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41A -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41A
KR20170023741A KR1020167003882A KR20167003882A KR20170023741A KR 20170023741 A KR20170023741 A KR 20170023741A KR 1020167003882 A KR1020167003882 A KR 1020167003882A KR 20167003882 A KR20167003882 A KR 20167003882A KR 20170023741 A KR20170023741 A KR 2017002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urrent state
state information
curr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275B1 (ko
Inventor
쉔 리
다위 순
차오 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 H04L67/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72Schedules, e.g. personal calen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해 과제해결수단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와의 연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연락자에게 통지함으로서,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았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지 못한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당해 사용자와 연락하기 전에 당해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TATE NOTIFICATION}
본 출원은 2015년 07월 27일 출원되고, 중국 출원번호 201510447091.8 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제출한 것으로,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는 회의 참석, 수업, 또는 취침 등 상황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렵지만, 연락자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1양태에 따르면, 상태 통지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 (binding) 된 스마트 웨어러블 (Wearable) 장치에 의해 피드백 (Feedback) 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태 통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 및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1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서브 모듈; 및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1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2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3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서브 모듈;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서브 모듈; 및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제2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생성 서브 모듈; 및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재생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 서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생성 서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모듈은,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태 통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과제해결수단은 이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온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 응답을 하기 어려운 상태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았거나 또는 메시지 응답을 하지 않은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 하여금 당해 사용자와 연락을 하기 전에 당해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여,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와의 연락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사용자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당해 기능을 통해 수동으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설정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또한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발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 검출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획득한 서로 다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선별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사용자의 실제 상태에 보다 적합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는 통화 연결음을 들은 이후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한 원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자발적으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고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고, 또는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본상태 벨소리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한 연락자는 통화 연결음을 들은 이후 즉시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한 원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주소록 목록에서 당해 사용자의 위치에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당해 사용자와 연락하기 전에 당해 사용자의 상태를 알게 할 수 있고,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와의 연락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할 세부사항에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하기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b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지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지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그 예시를 도면에 나타낸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때,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부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과제해결수단은,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에 관한 것이고,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 예를 들어, 회의 참석, 수업, 취침, 운동 또는, 비행기탑승 등 상황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등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락자는 당해 사용자의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 와의 연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당해 단말기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설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등과 같은 통신기능을 갖춘 장치일 수 있다.
도 1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통지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11a; 및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S12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는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상태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았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은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고, 또는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당해 사용자와 연락하기 전에 당해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여,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와의 연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b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통지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11b; 및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S12b를 포함한다.
그 중, 단계 S12b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아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방식 1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21; 및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설정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22를 포함한다.
또는, 단말기는 사용자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기능을 통해 수동으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경우, 설정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방식 2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은,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S31; 및
달력 이벤트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S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달력에 의해, 당해 사용자가 2015년 7월 23일 9:00~12:00에 회의에 참석하게 됨을 알게 되는 경우,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2015년 7월 23일 9:00~12:00에서의 상태가 회의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달력에 의해, 사용자가 2015년 7월 24일 10:00~12:40에 비행기를 타고 베이징에서 청두 (成都)로 향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경우,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2015년 7월 24일 10:00~12:40에서의 상태가 비행기 탑승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더 원활하고, 편리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방식 3
단계 S11은,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취침 중임을 인식했을 경우, 단말기는 자동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취침 중으로 수정한다.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달리기 운동 중임을 인식했을 경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달리기 운동 중으로 수정한다.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 검출하고,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방식 4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41;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S42;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S43; 및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단계 S44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상기 방식 1~방식 3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우선적으로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사용하여 확정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검출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5년 7월 23일 9:00~12:00에서의 상태를 정상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지만, 달력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가 2015년 7월 23일 10:00~12:40에 비행기를 타고 청두로 향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비행기 탑승 중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정상으로 설정했으나,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운동 중임을 검출했을 때, 단말기는 자동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운동 중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는, 획득된 서로 다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선별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하고, 사용자의 실제 상태에 더욱 적합하게 하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기 어려운 경우, 제때에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3가지 방식으로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3가지 방식으로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서로 다른 경우, 그 중의 하나의 방식으로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방식 3에 의해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검출하고, 다음 방식 2에 의해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방식 1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설정하도록 설정한다. 단계 S12b에 있어서,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할 때, 아래의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식 A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2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 S51; 및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부터의 전화를 수신했을 때,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단계 S52를 포함한다.
