은 제2 광원과 결합 면 사이의 거리이다.
제2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흑색이고), 예를 들어 제2 추출 영역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고, 제2 에지 면으로부터 더 먼 제2 추출 영역으로부터 이격된다.
별법으로, 제2 혼합-방지 밴드는 산란성 (예를 들어, 백색)일 수 있고, 결합 면 측에서 최대 2%의 가시 범위에서의 투과 계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동일 제조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는 제2 추출 수단과 동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 (그것이 다이오드의 어셈블리의 문제인 경우, 각각의 다이오드)은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두께보다 작은 규모 (방출 면의 폭) W'0을 가지며, W'0은 전형적으로 최대 5 mm이고, 제2 광원 (그것이 다이오드의 어셈블리의 문제인 경우, 각각의 다이오드)은 제2 에지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앙에 있고, d'1은 1 내지 5 mm, 훨씬 더 좋게는 1 내지 3 mm이다.
d'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결합 면으로부터 가장 먼 제2 광원의 에지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너무 많은 광선 (저-지수 필름과의 계면에서 도광될 수 있는 광선을 포함함)을 제거하지 않기 위해, 제1 (제2 등) 혼합-방지 밴드의 폭이 제한된다.
특히,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 (제2 면이 제2 외부 면과 동일함)인 다중 글레이징 유닛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0.8D'min과 같은 폭 D02의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가 제2 면 측에 (및 심지어 제2 면 상에) 첨가될 수 있고, 이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제2 혼합-방지 밴드와 합동을 이룬다.
예를 들어, 그것은 제2 면 상의 불투명한 (바람직하게 흑색) 코팅, 예컨대 에나멜 또는 페인트 코트의 문제이거나, 또는 심지어, 불투명한 단면 접착 테이프의 문제이거나 또는 심지어, 불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프로파일을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접착제의 문제이거나, 또는 심지어, 제2 면 (바람직하게는 제2 외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프로파일의 표면의 문제이고, 상기 표면은 불투명하고 (불투명하게 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불투명한 (바람직하게는 흑색) 코팅, 예를 들어 페인트 코트를 포함한다.
다중 글레이징 유닛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 (이중 또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이면, 그것은 제3 주면 및 제4 주면을 갖는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포함하고, 제2 면 및 제3 면이 제1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제2 면 및 제3 면의 주변부에서, 바람직하게 흑색 마스틱, 예컨대 폴리술피드 또는 폴리우레탄 마스틱인 제1 프레임 형성 중합체 밀봉부가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의 일부를 형성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를 형성한다.
제1 밀봉부의 폭은 적어도 3 mm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6 mm일 수 있다.
보통, 중간층이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예를 들어 흑색, 부틸 고무에 의해 제1 밀봉부 및 제2 및 제3 면에 접착 결합되고, 이 부틸 고무는 또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를 수증기로부터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부틸 고무의 폭은 적어도 2 mm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6 mm일 수 있다.
폴리술피드 또는 폴리우레탄 같은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제1 밀봉부 및 부틸 고무는 함께 다른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제2 혼합-방지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표 1은 n2 및 n1 및 d1의 함수로서 Dmin의 예를 제공한다. 표 1은 참조표로 이용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불투명한 제1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 흑색이고, 따라서
-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훨씬 더 좋게는 내부 면 상에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불투명한 코팅, 예컨대
- 잉크 (예를 들어, 내부 면 상에 있거나 또는 제1 적층 중간층 상에 내부 면 측에 또는 심지어 반대쪽 면 상에 인쇄됨);
- 에나멜 (바람직하게 광물인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내부 면 상에 있음);
- 예를 들어 내부 면 상에 있는 페인트; 또는
- 불투명한 접착제, 불투명한 접착 밴드;
- 내부 면에 접착 결합된 캐리어, 특히 (가요성) 투명한 (투명한 또는 틴팅된) 플라스틱 (예컨대 PET 등), 얇은 유리 시트 또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제조된 부품 (프로파일), 또는 심지어, 제1 광원의 옆면-방출 다이오드의 PCB 캐리어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 장착 또는 체결 프로파일의 일부) 상의 불투명한 코팅; 또는
- 심지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홈 내에 위치하는, 내부 면에 접착 결합된 불투명한 부품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심지어, 목재 장착 또는 체결 프로파일의 일부)
일 수 있다.
불투명한, 바람직하게 흑색, 제2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와 같은 불투명한 제1 혼합-방지 밴드와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문제의 면 상의 불투명한 코팅이고, 훨씬 더 좋게는, 특히, 프로파일이 위에 없을 때는, 불투명한 침착물, 예컨대 에나멜이다.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는 예를 들어 (금속, 특히 반사) 프로파일에 접착 결합하기 위해 불투명한 단면 (프로파일 아래) 또는 양면 접착제이다.
제1 혼합-방지 밴드의 구역에는, 제1 중간층 및/또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없을 수 있고, 따라서, 제1 에지 면에 대해 적어도 D0만큼 후퇴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할 수 있고 (제1 에지 면 측에서 돌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에지 면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음), 이렇게 해서 제1 혼합-방지 밴드가 이 돌출 구역에 있고, 이 밴드의 영역은 아마도 자유롭거나 또는 프로파일 아래에 위치할 것이다. 제1 혼합-방지 밴드 및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을 결합하기 위한 불투명한 단면 (프로파일 아래) 또는 양면 접착제이다.
제2 혼합-방지 밴드의 구역에는, 제2 중간층 및/또는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없을 수 있고, 따라서 제2 에지 면에 대해 적어도 D'0만큼 후퇴될 수 있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할 수 있고 (제2 에지 면 측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에 대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서), 이렇게 해서 제2 혼합-방지 밴드가 이 돌출 구역에 있고, 이 밴드의 표면은 아마도 자유롭거나 또는 프로파일 아래에 위치할 것이다. 제2 혼합-방지 밴드 및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을 결합하기 위한 불투명한 단면 (프로파일 아래) 또는 양면 접착제이다.
동일한 글레이징 판유리 및 동일한 광학 아이솔레이터(들)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Dmin 및 D'min이 같다. 간단성을 위해, D0 및 D'0은 같다.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서 정렬되는 경우에는, 제1 혼합-방지 밴드 및 제2 혼합-방지 밴드가 대면할 수 있다. 제1 밴드 및 제2 밴드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지 않은 경우(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반대측에 있을 경우에), 제1 밴드 및 제2 밴드는 대면할 수 있고, 심지어 합동을 이룰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반대측에 있을 때,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고, 이로써 제1 돌출 영역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제1 차폐 밴드,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1 돌출 영역에서 내부 면 상에 위치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다른 제1 차폐 밴드,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1 돌출 영역에서 제1 면 상에 위치한다.
(백색) 에나멜 제1 추출 특징부를 갖는 면 상에,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한 제1 차폐 밴드가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제2 글레이징 유닛이 제1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고, 이로써 제2 돌출 영역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제2 차폐 밴드,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2 돌출 영역에 위치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다른 제2 차폐 밴드,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2 돌출 영역에서 제2 면 상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면은 제2 외부 면이다.
(백색) 에나멜 제2 추출 특징부를 갖는 면 상에, 별법으로, (흑색) 에나멜로 제조된 불투명한 제2 차폐 밴드가 이용될 수 있다.
혼합-방지 밴드에 이용되는 양면 또는 단면 (바람직하게는 흑색) 불투명한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의 두께, 심지어, 0.5 mm 또는 0.3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에지-에지(edge-to-edge)일 때, 제1 혼합-방지 밴드의 구역에서 (심지어, 대면하는 제2 밴드의 구역에서), 제1 (및 제2) 중간층 또는 제1 (및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없는 및 임의로, 제1 혼합-방지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불투명한 코팅을 갖는 부품을 갖는 홈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불투명한 부품은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그의 두께가 최대 0.8 mm, 심지어 최대 0.5 mm인 경우에 더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에지-에지일 때, 제2 혼합-방지 밴드의 구역에서 (예를 들어, 제1 밴드의 구역의 반대쪽에 있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측에서) 제1 (및 제2) 중간층 또는 제1 (및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없는 및 임의로, 제1 혼합-방지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불투명한 코팅을 갖는 부품을 갖는 홈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불투명한 부품은 그의 두께(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치수)가 최대 0.8 mm, 심지어 최대 0.5 mm인 경우에 더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투명한 제1 혼합-방지 밴드를 갖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상기 제1 밴드를 대면하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가장 먼 측에서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의 흡수율 (주 파장 λ1 및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1 및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및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란성 제1 혼합-방지 밴드를 갖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상기 제1 밴드를 대면하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가장 먼 측에서
-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1 및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심지어 1% 또는 0.5%의 TL)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성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혼합-방지 밴드를 갖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상기 제2 밴드를 대면하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가장 먼 측에서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의 흡수율 (주 파장 λ3 및 심지어 λ4에서 또는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3 및 심지어 λ4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및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란성 제2 혼합-방지 밴드를 갖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상기 제2 밴드를 대면하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가장 먼 측에서
-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3 및 심지어 λ4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심지어 1% 또는 0.5%의 TL)
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성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위에서 언급한 불투명한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주 파장에서 최대 5%의 제한된 광 반사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혼합-방지 밴드 및 제2 혼합-방지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흑색 또는 회색 (어두운 색)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위에서 언급한 혼합-방지 밴드에 추가해서 이용될 수 있는 "혼합-방지" 구성이라고 지칭되는 것에서, 제1 광원이 λ1에서 상기 제1 주 방출을 갖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특히, λ2에서 상기 제2 주 방출을 갖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어셈블리(제1 PCB 캐리어 상에 정렬됨)를 포함할 때, 제1 다이오드 및 임의적인 제2 다이오드 각각이 제1 에지 면으로부터 - 공간, 공기에 의해 - (바람직하게는 5 mm 미만 및 심지어 최대 2 mm) 이격되어 있고, 제1 다이오드 및 임의적인 제2 다이오드 각각이 방출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심지어 적어도 95%)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는 특히 (방출 칩 상의) 제1 조준 수단에 의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서의 굴절각에 상응한다.
게다가, 제2 광원은 λ3에서 상기 제3 주 방출을 갖는 제3 발광 다이오드 및 임의로, λ4에서 상기 제4 주 방출을 갖는 제4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어셈블리(제2 PCB 캐리어 상에 정렬됨)를 포함할 때, 제3 다이오드, 또는 심지어 임의적인 제4 다이오드는 제2 에지 면으로부터 - 공간, 공기에 의해 - (바람직하게는 5 mm 미만 및 심지어 최대 2 mm) 이격되어 있고, 제3 다이오드 및 제4 다이오드 각각이 방출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심지어 적어도 95%)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는 특히 제2 조준 수단에 의한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서의 굴절각에 상응한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와의 계면에서 큰 각도를 포함해서 모든 각에서 내부 전반사가 일어나는 것이 요망된다.
arcsin(n2/n1)은 실질적으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와의 계면에서 전반사각에 상응한다 (α'2는 이 전반사의 여각이다). 더 정밀하게는, 이용되는 양은 arcsin(n2/n3)이어야 하지만, n3이 n1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하기 표 II는 n1이 1.5인 경우에 n2의 함수로서 α1 및 αr의 예를 제공하고, 여기서 αr은 굴절각이다.
<표 II>
Figure pct00002
하기 표 II'는 n1이 1.5 또는 1.52인 경우에 n2의 함수로서 α1 (전반사를 위한 방출각) 및 α2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위한 굴절각)의 예를 제공한다. 이는 참조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표 II'>
Figure pct00003
n2 = 1.15 미만, 심지어 n2 = 1.2 미만에서는, 조준 수단이 없는 통상적인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조준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대부분, 훨씬 더 좋게는 모든 다이오드가 그러한 좁은 방출 패턴을 갖는다.
조준은 각각의 광원의 복수의 다이오드 등에 개별적이거나 또는 심지어 공통이다.
물론, λ1에서 방출하는 다이오드 및 λ2에서 방출하는 다이오드는 요구되는 수만큼 이용되고, 그들의 분포 (수, 간격)는 제1 추출 영역에서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조정된다. λ1 및 λ2를 번갈아서 방출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신규 기능 또는 광 색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다이오드가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의 방출 패턴이 좁도록 선택된다.
특히, 다른 색을 갖는 훨씬 더 많은 발광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면 상에 적층 중간층/광학 아이솔레이터/적층 중간층/추가의 글레이징 판유리를 N(1 이상)회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추가의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추가의 추출 수단이 제1 추출 영역 및 제2 추출 영역으로부터 (모든 다른 추출 영역으로부터) 오프셋된 추가의 추출 영역을 형성하고, 적당한 추가의 광원이 추가의 글레이징 판유리의 에지 면에 커플링된다.
추출 광섬유가 각각의 일차 광원으로 선택될 때, 또한, 좁은 방출 패턴이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광원은 제1 PCB 캐리어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직사각형 막대) 상에 -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 발광 다이오드의 어셈블리이고, 다이오드는 제1 에지 면에 커플링되고, 제2 광원은 제2 PCB 캐리어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직사각형 막대) 상에 -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 발광 다이오드의 어셈블리이고, 다이오드는 제2 에지 면에 커플링된다.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는 이격되거나, 연접하거나, 또는 공통 PCB 캐리어(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있음)이다.
제2 에지 면은 제1 에지 면과 정렬되거나 또는 심지어 제1 에지 면으로부터 오프셋되거나, 또는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과 정렬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다이오드들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거나 또는 더 광범위하게는, 상이한 측, 예를 들어 인접한 측 또는 반대측에 있다).
게다가,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 특히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 경우, 내부 면과 제2 (외부)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서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제1 수단, 및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에지 면 측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 경우, 결합 면과 제1 (외부)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서 제2 에지 면 측에서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제2 수단;
- 또는, 훨씬 더 좋게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있을 때, 특히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에지 면 측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또는 1 mm 미만) 돌출하지 않는 경우, 특히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정렬되는 경우,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 에지 면에서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고, 결합 면과 제1 (외부)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서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공통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각각)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각각) 광원의 - 예를 들어 녹색으로 방출되는 - 대부분의 외측 광선(의 전부 또는 일부, 적어도 대부분)을 흡수하고, 그 광선들은 제1 (제2, 각각) 에지 면으로 도광되지 않고, 중앙 에지 면으로 도광되어 - 예를 들어 적색 광을 추출하도록 의도된 - 제2 (제1, 각각) 추출 수단을 통해 추출될 수 있을 것이다.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 제1 광원의 - 예를 들어 녹색으로 방출되는 - 대부분의 외측 광선(의 전부 또는 일부, 적어도 대부분)을 흡수하고, 광선들이 제1 에지 면으로 도광되지 않고, 중앙 에지 면으로 도광되어 - 예를 들어 적색 광을 추출하도록 의도된 - 제2 추출 수단을 통해 추출될 수 있을 것이고,
- 제2 광원 (다이오드)의 - 예를 들어 적색으로 방출되는 - 대부분의 외측 광선(의 전부 또는 일부, 적어도 대부분)을 흡수하고, 광선들이 (각각) 제2 에지 면으로 도광되지 않고, 중앙 에지 면으로 도광되어 - 예를 들어 녹색 광을 추출하도록 의도된 - 제1 추출 수단을 통해 추출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첨가된 부품 (스트립, 직사각형 단면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한다. 그것은 중공 또는 중실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면과 내부 면 사이의 에지 면을 불투명한 층 (접착 테이프 또는 페인트)로 코팅하는 것은 더 복잡할 것이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하는 경우 및 훨씬 더 좋게는, 제2 에지 면이 제1 에지 면 반대쪽에 있는 경우, 제1 파티션은 제1 광원 (다이오드)을 담지하고/담지하거나 봉입하는 U-형상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L-형상 프로파일의 불투명한 플랜지 (또는 불투명하게 된 플랜지)일 수 있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에지 면 측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지나서 돌출하는 경우, 제2 파티션은 제2 광원 (다이오드)을 담지하고/담지하거나 봉입하는 U-형상 또는 L-형상 프로파일의 불투명한 플랜지 (또는 불투명하게 된 플랜지)일 수 있다.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의 불투명한 코팅에 이용되는 양면 또는 단면 (바람직하게는 흑색) 불투명한 접착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의 두께, 심지어 0.5 mm 또는 0.3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투명한 제1 파티션 - (임의의) 부분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평면에 평행한 불투명한 부품 또는 제1 광원 (다이오드) 측에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 - 은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의 흡수율 (주 파장 λ1,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1,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투명한 제2 파티션 -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부분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평면에 평행한 불투명한 부품 또는 제2 광원 (다이오드) 측에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 - 은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의 흡수율 (주 파장 λ3, 심지어 λ4에서,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3, 심지어 λ4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각각)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 (제2 글레이징 판유리, 각각)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광원 측에 (제2 광원 측에, 각각) 불투명한 또는 심지어 산란성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평면에 평행한 제1 광원 (다이오드) 측에 불투명한 또는 심지어 산란성 코팅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광원 (다이오드) 측에 불투명한 또는 심지어 산란성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이다.
불투명한 공통 파티션은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의 흡수율 (주 파장 λ1, 심지어 λ2에서,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1, 심지어 λ2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및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및
- 적어도 80%, 심지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의 흡수율 (주 파장 λ3, 심지어 λ4에서,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및 최대 2%, 심지어 최대 1% 또는 최대 0.5%의 투과 계수 (주 파장 λ3, 심지어 λ4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특히, 최대 2%, 심지어 1% 또는 0.5%의 TL);
- 및/또는 적어도 2,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2.5, 심지어 3,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5, 특히 3 내지 4의 광학 밀도
를 갖는다.
예로서, 파티션이 공통 파티션인 경우에는, 부품의 2개의 외측 면 상에 불투명한 단면 또는 다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침착물 (에나멜, 페인트 등)을 포함하는 부품을 언급할 수 있다. 꼭 필요하면, 낮은 TL(2% 미만의 투과 계수)을 갖는 산란성 파티션이 선택될 수 있겠지만, 광선 중 일부는 여전히 결국 잘못된 곳으로 갈 수 있다 (유리 안으로 도광되어 혼합-방지 밴드에 의해 흡수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각각) 파티션, 예컨대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은 제1 (제2, 각각) 에지 면 위에서 연장되지 않거나 또는 제1 (제2, 각각) 에지 면 위에서 1 mm 미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공통 파티션, 예컨대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은 제1 및 제2 에지 면 위에서 연장되지 않거나 또는 제1 및 제2 에지 면 위에서 1 mm 미만 연장된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2개의 중간층 사이에 직접적으로 있는 (최대 200 ㎛의) 필름인 경우, 총 두께 E1+E2+E3 (여기서, E1은 제1 적층 중간층의 두께이고, E2는 제1 (유일한)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두께이고, E3은 제2 적층 중간층의 두께임)는 전형적으로 1.5 mm 미만, 심지어 1 mm 미만이다.
두께 E1+E2+E4+E'2+E3 (여기서, E1은 제1 적층 중간층의 두께이고, E2는 침착물인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두께이고, E4는 중앙 (바람직하게는 광물) 유리 시트의 두께이고, E'2는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의 두께임)은 전형적으로 6 mm 미만이다.
제1 (제2, 각각)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과 결합 면 사이의 두께 또는 이른바 중앙 에지 면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제1 (및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E1+E2+E3+1 mm 또는 E1+E2+E4+E'2+E3+1 mm의 두께(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두께에 평행한 방향)를 갖는다.
제1 (및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이른바 중앙 에지 면 (내부 면과 결합 면 사이의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중앙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1 mm, 심지어 최대 0.5 mm 이격된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코팅(들)을 담지하는) 부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과 중앙 에지 면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체결 수단이 없다.
제1 (및 제2) 파티션 또는 공통 파티션, 예컨대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 (스트립)은 공통 PCB 캐리어 또는 또 다른 부품 (예를 들어, 프로파일)의 노치에 체결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노치 내에 있다.
