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04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047A
KR20170025047A KR1020150120875A KR20150120875A KR20170025047A KR 20170025047 A KR20170025047 A KR 20170025047A KR 1020150120875 A KR1020150120875 A KR 1020150120875A KR 20150120875 A KR20150120875 A KR 20150120875A KR 20170025047 A KR20170025047 A KR 2017002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ealing
sealing cap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260B1 (ko
Inventor
박장훈
최민제
김재영
김주형
박래영
전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2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60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SG10202001773XA priority patent/SG10202001773XA/en
Priority to BR112017027128-1A priority patent/BR112017027128B1/pt
Priority to EP16839486.4A priority patent/EP3287556B1/en
Priority to SG11201710082TA priority patent/SG11201710082TA/en
Priority to PCT/KR2016/008889 priority patent/WO2017034197A1/ko
Priority to AU2016310964A priority patent/AU2016310964B2/en
Priority to CN201680034728.3A priority patent/CN107771229B/zh
Priority to MX2017016390A priority patent/MX2017016390A/es
Publication of KR2017002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047A/ko
Priority to CL2017003049A priority patent/CL2017003049A1/es
Priority to US15/868,707 priority patent/US104151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60B1/ko
Priority to US16/530,675 priority patent/US10526744B2/en
Priority to US16/727,143 priority patent/US11486075B2/en
Priority to US18/046,114 priority patent/US118593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는 제 1 개구를 갖고, 내부에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제 2 개구를 갖고, 상기 제 1 개구에 대응되며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몸체,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연통하는 글래스홀을 갖고, 상기 도어몸체의 배면에서 상기 도어몸체와 결합하는 도어글래스,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글래스홀을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며, 도어어셈블리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실링부재를 통해 도어어셈블리로부터 세탁수 또는 내부 공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투입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내부에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세탁물이 수용되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캐비닛에는 개구가 마련되고, 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세탁물은 캐비닛의 마련되는 개구에 의해 투입되고, 세제와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드럼세탁기의 세탁행정이 시작되면 드럼세탁기의 도어는 락킹(Locking)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세탁과정 중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세탁행정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세탁행정을 정지시킨 후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와 같이 세탁과정 중에 드럼의 내부로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제한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 내지 세제의 자유로운 투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세탁물 내지 세제의 투입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행정 중 세탁물 내지 세제의 자유로운 투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투입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기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개구를 갖고, 내부에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제 2 개구를 갖는 도어몸체; 글래스홀을 갖는 도어글래스;및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글래스홀을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홀과 상기 가이드 덕트는 실링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래스홀과 연결되는 실링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할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실링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걸림홈이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에서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의 실링링(sealing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캡의 타단과 상기 도어글래스를 밀착시키는 실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도어글래스와 마주하며 상기 실링제가 도포되는 실링캡접촉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접촉면의 외곽에서 상기 실링캡접촉면보다 돌출형성되어 상기 실링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실링캡접촉면과 인접한 제 1 접촉리브; 상기 제 1 접촉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 2 접촉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 1 접촉리브와 상기 제 2 접촉리브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실링캡과 상기 도어글래스사이를 밀폐하는 리브접촉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실링부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개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제 2 개구를 갖고,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유닛;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제 2 개구와 연통하는 글래스홀을 갖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마주하는 도어글래스; 상기 글래스홀과 상기 제 2 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 상기 도어글래스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실링하는 실링부재;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래스홀과 인접한 상기 도어글래스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실링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캡의 타단과 상기 도어글래스를 밀착시키는 실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캡은, 상기 도어글래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하는 실링캡접촉면; 상기 실링캡접촉면의 외곽에서 상기 실링캡접촉면보다 돌출형성되어 상기 실링캡접촉면과 상기 도어글래스사이로 공기와 세탁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행정 중 임의의 시점에 보조도어를 개폐하여 자유롭게 세탁물 내지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투입 또는 세제의 공급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동작 중에도 세탁물 또는 세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캐비닛 내부의 실링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도어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에서 도어유닛과 보조도어를 분해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락킹유닛과 센서어셈블리에 관한 도면.
