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49A -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49A
KR20170023749A KR1020167004050A KR20167004050A KR20170023749A KR 20170023749 A KR20170023749 A KR 20170023749A KR 1020167004050 A KR1020167004050 A KR 1020167004050A KR 20167004050 A KR20167004050 A KR 20167004050A KR 20170023749 A KR20170023749 A KR 2017002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hotographing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403B1 (ko
Inventor
페이 시앙리
쭈앙 치엔
빠오커 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04N5/232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259
    • H04N5/23219
    • H04N5/23293
    • H04N5/2354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으로,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는 단계;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했다.

Description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및 기기{ CONTROL METHOD, DEVICE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HOOTING FUNCTION }
본원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510462838. 7이고, 출원일자가 2015 년 7 월 31 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신호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보편화에 따라, 휴대 전화에 내장된 촬영기능은, 이미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스마트 폰의 제일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잡았다. 촬영할 때 대다수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런트 카메라 혹은 리어 카메라를 수동적으로 전환하여 여러가지 촬영 목적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한다.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는 단계;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프런트 카메라 촬영, 혹은,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플래시의 동작 상태를 온, 오프, 혹은,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런트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하나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 멀티 슬라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표시 스크린의 우측 영역, 및 표시 스크린의 하측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프런트 카메라 촬영, 혹은,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플래시의 동작 상태를 온, 오프, 혹은, 자동으로 전환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런트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하나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기 위한 제 1 취득 유닛;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유닛
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 멀티 슬라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기 위한 제 2 취득 유닛;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표시 스크린의 우측 영역, 및 표시 스크린의 하측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고,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표시 스크린 상에서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표시 스크린 상의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한다. 여기서, 소정의 터치 영역은, 한 손으로 쥐는 경우에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의해서 설정한 터치 영역이다.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도면들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기재는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확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컨셉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도면에 설명중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중에서, 도면을 설명 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의미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 방법을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여러 양태와 매칭한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 101에 있어서,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그 실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여기서,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및 노드 PC,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다.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서,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한다.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서의 상기 터치 영역의 위치는, 촬영자가 한 손으로 쥐고 촬영하는 과정에서 터치 조작하기 쉬운 위치이다. 예를 들면,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수직 방향 상의 우측 영역, 혹은, 표시 스크린 수직 방향 상의 좌측 영역, 혹은, 표시 스크린 수평 방향 상의 하측 영역일수 있다. 터치 영역의 구체적인 위치는, 실제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설정할수 있는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소정의 터치 영역을 모니터링 하여,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아래와 같다.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 유도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며, 촬영자의 손가락이 표시 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촬영자는 하나의 접지한 정전 용량에 상당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과 지면의 사이에 하나의 정전 용량을 생성된다. 유도 정전 용량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수 pF로부터 수십 pF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전 용량의 양의 변화 및 내장 타이머에 기반하여 촬영자가 표시 스크린을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수 있다. 정전 용량 터치 센서의 유도 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송신하는 터치 조작에는 범용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인 GPIO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GPIO의 식별자 정보에 기반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GPIO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수 있다. 때문에, 촬영자가 터치 영역에서 터치 조작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가 터치 영역이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소정의 터치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동작 원리는 아래와 같다. 소정의 기간내에 수신한 터치 조작의 정황에 기반하여 변화 경향을 취득하고, 보간 알고리즘에 따라서 현재의 손가락의 중심 위치를 정밀히 산출할수 있다. 위치의 변화, 즉, 손가락의 슬라이드의 방향 및 변위를 촬영자의 입력 정보로 변환시켜, 촬영자의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조작을 취득할수 있다. 여기서,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혹은, 멀티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단계 102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터치 영역이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동업자는,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는, 플래시,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는, 온, 오프, 및 자동등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는, 프런트 카메라 촬영, 및 리어 카메라 촬영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상기 프런트 카메라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는,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포함하며, 상기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는,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촬영자는, 촬영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카메라의 동작 상태가 리어 카메라 촬영 상태인 경우에 셀카하려고 하면, 소정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으로 터치 조작을 송신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리어 카메라 촬영 상태로부터 프런트 카메라 촬영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표시 스크린 상에서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표시 스크린 상의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했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중의 터치 영역은 하나일수도 있고, 복수개일수도 있다. 서로 다른 터치 영역의 분포 방법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의 내용도 서로 다르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가 터치 조작을 분석하는 과정도 서로 다르다.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2 내지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터치 영역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를 도 3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중의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한다.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102에 있어서, 터치 영역이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 20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제어 정보 중의 소정의 대응 관계를 검색하여,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더블 클릭은 카메라에 대응되고, 싱글 슬라이드는 플래시에 대응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제어 정보중의 소정의 전환 순서를 검색하여 현재의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취득하며, 상기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의 실시 과정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실시예중의 제어 정보는, 더블 클릭의 터치 조작은 카메라에 대응되고, 싱글 슬라이드의 터치 조작은 플래시에 대응되며, 카메라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는 "프런트 카메라 촬영리어 카메라 촬영"이며,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는 "온오프자동"이다.