제1 (제2, 각각)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각각) 광원에 대해 제1 (제2, 각각) 에지 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을 포함한다. 제1 파티션은 장착 동안에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광원 (다이오드) 및 제2 광원 (다이오드)에 대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고,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면과 제1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공통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파티션을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와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사이에 포함하고, 이 공통 파티션은 다이오드가 옆면-방출 다이오드인 경우에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와 분리되고,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심지어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에 대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훨씬 더 좋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고 상면-발광 다이오드이고,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동일한 측에 있고, 공통 PCB 캐리어라고 지칭되는 PCB 캐리어가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를 형성하고,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을 대면하는 주면을 가지며,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와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사이에 바람직하게 불투명한 공통 파티션을 담지하고, 공통 파티션은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1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면과 제1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2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공통 파티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대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동일한 측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및 훨씬 더 좋게는, 다이오드와 제1 또는 제2 에지 면 사이에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 mm의 거리를 두는) 경우,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는 공통 PCB 캐리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방출 다이오드 (통상적인 다이오드)의 경우, 따라서, 공통 PCB 캐리어는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담지하기에 충분하게 넓을 수 있다. 공통 PCB 캐리어 (및 다이오드)는 심지어, 특히 다이오드가 일차 봉지부를 가질 때, 광학적 접착제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를 이용해서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옆면-방출 다이오드의 경우, 공통 PCB 캐리어는 그의 제1 주면 상에 제1 어셈블리 및 그의 반대쪽 면 상에 제2 어셈블리를 담지할 수 있고, 심지어 공통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가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분리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어셈블리가 공통 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넓은 방출 패턴 (절반-최대값에서 절반 방출각이 예를 들어 50°또는 심지어 60°임)을 갖는 경우 및 심지어 방출 면이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 mm의 거리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파티션이 제공된다.
따라서, (특히, 제1 에지 면과 제2 에지 면 사이에 1 mm 초과의 현저한 오프셋이 없을 때)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배열된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와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 사이에 공통 파티션이 제공될 수 있고, 공통 파티션은
- 프로파일 (임의로,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프로파일 또는 장착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피 내에 위치하는, 제1 광원을 제1 에지 면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에 첨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체결된) 또는 공통 PCB 캐리어에 또는 제1 또는 제2 분리된 PCB 캐리어 중 하나에 첨가된 (본질적으로) 불투명한 부품 또는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
- 또는 심지어, 프로파일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프로파일 또는 장착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피 내에 위치하는, 제1 광원을 제1 에지 면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 예를 들어 E-형상 또는 이중-C-형상 또는 사실은 F-형상 또는 심지어 90°-회전된-T-형상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의 불투명한 또는 하나 이상의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부품;
- 또는, 다이오드가 옆면-방출 다이오드인 경우, 특히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홈 (특히,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요소 - 예컨대 제1 중간층, 제1 아이솔레이터 및 제2 중간층 - 를 후퇴시킴으로써 형성됨) 내에 위치하는 불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하는 PCB 캐리어(들)이다.
제1 (제2) PCB 캐리어 또는 공통 PCB 캐리어는 금속 (알루미늄, 구리 등) 또는 유리 섬유로 강화된 (에폭시) 수지 복합재(종종 FR-4 보드라고 불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밀리미터-크기 두께, 특히 최대 2 mm, 심지어 1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불투명할 수 있다.
제1 (제2) PCB 캐리어는 금속 요소(프로파일)에 그의 뒷면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열 접착제에 의해 체결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제2) 광원 (다이오드)이 제1 (제2) 에지 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공통 PCB 캐리어는 금속 요소(프로파일)에 그의 뒷면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열 접착제에 의해 체결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광원 (다이오드)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제1 PCB 캐리어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상에 -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이고, 이 제1 PCB 캐리어 및/또는 제1 어셈블리는, 특히 다이오드가 일차 봉지부를 가질 때, 제1 에지 면에 광학적 접착제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최대 1 mm, 심지어 최대 또는 훨씬 더 좋게는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두께를 가짐)에 의해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제1 어셈블리는 제1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 공기 (또는 진공)에 의해 - 제1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 mm 이격된다.
게다가, 제2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제2 PCB 캐리어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상에 - 바람직하게는 정렬된 -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이고, 이 제2 PCB 캐리어 및/또는 제2 어셈블리는, 특히 다이오드가 일차 봉지부를 가질 때, 제2 에지 면에 광학적 접착제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최대 1 mm, 심지어 서브밀리미터 크기의 두께를 가짐)에 의해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제2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 공간에 의해, 공기 (또는 진공)에 의해 - 제2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 mm 이격된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고, 따라서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동일한 측에 있고, 글레이징 어셈블리가 제1 광원 및 제2 광원 (제1 및 제2 PCB 캐리어 및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을 함유하는 부피를 형성하는, 제1 외부 면, 즉 제1 면, 또는 제1 면 측 위에서 연장되고 (및 임의로, 제2 외부 면 위에서 연장되고)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을 대면하는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단순히 프레임일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더, 창문 또는 가구(냉장 장비)의 문의 경우,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통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장식적 (벽 등) 패널의 경우, 다중 글레이징 유닛은 (단순히)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일 수 있고, 특히 U-형상 프로파일은
-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웹(web);
- 제1 외부 면에 접착 결합에 의해 또는 꼭 맞는 끼워맞춤(snug fit)에 의해 체결되는 제1 플랜지; 및
- 제2 외부 면에 접착 결합에 의해 또는 꼭 맞는 끼워맞춤에 의해 체결되는 제2 플랜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은 L-형상 (벽측 제2 플랜지가 없음)일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광원 (및 그의 캐리어)를 담지할 수 있다.
디바이더의 경우, 다중 글레이징 유닛은 (단순히)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일 수 있고, 특히 U-형상 프로파일은
- 저부 부분에 대항하거나,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에지 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웹;
- 밀봉부에 의해 제1 외부 면에 접합되고 외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 제1 외부 면에 체결된 제1 플랜지; 및
- 제2 외부 면에 밀봉부에 의해 접합되고 제거가능한 제2 플랜지 (글레이징 비드)
를 포함할 수 있다.
웹은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3 cm, 심지어 최대 1 cm 이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불투명한 코팅 (바람직하게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 바람직하게 흑색 침착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코팅은 내부에, 즉, 제1 광원과 동일한 측에 있다. 게다가, 제2 플랜지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불투명한 코팅 (바람직하게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 바람직하게 흑색 침착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코팅은 내부에, 즉, 제2 광원과 동일한 측에 있다.
장식적 벽 패널의 경우, 양측의 이중 조명을 보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해서, 반사성 표면이 제2 외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그것은 제2 외부 면 상의 은을 입힌 층의 문제일 수 있다. 이러해서, 조명 거울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명하는 디바이더는 건물에서 또는 차량(특히, 수송을 제공하는 차량)에서, 공공 공간에서, 방들, 객실 사이의 디바이더로서, 한 방 내에서의 디바이더로서, 문, 창문, 카운터, 인테리어 장식 도구, 난간, 가구 품목, 또는 플로어 램프, 특히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의의 유형의 내부 및/또는 외부 용도로 의도된다.
게다가, 글레이징 어셈블리, 특히 디바이더는 바람직하게는 광 추출 수단을 지나서는 투명하다. 임의로, 다중 글레이징 유닛에는 제1 또는 제2 외부 주면 상에 반-반사성 절반-은을 입힌-거울 유형 코팅, 예를 들어 예컨대 본 출원인의 미라스타(Mirastar)라는 제품명으로 판매하는 제품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이 거울은 추출 패턴이 동일한 외부 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추출 패턴 사이에서 부분적이거나 또는 추출 패턴 사이에 및 추출 패턴 상에 있다.
추가의 프로파일이 바닥에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지만 또 다른 수용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될 것이다.
게다가, 파티션은 반드시 부동성일 필요는 없고; 파티션은 그것이 연합된 표면 (바닥, 천장 등)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절연) 이중-글레이징 또는 (절연) 삼중-글레이징 구성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프로파일, 일반적으로 프레임이 설치되기 전에 광원이 예비장착된다.
게다가, 다중 글레이징 유닛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할 수 있고, 제3 주면 및 제4 주면 (절연 이중 글레이징 유닛의 경우에는 가장 바깥쪽임) 및 제3 에지 면을 갖는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면 및 제3 면은 제1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프레임 형성 제1 중합체 밀봉부가 제2 면 및 제3 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심지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은 또한 제2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제4 면 측에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이격된, 제5 면 및 제6 면을 갖는 제4 유리 시트, 및 제4 면 및 제5 면의 주변부에 프레임 형성 제2 중합체 밀봉부, 및 중간층을 포함한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배열된다.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오버-프로파일 (냉장 장비, 창문 등의 프로파일)의 내부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위치지정 프로파일이라고 지칭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 이 위치지정 프로파일은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 및 중앙 에지 면이라고 지칭되는 에지 면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 제1 및 제2 PCB 캐리어를 상면-방출 다이오드와 함께 담지하거나 또는 공통 PCB 캐리어를 담지하는 - 저부 부분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 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 이 위치지정 프로파일은 제1 외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제1 외부 면에 접착 결합되고, 두께를 최대 1.5 mm, 심지어 최대 1 mm 증가시키고, 예를 들어 저부 부분에 및 제1 외부 면 (바람직하게는 제1 외부 면은 제1 면임)에 접착 결합되는 금속 시트 또는 불투명한 요소 (예를 들어, 단면 접착 테이프, 바람직하게는 흑색)인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저부 부분 및 제1 외측 부분이 특히 L-형상 단면을 형성하고;
- 이 위치지정 프로파일은 저부 부분에 체결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 -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임 -의 광을 분할하고 (내부 면과 결합 면 사이의)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중앙 에지 면으로부터 1 mm 미만 이격된 (공통) 파티션을 형성하는 불투명한 (불투명하게 된) 부분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불투명한 코팅을 갖는 부품); 또는 위치지정 프로파일과 분리되고,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예를 들어, 특히 공통 PCB 캐리어 상에서) 또는 중앙 에지 면으로부터 1 mm 미만 이격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을 분할하는 불투명한 파티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평면에 평행한 불투명한 코팅을 갖는 부품)을 포함하고; 저부 부분, 제1 외측 부분 및 파티션을 형성하는 부분이 특히 F-형상 단면을 형성한다.
게다가,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제2 에지 면에 인접하고 제2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체결 부품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을 포함하고, 이 체결 부품은 제1 중합체 밀봉부에 임의의 체결 수단 (기계적 수단, 접착 수단, 양면 접착 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저부 부분에 고정식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사실은 저부 부분과 일체를 이루고, 특히 저부 부분이 체결 부품의 외측 연장부이다. 특히 금속 체결 부품은 제2 광원측에 불투명한 코팅, 예를 들어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를 가질 수 있다.
저부 부분은 제1 에지 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3 cm, 심지어 최대 1 cm 이격될 수 있다. 저부 부분은 최대 5 mm, 심지어 3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임의적인 추가의 프로파일은
-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웹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웹 부분에 의해 연장되는 금속 웹 부분으로 제조됨)으로서, 저부 부분에 대항하거나, 저부 부분에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웹;
- 제1 외부 면에 제1 외측 부분 위에서 체결되는, 제1 외측 부분을 지나서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 (금속) 제1 플랜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장착 접착제라고 지칭되는 (불투명한, 가장 흔하게는 흑색) 접착제로 체결되고, 임의적인 장착 접착제가 제1 에지 면과 제1 광원 사이 및 제2 에지 면과 제2 광원 사이 (웹 및 제1 플랜지가 특히 L-형상 단면을 형성함), 및 심지어 제1 외부 면과 돌출 부분 사이 영역에는 없는 것인 상기 플랜지;
- 임의로, 제2 외부 면에 접착 결합되는 제2 플랜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플라스틱 제2 웹 부분의 연장부임)로서, 웹,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가 특히 U-형상 단면을 형성하는 것인 제2 플랜지
를 포함한다.
웹은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3 cm, 심지어 최대 1 cm 이격될 수 있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접착 결합되는 추가의 프로파일은 특히 냉장 장비의 문의 프로파일이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차가운 또는 냉동 제품이 진열되는 냉장 장비의 문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제품은 아마도 식품 또는 음료의 품목 또는 차갑게 유지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다른 제품 - 예를 들어 제약학상 제품 또는 심지어 꽃이다.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글레이징 판유리로 이루어지고, 글레이징 판유리 중 적어도 하나에 저-E 코팅이 제공된다.
현재 많은 상업적 프레미시즈(premises)의 경우에서처럼, 냉장 장비에 보관되는 제품이 계속 보여야 할 때, 냉장 장비에는 그것을 냉장되는 "디스플레이"로 변환하는 글레이징된 부분이 구비되고, 그러한 "디스플레이"는 흔히 "냉장되는 디스플레이 캐비넷"이라고 불린다. 이 "디스플레이"의 변이형은 많다. 일부는 캐비넷 형태를 취하고, 그러면, 투명한 것은 문 자체이고; 일부는 체스트 형태를 취하고, 내용물이 보이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글레이징된 수평 커버 (수평으로 배치되는 문)이다.
제1 광원 (제1 PCB 캐리어 상의 다이오드)은 위치지정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체결될 수 있다. 훨씬 더 좋게는, 제2 광원 (제2 PCB 캐리어 상의 다이오드)은 위치지정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체결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제1 광원 (제1 PCB 캐리어 상의 다이오드)은 접착 수단 (위에서 언급됨)을 이용하여 제1 에지 면에 체결될 수 있고, 위치지정 프로파일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면, 이 위치지정 프로파일은 위치지정 프로파일의 장착 접착제로부터의 보호 및/또는 추가의 프로파일의 첨가 동안의 기계적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광원 (제2 PCB 캐리어 상의 다이오드)은 접착 수단 (위에서 언급됨)을 이용하여 제2 에지 면에 체결될 수 있고, 위치지정 프로파일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면, 이 위치지정 프로파일은 위치지정 프로파일의 장착 접착제로부터의 보호 및/또는 추가의 프로파일의 첨가 동안의 기계적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열교를 생성하지 않기 위해, 체결 부품이 (저부 부품 및 바람직하게는, 제1 외측 부분과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제조된 경우, 체결 부품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3 글레이징 판유리 둘 모두와 접촉하지 않는다.
열교를 생성하지 않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 제1 플랜지 (바람직하게는, 제1 외측 부분 위에서 제1 외부 면에 종종 불투명한 장착 접착제에 의해 접착 결합됨)는 제1 물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웹은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대면하는 제1 구역에서는 상기 제1 물질로 제조되고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대면하는 제2 구역에서는 제2 물질로 제조되고, 제1 물질은 제2 물질에 접착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식으로 체결되고;
- 제2 물질로 제조된 임의적인 제2 플랜지가 제2 외부 면 위에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외부 면에 장착 접착제에 의해 접착 결합되고;
- 제1 물질 및 제2 물질 중 하나가 금속이고, 다른 하나가 열 절연성 (플라스틱)이다.
제2 플랜지가 없을 때 (또는 제2 플랜지가 너무 짧을 때), 제2 외부 면은 제1 밀봉부 (및 일반적으로 금속 접착 결합된 스페이서)를 차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차폐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심지어 적어도 2.5의 광학 밀도의 광물 물질, 예컨대 에나멜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흑색 제1 밀봉부(글레이징 유닛을 기계적으로 결속시키고 물에 저항하는 밀봉을 제공함)의 물질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중 하나가 선택된다:
- (이성분) 폴리우레탄;
- (이성분) 폴리술피드;
- 실리콘;
- (단성분) 핫멜트 물질.
추가의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부품 (특히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귀퉁이에서 직각을 함유하거나 또는 접하는 부품; 비스듬한 부품 등)으로 구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물론,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0℃ 초과 또는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는) 전문 냉장 장비의 문 및 그러한 문을 포함하는 냉장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문이 특히 체스트 냉장고의 뚜껑인 경우, 글레이징 유닛은 굴곡될 수 있고, 이러해서, 추가의 프로파일은 곡률을 일치시키기 위해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은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제1 종방향 에지이고 (제2 에지 면은 동일한 에지 또는 제2 종방향 에지임), 문 설치 후 수직이다.
문은 바람직하게는 (냉장 장비로부터 바깥쪽으로) 열리고, 이 목적으로 상부 추가 프로파일 위에 피벗을 포함한다.
일부 응용에서는, 양측의 이중 조명 또는 적어도 이중 조명 전부를 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러해서, 반사성 표면이 제1 추출 특징부 및/또는 제2 추출 특징부와 합동을 이루어 제2 외부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그것은 제2 외부 면 상의 은을 입힌 층 또는 접착 결합된 반사성 필름의 문제일 수 있다.
냉장 장비는 글레이징된 문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열적 기능, 예컨대 저-E 층 (은-포함 다중층 및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은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을 바람직하게는 이중 글레이징 또는 삼중 글레이징 형태에서 제3 면 상에 및 심지어 삼중 글레이징 유닛에서 제5 면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상업적 냉장 장비 문 응용에서, 제1 외부 면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장비 내부 반대쪽) 글레이징 주면이다.
제1 (및/또는 제2) 광원을 제1 (및/또는 제2) 에지 면에 대해 위치지정하기 위한 또는 심지어 다중 글레이징 유닛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은
- 직사각형 (스트립)일 수 있거나;
- 또는 T-형상 또는 U-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 또는 훨씬 더 좋게는, E-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광을 분할하기 위해 E의 중앙 팔이 글레이징 어셈블리로부터 1 mm 미만 떨어져 있거나 (이격되거나) 또는 심지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홈 안으로 연장된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반대측에 있는 구성에서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가짐)가 제1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여 제1 돌출 구역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여 제2 돌출 구역을 형성하고, 제1 광원이 제1 돌출 구역에 부착되고/부착되거나 제1 돌출 구역 내에 위치하여제2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 제1 캐리어 상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이 제2 돌출 구역에 부착되고/부착되거나 제2 돌출 구역 내에 위치하여 제1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 제2 캐리어 상에 있다.
유리하게는 다이오드 캐리어가 글레이징 유닛에 통합되기 전에 (그의 제조 동안 등) 다이오드 캐리어 (심지어 칩)에 습기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1개의 단층 또는 다중층 및/또는 봉지부, 예컨대 실리콘, 에폭시 또는 아크릴 라커가 적어도 제공된다.
더 정밀하게는, 밀봉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호 층이 적어도 인쇄 회로 보드, 땜납 조인트 및 연결자를 보호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는 이미 실리콘으로 덮인 (예비봉지된) 경우에는 이렇게 보호되지 않는다.
LED 스트립은 그것이 하우징에 통합되기 전에 보호된다. 보호는 보호 (실리콘, 에폭시, 아크릴 등) 라커 또는 (실리콘, 에폭시, 아크릴 등) 봉지부 또는 LED스트립의 "포팅"(potting)일 수 있다.
시네오(Syneo)가 판매하는 아크릴-, PU- 또는 실리콘계 컨포말(conformal) 코팅 및 쓰리엠(3M)으로부터의 "노벡 일렉트로닉 코팅 EGC 1700" (Novec electronic coating EGC 1700)을 언급할 수 있다.
보호 라커 앱키미(Abchimie)를 언급할 수 있다. 침착은 딥 코팅, 선택적 침착 또는 기화에 의해 달성된다 (25 - 50 ㎛의 층).
바람직하게는, 방출 면 또는 방출 구역 (임의로, 에지 면으로부터 이격됨)과 주입 에지 면 사이의 거리는 2 mm 미만일 수 있다.
다이오드는 (예비)봉지될 수 있고, 즉, 반도체 칩 및 이 칩을 봉지하고 산란성 또는 집광 요소, 파장 전환 중 하나의 기능을 갖는 패키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또는 PMMA로 제조됨)를 포함한다. 패키지는 공유되거나 또는 개별적이다.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반도체 칩일 수 있고, 이 반도체 칩은 예를 들어 약 100 ㎛ 또는 1 mm의 크기를 갖는다.
다이오드는 임의로 취급 동안에 칩을 보호하기 위한 또는 칩의 물질과 다른 물질 사이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임시 또는 영구) 보호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특히 다음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방출 면이 캐리어에 대해 옆면에 위치하는 옆면-방출 다이오드, 즉, 전기 접촉(의 면)에 평행하게 방출하는 다이오드; 및
- 주 방출 방향이 칩의 방출 면에 대해 수직이거나 또는 비스듬한 다이오드.