도 13은 도 6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유닛과 인접한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세탁기(1)는 내부에 세탁공간(5)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 내부의 세탁공간(5)은 터브와 드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10e)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10d) 및 하면 프레임(10e)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 1 개구(2a)가 형성된다. 제 1 개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과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캐비닛(10)의 제 1 개구(2a)와, 제 1 개구(2a)와 대응되는 터브(20)의 개구(21)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90)은 캐비닛(10)의 제 1 개구(2a)로부터 터브(20)의 개구(21)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시에 전면프레임(10b)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90)의 일부분은 도어어셈블리(110)와 전면프레임(10b)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9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90)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4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4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42)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42)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42)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구동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가 마련된다.
세탁기(1)는 도어와 별개로, 도어를 열지 않고 세탁기 내부로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하기 위한 보조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어어셈블리(100)는 제 1 개구(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00)는 제 1 개구(2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도어유닛(110)과, 도어유닛(1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도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유닛(110)은 캐비닛(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110)은 도어몸체(112)와 도어글래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몸체(112)는 도어유닛(110)의 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몸체(112)는 제 1 개구(2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몸체(112)가 캐비닛(10)에 대해 회전하여, 도어어셈블리(100)가 제 1 개구(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도어몸체(112)는 제 1 개구(2a)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개구(2a)가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어몸체(112)도 원형 또는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개구(2a)는 원형이고 도어몸체(112)는 사각형 또는 둥근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유닛(110)은 제 2 개구(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112a)는 도어몸체(11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개구(112a)가 도어글래스(12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2 개구(112a)는 이후 설명하는 보조도어(150)에 의해 제 1 개구(2a)와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 1 개구(2a)가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폐쇄된 경우에도, 보조도어(150)로 제 2 개구(112a)를 개방하여 추가적으로 세탁기의 내부로 세제 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2 개구(112a)는 캐비닛(10)의 내부 또는 드럼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어유닛(110)은 도어글래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글래스(120)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150b)에 있는 경우에도 세탁기의 외부에서 드럼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글래스(120)는 도어몸체(112)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150b)에 있는 경우 도어글래스(120)는 제 1 개구(2a)보다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드럼이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어글래스'라는 명칭은 도어에 설치된 투명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글래스'라는 용어로 인해 재질을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회동부(114)와 도어락킹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회동부(114)는 도어몸체(112)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부(114)는 도어몸체(112)의 일측에 결합되며, 도어몸체(112)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여 제 1 개구(2a)를 개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어락킹부(116)는 도어몸체(112)의 타측에 결합되며, 도어몸체(112)가 제 1 개구(2a)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에는 도어락킹부(116)에 대응되는 삽입부(118)가 마련되어, 도어몸체(112)가 제 1 개구(2a)를 폐쇄하는 경우 도어락킹부(116)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도어(150)는 제 2 개구(1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150)는 도어몸체(11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제 2 개구(1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보조도어(150)는 제 2 개구(112a)의 너비보다 같거나 더 넓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제 2 개구(112a)가 폐쇄되도록 마련된다.
도어몸체(112)는 도어글래스(120)에 대응되도록 도어홀(11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몸체(112)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어글래스(120)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도어홀(119)은 개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홀(119)은 제 2 개구(112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홀(119)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일례로, 제 2 개구(112a)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홀(119)에는 투명한 재질의 커버(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글래스(120)는 제 1 개구(2a)가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폐쇄되더라도, 드럼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글래스(120)는 도어몸체(112)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몸체(12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글래스의 재질로 형성되어,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글래스몸체(120)와 도어글래스(12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도어글래스(120)는 캐비닛(10)의 외부에서 캐비닛(1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도어글래스(120)는 글래스홀(124)을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홀(124)은 캐비닛(10)의 내부 세탁공간(5)과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 2 개구(112a)를 통해 유입되는 세제 또는 세탁물이 글래스홀(124)을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글래스홀(12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글래스홀(124)은 이후 설명하는 가이드 덕트(130)의 타측(130b)에 위치하며,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에는 제 2 개구(112a)가 위치한다.