촬영자가 터치 영역에 터치 조작을 송신한 것이 모니터링된 후에, 상기 터치 조작이 더블 클릭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피제어 요소가 카메라인 것으로 확정한다. 카메라의 현재의 동작 상태가 프런트 카메라 촬영이면, 카메라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인 "프런트 카메라 촬영리어 카메라 촬영"에 따라 프런트 카메라 촬영을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소정의 터치 조작이 모니터링 되면, 제어 정보 중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한 동시에, 촬영자의 터치 습관에 기반하여 개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을 개선했다.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 영역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를 도 5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 중의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한다.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102에 있어서, 터치 영역이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 30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터치 영역이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원리는 아래와 같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은 정전 용량 유도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며, 촬영자의 손가락이 표시 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촬영자는 하나의 접지한 정전 용량에 상당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과 지면의 사이에 하나의 정전 용량을 생성된다. 유도 정전 용량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수 pF로부터 수십 pF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전 용량의 양의 변화 및 내장 타이머에 기반하여 촬영자가 표시 스크린을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수 있다. 정전 용량 터치 센서의 유도 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송신하는 터치 조작에는 범용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인 GPIO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GPIO의 식별자 정보에 기반하여 소정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GPIO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수 있다. 때문에,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을 판단할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중의 소정의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와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단계 302에 있어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현재의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취득하고, 제어 정보중의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따라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의 실시 과정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실시예중의 소정의 터치 영역은,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포함한다.
소정의 제어 정보는, 좌측 영역에서의 더블 클릭의 터치 조작은 카메라에 대응되고, 카메라에 대응되는 변환은 "프런트 카메라 촬영리어 카메라 촬영"이며, 우측 영역에서의 싱글 슬라이드의 터치 조작은 플래시에 대응되고,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는 "온오프자동"이다.
촬영자의 좌측 영역에서의 더블 클릭의 터치 조작이 모니터링 되면, 현재의 피제어 요소가 카메라인 것으로 확정하여, 카메라의 현재의 동작 상태가 프런트 카메라 촬영이면, 카메라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인 "프런트 카메라 촬영리어 카메라 촬영"에 따라 프런트 카메라 촬영을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복수의 터치 영역에서 소정의 터치 조작이 모니터링 되면, 제어 정보 중의 각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한 동시에, 촬영자의 터치 습관에 기반하여 개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을 개선했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를 장치의 실시 예인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예를 실행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예를 참조할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수 있다. 상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이하의 모듈을 구비할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 (11)은,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한다.
제어 모듈 (12)은,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표시 스크린 상에서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표시 스크린 상의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혹은, 멀티 슬라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표시 스크린의 우측 영역, 및/혹은, 표시 스크린의 하측 영역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프런트 카메라 촬영, 혹은,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한다.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플래시의 동작 상태를 온, 오프, 혹은, 자동으로 전환한다.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런트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한다.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7을 나타낸다.
상기 터치 영역이 하나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 (12)는, 제1 취득 유닛 (121), 및 제1 전환 유닛 (122)을 구비한다.
제1 취득 유닛 (121)은,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제1 전환 유닛 (122)는,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소정의 터치 조작이 모니터링 되면, 제어 정보 중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한 동시에, 촬영자의 터치 습관에 기반하여 개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을 개선했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반하여, 도 8을 나타낸다.
상기 터치 영역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 (12)는, 제2 취득 유닛 (123) 및 제2 전환 유닛 (124)을 구비한다.
제2 취득 유닛 (123)은,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한다.