다이오드 캐리어 프로파일은 통상적인 PCB일 수 있거나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 프로파일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이오드의 총 수 및 다이오드의 전력은 조명될 구역의 크기 및 위치, 요망되는 광 세기 및 광에 요구되는 균일성에 의존해서 선택된다.
다이오드 캐리어 프로파일의 길이는 다이오드의 수 및 조명될 영역의 규모의 함수로서 달라진다.
도광되는 광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은 문제의 글레이징 판유리의 표면 상에 또는 벌크 내에 위치하는 산란성 수단이다.
광을 추출하기 위해, 산란성 수단이 이용되고, 이 수단은 샌드블라스팅, 산 에칭 또는 에나멜 또는 산란성 페이스트 침착 유형의 유리 시트의 표면 처리에 의해, 또는 유리의 벌크의 레이저 에칭 유형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산란성 입자는 반투명한 입자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광물 입자, 예컨대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늄, 세륨의 산화물로부터, 또는 이들 산화물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약 10 ㎛의 산란성 광물 층이 선택된다.
방출 면 및 제1 시트로부터의 거리는 2 mm 미만일 수 있다. 특히, 벌크가 작은 다이오드, 예를 들어, 특히 약 1 mm의 폭, 약 2.8 mm의 길이 및 약 1.5 mm의 높이의, 렌즈가 없는 및/또는 예비-봉지부가 없는 칩이 이용될 수 있다.
각 광원의 광은
- 연속일 수 있고/있거나 간헐적일 수 있고,
- 단색일 수 있고/있거나 다색일 수 있다.
제1 추출 영역 (발광 구역)은 제1 에지 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밴드 또는 특징부를 형성한다. 제2 추출 영역 (발광 구역)은 제2 에지 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밴드 또는 특징부를 형성한다.
제1 추출 영역 및 제2 추출 영역은 함께 이색 발광 로고 및/또는 표지(sign)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 다중 글레이징 유닛을 통해 투명하고 따라서 제1 추출 수단 및 제2 추출 수단이 없는 구역을 포함하고 (제1 추출 영역 및 제2 추출 영역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부분적으로 덮음),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구역를 대면하는 에지 면에 광원이 없고,
- 및/또는 제1 추출 영역이 글레이징 어셈블리가 전체적으로 투명하도록(여전히 투명하도록) 하는 것이고 (글레이징 유닛을 통해 보는 것이 가능함), 추출 영역이 예를 들어 2 mm 내지 4 mm 이격되어 있는 최대 5 cm, 또는 3 cm 및 심지어 5 mm의 폭의 특징부 (예를 들어, 균일한 조명을 위한 이산된 특징부)로 형성된다.
투명한 구역 및 모든 투명한 구역들은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영역의 적어도 20% 또는 심지어 적어도 50%를 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구역에서 TL은 적어도 85%, 심지어 적어도 88%이다.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이다.
제1 추출 영역 전부 또는 일부에서 전체 투명성을 얻도록 제1 추출 특징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심지어 투명한 구역, 따라서 추출 특징부가 없는 구역이 없을 때조차도) 바람직할 수 있다. 크기 및 간격은 이 제1 특징부를 함유하는 제1 추출 영역의 extent에 의존해서 조정된다.
추가로, 제2 추출 특징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크기 및 간격을 제2 추출 영역 전부 또는 일부에서 전체 투명성을 얻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은 폴리싱될(곧을) 수 있거나 또는 산란성일 수 있다. 제2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은 폴리싱될 수 있거나 또는 산란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에지 면들이 보이는 (에지 면을 차폐하는 장착 또는 체결 프로파일이 없는) 응용의 경우,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동일한 측에 있고, 심지어 정렬되고, 서로 반대쪽에 있는 에지 면들은 심지어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지 않는다.
특히,
-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특히 제1 추출 영역이 (제1 광원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되는) 적어도 450 nm의 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특성적 치수를 갖는 경우 제1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에 제1 광원과 동기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동적으로 조절되는, 제1 광원과 동일하고 제1 광원를 대면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특히 제2 추출 영역이 (제2 광원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되는) 적어도 450 nm의 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특성적 치수를 갖는 경우 제2 에지 면 반대쪽 에지 면에 제2 광원과 동기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동적으로 조절되는, 제2 광원과 동일하고 제2 광원를 대면하는 제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1 광원과 마찬가지로, 제3 광원이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에 의해 가려지고, 관련이 있는 경우, 제2 광원과 마찬가지로, 제4 광원이 프로파일에 의해 갸려진다.
특히,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장착 프레임,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강직성) 플라스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또는 목재로 제조되고/제조되거나 U-형상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광원이 장착 프레임과 에지 면 사이의 내부 부피에서 프레임에 체결된 또는 에지 면을 통해 (예를 들어 체결 프로파일에 의해) 글레이징 판유리에 체결된 2개의 수직 받침대 상에 위치한다.
추출 영역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제1 추출 영역은 단일의 바람직하게는 산란성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산란성 특징부는 예를 들어 애퍼처가 없고 폐쇄되고, 심지어 애퍼처가 있거나 또는 고리 같다. 중공 (애퍼처)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내부 면을 대면한다.
산란성 추출 특징부는 예를 들어 기하학적 형상이다: 직선 또는 골곡된 밴드, 동심원, L 형상 등. 특징부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고, 동일한 거리로 분리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
광을 추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산란성 수단이 이용되고, 이 수단은 유리 표면의 처리, 예컨대 샌드블라스팅, 산 에칭, 에나멜 또는 산란성 페이스트의 침착에 의해, 또는 유리의 벌크의 레이저 에칭 유형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광을 추출하기 위해, 산란성 수단이 이용되고, 이 수단은 예를 들어 유리 시트의 표면의 처리, 예컨대 샌드블라스팅, 산 에칭, 에나멜 또는 산란성 페이스트 또는 페인트의 침착에 의해, 또는 유리의 벌크의 레이저 에칭 유형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한 특징부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추출 수단은 적어도 50의 명도 L*를 갖는 백색 산란성 층, 특히 에나멜 또는 페인트이다. 색은 공지된 방식으로 매개변수 L*, a* 및 b*에 의해 정의되고, 분광색차계에 의해 측정된다.
제1 추출 수단 및/또는 제2 추출 수단을 위한 산란성 층 (에나멜, 페인트, 잉크 등), 특히 백색 산란성 층의 광학 밀도는 2.5 미만 내지 2, 심지어 1.5 미만 또는 심지어 1 미만일 수 있다.
산란성 층, 특히 에나멜 산란성 층은 200 mm 미만, 심지어 100 mm 미만,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의 폭의 연속 표면 층일 수 있거나, 또는 불연속이고 얇은 특징부의 어셈블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산란성 층 (추출 수단 중 전부 또는 일부)은 결합제 중의 응집된 입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자는 0.3 내지 2 ㎛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결합제는 10 부피% 내지 40 부피%의 비율이고, 입자들은 0.5 내지 5 ㎛의 크기의 응집체를 형성한다. 이 바람직한 산란성 층은 특히 특허 출원 WO 01/90787에서 서술된다.
입자는 반투명한 입자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광물 입자, 예컨대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늄, 세륨의 산화물로부터, 또는 이 산화물들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것이다.
한 특성에 따르면, 추출 에나멜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SiO2;
- 10 중량% 내지 45 중량%의 특히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내화성 안료, 특히 TiO2; 및
-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알루미나 및/또는 아연 산화물.
TiO2 안료는 에나멜을 (꺼짐 상태에서 에나멜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불투명하게 하고 TL을 낮춘다. 추출 에나멜 조성물의 예는 페로(FERRO)가 판매하는 페로(Ferro) 194011이라고 지칭되는 에나멜, 제이엠(JM)이 판매하는 참조명 AF5000의 에나멜 및 펨코(Pemco)가 판매하는 참조명 VV30-244-1의 에나멜을 포함하고, 이 에나멜들은 20 초과의 밝기를 갖는 매우 백색이고, 낮은 - 40% 미만의 - 광 투과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복수의 바람직하게 산란성 특징부 (바람직하게는, 불연속 산란성 층에 의해 형성됨)의 문제이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추출 수단은, 특히 가능한 한 균일하게 되는 것이 요망되는 큰 크기의 발광 구역의 경우, 산란성 어레이라고 지칭되는 산란성 특징부의 어셈블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각각) 특히 에나멜 산란성 추출 수단으로 코팅된 제1 (제2, 각각) 글레이징 판유리는 제1 면 (제2 면, 각각) 측에서 45% 미만, 심지어 40% 미만 또는 심지어 35% 미만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제1 추출 수단, 특히 에나멜 제1 추출 수단은 예를 들어 유리 시트의 한 면 전체 위에서 불연속으로 또는 곡선 및/또는 직선을 따라서 배열된 드문드문한 기하학적 형상의 형태로 연장된다. 추출 수단은 예를 들어 프랙탈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또 다른 특징부에 따르면, 제1 추출 수단은 불연속으로 연장되고, 결합된 어두운 구역, 특히 적어도 센티미터-크기 길이 (더 큰 치수)의 곡선 및/또는 직선을 따라서 배열된 특히 드문드문한 기하학적 형상의 특징부를 나타낸다.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제1 특징부는 예를 들어 프레임 및/또는 밴드를 형성하도록 배열된 중공, 그래픽, 글자 (구별 부호를 가짐), 숫자, 수문자 기호, 구두점 및/또는 기호이다.
제1 추출 영역은 곧은 또는 굴곡된 윤곽을 가질 수 있고, 기하학적 형상 (직사각형)일 수 있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보다 폭이 좁을 수 있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높이 또는 길이보다 작은 (제1 에지 면을 따르는) 높이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추출 영역도 마찬가지다.
바람직하게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 마찬가지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직사각형이고, 그의 폭은 장착되었을 때 지면에 수직이다.
- 제1 추출 영역은 폭 I1 (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폭)의 이산된 산란성 특징부, 특히, 특히 동일한 형상의 기하학적 특징부 (정사각형, 원 등)의 제1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폭은 임의로 가변적이고 (반대쪽에 광원이 없는 경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커짐) 최대 1 cm, 훨씬 더 좋게는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5 mm이고, 상기 특징부들은 피치 p1씩 이격되고, 피치 p1은 임의로 가변적이고 (반대쪽에 광원이 없는 경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작아짐) 최대 1 cm, 훨씬 더 좋게는 최대 5 mm이고, 상기 특징부의 피치 및 폭은 특히 전체 투명성(이 제1 추출 영역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통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임)을 얻도록 조정되고;
- 및/또는 제1 추출 영역은 최대 5 cm의 센티미터-크기 폭 I2(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폭)의 제1 산란성 장식적 특징부를 포함하고, 훨씬 더 좋게는 최대한으로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산란성 장식적 특징부가 제1 어레이에 의해 에워싸이고(심지어 제1 어레이와 얽히고);
- 및/또는 제1 추출 영역은 각각 최대 5 cm의 센티미터-크기 폭 I3(광의 전파 축 X를 따르는 폭)의 캐릭터, 예컨대 로고 및/또는 예컨대 글자 및/또는 숫자의 제1 산란성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휠씬 더 좋게는 최대한으로 이 캐릭터들이 최대 1 cm, 훨씬 더 좋게는 최대 5 mm의 피치 p3 만큼씩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된 산란성 특징부의 제1 어레이에 의해 에워싸인다.
- 오프셋된 제2 추출 영역은 폭 I'1 (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폭)의 이산된 산란성 특징부, 특히, 특히 동일한 형상의 기하학적 특징부 (정사각형, 원 등)의 제2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폭은 임의로 가변적이고 (반대쪽에 광원이 없는 경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작아짐) 최대 1 cm, 훨씬 더 좋게는 최대 5 mm, 심지어 최대 2.5 mm이고, 상기 특징부들은 피치 p'1씩 이격되고, 피치 p'1은 임의로 가변적이고 (반대쪽에 광원이 없는 경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커짐) 최대 1 cm, 훨씬 더 좋게는 최대 5 mm이고, 상기 특징부의 피치 및 폭은 특히 전체 투명성(이 제2 추출 영역에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통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임)을 얻도록 조정되고;
- 및/또는 오프셋된 제2 추출 영역은 최대 5 cm의 센티미터-크기 폭 I'2(광의 전파 축을 따르는 폭)의 제2 산란성 장식적 특징부를 포함하고, 훨씬 더 좋게는 최대한으로 바람직하게는 이 제2 산란성 장식적 특징부가 제2 어레이에 의해 에워싸이고(심지어 제2 어레이와 얽히고);
- 및/또는 오프셋된 제2 추출 영역은 최대 1 cm, 심지어 최대 5 mm의 피치 p'3씩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산된 산란성 특징부의 제2 어레이에 의해 에워싸인 각각 최대 5 cm의 센티미터-크기 폭 I'3(광의 전파 축 X를 따르는 폭)의 캐릭터, 예컨대 로고 및/또는 예컨대 글자 및/또는 숫자의 제2 산란성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이오드의 어셈블리와 상이한 광원으로서, (전형적으로 다이오드인 일차 광원에 커플링된) 외측 방출 면을 갖는 추출 광섬유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쓰리엠이 판매하는 3M™ 프리시전 라이팅 엘리먼츠(Precision Lighting Elements)라고 지칭되는 광섬유가 이용된다.
특히, 제1 적층 중간층, 훨씬 더 좋게는 모든 적층 중간층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또는 심지어 폴리우레탄 (PU) 또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로 제조된 열가소성 시트로부터 제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한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다성분 또는 단성분 수지 (에폭시, PU) 또는 UV-경화성 다성분 또는 단성분 수지 (에폭시, 아크릴 수지)로 제조된다.
제1 적층 중간층은 예를 들어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하나 이상의 조립된 시트로 제조된다. 제1 적층 중간층 (및 훨씬 더 좋게는 모든 적층 중간층)은 맑을 수 있거나 또는 대단히 맑을 수 있고, 중성색을 가질 수 있다.
제1 적층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EVA 또는 PVB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적층 중간층은 예를 들어 EVA 또는 PVB 중간층의 경우처럼 최대 1.5%, 심지어 최대 1%의 헤이즈 (헤이즈 계측기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측정됨)를 갖는다. 이것은 투명한 구역(들)에서 추출 특징부들 사이에서의 산란의 양을 감소시킨다. EVA 또는 PVB의 경우, n3 (n'3)은 전형적으로 약 1.49이다.
제1 (및 바람직하게는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평편한 요소 (또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곡률을 따르는 요소)이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일 수 있지만, 동일한 물질 또는 심지어 상이한 물질의 많은 단편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 각각)는 첨가된 요소 (필름) 또는 침착된 층 (침착물)일 수 있다.
제1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플루오로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훨씬 더 좋게는 플루오로중합체로 제조된, 특히 적어도 600 nm, 훨씬 더 좋게는 마이크로미터 크기, 심지어 적어도 10 ㎛ 또는 50 ㎛의 두께 e2의 제1 필름을 포함한다 (훨씬 더 좋게는 그러한 제1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플루오로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중합체로 제조된, 특히 적어도 600 nm, 훨씬 더 좋게는 마이크로미터 크기, 심지어 적어도 10 ㎛ 또는 50 ㎛의 두께 e'2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 필름과 동일한 또 다른 필름을 포함한다 (훨씬 더 좋게는 그러한 또 다른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저-지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은 구현하기가 간단하고, 디자인 융통성을 가능하게 하고 (필름이 간단히 절단됨), 임의의 크기 (큰 크기를 포함함)의 어셈블리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VA로 제조된 제1 적층 중간층은 만족스러운 광학적 접촉을 얻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1 필름에 제공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저-지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제1 중간층을 통해 조립됨)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중합체 층 또는 습식 가공에 의해 침착된 침착물이 아니다. 플루오로중합체 층은 특수 용매를 이용하는 것을 요구하고, 그것을 접착하게 하는 것이 매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적층의 경우, 통상적인 열 사이클이 이용될 수 있고, 심지어 훨씬 더 좋게는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을 봉입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에 이용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2는 1.45 이하 또는 심지어 1.4 이하일 수 있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저-지수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간단성을 위해, 비록 제1 적층 중간층이 아마도 제1 에지 면으로부터 후퇴되고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혼합-방지 구역에 없더라도, 제1 저-지수 필름은 제1 적층 중간층 전체 위에서 연장되고, 제1 적층 중간층 그 자체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실질적으로 전체 위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적층 중간층 (및 심지어 제1 저-지수 필름)이 제1 에지 면으로부터 후퇴되어 주변 구역 (또는 밴드)을 자유롭게 두고, 즉, 공기와 접촉하게 둔다. 제1 광원의 캐리어 (특히 PCB 또는 PCB 캐리어)는 이 주변 구역를 대면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아마도 제2) 플루오로중합체 필름은 다음 물질 중 하나를 기재로 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다음 물질 중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 퍼플루오로알콕시 (PFA), 특히 약 1.3의 n2를 가짐;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특히 약 1.4의 n2를 가짐;
-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ECTFE);
-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FE), 더 정밀하게는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특히 약 1.4의 n2를 가짐;
- 플루오로화된 에틸렌 프로필렌 (FEP), 특히 약 1.3의 n2를 가짐; 및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특히 약 1.3의 n2를 가짐. 그러나, 이 물질은 적층하기 가장 어려움.
ETFE가 열가소성 제1 적층 중간층에 적층하기 가장 쉽기 때문에, ETFE가 바람직하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2%의 헤이즈를 갖는다. FEP가 허용가능한 적층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FEP는 그의 더 낮은 굴절률 또는 최대 2%의 더 낮은 헤이즈에 비해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실록산은 다른 저-지수 물질이지만, 그의 기계적 특성은 불만족스럽다.
플루오로중합체 필름은 50 ㎛ 초과로 널리 입수가능하다.
유리와 더 좋은 어셈블리를 얻기 위해, 제1 저-지수 필름의 주 표면은 접착-촉진 표면 처리,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로 처리될 수 있다.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와 상이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또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저-지수 필름이 선택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추출 영역 및 제2 추출 영역을 함유하는 구역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두께를 통해 다음 순서:
- 제1 글레이징 판유리/산란성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1 산란성 수단/제1 적층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EVA로 제조됨)/저-지수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제2 적층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EVA로 제조됨)/제1 추출 수단으로부터 오프셋된 산란성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2 추출 수단/제2 글레이징 판유리
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광원 및 제2 광원, 훨씬 더 좋게는 다이오드의 어셈블리는 특히 심지어 동일한 측에 있다 (심지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이 정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광학 아이솔레이터 실시양태에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또 다른 투명한 글레이징 판유리의 주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하고 (훨씬 더 좋게는, 그러한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은 내부 면 측을 향한다.
게다가,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2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실리카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내부 면 측을 향하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또 다른 투명한 글레이징 판유리의 주면 상에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 층은 제1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으로 코팅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은 550 nm에서 적어도 1.4의 굴절률 n4를 갖는 50 n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nm 초과의 두께 e4의 실리카 층이다. 게다가, 또한,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결합 면 측을 향하는, 다른 글레이징 판유리의 또 다른 주면 상에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를 형성하는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2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층은 제2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으로 코팅되고, 바람직하게는 이 제2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은 550 nm에서 적어도 1.4의 굴절률 n'4를 갖는 50 n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nm 초과의 두께 e'4의 실리카 층이다.
n2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서)는 최대 1.35, 바람직하게는 최대 1.25, 심지어 1.2 미만일 수 있다. n'2도 마찬가지다.
(바람직하게) 보호 코팅을 갖는 제1 다공성 졸-겔 층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른 "중앙" 유리 시트의 - 특히 밀리미터-크기 - 두께를 고려해서, 도광된 광선의 경로 길이가 증가되고, 이것은 추출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문헌 WO 2008/059170은 다이오드-포함 조명하는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에서 광학 아이솔레이터로서 다공성 저-지수 층의 용도를 제안한다. 이 층은 제1 글레이징 판유리를 틴팅된 가장 바깥쪽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부터 광학 아이솔레이션시킨다. 서술된 제조 조건을 e2(e'2)를 조정해서 재이용할 수 있다.