도어글래스(120)는 도어몸체(112)에 안착 또는 도어몸체(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글래스몸체(122)의 단부에서 플랜지형상으로 마련되는 글래스플랜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플랜지(126)는 도어몸체(112)에 안착 또는 결합되어, 도어글래스(120)가 도어몸체(1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도어유닛(110)은 가이드 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30)는 양 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갖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덕트(130)는 그 일측(130a)이 제 2 개구(112a)와 연결되고, 그 타측(130b)이 글래스홀(124)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150)는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을 밀폐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30)는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에서 제 2 개구(112a)를 통해 유입되는 세제 또는 세탁물이, 가이드 덕트(130)의 몸체(130c)를 지나 가이드 덕트(130)의 타측(130b)에서 글래스홀(124)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30)의 내주면을 덕트 내면(13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덕트 내면(132)은 제 2 개구(112a)와 글래스홀(12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제 2 개구(112a)로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가 글래스홀(124)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덕트 내면(13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개구(112a)와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이, 글래스홀(124)과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타측(130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개구(112a)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 또는 세제가 용이하게 드럼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조도어(150)는 제 2 개구(112a)를 개방하는 개방위치(150a, 도 3 참고)와, 제 2 개구(112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150b, 도 1 참고)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보조도어(150)는 보조도어몸체(152)와, 보조도어몸체(152)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부도어(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152)는 외부도어라고 명명할수도 있다.
보조도어(150)는 단열성 또는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가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캐비닛(10) 내부의 열기가 보조도어(150)에 전달되어 보조도어(150)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사용자는 온도가 높아진 보조도어(150)에 접촉하는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도어(150)는 단열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150) 내측의 세탁공간(5)에 유동하는 공기의 열이 보조도어(150)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152)는 보조도어(15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내부도어(17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152)에는 도어몸체(112)에 선택적으로 락킹될 수 있도록 락킹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락킹유닛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보조도어몸체(152)와 도어몸체(112)사이에는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와 폐쇄위치(150b)를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유닛(160)이 마련될 수 있다. 힌지유닛(16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7과 앞선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내부도어(170)는 보조도어몸체(15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도어(170)는 제 2 개구(112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을 때 제 2 개구(112a)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도어(170)는 보조도어몸체(152)와 사이에 단열공간(17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 사이에는 단열공간(172)이 배치되어 있어,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을 때 세탁기 내부의 열이 제 2 개구(112a)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내부도어(170)는 캐비닛(10) 내부의 세탁공간(5)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내부도어(170)는 보조도어몸체(152)보다 단열성 또는 내열성이 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열공간(172)은 공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열공간(172)에 공기층은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간에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부도어(170)는 가이드 덕트(130)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도어(170)는 제 2 개구(112a)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 2 개구(112a)에 대응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으로부터, 글래스홀(124)에 대응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타측(130b)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단열공간(172)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세탁기(1)의 내부에서 가이드 덕트(130)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열이, 보조도어(150)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도어(170)의 볼록한 형상으로 가이드 덕트(130)에서의 공기유동을 방해하여 내부도어(170)로의 열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내부도어(170)는 도어결합플랜지(17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152)에는 도어결합플랜지(174)와 대응되는 결합면(15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결합플랜지(174)는 결합면(154)과 접촉하며, 도어결합플랜지(174)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나사결합하여, 보조도어몸체(152)와 내부도어(170)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가 결합하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가 결합하는 다른 예로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가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도어(170)는 플랜지실링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실링부(176)는 내부도어(17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도어(170)가 제 2 개구(112a)와 밀착하도록 마련된다.
