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151A -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 Google Patents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151A
KR20170025151A KR1020150121148A KR20150121148A KR20170025151A KR 20170025151 A KR20170025151 A KR 20170025151A KR 1020150121148 A KR1020150121148 A KR 1020150121148A KR 20150121148 A KR20150121148 A KR 20150121148A KR 20170025151 A KR20170025151 A KR 2017002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ndle
guide
moving 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585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5012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1)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문(10)의 문틀(20) 상측에 안내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블럭(3); 상기 접이식문(10)의 상기 제2 문짝(40)을 매달도록 상기 이동블럭(3)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현수봉뭉치(5); 및 상기 현수봉뭉치(5)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문짝(40)을 상기 이동블럭(3)에 연결하는 접속판뭉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봉뭉치(5)는 상기 접속판뭉치(7)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접속판뭉치(7)를 상기 이동블럭(3)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제2 문짝이 접히도록 좌우 이동 및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수봉뭉치가 제2 문짝 상면에 부착된 접속판뭉치와 체결핀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히 착탈되므로, 문틀에 대한 제2 문짝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One-Touch Detachable Type Door Guiding Device For A 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문짝을 연결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문짝을 고정힌지에 의해 문틀에 장착하여 개폐 시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문에 있어서, 제2 문짝을 문틀에 대해 좌우 이동 및 전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문이란 복수의 문짝을 힌지 등을 이용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연결한 문을 이르는 것으로, 일측단에 위치하는 문짝을 고정힌지를 통해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나머지 문짝들은 연결힌지에 의해 일측단 문짝으로부터 차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문짝들은 위와 같이 이웃한 문짝의 측변에 연결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뿐 아니라, 상변에 장착된 문짝안내구를 통해 문틀 상측의 안내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문짝안내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문짝안내구를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짝안내구의 일예로서 접이식도어의 슬라이딩구조(등록실용신안 제20-0424025호)를 들 수 있는데, 이 슬라이딩구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안내프레임(111)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103)과, 이 이동블럭(103)을 통해 안내프레임(111) 아래에 문짝(140)을 좌우 이동하게 하게 매다는 연결부(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블럭(103)은 안내레일(113)에 끼워진 안내롤(115)을 따라 안내프레임(111) 위를 직선 이동하는 반면, 연결부(123)는 이동블럭(103)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므로, 문짝(140)을 안내프레임(111)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접이식도어는 문짝(140)이 안내프레임(111)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블럭(103)을 중심으로 자전함으로써, 문짝(140) 들의 접힘과 펴침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구조(101)는 연결부(123)와 이동블럭(103)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안내프레임(111) 즉, 문틀에 대해 문짝(140)을 설치 또는 분리하고자 할 때, 문틀을 분해하여 안내프레임(111)을 외부로 노출시킨 뒤, 연결부(123)를 통해 문짝(140) 위에 달린 이동블럭(103)을 안내프레임(111) 안으로 삽입시켜야 하고, 반대로 문틀에 끼워져 있던 문짝(140)을 문틀에서 빼내고자 할 때도 문틀을 분해한 뒤 안내프레임(111)에서 이동블럭(103)과 함께 문짝(140)을 분리하여야 하는 바, 문짝(140)의 설치 및 분리 작업에 반드시 문틀의 분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해져 작업공수나 시간을 크게 늘릴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이나 편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240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문용 미끄럼 안내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문의 자유단측 문짝을 문틀 상측의 안내프레임 상에 좌우 이동 및 자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짝안내구가 문틀 측과 문짝 측으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틀에 대한 문짝의 설치와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문짝 및 제2 문짝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문의 문틀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결합되되, 상기 접이식문의 상기 제2 문짝을 매달도록 상기 이동블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현수봉뭉치; 및 상기 제2 문짝의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현수봉뭉치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문짝을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하는 접속판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봉뭉치는 