표피 깊이를 고려하여 광학 아이솔레이션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 n2 (n'2)가 1.3 이하일 때, e2 (e'2)는 적어도 600 nm이고;
- n2 (n'2)가 1.25 이하일 때, e2 (e'2)는 적어도 500 nm이고,
- n2 (n'2)가 1.2 이하일 때, e2(e'2)는 적어도 400 nm이다.
확실히 하기 위해, e2 (e'2)는 적어도 600 nm, 심지어 적어도 700 nm 또는 심지어 적어도 800 nm이도록 선택된다.
다공성 실리카 층은 예를 들어 졸-겔 방법으로 얻은 실리카 나노입자의 압밀한 스택, 또는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 졸-겔 방법으로 얻은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카 매트릭스 (또한, 실리카 망상구조라고도 불림)를 포함하는 실리카 층일 수 있다. 매우 특히, (본질적으로) 연속 고체 상을 포함하여 치밀한 기공 벽을 포함하는 다공성 층이 주로 (나노)입자 또는 결정립 형태를 취하는 고체 상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성 졸-겔 층을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기공형성제가 있다. 이러해서, 문헌 EP 1 329 433은 5 내지 50 g/l의 농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tert 페닐 에테르 (트리톤이라고 불림)를 기재로 하는 기공형성제를 갖는 산 매질에서 가수분해된 테트라에톡시실란 (TEOS)으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 층을 개시한다. 500℃에서 이 기공형성제의 연소는 기공을 방출한다. 이 비-국지화된 기공형성제는 중간 형태이고, 조절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를 통해 퍼진다.
다른 기공형성제, 예컨대 용액 중의, 임의로 가수분해된 형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자의 미셀, 또는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미셀, 또는 양친성 분자,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의 미셀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기공형성제는 좁은 채널 형태의 기공 또는 2 내지 5 nm의 작은 크기의 상대적으로 둥근 기공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실리카 층은 그것으로서는 기공의 크기의 더 좋은 조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특히 큰 기공 크기를 얻는 것을 허용하고, 기공의 조직화의 더 좋은 조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특히 균일한 분포를 얻는 것을 허용하고, 뿐만 아니라 층 내의 기공의 수의 더 좋은 조절 및 더 좋은 재현성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기공형성제, 예컨대 중합체 비드로 얻는다. 중합체 비드는 중합체 코어 및 광물 쉘을 가질 수 있다.
기공의 가장 작은 특성적 치수는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0 nm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120 nm 미만, 훨씬 더 좋게는 100 nm 미만일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공의 가장 큰 특성적 치수는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30 nm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120 nm 미만, 훨씬 더 좋게는 100 nm 미만일 수 있다.
가장 큰 치수를 가장 작은 치수로 나눈 것인 종횡비는 2 미만, 심지어 1.5 미만일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다공성 실리카 층은 부피 내에 폐쇄된 기공(바람직하게는 실리카로 제조된 벽이 경계를 나타냄) 및 특히, 표면 상에 개방된 기공을 갖는 실리카의 매트릭스이고, 폐쇄된 기공은 특히 실질적으로 난형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폐쇄된 기공은 적어도 30 nm의 가장 작은 치수 및 최대 120 nm, 바람직하게는 75 nm 내지 100 nm의 가장 큰 치수를 갖는다.
부피 내에 폐쇄된 기공을 함유하는 다공성 층은 기계적으로 안정하고; 그것은 심지어 높은 기공 농도에서도 붕괴하지 않는다. 기공들은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심지어 개별화될 수 있다.
기공은 장방형일 수 있고, 특히 쌀 알갱이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기공은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기공의 대부분, 심지어 그의 적어도 80%는 주어진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히 장방형,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난형 형상을 갖는다.
폐쇄된 기공의 대부분 (심지어 80% 또는 심지어 95% 또는 훨씬 더 좋게는 전부)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작은 특성적 치수,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75 내지 100 nm의 가장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층에서, 비록 기공들이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기공들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기공도는 크기에 있어서 단분산일 수 있고, 그러면, 기공 크기는 30 nm, 바람직하게는 40 nm,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50 nm의 최소값, 및 바람직하게는 120 nm 미만으로 설정된다.
단위 부피 당 기공의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심지어 65% 초과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5% 미만이다.
그러나, 구의 크기가 무엇이든, 74%의 최대 부피 분율이 동일한 크기의 구의 스택에 적용되는 최대 이론 값임이 언급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이 제1 적층 중간층에 직접 침착될 때, 광학 아이솔레이터로서의 그의 기능이 영향받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공성 층의 기공, 특히 다공성 층의 표면 상의 개방된 기공이 제조 과정에서 오염될 것 같고, 심지어 열 처리 (적층 열 처리) 후에도 오염물질이 기공 내에 여전히 갇혀 있을 것 같다.
이러해서, 유리하게는,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은 제1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으로 코팅되고, 이 제1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550 nm에서 (훨씬 더 좋게는 λ1, λ2, λ3, λ4에서, 및 심지어 모든 가시 범위에서) 적어도 1.4의 굴절률 n4를 갖는 50 n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nm 초과, 심지어 180 nm 초과의 두께 e4의 실리카 층이다.
보호 코팅의 투명성은 특히 보호 코팅을 통해 보는 것을 허용한다.
시험 동안에, 본 출원인은 50 nm 미만의 두께에서 다공성 실리카 층이 오염물질에 나타내는 차단성이 때대로 불만족스럽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치밀한 실리카 층은 (나노)입자 또는 결정립의 형태를 주로 취하는 고체 상보다는 오히려 (본질적으로) 연속인 고체 상을 포함한다.
치밀한 실리카 층 (특히, 의도적으로 다공성이 되지 않게 한 실리카 층)은 물리적 증착에 의해 침착된 경우에는 약 1.45 및 졸-겔 방법으로 얻은 경우에는 1.42 내지 1.46의 550 nm에서의 굴절률을 통상적으로 갖는다.
졸-겔 층 (및 보호 코팅)을 갖는 글레이징 판유리는 4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받을 수 있고, 특히, 심지어 템퍼링된 유리 또는 템퍼링된/굴곡된 유리의 판유리이다.
다공성 실리카 (및 보호 코팅)는 광물 또는 심지어 광물/유기 혼성물일 수 있다. 실리카는 도핑될 수 있다. 도핑제 원소는 바람직하게는 Al, Zr, B, Sn, Zn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핑제는 아마도 및 바람직하게는 10%에 달하는, 심지어 더 바람직하게는 5%에 달하는 몰 백분율로 Si 원자를 대체하도록 도입된다.
제1 (제2) 다공성 실리카 층은 졸-겔 층일 수 있고, 제1 (제2) 보호 코팅은 실리카 졸-겔 층일 수 있다.
발광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의 도광 유리 판유리와 틴팅된 유리 판유리 사이에서 광학 아이솔레이터로서 작용하는 다공성 실리카 층의 제조는 특허 출원 WO 2008/059170에서 서술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추출 영역 및 제2 추출 영역을 함유하는 구역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두께를 통해 다음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산란성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1 산란성 수단 (특징부)/제1 적층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PVB로 제조됨)/(제1 보호 코팅 (실리카 층))/다공성 실리카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중앙" 판유리라고 지칭되는 또 다른 (특히 얇은) 판유리/다공성 실리카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제2 보호 코팅 (실리카 층))/제2 적층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PVB로 제조됨)/제1 추출 수단으로부터 오프셋된 산란성 층으로부터 형성된 제2 추출 수단/제2 글레이징 판유리.
제1 (외부) 면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으로 제1 추출 수단 (제2 추출 수단, 각각)을 제외하고는 자유롭다 (코팅, 커버링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레이징 판유리"라는 표현은 모놀리식 유리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바람직하게는, 템퍼링된 광물 유리로 제조된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4 내지 6.5 mm의 두께를 가지며, 템퍼링된 광물 유리로 제조된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4 내지 6.5 mm의 두께를 가지며, 이 두 두께는 특히 동일하다. 제1 (제2, 각각) 추출 수단이 에나멜로 제조될 때, 에나멜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소성 다음에 (유일한) 템퍼링 작업이 뒤따를 수 있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또한 (바람직하게 강직성 또는 반-강직성) 유기 유리,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로 - 바람직하게는 PU 적층 중간층과 함께 -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PC)로 - 바람직하게는 PVB 적층 중간층과 함께 - 제조될 수 있다.
제1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임의의 유형의 평편한 (또는 임의로 굴곡된) 유리일 수 있다 (그것이 굴곡된 표면의 코팅의 문제일 때, 유리는 관련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굽힘 방법에 의해 굽힌다). 그것은 모놀리식 유리 판유리, 즉, 광물 유리의 단일의 시트로 이루어진 판유리의 문제이고, 이 판유리는 완벽하게 평편하고 평활한 시트를 얻는 것을 허용하는 플로트 방법으로 또는 인발 또는 압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글레이징 물질의 예로서, 통상적인 소다-석회 조성,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소듐 보로실리케이트 또는 임의의 다른 조성을 갖는 임의로 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된 또는 템퍼링된 플로트 유리를 언급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유리는 맑을 수 있거나 또는 대단히-맑을 수 있고, 매우 적은 양의 철 산화물(들)을 함유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세인트-고베인 글래스(SAINT-GOBAIN GLASS)에서 "다이아맨트"(DIAMANT) 계열로 판매되는 유리 판유리의 문제이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는 아마도 다음을 나타내는 특히 대단히-맑은 소다-석회-실리카 유리로 제조된 글레이징 판유리가 선택될 수 있다:
- 550 nm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가시 범위에서 91% 이상 또는 심지어 92% 이상 또는 심지어 93% 이상 또는 94% 이상의 광 복사선의 투과율;
- 및/또는 550 nm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가시 범위에서 7% 이하, 또는 심지어 4% 이하의 광 복사선의 투과율.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에지 면 각각은 가공될 수 있고, 특히 곧고 폴리싱될 수 있다.
유리는 4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받을 수 있고, 특히, 심지어 템퍼링된 또는 템퍼링된/굴곡된 유리의 판유리이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9 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mm, 더 특히 5 내지 9 mm에 포함된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9 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mm, 더 특히 5 내지 9 mm에 포함된다. 2개의 유리 판유리의 두께가 같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임의적인 다른 글레이징 판유리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에 적층됨)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9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에 포함된다. 3개의 유리 판유리가 같은 (및 심지어, 2개의 유리 판유리의 경우보다 작은) 두께, 예를 들어 약 4 mm/약 4 mm/약 4 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임의적인 제3 글레이징 판유리 (이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9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에 포함된다. 3개의 유리 시트가 같은 (심지어, 2개의 유리 시트의 경우보다 작은) 두께, 예를 들어 약 4 mm/약 4 mm/약 4 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제3) 글레이징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기 다른, 제2 및 심지어 제3, 각각) 광물 유리 글레이징 판유리의 경우, n1 (n'1, n"1)은 전형적으로 1.50 내지 1.53이다.
물론, 제1 글레이징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구역 (또한, 제2 추출 영역이 없음)을 글레이징 영역에 (주변 장착, 혼합-방지 또는 핫스팟 구역 밖에) 남겨두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cm, 5 cm, 심지어 적어도 10 cm씩 이격된 복수의 제1 추출 영역을 특히 수평 또는 수직 밴드로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제2 글레이징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구역 (제2 추출 영역이 없음)을 글레이징 영역에 (주변 장착, 혼합-방지 또는 핫스팟 구역 밖에) 남겨두기 위해, 적어도 5 cm 또는 10 cm씩 이격된 복수의 제2 추출 영역을 수평 또는 수직 밴드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추출 영역이 복수의 추출 특징부 (불연속, 특히 백색, 층에 의해 형성된 산란성 특징부 등)을 함유하는 경우, 이웃하는 특징부 (이산된 특징부, 캐릭터, 장식 등) 사이의 최대 거리는 최대 1 cm, 심지어 최대 0.5 mm이다.
바람직하게는:
- 제1 (제2, 각각) 추출 영역은 적어도 3 cm, 5 cm 또는 심지어 10 cm의 폭을 가지며;
- 제1 (제2, 각각) 추출 영역은 적어도 25 ㎠ (5 x 5 ㎠) 또는 심지어 적어도 100 ㎠ (10x10㎠)의 면적을 가지며, 적어도 1 m 또는 심지어 2 m 또는 10 m의 거리로부터 볼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 및/또는 제1 (제2, 각각) 추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의 범위의 피치를 갖는 특징부를 함유하는 전체 투명성(글레이징 어셈블리를 통해 보는 것이 가능함)을 갖는다.
제1 추출 특징부 및/또는 제2 추출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50의 명도 L*에 의해 정의되는 바람직하게 백색 산란성 층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성 층은 그것이 백색이도록 선택되는 광물 안료를 함유한다. 이 안료는 특히 티타늄 산화물 TiO2이다. 유리하게는, 이 백색 광물 안료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서 측정되는 65 내지 85의 범위의 CIE Lab (1931)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명도 L*을 갖는다.
명도 L*은 D65 광원, 10°관찰자, SCE 모드 (정반사광 배제됨) 확산 8°(CM 600 Minolta)를 이용하여 CIE (1931) 프로토콜에 서술된 조건 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환경 보호와 관련된 이유 때문에, 산란성 층의 유리 프릿에는 납 산화물 PbO가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세부사항 및 유리한 특징이 다음 비제한적 예로부터 및 도면에 의해서 분명해질 것이다.
- 도 1, 1i, 1ii, 2, 2ii, 2a 내지 2f, 2ia, 2ib, 3, 3ii, 4, 5a, 5ia 및 5b는 본 발명의 많은 실시양태의 2-색 특징부를 포함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때때로 부분적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 도 1a 내지 1e, 1ia, 1iia 내지 1iie는 본 발명의 많은 실시양태의 2-색 특징부를 포함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때로는 부분적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면은 실제 비율로 그린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양태의 상이한 색의 2개의 발광 구역을 포함하는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단면도를 더 상세히 나타내고,
-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내부 면이라고 지칭되는 주면(11), 제1 면, 여기서는 외부 면이라고 지칭되는 반대쪽 주면(12), 및 장착된 위치에서 수직인 제1 에지 면(13) 및 그의 반대쪽 에지 면(14) (여기서, 에지는 4개의 에지 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에지 면은 종방향임)을 포함하는 550 nm에서 약 1.5의 굴절률 n1 및 적어도 90%의 TL을 갖는 템퍼링된 맑은 또는 대단히-맑은 소다-석회-실리카 유리 (예를 들어 약 6 mm의 두께, 특히 본 출원인으로부터의 다이아맨트라고 지칭되는 유리)로 제조된 평편한 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굴곡된 (템퍼링된) 여기서는 직사각형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을 따르는 길이 및 예를 들어 250 mm의 폭) 제1 글레이징 판유리(1)를 포함하고;
-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제1 광원(4), 여기서는 제1 PCB 캐리어(41)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정렬된 적색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4)의 제1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이 제1 에지 면(13)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되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1)가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고, 다이오드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13)으로부터 최대 1 mm 이격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 상에 중앙에 있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각각의 다이오드가 4 mm의 폭 W0을 가지며;
-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여기서는 내부 면(11) (바로) 위에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제1 광-추출 특징부(5, 5a)에 의해 형성된 제1 추출 영역(50)을 포함하고, 제1 광-추출 특징부가 적어도 50의 명도 L*를 갖는 제1 불연속 백색 산란성 층이고, 이 층이 여기서는 백색 광물 안료 및 용융된 유리 프릿을 함유하는 백색 산란성 에나멜이고, 임의의 크기 (폭 및/또는 길이)의 제1 산란성 특징부의 형태를 취하고;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추출 영역이 특히 3 cm 폭의 장식적, 예를 들어 기하학적, 특징부(5a, 5)의 어레이 및/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전체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이산된, 예를 들어 기하학적 특징부, 예컨대 원반의 어레이이다.
제1 에지 면(13)에 가장 가까운 제1 산란성 특징부(5a)는 제1 에지 면(13)으로부터 W 만큼 떨어져 있다.
별법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제1 특징부(5)는 제1 면(12) 상에 있을 수 있다.
제1 예시 제조 절차에서는, 제1 산란성 특징부(5, 5a)의 장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 프릿, 백색 광물 안료 및 유기 매질을 포함하는 제1 액체 산란성 에나멜 조성물을 스크린-인쇄에 의해 내부 면(11)에 (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제1 면(12)에) 불연속으로 인쇄하여 건조시킨 다음, 어셈블리를 소성한다.
더 정밀하게는, 제1 에나멜 조성물은 유리 프릿 및 TiO2 안료 (페로가 참조명 194100으로 판매함) 및 유기 매질 (프린스 미네랄즈(Prince Minerals)가 참조명 801022로 판매함)을 200 포이즈 (앞에서 언급한 조건 하에서 측정됨)의 점도를 얻는 것을 허용하는 양으로 함유한다. 침착된 제1 층의 평균 두께 (습윤시)는 35 ㎛이다.
한 변이형으로서, 백색 산란성 에나멜은 예를 들어 다음 조성을 갖는다:
-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SiO2,
- 10 중량% 내지 45 중량%의 TiO2를 포함하는 특히 마이크로미터-크기 내화성 안료, 및
- 20 중량% 이하의 알루미나 및/또는 아연 산화물.
에나멜 조성물의 예는 페로가 판매하는 페로 194011이라고 지칭되는 에나멜, 제이엠이 판매하는 참조명 AF5000의 에나멜 및 펨코가 판매하는 참조명 VV30-244-1의 에나멜을 포함한다.
에나멜 대신, 백색 페인트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본 출원인으로부터의 플라니라크 에볼루션 (Planilaque Evolution) 계열의 페인트 엑스트라블랑크(Extrablanc)를 언급할 수 있고, TiO2가 주 안료이다. 두께는 전형적으로 40 내지 60 ㎛이다. 페인트 제제는 커튼 방법을 이용해서 침착될 수 있다. 용매는 크실렌 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물이다. 그것이 건조된 후, 라커는 예를 들어 다음 성분을 함유한다:
- 아크릴 스티렌의 중합의 결과로 얻는 히드록실화된 아크릴 수지의 비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의 가교에 의해 얻은 폴리우레탄 수지 형태의 결합제; 및
- 55 중량%의 양의 광물 물질 (안료 및 충전제).
내부 면(11) 및 그 위의 제1 특징부(5)는 다음에 의해 (직접적으로) 덮인다:
- 최대 1.5%, 심지어 1%의 헤이즈 및 가시 스펙트럼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이도록 하는 굴절률 n3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 여기서는 EVA의 투명한, 심지어 맑은, 서브밀리미터-크기의 0.38 mm 시트로 제조된 제1 적층 중간층(3) (여기서 n3은 약 1.49임);
- 제1 적층 중간층(3)의 면(21)을 통해 제1 적층 중간층(3)과 접착성 접촉하고 있는, 코로나 처리로 처리된 제1 주면(21) 및 제2 주면(22) 및 1.5 내지 2%의 헤이즈를 갖는 제1 (및 여기서는 유일한) 광학 아이솔레이터를 형성하는 50 ㎛-두께 저-지수 플루오로중합체, 바람직하게는 ETFE 또는 FEP, 필름(2), 예컨대 1.4의 굴절률 n2를 갖는 세인트 고베인 퍼포먼스 플라스틱스(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로부터의 노튼(Norton) ETFE라고 지칭되는 제품 또는 약 1.34의 굴절률 n2를 갖는 세인트 고베인 퍼포먼스 플라스틱스로부터의 노튼 FEP 제품;
- 저-지수 필름(2)의 면(22)과 접착성 접촉하고 있는, 제1 적층 중간층과 (성질, 두께, 시트가) 동일한 투명한 맑은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EVA로 제조된 n'3의 굴절률을 갖는 제2 적층 중간층(3'); 및
-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동일하고 합동을 이루고 일치하고, 제2 적층 중간층(3')과 동일한 측에 주 결합 면(11'), 제2 면(12')이라고 지칭되는 반대쪽 면, 제2 에지 면(13') 및 그의 반대쪽 에지 면(14')을 가지며, 550 nm에서 약 1.5의 굴절률 n'1을 가지며, 적어도 90%의 TL을 갖는 제2 광물 유리 글레이징 판유리(1'), 여기서, n'3은 가시 스펙트럼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이도록 하는 것임 (여기서, n'3은 약 1.49임).