플랜지실링부(176)는 도어결합플랜지(17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실링부(176)는 보조도어몸체(152)와 내부도어(170)의 결합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실링부(176)는 보조도어몸체(152)와 내부도어(170)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을 통해 세탁기(1) 내부의 공기 또는 세탁수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마련된다. 플랜지실링부(176)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는 경우에 보조도어(150)와 제 2 개구(112a)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실링부(176)는 실링부몸체(177)와, 실링부몸체(177)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실링결합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결합부(178)는 내부도어(170)의 도어결합플랜지(174)와 보조도어몸체(152)의 결합면(154)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링결합부(178)는 도어결합플랜지(174)와 결합면(154) 사이에서, 도어결합플랜지(174)와 결합면(154)과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실링결합부(178)는 보조도어몸체(152)와 내부도어(170)의 결합부위를 따라 배치됨으로서, 양 구성사이를 실링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실링부(176)는 플렉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몸체(177)는 제 2 개구(112a)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실링면(177a)과, 제 1 실링면(177a)의 타측면에서 제 2 개구(112a)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실링면(177b)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50)가 제 2 개구(112a)를 폐쇄시에 제 1 실링면(177a)은 제 2 개구(112a)와 접하게 되면서, 플랜지실링부(176)는 굽어지게 되어 제 2 개구(112a)와 보조도어(150)사이의 틈을 메우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에서 도어유닛과 보조도어를 분해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힌지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유닛(160)은 보조도어(150)를 도어몸체(112)로부터 회전시켜, 보조도어(150)가 제 2 개구(112a)를 개방하는 개방위치(150a)와, 제 2 개구(112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150b)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힌지유닛(160)은 회전부(162)와 회전가이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62)는 보조도어(150)에 마련되고, 회전가이드부(166)는 도어몸체(112)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162)가 도어몸체(112)에 마련되고, 회전가이드부(166)가 보조도어(15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회전부(162)는 보조도어(150)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회전부(162)는 보조도어(1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어, 보조도어(1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62)는 회전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는 회전가이드부(166)에 형성되는 회전홈(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짐으로서, 회전부(162)가 회전가이드부(166)에 대해 회전축(163)을 형성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회전부(162)에 회전홈이 형성되고 회전가이드부(166)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회전부(162)는 이후 설명하는 회전가이드부(166)의 안착면(167c), 가이드면(167b), 스토퍼(167a)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64)는 회전가이드부(166)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보조도어(150)의 동작을 가이드 또는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64)는 회전돌기(미도시)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64)는 회전가이드부(166)를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접촉면(164a)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부(166)는 안착면(167c)과 가이드면(167b)과 스토퍼(167a)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67c)은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을 때, 가이드돌기(164)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안착면(167c)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면(167c)에는 가이드돌기(164)의 가이드접촉면(164a)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을 때, 안정적으로 보조도어(150)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면(167b)은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와 개방위치(150a)사이를 이동할 때, 가이드돌기(164)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면(167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면(167b)에는 가이드돌기(164)의 가이드접촉면(164a)이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면(167b)은 안착면(167c)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설명하는 스토퍼(167a)와 안착면(167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와 개방위치(150a) 사이를 이동할 때, 부드럽게 보조도어(1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167a)는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 있을 때, 가이드돌기(16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167a)는 가이드면(167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164)가 걸리도록 마련되어, 가이드돌기(16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서, 과도하게 젖혀지지않도록 하여 보조도어몸체(152)가 도어몸체(112)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락킹유닛과 센서어셈블리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유닛(110)은 보조도어(150)의 개방위치(150a)와 폐쇄위치(150b)를 감지하는 센서어셈블리(140)와 락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어셈블리(140)는 보조도어(150)의 개방위치(150a) 또는 폐쇄위치(150b)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센서어셈블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어셈블리(140)는 제 1 센서(141)와 제 2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41)는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 있을 때는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서 폐쇄위치(150b)로 이동시에 보조도어몸체(152)에 의해 눌리도록 마련된다.
제 2 센서(142)는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 있을 때는 보조도어몸체(15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보조도어(150)가 개방위치(150a)에서 폐쇄위치(150b)로 이동시에 보조도어몸체(152)에 의해 눌려서 회전함으로서 보조도어몸체(15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제 1 센서(141)와 제 2 센서(142)는 센서어셈블리(14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보조도어(150)의 폐쇄위치(150b)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락킹유닛은 보조도어(150)를 폐쇄위치(150b)로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락킹유닛은 센서어셈블리(140)가 보조도어(15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락킹유닛은 보조도어(150)의 형성된 락킹홈(153)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돌기(145)와, 락킹돌기(145)를 동작하는 락킹제어부(146) 수 있다. 락킹제어부(146)는 센서어셈블리(140)의 제 1 센서(141), 제 2 센서(142)로부터 보조도어(150)의 폐쇄위치(150b)를 감지된 신호를 통해 락킹돌기(145)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 1 센서(141)와 제 2 센서(14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는 것을 감지하고, 세탁 또는 탈수 과정 중 일부과정에 있는 경우 락킹유닛은 락킹돌기(145)를 락킹홈(153)에 삽입시켜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를 이탈하지 않도록 강제로 락킹할 수 있다.
