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246A - 자동차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246A
KR20170024246A KR1020150119267A KR20150119267A KR20170024246A KR 20170024246 A KR20170024246 A KR 20170024246A KR 1020150119267 A KR1020150119267 A KR 1020150119267A KR 20150119267 A KR20150119267 A KR 20150119267A KR 20170024246 A KR20170024246 A KR 2017002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orm shaft
coupled
magn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1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246A/ko
Publication of KR2017002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72Controlling the motor f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지지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웜축과 간극이 형성되되 함께 회전하고, 외측에 웜축베어링의 내륜이 결합되는 고정부재, 웜축이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연장부가 결합되는 홀더부재, 기어하우징 내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홀더부재가 결합되는 홀더삽입홈과 웜축베어링의 외륜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캡부재, 홀더부재의 웜휠 반대방향에 형성된 제1자석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 캡부재의 둘레에 구비되되 제1자석부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자석부재와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감속기{Reduc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을 감지하여 웜축이 웜휠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래틀 소음과 진동이 저감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 산포를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되고 불편이 해소되는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100)는 웜(152)이 형성된 웜축(154)이 구비되고, 웜축(154)의 양단에는 웜축 베어링(157)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154)을 지지하며, 웜축 베어링(157)이 웜축(154)의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볼트(110)가 댐핑 커플러(140)와 웜축 베어링(157) 사이에 체결되고, 플러그 볼트(110)는 플러그 너트(120)에 의해 고정된다.
웜축(154)은 댐핑 커플러(140)를 매개로 모터(146)와 연결되며 모터(146)의 구동에 의해 웜축(15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웜축(154) 상에 형성된 웜(152)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152)의 외경에는 웜휠(156)이 구비되며, 웜휠(156)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6)에 장착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한 웜축(154)의 회전력이 조향축(106)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기어 하우징(160)에는 웜(152), 웜휠(156) 등이 내주하고 기어 하우징(160)의 일측으로 웜축(1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6)가 구비되며, 기어 하우징(160)과 모터(146)는 모터 커버(130)에 의해 볼트(150)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감속기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축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하여 조향축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에 따라 웜축이 웜휠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웜축과 웜휠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며 그에 따라 운전자에게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가 바뀌어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한 웜축과의 유격과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가 발생되며,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지 못해 운전자의 조향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을 감지하여 웜축이 웜휠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래틀 소음과 진동이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 산포를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되고 불편이 해소되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지지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웜축과 간극이 형성되되 함께 회전하고, 외측에 웜축베어링의 내륜이 결합되는 고정부재, 웜축이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연장부가 결합되는 홀더부재, 기어하우징 내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홀더부재가 결합되는 홀더삽입홈과 웜축베어링의 외륜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캡부재, 홀더부재의 웜휠 반대방향에 형성된 제1자석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 캡부재의 둘레에 구비되되 제1자석부재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자석부재와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을 감지하여 웜축이 웜휠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되며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래틀 소음과 진동이 저감되고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자석부재와 제2자석부재의 척력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조절되며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 산포가 줄어들게 되며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되고 불편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윔휠 반대방향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의 웜축의 웜휠방향 또는 윔휠 반대방향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는 웜축(201)의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지지부재(211)를 매개로 결합되어 웜축(201)과 간극이 형성되되 함께 회전하고, 외측에 웜축베어링(205)의 내륜이 결합되는 고정부재(210), 웜축(201)이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03)가 구비되며 연장부(203)가 결합되는 홀더부재(220), 기어하우징(240) 내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홀더부재(220)가 결합되는 홀더삽입홈(231)과 웜축베어링(205)의 외륜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홈(233)이 형성된 캡부재(230), 홀더부재(220)의 웜휠(202) 반대방향에 형성된 제1자석결합부(221)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250), 캡부재(230)의 둘레에 구비되되 제1자석부재(25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자석부재(250)와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부재(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감속기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이외에도 웜축과 웜휠을 이용한 어떠한 감속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감속기로 설명한다.
웜휠(202)은 웜축(201)과 치합되는데, 이러한 웜휠(202)은 조향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조향축(206)에 결합된다.
웜축(2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웜휠(202)과 치합되는데, 웜축(201)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205)이 결합되며, 이러한 웜축베어링(205)은 기어하우징(24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웜축(201)의 양단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205) 중 웜축(201)의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205)은 외륜이 후술할 캡부재(23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내륜이 후술할 고정부재(2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고정부재(210)는 웜축(201)의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데, 고정부재(210)와 웜축(201) 사이에는 지지부재(211)가 결합되어 고정부재(210)와 웜축(201) 사이를 지지해주며 경우에 따라 고정부재(210)로부터 웜축(201)이 웜휠(202)방향 또는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10)의 외주면에는 단차지며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안착부(213)가 구비되어 웜축베어링(205) 내륜이 안착부(213)에 결합되어 조립고정된다.