따라서, 여기서,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외부 면인 제1 및 제2 면을 갖는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인 다중 글레이징 유닛을 포함한다.
게다가,
-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제2 광원(4'), 여기서는 제2 PCB 캐리어(41')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정렬된 적색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2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이 제2 에지 면(13')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되고, 제2 글레이징 판유리(1')가 이 다이오드(4')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고, 여기서 다이오드(4')가 바람직하게는 제2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1 mm 떨어져 있고 (여기서는, 이격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바람직하게는 제2 에지 면 상에 중앙에 있고,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각각의 다이오드가 4 mm의 폭 W'0을 가지며;
-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되고 여기서는 결합 면(12') (바로) 위에 제2 추출 영역(50')을 형성하는 제2 광-추출 수단(5')을 포함하고, 제2 광-추출 수단(5')이 적어도 50의 명도 L*를 갖는 제2 불연속 백색 산란성 층, 바람직하게는 백색 광물 안료 및 용융된 유리 프릿을 함유하는 백색 산란성 에나멜이고, 이 층이 여기서는 제1 산란성 층(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질 및 두께를 가지며, 제1 특징부로부터 오프셋된 (및 여기서는 심지어 이격된) 1개 이상의 장식적 특징부, 전체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이산된 특징부의 어레이 및/또는 캐릭터의 어레이로부터 선택된 제2 산란성 특징부(5')의 형태를 취하고, 여기서는 제2 특징부가 장식적이다.
열을 소산시키기 위해, PCB 캐리어(41, 41')는 열 접착제(18')로 금속 프로파일(7)에 접착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산란성 백색 에나멜 층으로 코팅된 제2 글레이징 판유리의 제조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관해 서술된 것과 동일하다.
특징부(5, 5') 사이에서 (투명한 구역(15)에서),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투명하고 적어도 85%의 TL을 갖는다. 제1 (제2, 각각) 에지 면과 제1 특징부(5, 5', 각각) 사이에 여기서는 또한 투명한 구역(16)이 있다.
하기 표 III은 선택된 약 0.38 mm-두께 EVA의 함수로서 투명한 구역 (제1 면 측)의 TL 및 헤이즈의 예를 제공한다.
<표 III>
Figure pct00004
헤이즈는 헤이즈 계측기로 측정된다.
각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헤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의 시트이다.
별법으로, 1.5%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솔루티아(Solutia)가 판매하는 RB41로 나타내는 2개의 PVB 시트를 갖는 경우, 투명한 구역 (제1 면 측(12))에서 TL은 87%이고 헤이즈는 약 2.5%이다.
따라서, 제1 광원(4)은 동적으로 조절되어 순간 t0에서 제1 시리즈의 다이오드(4)를 통해 λ1이라고 지칭되는 제1 파장으로 제1 주 방출, 및 임의로, 동적 모드로, 순간 t'≠t0에서 제2 시리즈의 다이오드(4)를 통해 λ1과 상이한 λ2라고 지칭되는 제2 파장으로 제2 주 방출을 방출한다.
따라서, 제2 광원(4')은 동적으로 조절되어 순간 t0에서 제3 시리즈의 다이오드(4')를 통해 λ1과 상이한 λ3이라고 지칭되는 제3 파장으로 제3 주 방출, 및 바람직하게는, 동적 모드로, 순간 t'≠t0에서 제4 시리즈의 다이오드(4')를 통해 λ3과 상이한 λ4라고 지칭되는 제4 파장으로 제4 주 방출을 방출한다.
예로서, 각각의 광원(4, 4')의 두 가지 전환가능한 색인 적색 및 녹색의 경우, t0에서:
- 제1 광원(4)은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1 및 5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고 (C1에서 추출된 광은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1'에서 추출되는 제1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이고),
- 제2 광원(4')은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3 및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거나 (C3에서 추출된 광은 λ3과 실질적으로 같은,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3'에서 추출되는 제3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임), 또는 심지어 백색으로 방출한다.
t'에서:
- 제1 광원은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2 및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고 (C2에서 추출된 광은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1'에서 추출되는 제2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이고),
- 제2 광원은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 및 5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한다 (C4에서 추출된 광은 λ4와 실질적으로 같은,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4'에서 추출되는 제4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녹색이다).
별법으로, 제1 광원은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 및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으로 계속 방출한다 (C4에서 추출된 광은 λ1과 실질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최대 10 nm 또는 최대 5 nm 차이가 나는 λ4'에서 추출되는 제4 주 방출에 의해 형성되고 30 nm 미만의 절반-최대값에서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적색이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t3에서, 각각의 광원(4, 4')이 녹색으로 또는 백색으로 방출한다. 또한, 광원 중 하나가 꺼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음 구성을 생성한다: 적색 및 꺼짐 상태; 녹색 및 꺼짐 상태; 백색 및 꺼짐 상태 등).
제2 추출 영역에서 녹색 및 적색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광원(4)의 각각의 다이오드(4)는 좁은 방출 패턴을 보장하는 조준 광학체(42)를 포함한다. 제1 광원(4)의 각각의 다이오드(4)는 제1 에지 면(13)으로부터 최대 1 mm (또는 그 미만)의 공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90%, 심지어 적어도 95%)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은 상세도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서 굴절각에 상응한다.
제1 추출 영역에서 녹색 및 적색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광원(4)의 각각의 다이오드는 좁은 방출 패턴을 보장하는 조준 광학체(42')를 포함한다. 제2 광원(4')의 각각의 다이오드(4')는 제2 에지 면(13')으로부터 약 1 mm (또는 그 미만)의 공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90%, 심지어 적어도 95%)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은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서의 굴절각에 상응한다.
가시 스펙트럼에서 n2 = 1.4 (ETFE의 굴절률) 및 n1 = 1.5인 경우, α2는 21°이고, α1은 33°이다. 가시 스펙트럼에서 n2 = 1.35 (FEP의 굴절률) 및 n1 = 1.5인 경우, α2는 26°이고, α1은 41°이다.
다이오드로는, 아바고(Avago)로부터의 4 mm-폭 ALMD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고, 각각의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 플럭스의 100%가 -30 내지 30°의 방출 원뿔에 있다. 특히, 626 nm에서 주 파장 및 618 nm 내지 630 nm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ALMD-EG3D-VX002라는 참조명을 갖는 적색 AllnGaP계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다. 특히, 525 nm에서 주 파장 및 519 nm 내지 539 nm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ALMD-CM3D-XZ002라는 참조명을 갖는 녹색 InGaN계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다.
각 PCB 캐리어는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 직사각형 스트립이고, 적색 및 녹색 LED를 번갈아서 포함한다. 동일한 색의 다이오드 사이의 최대 간격이 최대 20 mm이도록 선택된다.
제1 광원(4) (제2 광원(4'), 각각)의 다이오드 각각은 예를 들어 5°이내로 제1 에지 면(13) (제2 에지 면(13'), 각각)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어진 주 방출 방향을 갖는다.
녹색 또는 적색 광으로 제1 면 측 또는 제2 면 측에서 추출 특징부의 법선 휘도는 약 100 cd/㎡ (+/- 10 cd/㎡)이다. 법선 휘도는 (+/- 10 cd/㎡) 내에서 균일하다.
제1 광원(4)의 경우, 녹색으로 방출하는 각각의 "녹색" 다이오드의 전기 회로는 이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1이 적색으로 방출하는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2의 0.8 배, 심지어 0.5 배 미만이도록 조정된다.
제2 광원(4')의 경우, 녹색으로 방출하는 각각의 "녹색" 다이오드의 전기 회로는 이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가 적색으로 방출하는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의 0.8 배, 심지어 0.5 배 미만이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의 제1 PCB 캐리어(41) 및 제2 PCB 캐리어(41')의 경우, 각각의 캐리어 상에서 다음 순서가 n 회 (n은 1 이상임) 반복될 수 있다: 2개의 적색 다이오드/1개의 녹색 다이오드 등.
제1 PCB 캐리어(41) 및 제2 PCB 캐리어(41')는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또는 심지어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를 벽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장착 프로파일(7)의 내부 부피(74) 내에 위치한다. 이렇게 해서,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벽, 바닥, 천정 등에 체결되는 장식적 패널일 수 있다.
제1 면(12)이 2-색 특징부의 디스플레이 면이다.
그의 설치에 의존해서, 또한, 제2 면이 디스플레이 면일 수 있다. 별법으로, 제2 면(12')은 정반사체, 예컨대 은을 입힌 층 (및 보호 층)으로 덮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발광 거울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 프로파일(7)은 U-형상 단면의 바람직하게 금속 (알루미늄, 라커를 입힌 스틸) 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플라스틱 (PVC 등) 또는 심지어 목재 프로파일이고,
- 장착 프로파일(7)은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에지 면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 저-지수 필름 및 제1 적층 중간층(3) 및 제2 적층 중간층(3')의 에지 면을 포함함)를 대면하는 웹(72)을 포함하고; 이 바람직하게 금속 웹은 여기서 배면 측 접착제(18')에 의해 접착 결합된 제1 PCB 캐리어(41) 및 제2 PCB 캐리어(41')를 담지하고, 예를 들어 열을 소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 장착 프로파일(7)은 웹(72)의 양측에 각각 제1 면(12) 및 제2 면(12') 위에서 3 cm의 폭 W에 걸쳐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웹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및 따라서, 반사성) 제1 플랜지(71) 및 제2 플랜지(73)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면(12, 12')에 예를 들어 투명한 접착제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18)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 예컨대 테사(Tesa) ACX 7054 제품의 0.5 mm 형태 또는 니토(NITTO)사로부터의 D9605로 나타내는 제품의 0.2 mm-두께 형태 (양면 모두 아크릴 접착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배면재)으로 접착 결합된다.
제1 면(12) 및 제2 면(12')은 보이는 또는 심지어 접근가능한 (만져지는) 자유로운 표면이다. 글레이징 어셈블리(2000)는 단지 이 2개의 글레이징 판유리를 포함하는 1개의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을 포함하지만, 한 변이형으로서, 제3 색을 첨가하기 위해, 또 다른 적층 중간층, 또 다른 저-지수 필름, 다른 추출 특징부 및 또 다른 글레이징 판유리가 이미 가능한 것과 상이한 색의 방출 다이오드와 함께 제2 면(12')과 동일한 측에 첨가될 수 있다.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은 곧고 폴리싱된다. 반대쪽 에지 면(14, 14')은 곧거나, 폴리싱되거나 또는 심지어 산란성이다.
간단성을 위해,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U-형상 프로파일의 잼(jamb)을 반대쪽 에지 면 측(14, 14')에는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큰 제1 추출 영역을 갖는 및/또는 복수의 이격된 센티미터-크기 특징부를 갖는 글레이징 판유리의 경우, 다른 다이오드가 제1 에지 면(13) 반대쪽 에지 면(14)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큰 제2 추출 영역을 갖는 및/또는 복수의 이격된 센티미터-크기 특징부를 갖는 글레이징 판유리의 경우, 다른 다이오드가 제2 에지 면(13') 반대쪽 에지 면(14')에 첨가될 수 있다.
2개의 발광 구역(50, 50')은 신호 및/또는 장식을 위해 임의의 형상 및 규모를 가질 수 있다.
발광 구역(50, 50') 중 하나는 얇은 특징부, 예컨대, 예를 들어 화살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폐쇄될 수 있거나 또는 애퍼처가 있을 수 있다 (기하학적 외곽선 등).
다음 도 1a, 1b, 1c, 1d, 1e는 4개의 잼(7a 내지 7d)의 형태를 취하는 금속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을 갖는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2-색 발광 구역 및 제1 및 제2 다이오드 광원의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a에서, 제1 추출 영역은 그림(50)일 수 있고, 제2 추출 영역은 그림 밑의 로고(50')일 수 있다.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4)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4')는 동일한 종방향 잼 (여기서는, 설치 후 수직 방향) (7a) 상에 또는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있는 잼 상에 있다.
그것이 상점 문의 문제인 경우에는, 그림이 "입구" (요망되는 언어로)라는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특징부의 평면 상에 제2 특징부의 직교 방향 돌출을 고려할 때, 제1 특징부와 이 돌출부 사이의 에지부터-에지까지 거리 Db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 cm, 심지어 수 mm이다. 제1 특징부는 제2 특징부로부터 Db 만큼 이격된다고 말한다.
도 1b에서, 제1 추출 특징부(5) 및 제2 추출 특징부(5')는 체커판을 형성한다. 제1 추출 영역(50)과 제2 추출 영역(50') 사이에 어두운 (비-발광) 구역이 없다.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4)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4')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종방향 잼(7a, 7b) (이 잼들은 여기서는 설치 후 수직 방향임) 둘 모두 상에 있다. 따라서, 4개의 광원이 이용된다.
이 체커판 패턴은 장식적 벽 패널 (예를 들어, 체커판이 전체 글레이징 영역 위에서 연장됨)에 이용될 수 있지만, 또한 문, 디바이더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c에서, 제1 추출 특징부(5) 및 제2 추출 특징부(5')는 자유롭게 선택된 거리 Db, 예를 들어 수 cm씩 서로 이격된 둥근 특징부이다.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4)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4')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종방향 잼(7a) 및 (7b) (이 잼들은 여기서는 설치 후 수직 방향임) 둘 모두 상에 있다. 따라서, 4개의 광원이 이용된다.
이 특징부(5, 5')는 장식적 벽 패널 (예를 들어, 특징부들이 전체 글레이징 영역 위에서 연장됨)에 이용될 수 있지만, 또한 문, 디바이더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d에서, 제1 추출 특징부(5) 및 제2 추출 특징부(5')는 발광 이중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1 추출 영역(50)과 제2 추출 영역(50') 사이에 어두운 (비-발광) 구역이 없다.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4)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4')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종방향 잼(7a, 7b) (이 잼들은 여기서는 설치 후 수평 방향임) 상에 있다. 따라서, 4개의 광원이 이용된다. 나머지 2개는 외측 잼(7c, 7d)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해서, 이 특징부(5, 5')는 장식적 벽 패널 (예를 들어, 특징부들이 전체 글레이징 영역 위에서 연장됨)에 이용될 수 있지만, 또한 문, 디바이더, 창문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가로막는 것이 없는 글레이징 영역을 보존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중앙 구역에서)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벽에 접착 결합되지 않고, 추출 영역을 지나서는 투명하다. 한 변이형으로서, 조명 거울이 형성된다.
도 1e에서, 제1 추출 특징부(5) 및 제2 추출 특징부(5') 각각은 이산된 특징부, 예를 들어 4 mm씩 이격된 직경 1 mm의 원반의 어레이를 형성하고, 이 특징부는 전체 투명성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통해 보임)을 위해 조정된다.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4) 및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4')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종방향 잼(7a, 7b) (이 잼들은 여기서는 설치 후 수평 방향임) 상에 있다. 따라서, 4개의 광원이 이용된다. 나머지 2개는 외측 잼(7c, 7d)에 첨가될 수 있다.
도 2a는 제2 실시양태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실시양태와 비교해서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는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와 다음과 같이 상이하다.
큰 각도 방출 패턴, 예를 들어 램버트 방출 패턴 (예를 들어, 120°의 절반-최대값에서의 각도를 가짐)을 갖는, 조준 광학체가 없는 - 및 심지어, (예비)봉지부가 없는 - 통상적인 다이오드(4, 4')가 선택된다.
다이오드로는, 제1 에지 면(13) 상에 중앙에 배열되는 3 mm의 폭 W0의 니치아(NICHIA)가 판매하는 NSSM124T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다. 예방책으로서, 예 1의 다이오드를 보유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색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흑색 에나멜 또는 흑색 페인트로 제조된 이른바 제1 혼합-방지 밴드(8)가 제2 글레이징 판유리(1') 쪽으로 이동하는 큰 각도 광선과 교차하기 위해 내부 면(11)을 폭 D0에 걸쳐서 덮는다. 제1 혼합-방지 밴드(8)는 제1 에지 면(13)으로부터 더 먼 제1 추출 영역(50) (제1 추출 특징부(5a))의 상류에 있고 제1 추출 영역(50) (제1 추출 특징부(5a))으로부터 이격된다.
D0은 적어도 0.8 Dmin (여기서 Dmin = d1 / tan(π/2 - arcsin(n2/n1)))와 같고, 2 cm, 심지어 1 cm 미만이고, 여기서 d1은 각각의 다이오드(4)의 가장 먼 에지와 내부 면(11)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d1 = 5 mm, n2 = 1.4 및 n1 = 1.5인 경우, Dmin은 13 mm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71)로부터 반사 후 제2 글레이징 판유리(1') 쪽으로 이동하는 큰 각도 광선과 교차하기 위해 동일한 폭 D01의 또 다른 동일한 제1 혼합-방지 밴드(나타내지 않음)가 제1 면(12)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 또는 양면 흑색 접착 테이프가 접착제(18)에 추가하여 (접착제 아래에) 또는 접착제(18)를 대신하여 선택된다.
흑색 에나멜 또는 흑색 페인트로 제조된 이른바 제2 혼합-방지 밴드(8')가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쪽으로 이동하는 큰 각도 광선과 교차하기 위해 결합 면(11')을 폭 D'0에 걸쳐서 덮는다. 제2 밴드(8')는 제2 에지 면(13')으로부터 더 먼 제2 추출 영역(50)으로부터 이격된다.
D'0은 적어도 0.8D'min (여기서 D'min = d'1 / tan(π/2 - arcsin(n2/n'1)))와 같고, 2 cm 미만이고, 여기서 d'1은 제2 광원(4')의 각각의 다이오드(41')의 가장 먼 에지와 결합 면(11')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d'1 = 5 mm, n'2 = 1.4 및 n'1 = 1.5인 경우, D'min은 13 mm이다.
여기서, 제1 밴드 및 제2 밴드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이 혼합-방지 밴드는 특히 n2 및 n'2가 적어도 1.2인 경우에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73)로부터 반사된 후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쪽으로 이동하는 큰 각도 광선과 교차하기 위해 동일한 폭 D0의 또 다른 동일한 제1 혼합-방지 밴드 (나타내지 않음)가 제2 면(12')에 첨가된다.
게다가, 내부 부피(74) 내의 제1 다이오드(4)로부터 제2 글레이징 판유리로 광의 외측 누출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커플링되지 않은 광선), 특히 제1 중간층에서의 또는 심지어 제2 에지 면에서의 굴절로 인한, 및/또는 내부 부피(74') 내의 제2 다이오드(4')로부터 제1 글레이징 판유리로 광의 외측 누출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커플링되지 않은 광선), 특히 제2 중간층에서의 또는 심지어 제1 에지 면에서의 굴절로 인한 임의의 색 혼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해서, 캐리어(7)는 U-형상 단면보다는 오히려 E-형상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이고, E의 중앙 팔(75)은 바람직하게는 적층된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정렬된)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그 에지 면으로부터 1 mm 미만 이격되어 있고, 중앙 팔(75)은 불투명하고, 파티션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이 광을 흡수하기도 한다. 적어도 이 불투명한 중앙 팔(75)의 프로파일은 내부 면(11)과 결합 면(11') 사이의 이 중앙 에지 면의 두께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같은 두께를 갖는다.
프로파일(7)은 일체형 구조이고,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다. 팔(75)은 불투명한 코팅(75a, 75b), 예컨대 흑색 접착 밴드 또는 흑색 페인트 코트를 중앙 팔(75)의 제1 외측 표면에 및 중앙 팔(75)의 제2 외측 표면에 첨가함으로써 불투명하게 (및 비-반사성이) 된다.