제 1 센서(141)와 제 2 센서(142)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보조도어(150)가 폐쇄위치(150b)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락킹제어부에 의해 보조도어(150)를 강제로 락킹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141)와 제 2 센서(142)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하더라도, 보조도어(150)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B를 확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와 인접한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어유닛(110)은 실링부재(18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80)은 가이드 덕트(130)의 타단과 도어글래스(120)의 글래스홀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도어글래스(120)와 가이드 덕트(130)는 직접적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 노출되므로, 양 구성을 실링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실링부재(180)은 가이드 덕트(130)와 도어글래스(120)를 실링함으로서, 캐비닛(10)의 내부로부터 세탁수 또는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180)은 실링캡(seal cap)(182)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캡(sealing cap)(182)은 일단이 가이드 덕트(130)의 일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글래스홀(124)과 인접한 도어글래스(1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실링캡(sealing cap)(182)은 가이드 덕트(130)와 도어글래스(120)사이에 배치되어 양 구성을 연결함으로서, 양 구성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가이드 덕트(130)의 일단과, 글래스홀(124)은 개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실링캡(182)도 이에 대응되도록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캡(182)은 가이드 덕트(130)와 연결되는 제 1 캡부(183)와, 글래스홀(124)과 연결되는 제 2 캡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캡부(183)와 제 2 캡부(18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덕트(130)와 도어글래스(120)는 그 둘레를 따라 각도를 달리하며 맞닿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캡부(183)와 제 2 캡부(188)도 이에 대응하여 그 둘레를 따라 상호간에 이루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캡(182)의 일단은 그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18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84)은 제 1 캡부(18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30)는 결합홈(184)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84)에 결합돌기(134)가 삽입하여 실링캡(182)을 가이드 덕트(1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 덕트(130)의 결합돌기(134)는 그 내주면(134a)과 외주면(134b)이 결합홈(184)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서, 실링캡(182)과 가이드 덕트(130)간의 실링을 이룰 수 있다.
실링부재(180)은 결합홈(184)과 결합돌기(134)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의 실링링(194)(sealing 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링(194)은 결합홈(184)과 결합돌기(134)가 결합시, 결합돌기(134)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홈(184)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링(194)의 단면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결합돌기(134)와 결합홈(184)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합돌기(134)의 내주면(134a)과 결합홈(184)의 내측면, 결합돌기(134)의 외주면(134b)과 결합홈(184)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실링구조와 함께, 안정적으로 가이드 덕트(130)와 실링캡(182)사이를 실링할 수 있게 된다.
실링캡(182)은 실링캡(182)의 일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86)는 실링캡(182)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걸림부(186)에는 홀 형상의 걸림홈(186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86)는 제 1 캡부(183)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30)는 걸림가이드(13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가이드(136)는 가이드 덕트(130)의 일단의 외주면(134b)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덕트(130)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걸림가이드(136)는 가이드 덕트(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가이드(136)는 걸림부(18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36a)이 형성되며, 걸림가이드(136) 는 그 내측으로 걸림홈(186a)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3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걸림부(186)가 삽입홀(136a)에 삽입되고, 걸림돌기(136b)가 걸림홈(186a)에 걸림으로서, 실링캡(182)과 가이드 덕트(130)를 결합할 수 있다.
걸림부(186)와 걸림가이드(13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실링캡(182)의 둘레를 따라 6개소가 마련된다. 실링캡(182)의 걸림홈(186a)이 가이드 덕트(130)의 걸림돌기(136b)에 걸리도록 실링캡(182)과 가이드 덕트(130)를 결합함으로서, 실링캡(182)와 가이드 덕트(130)가 상호간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캡(182)은 그 타단에서 둘레를 따라 글래스홀(124)과 인접한 도어글래스(120)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실링캡접촉면(189)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캡접촉면(189)은 제 2 캡부(18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링캡접촉면(189)은 도어글래스(120)와 접하도록 마련되며, 면접촉을 통해 양 구성간을 실링할 수 있다.