제2 전환 유닛 (124),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복수의 터치 영역에서 소정의 터치 조작이 모니터링 되면, 제어 정보 중의 각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한 동시에, 촬영자의 터치 습관에 기반하여 개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을 개선했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기는, 촬영 본체 (1), 및,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2), 및, 단말 기기의 표시 스크린 (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는, 휴대 전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및, 포켓 PC를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 본체 (1)은, 플래시, 및/혹은,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에 따르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표시 스크린 상에서 터치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표시 스크린 상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있어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한다. 이렇게 하여, 촬영할 때 촬영자의 터치 조작하기 쉬운 터치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해, 현재의 피제어 요소의 동작 상태에 대한 편리한 전환을 실현하여, 촬영 효율 및 촬영 품질을 개선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방법을 실현할수 있는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고,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 (1300)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기기 (1300)은,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타블렛 디바이스, 의료기기, 피트니스 기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등이어도 괜찮다.
도 10 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1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기기(13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태블릿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피트니스 디바이스, 개인 디지털 보조, 등일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3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 메모리(1304), 전원 어셈블리(13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 오디오 어셈블리(13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312), 센서 어셈블리(1314) 및 통신 어셈블리(13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는 통상적으로 기기(13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소자(13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3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트렉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 사이의 인트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3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되어 기기(13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기기(13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3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력 어셈블리(1306)는 기기(13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어셈블리(13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기기(13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는 상기 기기(13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기기(13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기기(13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 메모리(13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316)를 통하여 송신될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3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3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기기(13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314)는 기기(1300)의 온/오프 상태,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기기(13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시,센서 어셈블리(1314)는 기기(1300) 혹은 기기(13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기기(1300)사이의 접촉여부, 기기(13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기기(13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정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3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316)는 기기(13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기기(13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3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3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1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3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기기(1300)의 프로세서(13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인 기록 매체는, 기기(13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이 수행될 시, 기기(1300)에 상기의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시킬 수있다.
상기 방법은,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는 단계;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은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 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9)

  1.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는 단계;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프런트 카메라 촬영, 혹은,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플래시의 동작 상태를 온, 오프, 혹은,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런트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하나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 멀티 슬라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표시 스크린의 우측 영역, 및 표시 스크린의 하측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10.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프런트 카메라 촬영, 혹은, 리어 카메라 촬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플래시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플래시의 동작 상태를 온, 오프, 혹은,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프런트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런트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가 리어 카메라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리어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 혹은, 동영상 촬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하나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기 위한 제 1 취득 유닛;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현재의 피제어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터치 영역 내의 터치 조작과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상기 요소의 복수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요소를 취득하기 위한 제 2 취득 유닛;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전환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 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7.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은, 싱글 클릭, 멀티 클릭, 더블 클릭, 싱글 슬라이드, 및 멀티 슬라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8.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임의의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표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표시 스크린의 우측 영역, 및 표시 스크린의 하측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
  19.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촬영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기동한 것이 모니터링 되면, 촬영 어플리케이션 동작 인터페이스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기 쉬운 포리시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 설정된 소정의 터치 영역이 소정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의 모니터링을 기동하고,
    상기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 조작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 어플리케이션 중의 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기기.
KR1020167004050A 2015-07-31 2015-12-18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802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62838.7A CN105072336A (zh) 2015-07-31 2015-07-31 调节拍摄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201510462838.7 2015-07-31