프로파일(7) 전체가 불투명할 수 있다 (프로파일을 조 안에 담금).
불투명한 코팅(75a)을 갖는 제1 외측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 에지 면(13) 쪽으로 또는 제1 에지 면(13)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불투명한 코팅(75b)을 갖는 제2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제2 에지 면(13') 쪽으로 또는 제2 에지 면(13')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심지어 0.5 mm 미만의 불투명한 코팅이 선택된다.
불투명한 코팅은 예를 들어 흑색 페인트 또는 흑색 접착제이고, 예컨대 다음과 같다:
- 단면: 노튼으로부터의 노르픽스(NORFIX) T333 (폴리에틸렌 발포체 및 아크릴 접착제), 두께 0.5 mm;
- 양면: 니토로부터의 제품 D5395B, 두께 0.05 mm (흑색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접착제) 또는 D 9625, 두께 0.100 ㎛ (흑색 폴리에틸렌 및 아크릴 접착제);
- 단면: 니토로부터의 제품 61313B, 두께 0.05 mm (흑색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 접착제); 또는
- 양면: 로만(Lohmann)으로부터의 제품 521-12 ㎛, 두께 12 ㎛.
중앙 팔과 중앙 에지 면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체결 수단이 없다.
흑색이 그의 더 큰 불투명성 때문에 백색 (예컨대 노튼으로부터의 제품 노르픽스 V1500)보다 바람직하다.
한 변이형으로서, 불투명한 (흡수성) 중앙 팔(75)은 노치 등을 통해 접착 결합에 의해 웹(72)에 첨가되는(체결되는) 분리된 부품 (앞에서 언급한 불투명한 코팅)이다.
한 변이형 장착으로서, 제2 광원(4')이 그의 캐리어(41') 상에 배치되고, 제2 혼합 밴드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반대측의 (또는 인접하는 측의) 제2 에지 면을 대면하여 배치된다. 그러면, 동일한 E-형상 프로파일이 첨가되고(E의 불투명한 중앙 팔에 의해 제2 파티션이 형성됨),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2b는 제2 실시양태의 제1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b)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b)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제1 밴드(81) 및 제2 밴드(81')가 각각 중간층의 두께 (0.76 mm 또는 심지어 0.38 mm)보다 작은 두께의 불투명한 단면 또는 양면 접착 밴드 (접착 테이프) - 예를 들어 앞선 예의 중앙 팔(75)에 관해 위에서 서술된 것 같은 밴드이다.
적층 중간층(3, 3') 및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2)가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으로부터 후퇴되어 D0 또는 D'0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이 접착 밴드(81, 81')는 자유로운 표면을 갖는다.
불투명한 코팅(75a, 75b)을 포함하는 중앙 팔(75)은 웹(72)에 접착 결합되고, 글레이징 판유리(1, 1') 사이의 홈으로부터 1 mm 미만 이격된다. 그것은 홈 안으로 관입할 수 있다.
도 2c는 제2 실시양태의 제2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d)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변이형과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d)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b)와 상이하다.
제1 혼합-방지 밴드(82) 및 제2 혼합-방지 밴드(82') 각각은 글레이징 판유리(1, 1') 사이에서 중간층(3, 3') 및 광학 아이솔레이터(2)의 에지 면까지 관입하는 중앙 팔(75)의 주면 상의 불투명한, 바람직하게 흑색, 코팅 (잉크 등)이다.
이 불투명한 코팅(82, 82')은 광학적 접착제 또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82a, 82b), 예컨대 두 면 모두에 아크릴 접착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캐리어, 예컨대 니토로부터의 D9605로 나타내는 제품의 0.2 mm-두께 형태에 의해 내부 면(11) 및 결합 면(11')에 접착 결합되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불투명한 외측 표면(75a, 75b)을 형성하기 위해,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 가 선택되는 불투명한 코팅(82, 82')이 연장될 수 있다.
심지어, 접착제(82a) 및 (82b)를 생략하고,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를 혼합-방지 밴드(82) 및 (82') 및 외측 표면(74) 및 (74') 상의 불투명한 코팅(75a) 및 (75b)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랜지(71) 및 (73) 상에, 외측 표면(75a) 및 (75b)를 대면하여 불투명한 내벽이 흑색 접착제를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d는 제2 실시양태의 또 다른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d)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d)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에지 면(13) 및 (13')를 대면하여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에지 면의 두께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폭의 공통 PCB 캐리어(410)가 제1 다이오드(4) 및 제2 다이오드(4')를 담지한다.
공통 캐리어(410)는 접착제(410)에 의해 프로파일(7)에 접착 결합된다. 제1 다이오드(4) 및 제2 다이오드(4')로부터의 광을 분할하기 위한 파티션은 외측 표면 상에 불투명한 코팅(75a) 및 (75b)을 포함하는 스트립(75)이다. 스트립은 공통 PCB 캐리어(410)에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노치 내에 위치하고, 어느 경우이든, 상면-방출 다이오드를 지나서 (13)과 (13') 사이의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하여 돌출한다.
도 2e는 제2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e)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와 비교해서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e)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제1 광원(4) (제2 광원(4'), 각각)의 각각의 다이오드는 일차 봉지부(43, 43')를 포함하고, 제1 에지 면(13)(제2 에지 면(14'), 각각)에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에지 면을 지나서 외부 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광학적 접착제(44, 44')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도 2f에 나타낸 한 변이형으로서, 다이오드가 투명한 양면 접착제, 예컨대 두 면 모두에 아크릴 접착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배면재, 예컨대 니토로부터의 D9605로 나타내는 제품에 의해 접착 결합되고, 이 접착제는 예를 들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에지 면을 지나서 외부 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폭 D0의 제1 혼합-방지 밴드(83)가 불투명한 코팅이 아니고, 내부 면(11) 반대측에서 방출하지 않기에 충분히 두꺼운(거의 투명하지 않은) 산란성 밴드(8a) (백색 에나멜)로 대체된다.
폭 D'0의 제2 혼합-방지 밴드(83')가 불투명한 코팅이 아니고, 결합 면(11') 반대측에서 방출하지 않기에 충분히 두꺼운(거의 투명하지 않은) 제2 산란성 밴드(8'a) (백색 에나멜)로 대체된다.
제1 PCB 캐리어(41) 및 제2 PCB 캐리어(41')는 공통 금속 프로파일(7') 상에 위치하고, 공통 금속 프로파일(7')은 U-형상이 아니라 T-형상이고 따라서 광원(4, 4')을 분할하기 위한 불투명한 외측 표면(75a, 75b) (흑색 접착 테이프 등)을 포함하는 중앙 팔(75)을 갖는다. 프로파일(7')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에지 면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갖는다.
이 프로파일(7')은 예비장착되고, 웹(72) 및 제1 면(12) 및 제2 면(12') 위에서 폭 W에 걸쳐서 연장되는 플랜지(71, 73)를 포함하고 U-형상 단면을 갖는 글레이징 어셈블리 장착에 이용되는 장착 프로파일(7)에 체결되지 않고, 투명한 양면 접착제(18), 예컨대 두 면 모두가 아크릴 접착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배면재, 예컨대 니토로부터의 D9605라고 나타내는 제품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도 2ia는 D0과 같은 폭 D01의 또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에나멜 침착물 또는 흑색 페인트 코트,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제1 밴드(8)가 첨가된 도 2a의 한 변이형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프로파일(7)이 이 구역(8a) 위에서 임의의 유형의 접착제에 의해 및/또는 플랜지(71)의 말단 쪽으로 돌출할 수 있고/있거나 구역(8a)까지로 제한될 수 있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b)가 불투명한 외측 표면(75a)를 대면하여 플랜지(71)에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에 첨가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측에, D'0과 같은 폭 D02의 또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에나멜 침착물 또는 흑색 페인트의 코트,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제2 밴드(8')가 첨가된다. 프로파일(7)이 이 구역(8'a) 위에서 임의의 유형의 접착제에 의해 및/또는 플랜지(73)의 말단 쪽으로 돌출할 수 있고/있거나 구역(8'a)까지로 제한될 수 있는 투명한 양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b)가 불투명한 외측 표면(75b)를 대면하여 플랜지(73)에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에 첨가된다.
도 2ib는 D0과 같은 폭 D01의 또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가 첨가된 도 2a의 한 변이형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플랜지(71)가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a)를 지나서 돌출한다. 접착제(18)가 필요하지 않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b)가 불투명한 외측 표면(75a)를 대면하여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의 플랜지(71) 위에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D'0과 같은 폭 D02의 또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제2 글레이징 판유리 측에 첨가된다. 플랜지(73)가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8'a)를 지나서 돌출한다. 접착제(18)가 필요하지 않다.
도 3은 제3 실시양태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200a)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저-지수 필름이 이용되지 않는다. 새로운 글레이징 판유리(1")가 삽입되고, 글레이징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와 동일하다. 각각의 판유리의 두께가 약 4 mm로 감소될 수 있고, 그러면, d1 (d1')은 4 mm이다.
이 새로운 유리 시트(1")는
- 내부 면(11)과 동일한 측의 그의 면(11") 상에, 바람직하게는 졸-겔 방법에 의해 얻은 다공성 실리카의 층인 제1 저-지수 층으로 코팅되고, 이 층은 600 nm, 훨씬 더 좋게는 800 n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층은 필요하다면, 졸-겔 방법에 의해 얻은 (치밀한) 실리카 층으로 구성된 제1 투명한 보호 코팅(2a)으로 덮이고, 이 보호 층은 300 nm 또는 심지어 그 초과의 두께를 가지며 550 nm에서 적어도1.4의 굴절률 n4를 가지며;
- 결합 면(11')과 동일한 측의 그의 면(12") 상에, 바람직하게는 졸-겔 방법에 의해 얻은 다공성 실리카의 층인 제2 저-지수 층으로 코팅되고, 이 층은 600 nm, 훨씬 더 좋게는 800 n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저-지수 층과 동일하고, 필요하다면, 졸-겔 방법에 의해 얻은 (치밀한) 실리카 층으로 구성된 제2 투명한 보호 코팅(2'a)으로 덮이고, 이 보호 층은 300 nm 또는 심지어 그 초과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제1 보호 코팅(2a)과 동일하다.
장착 프로파일(7)은 U-형상이다 (또는 한 변이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광을 분할하고 흡수하기 위해 여전히 E-형상이거나, 또는 한 부품이 첨가된다).
제1 저-지수 층의 굴절률 n2 (제2 저-지수 층의 n'2, 각각)는 단위 부피 당 기공의 분율의 함수로서 달라지고, 아마도 1.4 내지 1.15의 범위일 수 있다. 단위 부피 당 기공의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심지어 65% 초과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높은 층 저항력을 얻기 위해 85% 미만이다.
각 다공성 실리카 층(2, 2')은 그의 부피 내에 폐쇄된 기공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로 제조된 벽이 경계를 나타냄)을 갖는 실리카의 매트릭스이다.
불투명한 파티션(75)은 웹(72)에 접착제(18')에 의해 접착 결합되고 외측 표면 상에 불투명한 코팅(75a, 75b) (단면 접착제, 페인트의 코트 등)을 갖는 부품이다.
D0과 같은 폭 D01의 또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가 제1 면(12)에 첨가된다. 플랜지(71)가 혼합-방지 밴드를 지나서 돌출하고, 혼합-방지 밴드에 투명한 양면 테이프(18)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a)가 제1 불투명한 외측 표면(75a)를 대면하여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의 플랜지(71) 위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글레이징 판유리측도 마찬가지다. D'0과 같은 폭 D02의 또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8'a), 예컨대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가 첨가된다. 플랜지(73)가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를 지나서 돌출하고, 이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에 투명한 양면 테이프(18) 또는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a)가 제2 불투명한 외측 표면(75b)를 대면하여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의 플랜지(73) 위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 변이형으로서,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가 밴드(8a) 및 (8'a)에 이용되고, 접착제(18)가 필요하지 않다.
한 변이형으로서, 프로파일이 꼭 맞는 끼워맞춤으로 끼워지고, 접착제(18)가 이용되지 않는다.
n2가 1.2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n'2가 1.2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각각), 제1 (제2, 각각) 혼합-방지 밴드(8, 8') 및 모든 다른 혼합-방지 밴드(8a, 8'a)가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기공도는 크기가 단분산일 수 있고, 그러면, 기공 크기가 검정된다. 기공의 80% 또는 그 초과가 폐쇄되고, 75 nm 내지 100 nm의 직경을 갖는 구형 (난형) 형상을 갖는다.
한 변이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보호 코팅(2a)을 갖는 제1 다공성 실리카 졸-겔 층(2)을 포함하는 - 그러면, 반대쪽 면은 제2 적층 중간층과 접촉하는 - 글레이징 판유리(1")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중앙 글레이징 판유리(1")의 밀리미터-크기 두께를 고려할 때, 도광된 광선이 이동하는 경로 길이가 증가하고, 이것은 추출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공성 실리카 층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 절차가 WO 2008/059170에 서술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다공성 실리카 층 상에 치밀한 실리카 층의 습식 침착 후 고온 소성이 일어난다.
도 4는 제4 실시양태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4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양태(300)와 비교해서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400)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300)와 상이하다.
프로파일(7)이 E-형상이고, 금속으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최대 5 mm의 두께를 가지며 (이 두께는 결합 면-내부 면 거리보다 작거나 같음), 프로파일(7)은 내부 면(11)과 결합 면(11') 사이의 중간에 중앙 팔(75)을 갖는다. 중간층(3, 3'), 저-지수 층(2, 2') 및 그의 보호 코팅(2a, 2b) 및 중앙 유리 시트(1")가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으로부터 D0 및 D'0만큼 후퇴된다 (D'0은 D0과 같음). 이 중앙 팔(75) 상에, 한 측에서는 제1 외측 표면(75a) 상에 제1 PCB 캐리어(41)가 배열되고, 다른 한 측에서는 제2 외측 표면(75b) 상에 제2 PCB 캐리어(41')가 배열된다.
다이오드(4, 4')는 옆면-방출 다이오드이다. 제1 광원(4) (제2 광원(4'), 각각)의 각각의 방출 면은 제1 PCB 캐리어(41) (제2 PCB 캐리어(41'), 각각)에 평행하다.
방출 면의 폭은 예를 들어 1 mm이고, d1은 약 2.5 mm이다 (4 mm-두께 유리의 경우, 다이오드가 중앙에 있음).
PCB 캐리어(41, 41')는 광의 혼합-방지 분할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해서, 제1 PCB 캐리어(41)는 불투명하고 (또는 (74)측에 불투명한 코팅을 가지며), 제1 불투명한 파티션(75'a)을 형성하고, 제2 PCB 캐리어(41')는 불투명하고 (또는 (74')측에 불투명한 코팅을 가지며), 제2 불투명한 파티션(75'b)을 형성한다.
각 PCB 캐리어는 중앙 팔의 표면에 불투명할 수 있는 접착제(18')로 접착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각각) PCB 캐리어의 에지 면이 제1 (제2, 각각) 에지 면을 대면하지 않는다.
별법으로, 도 3의 예에서처럼 후퇴가 없다. 그러면, PCB 캐리어(41, 41') (및 그것을 담지하는 중앙 팔(75))가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해 있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a)가 제1 PCB(41)를 대면하여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의 플랜지(71) 위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방책으로서, 흑색 접착 테이프(8'a)가 제2 PCB(41')를 대면하여 내부 공간(74')과 동일한 측의 플랜지(73) 위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별법으로, PCB 캐리어(41, 41')가 장착 프로파일(7)의 플랜지(71, 73)에 체결된다.
도 5a는 제5 실시양태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500a)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200a)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500a)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제2 다이오드 광원(4')이 제1 다이오드 광원(4)에 대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다. 따라서, 제2 에지 면(13')이 제1 에지 면(13)에 대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혼합-방지 밴드(8')가 제1 혼합-방지 밴드(8)에 대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반대측에 있다.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1')는 여전히 동일한 크기이지만, 외측으로 오프셋됨으로써 제1 돌출 구역(11a) 및 제2 돌출 구역(11'a)을 형성한다.
PCB(41)를 제1 글레이징 판유리(1)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7')은 U-형상 단면을 가지며,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되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글레이징 판유리들의 오프셋으로 인한 내부 면(11)의 돌출 구역(11a)에) 부착된다.
PCB(41')를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에 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로파일(7")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되고, U-형상 단면을 가지며,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에 (글레이징 판유리들의 오프셋으로 인한 결합 면(11')의 제2 돌출 구역(11'a)에) 부착된다.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프로파일(7a, 7b)은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전체 두께에 배치되고, 각 측에서 체결 프로파일(7', 7")을 봉입한다.
제1 혼합-방지 밴드(8) 및 제2 혼합-방지 밴드(8')는 돌출 구역(11a, 11'a)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D0 및 D'0과 같은 폭 D01 및 D02의 다른 혼합-방지 밴드(8a, 8'a)가 밴드(8, 8')를 대면하여 제1 면(12) 및 제2 면(12')에 첨가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혼합-방지 밴드는 프로파일(7, 7')에 접착 결합하기 위한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이거나 또는 심지어 단면이다.
게다가, 혼합-방지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플랜지(71") 및 (73")가 불투명한 것(흑색 침착물 또는 흑색 접착 테이프를 갖는 내부 벽)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변이형으로서, 플랜지(71') 및 (71")가 생략되고, 프로파일이 L-형상 단면을 갖는다.
제1 에지 면(13)측의 부분도를 나타내는 도 5ia에 나타낸 제2 변이형에서, 제1 PCB 캐리어가 플랜지(71, 73)에 의해 다중 글레이징 유닛에 체결된 (꼭 맞게 끼워맞춤, 접착제 등) U-형상 금속 프로파일(7)의 웹(72)에 열 접착제로 접착 결합된다.
제1 혼합-방지 밴드(8)는 자유로운 표면을 가지며, 예를 들어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 또는 흑색 침착물 (에나멜 등)이다.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a)는 예를 들어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흑색 침착물 (에나멜 등)이다.
내부 불투명한 코팅이 플랜지(71) 및 (73)에 (내부(74)측에) 첨가될 수 있다.
한 변이형으로서, 웹(72)이 금속으로 제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금속 스트립이 PCB(41)와 웹 사이에 삽입된다.
제2 에지 면 측에, 동일한 장착이 이용된다.
도 5b는 제5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500b)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5 실시양태(500a)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500b)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500a)와 상이하다.
체결 프로파일(7')이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의 돌출 구역(11'a)를 대면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체결 프로파일(7')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체결 프로파일(7')이 그의 플랜지(73')를 통해 이 돌출 구역에 (제2 추출 영역(50') 밖에) 체결된다. 또한, 다른 프로파일(7")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1')의 돌출 구역(11a)를 대면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체결 프로파일(7")이 글레이징 어셈블리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체결 프로파일(7")이 그의 플랜지(73")를 통해 이 돌출 구역에 (제1 추출 영역(50) 밖에) 체결된다.
혼합-방지 밴드가 임의로 생략된다.
그러면, 다이오드는 좁은 방출 패턴을 얻기 위해 렌즈(42, 42')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1.2 미만의 n2를 갖는 저-지수 층 (보호 코팅을 가짐)이 광학 아이솔레이터로 이용된다. 프로파일(7') 및 (7")을 봉입하는 추가의 프로파일(7a) 및 (7b)이 첨가된다.
도 1i는 제1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실시양태(100)와 비교해서 차이점만 서술한다. 이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장착 프로파일(7) 내의 다이오드(4) 및 (4')를 위치지정하기 위한 프로파일(7')이 예를 들어 디바이더 응용에 이용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와 상이하다.
장착 프로파일(7)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으로 제조되지만, 플라스틱, 특히 복합재로 제조될 수 있다.
프로파일(7)은 웹(72) 및 웹에 수직이고 서로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2개의 플랜지(71) 및 (73)를 포함하는 U-형상 몸체를 갖는다.
장착 프로파일(7)의 제1 플랜지(71)는 이동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어, 어느 때라도, 특히 파티션 설치 후에, 프로파일의 내부가 접근가능하게 한다.