실링부재(180)은 실링캡접촉면(189)에 도포되어 도어글래스(120)와 실링캡(182)을 밀착시키는 실링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제(19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일례로 우레탄이 적용될 수 있다.
실링부재(180)은 실링캡접촉면(189)의 외곽에서 실링캡접촉면(189)보다 돌출형성되는 접촉리브(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리브(192)는 도어글래스(120)와 실링캡(182)을 결합시 도어글래스(1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실링캡접촉면(189)에 도포된 실링제(190)가 실링캡(182)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접촉리브(192)는 도어글래스(1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실링캡(182)과 도어글래스(120)를 밀착시켜준다.
도어글래스(120)는 글래스홀(124)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유입방지돌기(13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방지돌기(138)는 실링부재(180)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며, 캐비닛(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유입방지돌기(138)는 실링부재(180)과 도어글래스(120)의 결합부위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도어글래스(12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거나, 캐비닛(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또는 세탁수가 실링부재(180)과 도어글래스(120)의 결합부위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이다.
보조도어(250)는 제 2 개구(112a)를 개폐하도록 도어유닛(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보조도어(250)는 제 2 개구(112a)에 대응되는 보조도어몸체(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252)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면(252a)과, 외부면(252a)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내부면(25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면(252b)은 제 2 개구(112a)에 대응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일측(130a)으로부터, 글래스홀(124)에 대응되는 가이드 덕트(130)의 타측(130b)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도어몸체(252)는 단열성 또는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도어몸체(252) 내측의 세탁공간(5)에 유동하는 공기중의 열이 보조도어(250)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도어의 단면도이다.
내부도어(170)는 보조도어몸체(152)와 사이에 단열공간(17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내부도어(170)와 보조도어몸체(152) 사이에는 단열공간(172)이 배치되어 있어, 보조도어(350)가 폐쇄위치(150b)에 있을 때 세탁기 내부의 열이 제 2 개구(112a)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단열공간(172)에는 단열재(172b)가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172b)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도어(170)로부터 외부도어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이를 단열시키는 재질의 단열재(172b)이면 이를 만족한다.
단열공간(172) 내부에서의 단열재(172b)의 배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종류의 단열재(172b)가 겹겹히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2a : 개구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90 : 다이아프램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도어유닛
112 : 도어몸체 112a : 제 2 개구
120 : 도어글래스 130 : 가이드 덕트
140 : 센서어셈블리 145 : 락킹돌기
150 : 보조도어 150a : 개방위치
150b : 폐쇄위치 152 : 보조도어몸체
153 : 락킹홈 160 : 힌지유닛
170 : 내부도어 172 : 단열공간

Claims (17)

  1. 제 1 개구를 갖고, 내부에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제 2 개구를 갖는 도어몸체;
    글래스홀을 갖는 도어글래스;및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글래스홀을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홀과 상기 가이드 덕트는 실링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래스홀과 연결되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세탁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실링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걸림홈이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에서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의 실링링(sealing ring);을 포함하는 세탁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캡의 타단과 상기 도어글래스를 밀착시키는 실링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도어글래스와 마주하며 상기 실링제가 도포되는 실링캡접촉면;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접촉면의 외곽에서 상기 실링캡접촉면보다 돌출형성되어 상기 실링제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실링캡접촉면과 인접한 제 1 접촉리브;
    상기 제 1 접촉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 2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 1 접촉리브와 상기 제 2 접촉리브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실링캡과 상기 도어글래스사이를 밀폐하는 리브접촉링;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글래스는,
    상기 실링부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유입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1 개구를 갖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제 2 개구를 갖고, 상기 제 1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유닛;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제 2 개구와 연통하는 글래스홀을 갖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와 마주하는 도어글래스;
    상기 글래스홀과 상기 제 2 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
    상기 도어글래스와 상기 가이드 덕트를 실링하는 실링부재;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래스홀과 인접한 상기 도어글래스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 일단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캡의 타단과 상기 도어글래스를 밀착시키는 실링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도어글래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도어글래스와 접촉하는 실링캡접촉면;
    상기 실링캡접촉면의 외곽에서 상기 실링캡접촉면보다 돌출형성되어 상기 실링캡접촉면과 상기 도어글래스사이로 공기와 세탁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50120875A 2015-08-27 2015-08-27 세탁기 KR10189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75A KR101890260B1 (ko) 2015-08-27 2015-08-27 세탁기
MX2017016390A MX2017016390A (es) 2015-08-27 2016-08-12 Lavadora.