지지부재(211)는 고정부재(210)와 웜축(201) 사이에 결합되어 간극을 형성하며, 그로 인해 고정부재(210)로부터 웜축(201)이 웜휠(202)방향 또는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모터(207)의 구동에 따라 웜축(201)의 회전시 지지부재(211)와 고정부재(210), 웜축베어링(205)의 내륜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11)가 웜축(201)의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웜축(201)에는 지지부재 결합홈(204)이 형성되며 지지부재 결합홈(204)에 지지부재(211)가 결합되어 위치고정된다.
캡부재(230)는 기어하우징(240) 내측에 결합되는데, 내측에 후술할 홀더부재(220)가 결합되는 홀더삽입홈(231)과 홀더삽입홈(231)에서 단차지며 내경이 커지게 형성되어 웜축베어링(205) 외륜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홈(233)이 구비된다.
이처럼 웜축베어링(205)은 외륜이 베어링삽입홈(233)에 결합되며 내륜이 안착부(213)에 결합되어 조립고정된다.
또한, 웜축(201)에는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03)가 구비되며 연장부(203)가 홀더부재(220)에 결합되는데, 연장부(203)는 홀더부재(22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부재(220)는 제1자석부재(250)가 결합되어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홀더부재(220)의 웜휠(202) 반대방향에 제1자석부재(250)가 결합되는 제1자석결합부(221)가 형성된다.
제1자석결합부(221)의 제1자석부재(250)가 결합되는 면은 웜휠(202)방향에 수직으로, 제2자석부재(260)와 척력이 발생되면 제1자석부재(250)는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이러한 제1자석부재(250)와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부재(260)가 캡부재(230)의 제2자석결합부(237)에 구비되어 제1자석부재(25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제2자석부재(260)는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자석부재(250)와 척력이 발생되며 척력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자석부재(250)는 홀더부재(220)의 제1자석결합부(221)에 결합되며 제2자석부재(260)는 홀더삽입홈(231)의 제2자석결합부(237)에 결합되어서, 마주보는 제1자석부재(250)와 제2자석부재(26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면 제1자석부재(250)가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이때, 제1자석부재(250)는 영구자석으로 구비되며, 제2자석부재(260)는 전자석으로 구비되어 전자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며 제1자석부재(250)와는 항상 척력이 발생되며 척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웜축(201)과 웜휠(202)은 제조상의 오차로 인하여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가 발생되거나, 웜휠(202)의 마모나 웜휠(202)의 흡습팽창으로 인하여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가 발생될 수 있는데, 제2자석부재(260)의 제1자석부재(250)와의 척력을 조절함에 따라 운전자가 일정 힘으로 조향휠을 회전시켰을 때 자동차가 항상 같은 각도로 조향되게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백래쉬 과대의 경우에 비해 백래쉬 과소의 경우에는 웜축(201)의 치와 웜휠(202)의 치 사이의 마찰이 증대되어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키려는 힘이 증대되며, 백래쉬 과대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키려는 힘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운전자가 일정 힘으로 조향휠을 회전시켰을 때 자동차가 항상 같은 각도로 조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자석부재(260)와 제1자석부재(250) 사이에는 평상시에도 척력이 발생되어 웜축(201)과 웜휠(202) 사이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여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자석부재(260)는 전자제어장치에서 인가해주는 전류를 조절하여 자기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경우에 따라 제1자석부재(250)와 제2자석부재(260) 사이의 척력을 조절하여 제1자석부재(250)가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하는 힘을 조절한다.
또한, 제2자석부재(260)와 일체로 형성되는 센서부재(280)가 구비되며, 센서부재(280)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 제2자석부재(260)의 자기력을 조절한다.
센서부재(280)는 도면에는 제2자석부재(260)와 일체로 형성되나, 조향컬럼 또는 차량에 부착되는 등 차량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재(280)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데,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과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며,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이 크면 제2자석부재(260)의 자기력을 크게하여 역입력 진동이 전해짐에 따라 웜축(201)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주어 웜축(201)과 웜휠(202)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켜준다.
또한, 차량이 비포장도로 또는 거친 노면을 주행시 제2자석부재(260)의 자기력을 크게 하여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하는 힘을 크게하며, 차량이 상대적으로 거칠지 않은 노면을 주행시 제2자석부재(260)의 자기력을 작게 하여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하는 힘을 낮춰서, 웜축(201)과 웜휠(202)의 회전토크 산포를 줄이며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자석부재(260)의 제1자석부재(25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을 지지해주도록, 기어하우징(240)에는 조립홀(241)이 형성되며 조립홀(241)에 마개부재(270)가 결합되어 제2자석부재(260)를 지지해주게 된다.
또한, 마개부재(270)에는 관통홀(371)이 구비되어 제2자석부재(260)와 연결되는 전선(209)이 관통홀(37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제2자석부재(260)는 제1자석부재(250)와 척력이 발생되며, 마개부재(270)가 제2자석부재(260)의 제1자석부재(25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을 지지해주어 제1자석부재(250)와 제2자석부재(260) 사이의 척력으로 제2자석부재(260)가 제1자석부재(250)를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해준다.
한편, 기어하우징(240)에 캡부재(230), 홀더부재(220)가 조립될 때 각각에 구비되는 제2자석부재(260)와 제1자석부재(250)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제1자석부재(250)가 웜축(201)을 웜휠(202)방향으로 지지해줄 수 있게 조립되야 한다.