플랜지(71)는 웹(72)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웹(72)과의 접속부에, 또는 사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웹(72)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고정된 연장부(72a)의 원위 말단(71a)에 접합한다.
플랜지(71)는 그것이 연장부(71a)가 따라서 연장되는 종축 둘레를 피벗한다는 점에서 이동가능하고, 종축은 프로파일의 외부에 미적으로 보이지 않는 힌지를 형성한다. 플랜지는 제1 플랜지(71)로부터 떨어지는 프로파일(7)의 외부의 방향으로 피벗한다(도 1i의 화살표(F1)로 나타냄).
제거가능한 밀봉 수단(181)이 제1 (외부)면(12) 및 제2 (외부)면(12') 및 장착 프로파일의 각각의 플랜지(71) 및 (73)에 대항하여 배치되게 제공된다. 이 밀봉 수단은 예를 들어 클립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PCB 캐리어 및 다이오드(4, 4')를 담지하는 U-형상 단면의 위치지정 프로파일(7')이라고 지칭되는 프로파일은 장착 프로파일의 내부 부피(74a)에 위치한다. 이 프로파일(7')의 플랜지(71', 73')는 장착 프로파일의 플랜지(71, 73)로부터 이격된다.
플랜지(71') 및 (73')는 제1 외부 면(12) 및 제2 외부 면(12')에 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18)에 의해 체결된다.
한 변이형으로서, 예방책으로서
- 투명한 접착 테이프(18)의 길이가 흑색 에나멜 침착물로 대체되거나(또한 흑색 에나멜이 결합 면 및 내부 면에 첨가됨), 또는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의 길이로 대체되고;
- 위에서 서술된 것 같은 불투명한 외측 표면을 갖는 공통 파티션이 첨가되고, 이 파티션이 웹(72')에 체결되고 다이오드(4, 4')에 대해 돌출하고;
- PCB 캐리어가 공통 캐리어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파티션을 담지함)에 의해 대체된다.
간단성을 위해,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U-형상 프로파일(7)의 잼을 반대쪽 에지 면 측(14, 14')에는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큰 제1 추출 영역을 갖는 및/또는 복수의 이격된 센티미터 크기 특징부를 갖는 글레이징 판유리의 경우, 또 다른 유사한 내부 프로파일 및 다른 다이오드가 제1 에지 면(13) 반대쪽 에지 면(14)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큰 제2 추출 영역을 갖는 및/또는 복수의 이격된 센티미터 크기 특징부를 갖는 글레이징 판유리의 경우, 다른 다이오드가 제2 에지 면(13') 반대쪽 에지 면(14')에서 다른 내부 프로파일에 첨가될 수 있다.
도 1ia는 이색 특징부를 갖는 글레이징된 문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바닥 방향으로 갈수록 폭(높이)이 증가하는 직사각형 수평 밴드의 형태를 취하는, 예를 들어 순간 t0에서 적색 발광 구역을 형성하는 4개의 제1 추출 영역(50a) 내지 (50d)을 포함한다.
게다가, 예를 들어 순간 t0에서 녹색 발광 구역을 형성하는 2개의 제2 추출 영역(50'a, 50'b)이 있다.
더 정밀하게는, 제2 추출 영역 중 하나(50'a)는 (정면에서 볼 때) 2개의 제1 추출 영역(50a, 50b) 사이의 직사각형 수평 밴드이다. 세번째 제1 추출 영역(50c) (위로부터 시작해서)은 (정면에서 볼 때) 제2 추출 영역(50'b) 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로고 형태를 취하는 캐릭터의 어셈블리의 양 옆에 위치한다.
추출 밴드(50a 내지 50e) 사이에 및 상부 및 저부 부분에 투명한 구역(17)이 있다.
글레이징 어셈블리는 장착 프레임(7a, 7b, 7c, 7d)을 포함하고, 장착 프레임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 (PVC 등)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심지어 목재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됨)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U-형상 단면을 갖는다. 제1 에지 면 측의 종방향 및 수직 장착 프로파일(7a)의 내부 부피에, 제1 에지 면을 대면하여 PCB 캐리어(41a) 상에 적색 다이오드의 어셈블리(4)가 배치된다. 제2 에지 면 측, 즉, 제1 에지 면 반대측의 종방향 수직 장착 프로파일(7b)의 내부 부피에, 제2 에지 면을 대면하여 PCB 캐리어(41') 상에 녹색 다이오드의 제2 어셈블리(4')가 배치된다.
도 1ii는 제2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양태(200a)와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는 다음과 같이 글레이징 어셈블리(200a)와 상이하다.
그것은 예를 들어 상업적 냉장 장비의 발광 글레이징된 문의 문제이다. 다중 글레이징 유닛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이다. 게다가, 제3 글레이징 판유리(1")가 제2 면(12')측에 첨가되고 (이제는 제2 면이 가장 바깥 외부 면이 아님), 상기 판유리가 제3 면(11") 및 제4 면(12") 및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1')의 두께와 동일한 적어도 3.8 mm (표준으로서 약 4 mm 또는 6 mm)의 두께를 가지며, 제3 면이 기체-충전된 캐비티(60)에 의해 제2 면(12')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면(12) 및 제3 면(11"')의 주변부에, 프레임 형성 제1 중합체 밀봉부(6) 및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삽입물(6')이 위치한다.
보통, 삽입물(6')이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에서 그의 외측 면에 의해 글레이징 판유리(1', 1")의 면(12, 11')에 부틸 고무(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고, 부틸 고무는 또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에 수증기가 새어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물(6')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내부 안으로 후퇴되어 상기 유리 시트의 에지 면의 종방향 에지에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주변 홈을 형성하고, 이 주변 홈에 흑색 제1 중합체 밀봉부(6)가 주입되고, 이 밀봉부는 마스틱, 예를 들어 폴리술피드 또는 폴리우레탄 마스틱이다. 마스틱(6)은 2개의 글레이징 시트(1', 1")의 기계적 어셈블리를 강화하고, 액체 물 또는 용매의 샘방지를 보장한다.
또 다른 제1 혼합-방지 밴드(8)가 D0과 같은 폭 D01으로 제1 (외부) 면(12)측에 첨가된다. 그것은 얇은 흑색 양면 또는 단면 접착 테이프, 예컨대 이미 서술된 것의 문제이다.
다이오드(4, 4')를 위치지정하기 위한 금속 프로파일(7')은
-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를 대면하는 저부 부분(72')이라고 지칭되는 부분;
-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7)과 제1 글레이징 판유리 사이의 거리를 너무 많이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두께를 최대 1.5 mm, 심지어 최대 1 mm 또는 심지어 최대 0.5 mm 증가시키는, 제1 외부 면(12)에 (대항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된 제1 외측 부분(71'); 및
- 열교를 생성하지 않기 위해 제3 글레이징 판유리(1")와 접촉하지 않고 제2 에지 면(13')에 인접하여 제2 에지 면(13')을 따라서 연장되고 프로파일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 체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18a)로 제1 밀봉부(6)에 접착 결합된 제2 외측 부분 또는 림(rim)(71') (저부 부분의 연장부)
을 포함한다.
제1 외측 부분(71')은 제1 면(12) 위에서 D01의 폭에 걸쳐서 또는 심지어 W 만큼 (아래에서 서술되는 외부 프로파일과 꼭 마찬가지임)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D01을 지나서는 불투명한 수단이 없다.
밀봉부(6)는 D'0과 같은 폭 D02의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의 기능을 제공한다. 한 변이형으로서, 부틸 고무가 제1 밀봉부와 조합해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림은 제2 외측 표면(75b)를 대면하여 그의 내부 표면(공간(74')측)에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1")은 저-E 층(17), 예컨대 모노실버 다중층을 담지한다.
제4 면(12")은 상업적 냉장 장비의 내부측 면이다. 제1 외부 면(12)이 사용자측이다.
제1 추출 특징부(5), 예컨대 백색 에나멜 또는 임의의 다른 백색 산란성 코팅은 예를 들어 제1 면(12) 상에 있다. 제2 추출 특징부(5'), 예컨대 백색 에나멜 또는 임의의 다른 백색 산란성 코팅은 예를 들어 제2 면(12') 상에 있다.
글레이징된 문(100")은 바람직하게는 장착 접착제라고 지칭되는 불투명한 접착제(180)에 의해 절연 글레이징 유닛에 체결된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7)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은 제1 밀봉부(6) 및 삽입물(6')을 차폐한다.
프레임 형성 잼(7)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그 중 한 부분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다른 한 부분은 임의의 열교(모두 금속으로 제조될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열 절연성이다. 금속 제1 부분은 직각을 함유하고, 예를 들어
-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 (제1 에지 면(13) 또는 심지어 제2 에지 면)을 대면하고, 제3 에지 면(13")까지 이르지는 않고,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 측의 면이 불투명한 접착제(180)로 접착 결합된, 제1 정면 부분(72a); 및
- 제1 외측 부분(71') 위에서 불투명한 접착제(180)에 의해 제1 외부 면에 접착 결합되고, 제1 외측 부분(71')을 지나서 (제1 면(12) 위에서 1 cm 내지 3 cm의 폭 W') 돌출하는 제1 플랜지(71)
를 갖는 L-형상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이다.
프로파일(7)의 제2 부분은 열 절연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로 제조되고, 접착제(182)로 제1 부분에 고정식으로 체결되고, 직각을 함유하고,
- 금속 제1 부분의 제1 정면 부분에 접착 결합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제1 에지 면(13)까지 연장되지는 않는) 제2 정면 부분(72b); 및
- 제2 외부 면(12")(제4 면)에 접착 결합된 제2 플랜지(73)
를 갖는 L-형상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다이오드를 위치지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은 이 프로파일(7)의 내부 부피에 있다.
제3 에지 면(13")이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을 지나서 돌출하고, 심지어 위치지정 프로파일의 배면과 동일 평면에 있거나 또는 위치지정 프로파일의 배면을 지나서 돌출한다.
외측 부분은 다이오드의 외측 광을 제1 주입 에지 면(13) 및 제2 주입 에지 면(13') 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다이오드의 광을 반사시킨다.
위치지정 프로파일(7) 때문에 제1 에지 면과 제1 광원(4) 사이, 및 제2 에지 면과 제2 광원(4') 사이 공간에는 장착 접착제(18)가 없다.
여기서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분할하는 파티션(75)이 위치지정 프로파일과 분리되고, 저부 부품(72')과 접착 결합된다.
물론, 한 변이형으로서
- 도 2d에서처럼 공통 PCB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파티션이 이 PCB에 접착 결합되고;
- 및/또는 제2 광원(4')이 그의 캐리어(41') 상에 배치되고, 제2 혼합-방지 밴드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반대측에서 제2 에지 면을 대면하여 배치된다. 제1 파티션 같은 제2 파티션 및 서술된 것 같은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 및 위치지정 프로파일이 첨가된다.
한 변이형으로서, 발광 창문이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 구조 및 광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프로파일이 (위치지정 프로파일과 꼭 마찬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ii는 도 1"에 묘사된 앞선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냉장 장비의 문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2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냉장 장비 문(100")과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냉장 장비 문(200")은 다음과 같이 냉장 장비 문(100")과 상이하다.
다음 이유 때문에 위치지정 프로파일(7')은 복수의 고정식으로 체결된 부품으로 제조된다:
- 제1 외측 부분이 불투명한 시트(71'), 예컨대 이미 서술된 얇은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이고 - 그의 한 부분(71'b)이 제1 외부 면(12)에 폭 D01에서 접착 결합되고, 그의 한 부분(71'a)이 저부 부품에 (그의 배면에) 접착 결합되고;
- 저부 부분(72')이 직사각형 단면의 스트립이고;
-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 분리부(7'a)가 저부 부분(72') 및 제1 밀봉부(6)에 접착 결합된다.
에지 면(13")이 여기서는 다른 에지 면(13, 13')과 정렬된다.
분리부는 또한 제2 외측 표면(75b)을 대면하여 그의 내부 표면(공간(74')측) 상에 불투명한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변이형으로서, L-형상 단면의 프로파일, 예를 들어 압출물이 마스틱(6)과 접착 결합된 더 두꺼운 구역 (림)을 갖는 저부 부분을 형성한다.
한 변이형으로서, 제1 외측 부분(71')은 50 내지 100 ㎛ 두께의 접착 결합된 금속 시트 - 예를 들어 폭 D01에 걸쳐서 흑색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 결합된 알루미늄 시트이다.
도 3ii는 도 1ii에 서술된 실시양태의 한 변이형의 냉장 장비의 문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냉장 장비 문(100")과 비교하여 차이점만 서술한다. 냉장 장비 문(300")은 다음과 같이 냉장 장비 문(100")과 상이하다.
에지 면(13")이 여기서는 제1 에지 면(13) 및 제2 에지 면(13')과 정렬된다.
제1 외측 부분(71')이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은 얇은 흑색 단면 접착 테이프 같은 불투명한 시트이고 - 그의 한 부분(71'b)이 제1 외부 면(12)에 폭 D01에 걸쳐서 접착 결합되고 그의 한 부분(71'a)이 저부 부분에 (그의 배면에) 접착 결합되기 때문에, 위치지정 프로파일(7')은 복수의 고정식으로 체결된 부품으로 제조된다.
림 또는 체결 부품(7'a)은 중공이고, 직사각형(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저부 부분(72')이 이 체결 부품의 외측 연장부를 형성한다.
프로파일(7)의 제2 부분이 제2 외부 면(12")(제4 면)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그것은 제3 에지 면(13")에 대항하는 L-형상 프로파일의 문제이다.
제1 밀봉부(6) 및 스페이서(6')를 차폐하기 위해 불투명한 흑색 또는 심지어 백색 에나멜(19)이 제4 면(12")에 첨가된다.
도 1iia는 도 1ii에서 이미 묘사된 유형이지만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서로 반대쪽인 양측에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 냉장 장비 문을 갖는 냉장 장비(100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냉장 장비는 여기서는 선반(1001) (점선) 및 2개의 문을 포함하고, 각각의 문이 사용자측 (여기서 보이는 측)의 외부 제1 주면(12), 내부 제2 주면 (선반측) 및 4개의 에지 면으로 구성된 에지를 포함하는 발광 절연 및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이다. 에지의 종방향 에지 면이 수직이다. 프레임 형성 프로파일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1, 1", 1"')의 주변부에 체결된 직사각형 프레임이다. 프레임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귀퉁이에서 접하는 4개의 잼을 포함한다. 2개의 종방향 잼(7a) 및 (7b)은 동일하고 수직이다. 2개의 외측 잼(7c) 및 (7d)은 수평이다. 제1 광원(4) 및 제2 광원(4') (차폐됨)은 각각 제1 종방향 잼(7a)의 내부 부피에 및 제2 종방향 잼(7b)의 내부 부피에 있다.
각 문은 상부 잼(7c) 및 하부 잼(7d) 상의 피벗(7p)에 의해 외부쪽으로 열릴 수 있다.
제1 특징부(5) (단어 등) 및 제2 특징부(5)(로고 등)이 선반의 보이는 위치의 양측에 있다.
유형 및/또는 프로모션에 의해 분류되는 제품들을 구별하기 위해 다양한 정적 또는 동적 2-색 발광 구역이 가능하다.
도 1iib (제1 면(12)측으로부터 본 냉장 장비 문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특징부(5, 50)는 제품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2 특징부(5', 50')는 선반에 있는 제품의 유형의 명칭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샤베트")을 명칭의 양측에 형성한다.
도 1iic (제1 면(12)측으로부터 본 냉장 장비 문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특징부(5)가 제품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제2 특징부(5', 50')가 선반에 있는 제품의 유형의 명칭 ("음료")을 형성한다.
도 1iid (제1 면(12)측으로부터 본 냉장 장비 문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특징부(5, 50)가 제2 특징부(5', 50")와 함께 2-색 로고 ("M"이 "W"와 얽힘)를 형성한다.
도 1iie (제1 면(12)측으로부터 본 냉장 장비 문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특징부(5, 50) 및 제2 특징부(5', 50')가 이 달의 프로모션을 알린다.