또는, 단말기는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때,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통화 연결음을 들은 이후 즉시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한 원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단계 S51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것은,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본상태 벨소리를 녹음 또는 선택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51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는 단계 S61; 및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 S62를 포함한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51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는 단계 S71; 및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 S72를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는 스스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고 녹음할 수 있으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고, 또는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본상태 벨소리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한 연락자는 통화 연결음을 들은 이후 즉시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한 원인을 이해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보장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방식 B
단계 S12는, 현재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한 연락자가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주소록 목록 (81)에 있어서, 각 연락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할 수 있고, 그 현재 상태가 정상일 경우,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단말기는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주소록 목록에서 당해 사용자의 위치에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할 수 있어, 미리 설정한 연락자로 하여금 당해 사용자와 연락하기 전에 당해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의해 당해 사용자와의 연락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사용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그 중, 단계 S11b와 단계 S12b의 구현방식은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과제해결수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술한 단계 S11b의 다양한 구현방식과 단계 S12b의 다양한 구현방식 사이는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 설명은 본 개시의 장치에 대한 실시예이고, 본 개시의 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태 통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전자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상태 통지 장치는,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91); 및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모듈 (92)를 포함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 모듈 (91)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서브 모듈 (101); 및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서브 모듈 (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 모듈 (91)은,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검출 서브 모듈 (111); 및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1 확인 서브 모듈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 모듈 (91)은,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 모듈 (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획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 모듈 (91)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서브 모듈 (131);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검출 서브 모듈 (132);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서브 모듈 (133); 및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도록 구성된 제2 확인 서브 모듈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지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지 모듈 (92)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서브 모듈 (141); 및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 서브 모듈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 서브 모듈 (141)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한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생성 서브 모듈 (141)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지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지 모듈 (92)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도록 구성된 송신 서브 모듈 (15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태 통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 중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이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당해 방법에 관계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장치 1700은 비디오 카메라, 녹음 장치,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기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장치 (1700)은, 프로세싱 부품 (1702), 메모리 (1704), 전원 부품 (1706), 멀티미디어 부품 (1708), 오디오 부품 (1710),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 (1712), 센서부품 (1714) 및 통신 부품 (1716)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부품 (1702)는, 일반적으로 장치 (1700)의 전체적인 작업,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작동 및 기록 작업에 관련된 작업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부품 (1702)는,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1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부품 (170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싱 부품 (1702)와 기타 부품 사이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부품 (17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부품 (1708)과 프로세싱 부품 (1702) 사이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 (1704)는, 장치 (1700)에 있어서의 작업을 서포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례는, 장치 (1700)에서 작업하는 모든 응용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어, 연락자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 (1704)는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 (ROM: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부품 (1706)은 장치 (1700)의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부품 (1706)은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원, 및 장치 (1700)을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기타 관련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부품 (1708)은, 상기 장치 (1700)과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표시장치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터치패널 (TP: 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에 터치패널이 포함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스와이프 및 터치패널 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경계선을 감지할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스와이프 작업에 관련된 지속시간과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부품 (1708)은,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 (1700)이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거리와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부품 (17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부품 (1710)은 마이크 (MIC)를 포함하고, 장치 (1700)이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17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부품 (1716)을 통하여 다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부품 (1710)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 (1712)는 프로세싱 부품 (17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Click Wheel),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센서 부품 (1714)는 장치 (17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부품 (1714)는 장치 (1700)의 온/오프 (ON/OFF) 상태 및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품이 장치 (17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Keypad) 일 경우, 센서 부품 (1714)는 또한 장치 (1700) 또는 장치 (1700)의 일 부품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 (1700) 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 (1700)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 (17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부품 (1714)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을 경우, 근처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 부품 (1714)는 또한 예를 들어, COM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응용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센서 부품 (17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부품 (1716)은 장치 (1700)과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1700)은,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표준을 기반으로 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품 (1716)은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또는 방송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부품 (1716)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 (lrDA) 기술, 초광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17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 (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가 더 제공되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1704)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명령어는 장치(1700)의 프로세서 (17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상기 기억 매체 중의 명령어가 장치 (17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장치 (1700)로 하여금 상태 통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본 개시의 다른 실시과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를 준수하며, 본 개시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내용으로서, 본 개시의 진정한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재 내용과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9)