상기 접속판뭉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접속판뭉치를 상기 이동블럭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수봉뭉치는, 상기 이동블럭 위에 상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되, 하단이 상기 이동블럭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헤드; 상기 헤드 하단에 결합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현수봉; 및 상기 현수봉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현수봉 하단에 지지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판뭉치는, 상기 제2 문짝의 상측에 부착되는 판체; 및 상기 판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와 동기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판뭉치는 상기 회전체를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핀구멍과, 상기 제1 핀구멍과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단을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핀구멍에 핀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을 상기 회전체에 대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안내레일 위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안내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에 따르면, 문틀의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하도록 이동블럭에 장착된 현수봉뭉치의 현수봉과, 제2 문짝의 상변에 부착된 접속판뭉치 접속단에 핀결합되는 회전체가 상대 회전을 일으키므로, 제2 문짝을 문틀에 대해 좌우 이동하면서 자전 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회전체와 접속단이 체결핀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히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으므로, 문틀에 대한 제2 문짝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크게 간소화, 간편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문 슬라이딩구조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가 적용된 접이식문을 폐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짝안내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문짝안내구 하단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접이식문을 완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접이식문의 문틀에 대해 제2 문짝을 분리 또는 설치할 때 분해되는 문짝안내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문짝안내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문(10)의 두 문짝 즉, 문틀(20)에 힌지 결합된 제1 문짝(30)과, 제1 문짝(30)에 힌지 연결된 제2 문짝(40) 중 제2 문짝(40)을 문틀(20)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크게 이동블럭(3), 현수봉뭉치(5), 및 접속판뭉치(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블럭(3)은 문짝안내구(1)의 몸통을 이루는 부재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동블럭(3)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예컨대, 4 개의 안내롤(15)을 구비하는 바, 이들 복수의 안내롤(15)에 의해 안내레일(13) 위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블럭(3)은 안내레일(13) 위를 구르면서 이동하지만, 이동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안내롤(15)을 제거하고 이동블럭(3)을 안내레일(13) 위에 미끄럼 접촉시켜 미끄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동블럭(3)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현수봉뭉치(5)의 헤드(21)와 결합되도록 상면에 좌우 한 쌍의 맞춤돌기(17)가 돌출, 형성되는 바, 각각의 맞춤돌기(17)는 헤드(21)와 정합되어 현수봉뭉치(5)가 이동블럭(3)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이들 맞춤돌기(17) 사이에는 현수봉뭉치(5)의 현수봉(23)이 통과하는 통공(19)이 관통된다.
상기 현수봉뭉치(5)는 하단에 결합되는 접속판뭉치(7)를 통해 제2 문짝(40)을 매달아 지지하는 연결 지지수단으로서, 접속판뭉치(7)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접속판뭉치(7)가 이동블럭(3)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헤드(21), 현수봉(23), 및 회전체(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21)는 현수봉뭉치(5)를 이동블럭(3)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재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의 몸통부분 상단이 좌우로 돌출된 T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좌우로 돌출된 날개부분과 몸통부분의 저면에 걸쳐 끼움홈(27)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21)는 이동블럭(3) 위에 장착된 때 끼움홈(27)이 이동블럭(3)의 맞춤돌기(17) 위에 끼워짐으로써 이동블럭(3)과 정합된다. 따라서, 헤드(21)는 이동블럭(3)에 대한 상대 회전이 억제될 뿐 아니라, 이동블럭(3)과 연동하게 된다. 또한, 헤드(21)는 하단부분에 원통형의 연결봉(29)이 하향 연장되는 바, 이 연결봉(29)은 헤드(21)가 이동블럭(3) 위에 얹힐 때 통공(19)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블럭(3)을 통과하여 현수봉(23)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현수봉(23)은 현수봉뭉치(5)의 길이를 결정하는 연결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이 헤드(21) 하단의 연결봉(29)에 결합되고, 아래로 연장된 하단은 회전체(25)를 통해 접속판뭉치(7)에 결합된다. 이때, 현수봉(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하단 부분에 걸림턱(31)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이 걸림턱(31)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둘레 부분에 끼워지는 회전체(25)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끝으로, 상기 회전체(25)는 현수봉(23)과 상대 회전을 일으켜, 이동블럭(3)과 접속판뭉치(7), 더 나아가 제2 문짝(40) 사이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봉(23)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수봉(23) 하단의 걸림턱(31)에 걸려 지지된다. 