이에 따라 기어하우징(240)에는 캡결합홀(243)이 형성되며 캡부재(230)는 홀더부재(220)가 결합되는 반대편에 돌출되는 돌출부(235)가 형성되어 캡결합홀(243)에 돌출부(235)가 결합된다.
이때, 돌출부(235)는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며 캡결합홀(243)은 돌출부(2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하우징(240)에 캡부재(230)가 조립될 때 회전하여 조립되는 것이 방지되며 정확하게 조립됨에 따라 제2자석부재(260)의 위치도 정확하게 조립되게 된다.
또한, 홀더부재(220)의 외측에 평면형상의 슬라이딩부(323)가 평행하게 구비되며, 홀더삽입홈(231)에는 각 슬라이딩부(323)가 지지되는 지지면(231a)이 구비되어 홀더삽입홈(231)에 홀더부재(220)가 회전하여 조립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슬라이딩부(323)와 지지면(231a)이 맞닿게 조립됨에 따라 홀더부재(220)는 홀더삽입홈(231)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되며, 홀더삽입홈(231)의 지지면(231a)을 따라 홀더부재(220)가 웜휠(202)방향 또는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5의 (a)는 웜축(201)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웜휠(202)의 마모로 인한 웜축(201)과의 유격이 발생되면 제1자석부재(250)와 제2자석부재(260) 사이의 척력으로 웜축(201)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웜축(201)이 고정부재(210)에 지지부재(211)를 매개로 간극을 형성하면서 결합되어 있어서 고정부재(210)로부터 웜축(201)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211)가 압축되고, 웜축(201)의 연장부(203)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부재(220)와 제1자석부재(250)도 함께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도 5의 (b)는 웜축(201)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웜휠(202)의 흡습팽창으로 인하여 웜휠(202)의 치와 웜축(201)의 치 사이에 마찰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웜축(201)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웜축(201)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211)가 압축되고, 웜축(201)의 연장부(203)에 결합된 홀더부재(220)와 제1자석부재(250)도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단, 모터(207)의 구동에 따른 웜축(201)의 회전시 홀더부재(220)는 회전하지 않으며 지지부재(211)와 고정부재(210), 웜축베어링(205)의 내륜이 회전하게 된다.
고정부재(210)는 지지부재(211)를 매개로 웜축(201)에 결합되어 웜축(201)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며, 고정부재(210)의 안착부(213)가 웜축베어링(205) 내륜을 지지해주어 웜축(20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전해지는 역입력 진동을 감지하여 웜축이 웜휠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되며 웜축과 웜휠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래틀 소음과 진동이 저감되고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자석부재와 제2자석부재의 척력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조절되며 웜축을 웜휠방향으로 지지해주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회전토크 산포가 줄어들게 되며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되고 불편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웜축 202: 웜휠
203: 연장부 204: 지지부재 결합홈
205: 웜축베어링 206: 조향축
207: 모터 208: 모터축
209: 전선 210: 고정부재
211: 지지부재 213: 안착부
220: 홀더부재 221: 제1자석결합부
230: 캡부재 231: 홀더삽입홈
231a: 지지면 233: 베어링삽입홈
235: 돌출부 237: 제2자석결합부
240: 기어하우징 241: 조립홀
243: 캡결합홀 250: 제1자석부재
260: 제2자석부재 270: 마개부재
280: 센서부재 323: 슬라이딩부

Claims (6)

  1.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지지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웜축과 간극이 형성되되 함께 회전하고, 외측에 웜축베어링의 내륜이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웜축이 상기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가 결합되는 홀더부재;
    기어하우징 내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홀더부재가 결합되는 홀더삽입홈과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륜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캡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상기 웜휠 반대방향에 형성된 제1자석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자석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제2자석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와 마주보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자석부재와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상기 센서부재에서 감지된 진동에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전자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에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에 마개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2자석부재를 상기 웜휠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에는 캡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상기 홀더부재가 결합되는 반대편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결합홈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외측에 슬라이딩부가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홀더삽입홈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지지되는 지지면이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재가 상기 홀더삽입홈을 따라 상기 웜휠방향 또는 상기 웜휠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의 상기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는 지지부재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결합홈에 결합되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KR1020150119267A 2015-08-25 2015-08-25 자동차의 감속기 KR20170024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67A KR20170024246A (ko) 2015-08-25 2015-08-25 자동차의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67A KR20170024246A (ko) 2015-08-25 2015-08-25 자동차의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46A true KR20170024246A (ko) 2017-03-07

Family

ID=5841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67A KR20170024246A (ko) 2015-08-25 2015-08-25 자동차의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4311B2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60087004A (ko) 자동차의 감속기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723732B1 (ko)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2012014030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057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10011294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80089629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7008089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KR101615230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웜샤프트 구조체
JP2007285472A (ja) 減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8006152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KR101399792B1 (ko) 유성 기어 장치
KR20080039596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KR10169427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5254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3782748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9329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239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70024246A (ko) 자동차의 감속기
KR20150028887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0804476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웜축 유격보상구조
JP201001295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電動モータ
KR20060101622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감속기 유격보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