  1.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10.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과,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한 설정결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과,
    상기 설정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1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달력 이벤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1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바인딩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2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1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3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달력 이벤트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피드백된 상기 사용자의 제2 현재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를 비교하는 비교 서브 모듈과,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제1 현재 상태정보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로 하는 제2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을 생성하는 생성 서브 모듈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전화를 수신할 경우, 상기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재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서브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검색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연결음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모듈은,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한 연락자의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기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9.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한 연락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KR1020167003882A 2015-07-27 2015-12-17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1782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47091.8 2015-07-27
CN201510447091.8A CN105120082A (zh) 2015-07-27 2015-07-27 状态通知方法及装置
PCT/CN2015/097652 WO2017016145A1 (zh) 2015-07-27 2015-12-17 状态通知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41A true KR20170023741A (ko) 2017-03-06
KR101782275B1 KR101782275B1 (ko) 2017-09-26

Family

ID=5466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882A KR101782275B1 (ko) 2015-07-27 2015-12-17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34347A1 (ko)
EP (1) EP3125514A1 (ko)
JP (1) JP6279815B2 (ko)
KR (1) KR101782275B1 (ko)
CN (1) CN105120082A (ko)
MX (1) MX2016003079A (ko)
RU (1) RU2647868C2 (ko)
WO (1) WO2017016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0082A (zh) * 2015-07-27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状态通知方法及装置
WO2018193575A1 (ja) * 2017-04-20 2018-10-25 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および自動応答方法
CN109729220B (zh) * 2018-12-14 2020-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的推送方法及移动终端
CN116016764A (zh) * 2023-01-04 2023-04-25 天津智融创新科技发展有限公司 用户状态的生成及推送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3134A (en) * 1997-07-24 1999-10-05 Checkpoint Systems, Inc. Inventory system using articles with RFID tags
US6580787B1 (en) * 2000-02-15 2003-06-17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ion of voice mail, email, fax and personal calendar systems to automatically update messages
US6640230B1 (en) * 2000-09-27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lendar-driven application technique for preparing responses to incoming events
WO2003037007A1 (en) * 2001-10-24 2003-05-01 Hotsip Ab A method and a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4192297A (ja) * 2002-12-11 2004-07-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状態表示方法および状態表示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668157B2 (en) * 2003-07-25 2010-02-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esence based telephony
US7620160B2 (en) * 2005-07-05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Announcing presence information during telephone call ringback
US20070081640A1 (en) * 2005-09-23 2007-04-12 Jack Jachner Presence and preference enabled voice response system and method
CN101242449B (zh) * 2007-02-06 2011-07-2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电话用户状态呈现业务系统和方法
CN101090418B (zh) * 2007-06-30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互动回铃音的方法和系统
CN101365017B (zh) * 2007-08-07 2012-05-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状态呈现实现主被叫呼叫处理的方法和系统
JP2009100391A (ja) * 2007-10-19 2009-05-07 Ricoh Co Ltd 通信端末装置と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利用方法
CN101466077B (zh) * 2007-12-19 2012-10-10 株式会社Ntt都科摩 实现呈现信息和日程信息同步的系统、装置和方法
CN101345792A (zh) * 2008-08-28 2009-0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发送短信的方法
US20110053578A1 (en) * 2009-09-01 2011-03-03 Nokia Corporation Centralized control of multiple services
US9712672B2 (en) * 2009-10-01 2017-07-18 Avaya Inc. Call response system
CN102025832B (zh) * 2010-11-25 2014-02-26 重庆国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来电应急处理方法
CN102137192B (zh) * 2011-03-18 2014-03-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及其来电自动应答方法
KR20130025762A (ko) * 2011-09-02 2013-03-12 이강호 음성 통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제어방법
US20130268606A1 (en) * 2012-03-13 2013-10-10 Rapid Cyber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a Status from Multiple Sources and Devices
KR102028702B1 (ko) * 2012-11-16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재의 상태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054238B2 (ja) * 2013-04-26 2016-12-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781260B2 (en) * 2013-04-29 2017-10-03 Vonage Business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end user presence via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8856948B1 (en) * 2013-12-23 2014-10-07 Google Inc. Displaying private information on personal devices
CN203858579U (zh) * 2014-02-25 2014-10-01 深圳君正时代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控制智能终端进入静音模式的系统
US9794402B2 (en) * 2015-01-12 2017-10-17 Apple Inc. Updating device behavior based on user behavior
CN105120082A (zh) * 2015-07-27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状态通知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2921A (ja) 2017-11-02
JP6279815B2 (ja) 2018-02-14
WO2017016145A1 (zh) 2017-02-02
EP3125514A1 (en) 2017-02-01
RU2647868C2 (ru) 2018-03-21
MX2016003079A (es) 2017-06-09
KR101782275B1 (ko) 2017-09-26
CN105120082A (zh) 2015-12-02
US20170034347A1 (en) 2017-02-02
RU2016107774A (ru)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99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nformation of indicating time-frequency position of SSB,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e-frequency position of SSB
KR101571993B1 (ko) 음성 통화 방법, 음성 재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285615B2 (ja) リモートアシスタンス方法、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U26190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общения о запросе на вызов
RU265450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функции расширения ответа
EP3068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reminder
KR101735235B1 (ko) 네트워크 접속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220106B2 (ja) 情報収集方法およ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125512A1 (en) Silent ring indication while listening music over a headset
KR101777694B1 (ko) 음성 통화 프롬프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4683568A (zh) 信息提醒方法和装置
CN105915521B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CN107635074B (zh) 控制闹铃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82275B1 (ko) 상태 통지 방법 및 장치
KR20160023626A (ko) Wi-fi 네트워크 접속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159891B2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メッセージ送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88176B1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491518A (zh) 基于可穿戴设备的社交提醒方法和装置
CN109565381B (zh) 信息反馈方法及装置
CN105338482A (zh) 紧急呼叫方法及装置
WO2017024739A1 (zh)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CN104168375A (zh) 指令生成方法和装置、智能终端
CN112738341A (zh) 一种通话数据处理方法和耳机设备
CN103905599A (zh) 一种联系人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5657787A (zh) 附着方式的选择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