이때, 회전체(2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터진 원통 형태되어 있으며, 제1 핀구멍(33)이 외벽을 관통하여 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판뭉치(7)는 문짝안내구(1)를 제2 문짝(40)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문짝(40)의 상측에 부착되는 한편, 현수봉뭉치(5)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접속판뭉치(7)는 다시 판체(35)와 접속단(37)으로 이루어지며, 체결핀(39)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판체(35)는 제2 문짝(40)의 상측에 부착되는 부착판재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문짝(40)의 상측 모서리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좌우 양단에 부착을 위한 체결공(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37)은 판체(35)와 현수봉뭉치(5)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35)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현수봉뭉치(5)의 회전체(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뿐 아니라, 회전체(25)와 동기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접속단(37)은 회전체(25)와 동기 회전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나, 원통형인 회전체(25)의 형상을 고려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단(37)이 회전체(25)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회전체(25)를 내부에 끼우도록 되어 있으나, 반대로 접속단(37)을 회전체(25)보다 소직경으로 만들어 중공의 회전체(25) 내부에 끼우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체결핀(39)은 회전체(25)와 접속단(37)을 동기 회전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판뭉치(7)를 현수봉뭉치(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이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전체(2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벽에 제1 핀구멍(33)이 관통되고, 회전체(25)와 접속단(37)이 결합될 때 이 제1 핀구멍(33)에 정렬되도록 접속단(37)의 외벽에도 제2 핀구멍(43)이 관통되며, 정렬된 제1 및 제2 핀구멍(33,43)에는 체결핀(39)이 핀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37)에 회전체(25)를 끼운 상태로 정렬된 제1 및 제2 핀구멍(33,43)에 체결핀(39)을 삽탈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현수봉뭉치(5)와 접속판뭉치(7)를 조립,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착탈식 문짝안내구(1)가 적용된 접이식문(10)은 폐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20) 내에서 제1 및 제2 문짝(30,40)이 일자로 곧게 펴져 출입구를 막는다. 이때, 문짝안내구(1)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이동블럭(3)과 접속판뭉치(7)가 상대 회전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제2 문짝(40)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앞 또는 뒤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접이식문(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짝(30,40)이 연결힌지(50)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안쪽 또는 바깥쪽 어느 한 쪽으로 회동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기 시작해서 최종적으로 완전히 접히면서 접이식문(10)을 완전 개방한다. 이때, 문짝안내구(1)는 제1 문짝(30)의 고정힌지(60)에 최대로 접근하도록 안내레일(13)을 따라 문틀(20)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도중에 문짝안내구(1)의 이동블럭(3)과, 현수봉뭉치(5) 중 이동블럭(3)에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결합된 현수봉(23)은 안내레일(13)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지만, 접속판뭉치(7)와 접속판뭉치(7)에 상대 회전하도록 핀결합된 현수봉뭉치(5)의 회전체(25)는 제2 문짝(4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문짝(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접이식문(10)이 도 2와 같이 폐쇄되면, 이동블럭(3)과 현수봉(23)은 문틀(20)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접속판뭉치(7)와 회전체(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문짝(40)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문짝안내구(1)는 위와 같이 현수봉뭉치(5)의 상대 회전 구조에 의해 제2 문짝(40)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면서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현수봉뭉치(5)의 회전체(25)가 접속판뭉치(7)의 접속단(37)과 체결핀(39)에 의해 핀결합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문짝(40)의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 즉, 제2 문짝(40)을 설치할 때는 이동블럭(3)에 의해 안내레일(13)에 매달린 회전체(25)에 제2 문짝(40) 상단에 부착된 접속단(37)을 끼운 다음,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핀구멍(33,43)을 통해 체결핀(39)을 박는 것으로 제2 문짝(40)을 문짝안내구(1)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문짝안내구(1) 즉, 안내레일(13)에서 제2 문짝(40)을 분리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핀(39)을 제1 및 제2 핀구멍(33,43)에서 빼낸 다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체(25)로부터 접속단(37)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1 : 문짝안내구 3 : 이동블럭
5 : 현수봉뭉치 7 : 접속판뭉치
10 : 접이식문 11 : 안내프레임
13 : 안내레일 15 : 안내롤
17 : 맞춤돌기 19 : 통공
20 : 문틀 21 : 헤드
23 : 현수봉 25 : 회전체
27 : 끼움홈 29 : 연결봉
30 : 제1 문짝 31 : 걸림턱