PCT/CN2015/097806 WO2017020486A1 (zh) 2015-07-31 2015-12-18 调节拍摄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49A true KR20170023749A (ko) 2017-03-06
KR101802403B1 KR101802403B1 (ko) 2017-11-28

Family

ID=5450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50A KR101802403B1 (ko) 2015-07-31 2015-12-18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31557A1 (ko)
EP (1) EP3125531B1 (ko)
JP (1) JP2017535208A (ko)
KR (1) KR101802403B1 (ko)
CN (1) CN105072336A (ko)
MX (1) MX2016003877A (ko)
RU (1) RU2633187C1 (ko)
WO (1) WO20170204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716B1 (ko) * 2020-08-23 2021-03-10 정대성 실시간 원격지 영상 조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2336A (zh) * 2015-07-31 2015-1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节拍摄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05554377B (zh) * 2015-12-09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5630329A (zh) * 2015-12-17 2016-06-01 成都品果科技有限公司 在照相机的取景界面中生成下拉悬停工具栏的方法及系统
CN105721769A (zh) * 2016-01-20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设定方法及拍照设定装置
CN105491296A (zh) * 2016-01-20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设定方法及拍照设定装置
CN105872359A (zh) * 2016-03-25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切换摄像头的方法及装置
CN105847675A (zh) * 2016-03-25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照相机模式切换方法、装置及移动设备
CN109151296A (zh) * 2017-06-19 2019-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切换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515691A (zh) * 2017-07-31 2017-12-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CN109388327B (zh) * 2017-08-05 2022-02-11 荷兰移动驱动器公司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0372298B2 (en) 2017-09-29 2019-08-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DK201870364A1 (en) 2018-05-07 2019-12-03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JP2021018777A (ja) * 2019-07-24 2021-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CN114449153A (zh) * 2020-10-31 2022-05-0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拍摄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存储介质
US11671697B2 (en) 2021-01-31 2023-06-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e angle video conference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812135B2 (en) 2021-09-24 2023-11-07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604B2 (en) * 2004-03-23 2007-02-06 Fujitsu Limited Gesture identification of controlled devices
KR101058011B1 (ko) *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CN101432681B (zh) * 2006-03-30 2013-01-16 塞奎公司 用于使能圆形触摸板的功能的激励和操纵的系统和方法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10193031A (ja) * 2009-02-17 2010-09-02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11138185A (ja) * 2009-12-25 2011-07-14 Nikon Corp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744420B2 (en) * 2010-04-07 2014-06-03 Apple Inc. Establishing a video conference during a phone call
RU102285U1 (ru) * 2010-05-24 2011-02-20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ихеев Фото-видео камера на мобильном телефоне (варианты)
US8391702B2 (en) * 2010-12-17 2013-03-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duced pre-flash for LED flash based camera devices
CN106293580B (zh) * 2011-02-10 2020-06-09 三星电子株式会社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JP5565450B2 (ja) * 2012-05-22 2014-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出力装置
JP6139068B2 (ja) * 2012-06-26 2017-05-3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KR101917650B1 (ko) * 2012-08-03 2019-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902353B (zh) * 2012-08-17 2016-06-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照相设备的切换方法
JP5854280B2 (ja) * 2012-10-03 2016-02-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0168882B2 (en) * 2013-06-09 2019-01-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camera interfaces
CN103516900A (zh) * 2013-09-18 2014-01-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在系统休眠时启动前置后置摄像头的方法及装置
JP6327831B2 (ja) * 2013-10-28 2018-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995666B (zh) * 2014-04-30 2018-10-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设置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CN104156149B (zh) * 2014-07-18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拍摄参数调节方法及装置
CN104182173A (zh) * 2014-08-15 2014-12-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切换摄像头的方法和装置
CN104486543B (zh) * 2014-12-09 2020-11-27 北京时代沃林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终端触控方式控制云台摄像头的系统
CN104636065A (zh) * 2014-12-31 2015-05-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唤醒方法和装置
JP6128145B2 (ja) * 2015-02-24 2017-05-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4660913B (zh) * 2015-03-18 2016-08-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焦距调节方法和装置
CN104660912A (zh) * 2015-03-18 2015-05-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拍摄方法及拍摄装置
CN105072336A (zh) * 2015-07-31 2015-1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节拍摄功能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716B1 (ko) * 2020-08-23 2021-03-10 정대성 실시간 원격지 영상 조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5531B1 (en) 2022-05-04
MX2016003877A (es) 2017-04-25
EP3125531A1 (en) 2017-02-01
KR101802403B1 (ko) 2017-11-28
US20170031557A1 (en) 2017-02-02
JP2017535208A (ja) 2017-11-24
WO2017020486A1 (zh) 2017-02-09
RU2633187C1 (ru) 2017-10-11
CN105072336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403B1 (ko) 촬영기능을 조절하는 제어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10063760B2 (en) Photographing control methods and devices
RU2630189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функциями кнопок в режиме работы одной рукой, устройство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030461A (ko) 카메라 절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19985B1 (ko)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517236B2 (ja) 端末の作業モードを確定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900405B1 (ko) 충전 관리 방법, 충전 관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60095608A (ko) 터치 버튼과 지문 인식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장치, 단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102772B (zh) 触控方法及装置
EP31451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swer extension function
US114574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2017530493A (ja) 外付け機器の接続方法およ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317500A (zh) 应用图标排列方法和装置
WO2018000710A1 (zh) WiFi信号图标的展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20170132833A (ko) 압력 검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RU266530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очечной отчетности сенсорного экрана
CN104267881A (zh) 工具栏的操作方法及装置
CN104049864A (zh) 对象控制方法及装置
RU2609138C2 (ru) Способ, аппарат и терминал для перевода вызова
RU26175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106814958A (zh) 功能键的触控方法及装置
CN105204712B (zh) 文件夹图标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368280A (zh) 语音交互的音量控制方法、装置和语音交互设备
KR102184122B1 (ko) 화면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6325724B (zh) 触控响应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