EP16839486.4A EP3287556B1 (en) 2015-08-27 2016-08-12 Washing machine
SG11201710082TA SG11201710082TA (en) 2015-08-27 2016-08-12 Washing machine
PCT/KR2016/008889 WO2017034197A1 (ko) 2015-08-27 2016-08-12 세탁기
AU2016310964A AU2016310964B2 (en) 2015-08-27 2016-08-12 Washing machine
SG10202001773XA SG10202001773XA (en) 2015-08-27 2016-08-12 Washing machine
BR112017027128-1A BR112017027128B1 (pt) 2015-08-27 2016-08-12 Máquina de lavar roupas
CN201680034728.3A CN107771229B (zh) 2015-08-27 2016-08-12 洗衣机
CL2017003049A CL2017003049A1 (es) 2015-08-27 2017-11-30 Maquina lavadora.
US15/868,707 US10415174B2 (en) 2015-08-27 2018-01-11 Washing machine
US16/530,675 US10526744B2 (en) 2015-08-27 2019-08-02 Washing machine
US16/727,143 US11486075B2 (en) 2015-08-27 2019-12-26 Washing machine
US18/046,114 US11859335B2 (en) 2015-08-27 2022-10-1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75A KR101890260B1 (ko) 2015-08-27 2015-08-27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47A true KR20170025047A (ko) 2017-03-08
KR101890260B1 KR101890260B1 (ko) 2018-09-28

Family

ID=5810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75A KR101890260B1 (ko) 2015-08-27 2015-08-27 세탁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10415174B2 (ko)
EP (1) EP3287556B1 (ko)
KR (1) KR101890260B1 (ko)
CN (1) CN107771229B (ko)
AU (1) AU2016310964B2 (ko)
BR (1) BR112017027128B1 (ko)
CL (1) CL2017003049A1 (ko)
MX (1) MX2017016390A (ko)
SG (2) SG10202001773XA (ko)
WO (1) WO2017034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075B2 (en) 2015-08-27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052A (ko)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1484B1 (ko) 2015-08-17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1461B1 (ko) 2015-12-09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6906611A (zh) * 2015-12-23 2017-06-3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KR102482469B1 (ko) * 2015-12-24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323929B1 (en) 2016-11-21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136088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11346039B2 (en) 2019-05-08 2022-05-31 Whirlpool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13718491A (zh) * 2020-05-22 2021-11-30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洗涤设备的门体组件、洗涤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6264A (en) * 1940-01-30 1942-09-2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Laundry apparatus
US2813414A (en) * 1955-05-27 1957-1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fabrics
US3505836A (en) * 1968-04-01 1970-04-14 John T Langston Washing machine
US5881579A (en) * 1997-05-05 1999-03-16 Maytag Corporation Door boot with varying angle lip seal
US6256823B1 (en) * 1999-06-29 2001-07-10 The Chardon Rubber Company Bellows for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s
SE515305C2 (sv) * 1999-11-05 2001-07-09 Electrolux Ab Packning för en tvättmaskinslucka
EP1134074A1 (en) 2000-03-13 2001-09-19 Dsm N.V. Reinforced laminar product of a thermosetting aminoplast resin mixture and fibrous material
DE10031172A1 (de) * 2000-06-27 2002-01-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Dichtungseinrichtung
ITMI20011153A1 (it) * 2001-05-31 2002-12-02 Candy Spa Sportello per elettrodomestico e relativo elettrodomestico
KR100484795B1 (ko) * 2002-01-0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DE60319170T2 (de) * 2002-03-13 2008-05-29 Fujifilm Corp. Silberhalogenidhaltiges lichtempfindliches photographisches Material beinhaltend ein Kohlenwasserstoff- und ein fluoriertes Tensid
KR100595180B1 (ko) * 2002-07-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0447664B1 (ko) * 2002-08-13 2004-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0484838B1 (ko) * 2002-11-2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개스킷
KR100465715B1 (ko) * 2002-12-02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투입구 실링 구조