33 : 제1 핀구멍 35 : 판체
37 : 접속단 39 : 체결핀
40 : 제2 문짝 41 : 체결공
43 : 제2 핀구멍 50 : 연결힌지
60 : 고정힌지

Claims (5)

  1. 제1 문짝(30) 및 제2 문짝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문(10)의 문틀(20)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블럭(3);
    상기 이동블럭(3)에 결합되되, 상기 접이식문(10)의 상기 제2 문짝(40)을 매달도록 상기 이동블럭(3)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현수봉뭉치(5); 및
    상기 제2 문짝(40)의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현수봉뭉치(5)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문짝(40)을 상기 이동블럭(3)에 연결하는 접속판뭉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봉뭉치(5)는 상기 접속판뭉치(7)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접속판뭉치(7)를 상기 이동블럭(3)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뭉치(5)는,
    상기 이동블럭(3) 위에 상대 회전 불가하게 결합되되, 하단이 상기 이동블럭(3)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헤드(21);
    상기 헤드(21) 하단에 결합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턱(31)이 형성된 현수봉(23); 및
    상기 현수봉(2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걸림턱(31)에 의해 상기 현수봉(23) 하단에 지지되는 회전체(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뭉치(7)는,
    상기 제2 문짝(40)의 상측에 부착되는 판체(35); 및
    상기 판체(35)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25)와 동기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단(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뭉치(7)는 상기 회전체(25)를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핀구멍(33)과, 상기 제1 핀구멍(33)과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단(37)을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핀구멍(43)에 핀결합되어, 상기 접속단(37)을 상기 회전체(25)에 대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체결핀(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무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3)은 상기 안내레일(13) 위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안내롤(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KR1020150121148A 2015-08-27 2015-08-27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KR10189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48A KR101893585B1 (ko) 2015-08-27 2015-08-27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48A KR101893585B1 (ko) 2015-08-27 2015-08-27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51A true KR20170025151A (ko) 2017-03-08
KR101893585B1 KR101893585B1 (ko) 2018-08-31

Family

ID=5840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48A KR101893585B1 (ko) 2015-08-27 2015-08-27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6U (ja) * 1992-02-17 1994-01-21 善司 土川 折戸のライナー支持装置
JP2002097834A (ja) * 2000-09-25 2002-04-05 Nakao Seisakusho:Kk 戸の吊り下げ装置
KR200411519Y1 (ko) * 2005-12-29 2006-03-15 김야현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200424025Y1 (ko) 2006-05-26 2006-08-14 이정우 접이식도어의 슬라이딩구조
KR101210321B1 (ko) * 2012-03-05 2012-12-11 이종안 문짝의 탈착이 용이한 미닫이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6U (ja) * 1992-02-17 1994-01-21 善司 土川 折戸のライナー支持装置
JP2002097834A (ja) * 2000-09-25 2002-04-05 Nakao Seisakusho:Kk 戸の吊り下げ装置
KR200411519Y1 (ko) * 2005-12-29 2006-03-15 김야현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200424025Y1 (ko) 2006-05-26 2006-08-14 이정우 접이식도어의 슬라이딩구조
KR101210321B1 (ko) * 2012-03-05 2012-12-11 이종안 문짝의 탈착이 용이한 미닫이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585B1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473B2 (ja) 面一ガラスデザイン用の、複数の部品からなるガラス側ガイド部材を備えるウィンドウリフタアセンブリ、および組立方法
AU2014200054B2 (en) Door Assembly
EP2772605B1 (en) Pivot door assembly
CN104196380A (zh) 一种窗用内外平开悬窗五金系统
US20190162023A1 (en) Curtain mounting unit
KR101966890B1 (ko)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장치
KR20180006015A (ko) 커튼레일 조립체
JPH0819808B2 (ja) 折り戸装置
CN103764931B (zh) 用于排柜的180度内装铰链
KR101893585B1 (ko) 접이식문의 원터치 착탈식 문짝안내구
CN210033035U (zh) 用于冰箱的轴套装置及冰箱
KR20160120263A (ko) 폴딩도어 경첩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KR20130136663A (ko) 폴딩도어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20160079288A (ko)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869359B1 (ko)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KR20130006936U (ko) 전후 수평이동식 창문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1704585B1 (ko)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661459B1 (ko) 미서기창
JP3057306B2 (ja) 連動折り戸用の走行体とヒンジの着脱装置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