Claims (19)

  1. - 다중 글레이징 유닛으로서,
    - 내부 면(11) 및 제1 면(12)이라고 지칭되는 주면(11, 12) 및 제1 에지 면(13)을 갖는 굴절률 n1의 제1 글레이징 판유리(1);
    -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1')로서, 내부 면을 대면하는 결합 면(11') 및 제2 면(12')이라고 지칭되는 주면, 및 제2 에지 면이라고 지칭되는 에지 면(13')을 갖는 굴절률 n'1의 제2 글레이징 판유리(1')
    를 포함하는 제1 외부 면 및 제2 외부 면이라고 지칭되는 외부 주면을 갖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
    - 제1 에지 면을 통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제1 광원(4)으로서, 이로써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게 되고, 상기 제1 광원은 순간 t0에서 λ1이라고 지칭되는 제1 파장으로 제1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조절되고, 바람직하게는 순간 t'≠t0에서 특히 λ1과 상이한 λ2라고 지칭되는 제2 파장으로 제2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전환가능한 것인 제1 광원;
    - 제1 추출 영역(50)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제1 추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제1 광-추출 수단(5, 5a)으로서, 추출된 광이, 바람직하게는 제1 면인 제1 외부 면 측에서 보이고, 추출된 광이 상기 t0에서 C1이라고 지칭되는 제1 색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t'에서 특히 C1과 상이한 C2라고 지칭되는 제2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인 제1 광-추출 수단;
    - 제2 에지 면을 통해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제2 광원(4')으로서, 이로써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도광하게 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t0에서 λ1과 상이한 λ3이라고 지칭되는 파장으로 제3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간 t'에서 λ4라고 지칭되는 파장으로 제4 주 방출을 방출하기 위해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인 제2 광원;
    - 제2 추출 영역(50')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제2 추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 연합된 제2 광-추출 수단(5')으로서, 상기 제2 특징부(들)은 1개 이상의 제1 추출 특징부로부터 오프셋되고, 이로써 제2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광이 제1 외부 면으로부터 보이고, 제2 광-추출 수단은 이로써 추출된 광이 t0에서 C1과 상이한 C3이라고 지칭되는 색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t'에서 특히 C2와 상이한 C4라고 지칭되는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인 제2 광-추출 수단;
    - 내부 면과 결합 면 사이에 있고, 제1 광원의 파장에서 n1-n2가 적어도 0.08이도록 하는 굴절률 n2를 가지며, 제1 에지 면과 제1 추출 영역(50) 사이에서 및/또는 1개 이상의 제1 추출 특징부(5a)들 사이에서 내부 면을 대면하는, 바람직하게는 제1 추출 영역(50)을 덮는,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라고 지칭되는 투명한 광학 아이솔레이터(2)로서,
    상기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제1 광원의 파장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이도록 하는 굴절률 n3을 갖는 제1 투명한 중합체로 제조된 제1 적층 중간층(3)에 의해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 적층되고; 제1 추출 수단이 내부 면 측에 있을 때,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는 제1 추출 수단보다 내부 면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것인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 결합 면과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 사이에 있고, 제2 광원의 파장에서 n'3-n'1의 절대값이 0.05 미만이도록 하는 굴절률 n'3을 갖는 제2 투명한 중합체로 제조된 제2 적층 중간층(3')으로서, 제2 글레이징 판유리와 접착성 접촉하고 있는 제2 적층 중간층(3')
    을 포함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500b).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면의 주변부에서 내부 면(11)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이른바 제1 혼합-방지 밴드(8, 81, 82, 83)가 제1 에지 면(13)에서부터 제1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0.8Dmin (여기서 Dmin = d1 / tan((π/2) - arcsin(n2/n1)))과 같은 폭 D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이고, 여기서 d1은 제1 광원(4)과 내부 면 사이의 거리이고, 이 제1 밴드는 불투명하거나(8, 81, 82) 또는 내부 면 측에서 최대 2%의 가시 범위에서의 투과 계수를 갖는 산란성 제1 밴드(83)이고,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이른바 제1 혼합-방지 밴드(8a)가 바람직하게는 제1 면의 주변부에서 제1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제1 에지 면에서부터 제1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0.8 Dmin과 같은 폭 D01을 가지며, 이 다른 제1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하고, 결합 면의 주변부에서 결합 면(11')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이른바 제2 혼합-방지 밴드(8', 81', 82', 83')가 제2 에지 면에서부터 제2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0.8D'min (여기서 D'min = d'1/tan((π/2) - arcsin(n'2/n'1)))과 같은 폭 D'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이고, 여기서 d'1은 제2 광원(4')과 결합 면 사이의 거리이고, 이 제2 밴드는 불투명하거나(8', 81', 82') 또는 결합 면 측에서 최대 2%의 가시 범위에서의 투과 계수를 갖는 산란성 제2 밴드(83')이고, 바람직하게는 제2 면의 주변부에서 제2 면과 광학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또 다른 이른바 제2 혼합-방지 밴드(8'a, 6)가 제2 에지 면에서부터 제2 에지 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밴드는 적어도 0.8 D'min과 같은 폭 D02를 가지며, 이 다른 제2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중 글레이징 유닛이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하고, 제3 주면(11") 및 제4 주면(12")을 갖는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포함하고, 제2 면 및 제3 면은 제1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다른 제2 혼합-방지 밴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형성 제1 중합체 밀봉부(6)가 제2 면 및 제3 면의 주변부에 배치된 것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3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반대측에 있고, 제1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2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여 제1 돌출 영역(11a)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제1 차폐 밴드(8),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1 돌출 영역에 내부 면 상에 있고, 심지어 또 다른 제1 차폐 밴드(8a),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1 돌출 영역에 제1 면 상에 있고, 제2 글레이징 판유리가 제1 에지 면을 지나서 돌출하여 제2 돌출 영역(11'a)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제2 차폐 밴드,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2 돌출 영역(8')에 있고, 심지어,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또 다른 제2 차폐 밴드(8'a), 특히 불투명한 접착제가 제2 돌출 영역에서 제2 면 상에 있는 것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500a).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원(4)이 λ1에서 상기 제1 주 방출을 갖는 제1 발광 다이오드(4) 및 특히, λ2에서 상기 제2 주 방출을 갖는 제2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1 다이오드 및 임의적인 제2 다이오드의 각각이 제1 에지 면(1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1 다이오드 및 임의적인 제2 다이오드 각각에 의해 방출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는 제1 글레이징 판유리에서 굴절각에 상응하고, 제2 광원(4')은 λ3에서 상기 제3 주 방출을 갖는 제3 발광 다이오드 및 임의적으로, λ4에서 상기 제4 주 방출을 갖는 제4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3 다이오드, 또는 심지어 임의적인 제4 다이오드는 제2 에지 면(13', 1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3 다이오드 및 임의적인 제4 다이오드 각각에 의해 방출되는 광 플럭스의 적어도 80%가 -α'1 내지 α'1의 방출 원뿔에 있고, 여기서 α'1 = arcsin(n'1*sin(α'2))이고, α'2 = (π/2) - arcsin(n'2/n'1)는 제2 글레이징 판유리에서 굴절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500b).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서 제1 에지 면 측에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제1 수단(75, 75a, 75'a), 및 바람직하게는, 결합 면과 제1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에서 제2 에지 면 측에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제2 수단(75, 75b, 75'b);
    -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있을 때,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다중 글레이징 유닛 에지 면에서 제1 에지 면 측에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고, 결합 면과 내부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2 에지 면 측에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공통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수단(75, 75a, 75b, 75'a, 75'b)
    을 포함하는 것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에서, 제1 광원(4)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1을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 광원(4')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3을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1이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3의 0.8배 미만이고/이거나,
    t'에서, 제1 광원(4)이 615 nm부터 6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2를 갖는 적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 광원(4')이 515 nm부터 535 nm까지 걸치는 범위의 λ4를 갖는 녹색으로 방출하는 이른바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녹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4이 적색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플럭스 F2의 0.8배 미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500b).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원(4)이 제1 PCB 캐리어(41)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이고, 다이오드가 제1 에지 면에 커플링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4')이 제2 PCB 캐리어(41')라고 지칭되는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이고, 다이오드가 제2 에지 면에 커플링되고,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가 이격되어 있거나, 연접하거나 또는 공통 PCB 캐리어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500b).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어 있고, 상면-방출 다이오드이고, 제1 PCB 캐리어 및/또는 제2 PCB 캐리어 또는 심지어 제1 PCB 캐리어 및 제2 PCB 캐리어를 형성하는 이른바 공통 PCB 캐리어가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을 대면하는 주면을 가지며, 공통 PCB 캐리어가, 공통 파티션이라고 지칭되는 것,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와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사이에 다중 글레이징 유닛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불투명한 코팅(75a, 75b)을 제1 어셈블리 측에 및 제2 어셈블리 측에 포함하는 부품을 가지며, 공통 파티션이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1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면과 제1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2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공통 파티션이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대해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200a 내지 200e, 300, 300", 400, 500a).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 글레이징 유닛이 제3 주면(11") 및 제4 주면(12") 및 제3 에지 면(13")을 갖는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을 형성하고, 제2 면 및 제3 면이 제1 기체-충전된 캐비티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프레임 형성 제1 중합체 밀봉부(6)가 제2 면 및 제3 면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제1 광원(4) 및 제2 광원(4')이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고, 글레이징 어셈블리가, 제1 면인 제1 외부 면 위에서 또는 제1 면 측에서 연장되고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을 대면하고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함유하는 부피를 형성하는 프로파일(7')을 포함하고, 이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글레이징 어셈블리를 장착시키기 위한 추가의 프로파일(7)에 대해 내부에 있고, 위치지정 프로파일이라고 지칭되는 프로파일(7')이
    -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 및 제1 에지 면과 제2 에지 면 사이의 중앙 에지 면이라고 지칭되는 에지 면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면을 대면하는 저부 부분(72')이라고 지칭되는 부분;
    - 두께를 최대 1.5 mm 증가시키는, 제1 외부 면(12)에 대항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된 제1 외측 부분(71'), 특히 저부 부분에 첨가된 불투명한 접착제;
    - 저부 부분에 체결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과 일체를 이루고,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중앙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1 mm 이격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을 분할하는 파티션을 형성하는 부분(75), 또는 위치지정 프로파일로부터 분리되고 중앙 에지 면에 대항하거나 또는 중앙 에지 면으로부터 최대 1 mm 이격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을 분할하는 파티션(75)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부 면과 제2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1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면과 제1 면 사이의 에지 면에서 제2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굴절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불투명한 파티션
    을 포함하고;
    - 제2 에지 면(13')에 인접하고 제2 에지 면(13')을 따라서 연장되는 체결 부품(73')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이 제1 중합체 밀봉부(6)에 체결되고 저부 부분에 고정식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과 일체를 이루고;
    임의적인 추가의 프로파일(7)이
    - 저부 부분에 대항하거나 저부 부분에 접착 결합되거나 또는 저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1 에지 면 및 제2 에지 면을 대면하는 웹(72);
    - 제1 외측 부분 위에서 제1 외부 면에 체결되고, 제1 외측 부분을 지나서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중앙 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 제1 플랜지(71)로서, 바람직하게는 장착 접착제라고 지칭되는 불투명한 접착제로 체결되고, 특히 불투명한 임의적인 장착 접착제가 제1 에지 면과 제1 광원 사이 및 제2 에지 면과 제2 광원 사이 및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돌출 부분과 제1 외부 면 사이의 영역에는 없는 것인 상기 플랜지;
    - 임의로 제2 외부 면에 접착 결합된 제2 플랜지(73)
    를 포함하는 것인,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300").
  11. 제10항에 있어서, 체결 부품(73')이 금속으로 제조되고, 제2 글레이징 판유리(1') 및 제3 글레이징 판유리(1") 둘 모두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200", 30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71)가 제1 물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웹(72)이 제1 글레이징 판유리 및 제2 글레이징 판유리를 대면하는 제1 구역에서는 상기 제1 물질로 제조되고, 웹이 제3 글레이징 판유리를 대면하는 제2 구역에서는 제2 물질로 제조되고, 제1 물질이 접착 결합 수단에 의해 제2 물질에 고정식으로 체결되고, 제1 물질 및 제2 물질 중 하나가 금속이고 다른 하나는 열 절연성이고, 제2 물질로 제조된 임의적인 제2 플랜지(73)가 제2 외부 면 위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2)가 플루오로중합체계 물질로 제조된 이른바 제1 저-지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300", 200a 내지 200e, 500a, 500b).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저-지수 필름(2)의 각각의 주 표면이 접착-촉진 처리,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300", 200a 내지 200e, 500a, 500b).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2)가 ETFE 또는 FE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300", 200a 내지 200e, 500a, 500b).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2)가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 400).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이 제1 투명한 광물 보호 코팅(2a), 바람직하게는 550 nm에서 적어도 1.4의 굴절률 n4를 갖는 50 nm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nm 초과의 두께 e4의 실리카 층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 400).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아이솔레이터(2)가 내부 면 측을 향하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또 다른 투명한 글레이징 판유리(1")의 하나의 주면 상의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의 제1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광학 아이솔레이터가 결합 면 측을 향하는, 상기 다른 글레이징 판유리의 또 다른 주면 상의 적어도 400 nm의 두께 e'2를 가지며 제2 광원(4')의 파장에서 n'1-n'2가 적어도 0.08이도록 하는 굴절률 n'2를 갖는 제2 다공성 실리카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300, 40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발광 글레이징 어셈블리(100, 100', 100", 200", 300", 200a 내지 200e, 300, 400, 500a, 500b)를 포함하는 디바이더, 타일, 창문, 문, 장식적 패널 및/또는 상업적 냉장 장비의 글레이징된 문.
KR1020177002805A 2014-07-03 2015-07-02 발광 유리 어셈블리 KR20170026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6379A FR3023213B1 (fr) 2014-07-03 2014-07-03 Ensemble vitre lumineux.
FR1456379 2014-07-03
PCT/FR2015/051836 WO2016001597A1 (fr) 2014-07-03 2015-07-02 Ensemble vitre lumin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69A true KR20170026569A (ko) 2017-03-08

Family

ID=5172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05A KR20170026569A (ko) 2014-07-03 2015-07-02 발광 유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864125B2 (ko)
EP (1) EP3164264B1 (ko)
JP (1) JP6621770B2 (ko)
KR (1) KR20170026569A (ko)
CA (1) CA2953474A1 (ko)
EA (1) EA034453B1 (ko)
ES (1) ES2702960T3 (ko)
FR (1) FR3023213B1 (ko)
HU (1) HUE042630T2 (ko)
MX (1) MX2017000005A (ko)
PL (1) PL3164264T3 (ko)
PT (1) PT3164264T (ko)
WO (1) WO20160015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312A (ko) * 2018-01-12 2019-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528B2 (en) * 2015-02-13 2020-06-09 Ecoglo Holdings Na Inc. Hybrid illuminated indicator sign
EP3282174B1 (en) * 2015-04-06 2023-10-25 Sony Group Corporatio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359550B2 (en) * 2016-08-31 2019-07-23 Efx Energy Technologies, Llc Multi-layered reflective insulation system
US10247874B2 (en) * 2017-01-30 2019-04-02 Florian Eyme Edge-lit glass wall system
FR3064531B1 (fr) 2017-03-31 2019-04-05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eclairant.
FR3064530A1 (fr) * 2017-03-31 2018-10-05 Saint-Gobain Glass France Ensemble vitre lumineux
WO2019042955A1 (en) * 2017-08-30 2019-03-07 Basf Se HIGH-COLOR HOMOGENEITY LIGHTED ELEMENT
US10591660B2 (en) 2017-09-09 2020-03-17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Wide-area solid-state illumination devices and systems
WO2019096872A1 (de) * 2017-11-17 2019-05-23 Glass Technology Gmbh Isolierglaseinheit mit 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8110855A1 (de) 2017-12-22 2018-06-28 Schott Ag Glaskeramik mit reduziertem Lithium-Gehalt
DE202018102534U1 (de) 2017-12-22 2018-05-15 Schott Ag Transparente, eingefärbte Lithiumaluminiumsilikat-Glaskeramik
DE102018110897A1 (de) * 2017-12-22 2018-06-21 Schott Ag Einrichtungs- und Ausstattungsgegenstände für Küchen oder Labore mit Anzeigeeinrichtung
CN208107825U (zh) * 2018-05-09 2018-1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模组和显示装置
FR3084475B1 (fr) * 2018-07-25 2021-09-24 Renault Sas Ensemble comportant une vitre d'habitacle et un support de sources lumineuses realise par surmoulage
FR3084353B1 (fr) 2018-07-27 2023-03-24 Saint Gobain Substrat emaille, dispositif vitre lumineux avec un tel substrat et sa fabrication.
FR3087814B1 (fr) * 2018-10-26 2020-11-06 Saint Gobain Element de fenetre ou de porte muni de plots de connexion
JP2020091389A (ja) * 2018-12-05 2020-06-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光学装置
CN113613888A (zh) 2019-03-21 2021-11-05 中央硝子株式会社 具有照明能力的玻璃
RU189983U1 (ru) * 2019-04-03 2019-06-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Светодиодной Продукции" Каркас светодиодной стойки
ES2887524A1 (es) * 2020-06-19 2021-12-22 Srg Global Liria S L Conjunto de emblema iluminado con homogeneidad mejorada
EP3932664A1 (en) 2020-06-30 2022-01-05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 plate and transparent illumin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EP4228893A1 (en) * 2020-10-16 2023-08-23 Carlex Glass Luxembourg S.A. Glazing having lighting capabilities
FR3116021B1 (fr) * 2020-11-12 2023-12-29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é pour véhicule, notamment automobile
CN112606759B (zh) * 2020-12-18 2022-11-11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和汽车
US20240060624A1 (en) * 2021-01-26 2024-02-22 Solutia Inc. Light systems having a diffusive pvb interlayer
JP2022151253A (ja) * 2021-03-26 2022-10-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飾装置および遊技機
CN113109962A (zh) * 2021-04-19 2021-07-1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WO2023114745A1 (en) * 2021-12-14 2023-06-22 Acr Ii Glass America Inc. Glazing with lighting capabilities
WO2023114743A1 (en) * 2021-12-14 2023-06-22 Acr Ii Glass America Inc. Glazing with lighting capabilities
FR3136045B1 (fr) * 2022-05-31 2024-05-24 Valeo Vision Affichage de motifs lumineux sur nappe de guidage flexibl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3313A (en) * 1948-06-14 1952-12-30 Paul E Fuchs Edge illuminated sign
US3591941A (en) * 1968-01-26 1971-07-13 Perfeclite Inc Light fixture
JPS5629687Y2 (ko) * 1974-01-17 1981-07-15
DE3919925A1 (de) * 1989-06-19 1990-12-20 Inotec Gmbh Ges Fuer Innovativ Beleuchtete, anzeigeeinheit, insbesondere hausnummer, verkehrsschild, werbetraeger
BR9106868A (pt) * 1990-09-20 1993-07-06 Ilumination Research Group Pro Um sistema de exibicao
US5075826A (en) * 1990-12-17 1991-12-24 Lan Ching Hwei Auxiliary brake lamp
US5276591A (en) * 1992-07-23 1994-01-04 William Hegarty Sign with indirect illumination from light emitting diodes
FR2694069B1 (fr) * 1992-07-27 1994-11-04 Francois Parmentier Dispositif d'éclairage réparti.
DE4425246A1 (de) * 1994-07-16 1996-01-18 Schoeniger Karl Heinz Beleuchtete Anzeigetafel
US5572818A (en) * 1995-03-21 1996-11-12 Churchill; David L. Fiber optic light bar for edge lighted signage
JP3434991B2 (ja) * 1996-10-22 2003-08-11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ゲート装置
KR970059454A (ko) * 1997-05-12 1997-08-12 기길웅 굴절 및 반사광에 의해 조명되는 간판
US6174065B1 (en) * 1999-04-05 2001-01-16 Paul Schurch Modular illuminated panel display system
KR200164723Y1 (ko) * 1999-07-16 2000-02-15 기길웅 조명간판
US6471388B1 (en) * 1999-12-30 2002-10-29 Bji Energy Solutions Llc Illumination apparatus for edge lit signs and display
FR2809496B1 (fr) 2000-05-23 2002-07-12 Saint Gobain Vitrage Couche diffusante
ATE281629T1 (de) * 2000-12-22 2004-11-15 Thomas Emde Sandwichartiges plattenelement
ES2191542B1 (es) 2001-10-24 2005-02-01 Centro De Investigaciones Energeticas, Medioambientales Y Tecnologicas (C.I.E.M.A.T.)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mediante la tecnica sol-gel, siguiendo la ruta polimerica, de recubrimientos porosos.
DE10206613A1 (de) * 2002-02-15 2003-08-28 Der Kluth Decke Und Licht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ichtleitern
FR2908406B1 (fr) * 2006-11-14 2012-08-24 Saint Gobain Couche poreus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applications.
JP2008145657A (ja) * 2006-12-08 2008-06-26 Rohm Co Ltd 表示装置
US20080285274A1 (en) * 2007-05-17 2008-11-20 Hae-Ryong Jung Jung Panel light source for back-lit signs
JP5122210B2 (ja) * 2007-08-01 2013-01-16 株式会社イトーキ ゲート装置
JP2009204885A (ja) * 2008-02-28 2009-09-10 Omron Corp 表示装置
JP2010033861A (ja) * 2008-07-29 2010-02-12 Shinko Denso Co Ltd Led照明パネル
US20110047840A1 (en) * 2009-09-01 2011-03-03 Ou Seok S Led display apparatus
FR2964447B1 (fr) * 2010-09-02 2012-08-24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eclairant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et sa fabrication
FR2970671B1 (fr) * 2011-01-21 2016-12-30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FR2976343B1 (fr) * 2011-06-09 2018-07-06 Saint Gobain Cloison eclairante en verre
FR2976338B1 (fr) * 2011-06-09 2013-08-30 Saint Gobain Ensemble eclairant a base d'un vitrage isolant et de diodes electroluminescentes
FR2978525B1 (fr) * 2011-07-29 2018-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lumineux de meuble
FR2982196B1 (fr) * 2011-11-07 2015-07-17 Saint Gobain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pour vehicule
FR2982197B1 (fr) * 2011-11-07 2013-11-15 Saint Gobain Vehicule automobile avec vitrage repetiteur de clignotant
JP5822740B2 (ja) * 2012-01-27 2015-11-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面光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312A (ko) * 2018-01-12 2019-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US10775015B2 (en) 2018-01-12 2020-09-15 Zkw Group Gmbh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790129A1 (ru) 2017-06-30
PT3164264T (pt) 2018-12-27
JP6621770B2 (ja) 2019-12-18
MX2017000005A (es) 2017-05-01
JP2017523463A (ja) 2017-08-17
WO2016001597A1 (fr) 2016-01-07
EA034453B1 (ru) 2020-02-10
EP3164264B1 (fr) 2018-09-19
PL3164264T3 (pl) 2019-03-29
FR3023213B1 (fr) 2016-07-29
EP3164264A1 (fr) 2017-05-10
FR3023213A1 (fr) 2016-01-08
HUE042630T2 (hu) 2019-07-29
US9864125B2 (en) 2018-01-09
ES2702960T3 (es) 2019-03-06
US20170139109A1 (en) 2017-05-18
CA2953474A1 (fr)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770B2 (ja) 発光性グレージングアセンブリ
JP6457554B2 (ja) 発光性グレージングアセンブリ
CN107645989B (zh) 用于建筑、家具或公共交通工具的发光窗玻璃
RU2660817C2 (ru) Светящееся остекление
JP6204198B2 (ja) 発光ガラスパネル
DK3105051T3 (en) LIGHTING WINDOW WITH OPTICAL ISOLATOR
JP5199236B2 (ja) 発光パネル
US9453361B2 (en) Luminous multiple glazing unit comprising light-emitting diodes
EP3494837A1 (fr) Panneau vitre lumineux et paroi l&#39;integrant
EP3501342A1 (fr) Panneau vitre lumineux et paroi l&#39;integr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