US7478502B2 (en) *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US8061480B2 (en) * 2004-02-05 2011-11-22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Drag harness improvements
KR101016306B1 (ko) * 2004-02-13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개스킷
KR101054404B1 (ko) 2004-02-13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KR20060023016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673446B1 (ko) * 2004-10-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DE102005023445A1 (de) * 2005-05-20 2006-1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KR101138697B1 (ko) * 2005-06-30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식 건조기용 도어 어셈블리
KR101257703B1 (ko) * 2006-04-13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DE102006036352B4 (de) * 2006-08-02 2009-11-12 Miele & Cie. Kg Bullaugentür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aschtrockner oder Wäschetrockner
KR101256148B1 (ko) * 2007-12-27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켓 및 가스켓의 압출 성형 방법
US8499592B2 (en) * 2007-12-31 2013-08-06 Eyup Gokceimam Washer/dryer
KR101481518B1 (ko) * 2008-03-10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50843B1 (ko) * 2008-10-10 2015-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101636074B1 (ko) * 2009-01-05 2016-07-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US20110025178A1 (en) * 2009-07-30 2011-02-0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or fram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BRPI0904932A2 (pt) * 2009-11-24 2011-07-19 Mueller Eletrodomesticos S A aperfeiçoamento em porta de eletrodoméstico
EP2415920B1 (en) * 2010-08-06 2013-05-29 Fagor, S. Coop. Washing machine with a door comprising a cavity adapted to house a load
KR101812166B1 (ko) 2010-11-11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9340917B2 (en) * 2011-12-15 2016-05-17 Whirlpool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140006647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E102012212550A1 (de) * 2012-07-18 2014-0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an einem Wäschepflegegerät
KR102127719B1 (ko) * 2013-07-08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073314B1 (ko) * 2014-04-11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60103888A (ko) * 2015-02-25 2016-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02721B1 (ko) 2015-02-25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19052A (ko)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1484B1 (ko) 2015-08-17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0260B1 (ko) 2015-08-27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471461B1 (ko) 2015-12-09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482469B1 (ko) 2015-12-24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075B2 (en) 2015-08-27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859335B2 (en) 2015-08-2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71229A (zh) 2018-03-06
EP3287556A1 (en) 2018-02-28
EP3287556A4 (en) 2018-05-02
US11859335B2 (en) 2024-01-02
SG10202001773XA (en) 2020-04-29
US11486075B2 (en) 2022-11-01
KR101890260B1 (ko) 2018-09-28
CN107771229B (zh) 2021-06-01
AU2016310964A1 (en) 2017-12-21
CL2017003049A1 (es) 2018-03-09
MX2017016390A (es) 2018-05-02
WO2017034197A1 (ko) 2017-03-02
SG11201710082TA (en) 2018-01-30
BR112017027128A2 (pt) 2018-08-14
EP3287556B1 (en) 2021-09-29
US20180135231A1 (en) 2018-05-17
AU2016310964B2 (en) 2018-10-18
US20200131691A1 (en) 2020-04-30
US10415174B2 (en) 2019-09-17
BR112017027128B1 (pt) 2022-07-12
US20230053943A1 (en) 2023-02-23
US10526744B2 (en) 2020-01-07
US20190352837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60B1 (ko) 세탁기
KR102627713B1 (ko) 세탁기
US10738406B2 (en) Washing machine
KR102471461B1 (ko) 세탁기
US10053811B2 (en) Washing machine
US20150292135A1 (en) Washing machine
US10774455B2 (en) Washing machine
US11028515B2 (en) Washing machine
KR102071890B1 (ko) 세탁기
KR10200242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