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592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592A
KR20170023592A KR1020150118952A KR20150118952A KR20170023592A KR 20170023592 A KR20170023592 A KR 20170023592A KR 1020150118952 A KR1020150118952 A KR 1020150118952A KR 20150118952 A KR20150118952 A KR 20150118952A KR 20170023592 A KR20170023592 A KR 2017002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wavelength
la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욱
한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592A/ko
Publication of KR2017002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F21S48/11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7Attachment thereof
    • F21S48/13
    • F21S48/1305
    • F21S48/23
    • F21S48/232
    • F21W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기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여기 광을 수용하여 출사면까지 안내하는 제1 광 가이드,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한 광을 생성하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생성된 변환광을 수용하여 램프 외부로 안내하는 제2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 부재를 적용해서 파장 변환부로부터 외부로 산란되는 광량을 저감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이용하고,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파장 변환부에 조사함으로써, 파장 변환부의 여기로 인해 생성되는 광을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는 높은 휘도와 강한 지향성으로 인해 광의 손실 없이 집광이 용이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에 비하여 고휘도이면서도 선명한 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레이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는 필요에 따라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소정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파장 변환부를 사용하게 되는데, 레이저 광이 파장 변환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상기 파장 변환부의 측면부 또는 실링부를 통하여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레이저 광 손실 또는 외부 위험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72929 (2015.06.30)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장 변환부로부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광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여기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여기 광을 수용하여 출사면까지 안내하는 제1 광 가이드,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한 광을 생성하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생성된 변환광을 수용하여 램프 외부로 안내하는 제2 광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파장 변환부의 입사면과 출사면을 제외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기재의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증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기재의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파장 변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출사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사 개구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입사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출사면이 상기 입사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입사면이 상기 출사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의 광로를 변경하여 제1 광 가이드를 통해 파장 변환부의 입사면으로 안내하고, 파장 변환부로부터 여기되어 생성된 광을 파장 변환부의 출사면으로부터 제2 광 가이드를 통해 램프 모듈로 안내함으로써 외부로 빠져나가는 광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장 변환부를 감싸는 반사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파장 변환부로부터 여기되어 측면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램프 모듈에 리플렉터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램프 모듈에 리플렉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100), 제1 광 가이드(210), 제2 광 가이드(220), 파장 변환부(300) 및 램프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0)은 여기(excited)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00)은 다양한 색상 영역, 예를 들어 자외선 영역부터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질화물 반도체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0)은 발생시키고자 하는 레이저 광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원(100)은 440nm~490nm의 파장 범위에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 및 적용 대상은 차량용 램프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 또는 적용 개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조등(10)의 주변으로 배치된 보조 광원(20)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광원(100)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광원을 각각 안내하는 제1 광 가이드 및 제2 광 가이드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모듈 구성으로서 헤드 램프에도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및 포지션 램프 등 다른 종류의 등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는 색상이나 밝기에 따라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이나 밝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모듈(400)이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소정 색상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파장 변환부(300)를 포함하는 경우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과 램프 모듈(400)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 영역은 서로 다를 수도 있는데, 파장 변환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는 파장 변환부(3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진행하는 레이저 광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은 제1 광 가이드(210)의 입사면(211)을 통하여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은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을 통하여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으로 안내된다. 또한,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되어 파장 변환부(300)의 출사면(30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다시,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을 통해 입사되어 제2 광 가이드(220)의 출사면(222)을 통하여 램프 모듈(400)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으로부터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으로 안내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광 패턴 및 구현되는 색상이 일정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2 광 가이드(220)에 의하여 파장 변환부(300)에서 파장이 변환된 광이 지속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과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은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파장 변환부(300)는 여기된 광원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 광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파장 변환부(300)를 통과한 광은 백색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투과형 파장 변환부가 사용된 경우의 일 예로서,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되어 파장이 변환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를 투과하여 진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장 변환부의 일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 등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반사형 파장 변환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파장 변환부(300)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 광을 생성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장 변환부(300)는 광원(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으로부터 형광을 생성하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파장 변환부(300)는 형광체뿐만 아니라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이나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210)는 광원(100)으로부터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으로 입사된 광이 내부를 따라 진행되도록 하는 도광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제1 광 가이드(210), 제2 광 가이드(220) 및 파장 변환부(300)의 좌측 및 우측을 정의한다면, 제1 광 가이드(210)는 광원(100)으로부터 좌측으로 입사된 레이저 광을 제1 광 가이드(210)의 입사면(211)으로부터 출사면(212)으로 좌측으로 안내하여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에 도달하도록 하고,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의 출사면(302)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되는 광이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을 통하여 좌측으로 안내되어 제2 광 가이드(220)의 출사면(222)을 지나 램프 모듈(400)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의 레이저 광 통과 면적이 일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파장 변환부(300)의 면적,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사 범위, 램프 모듈(400)의 구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의 레이저 광 통과 단면적은 좌측 및 우측에 걸쳐 동일할 수도 있고 레이저 광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는 반드시 직선형 광 가이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램프 모듈(400)이 적용되는 위치나 공간을 고려하여 곡선형 광 가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광은 청색광이 사용될 수 있고, 파장 변환부는 황색 파장 변환부가 사용될 수 있다. 최초 레이저 광인 청색광은 파장 변환부에 흡수되어 여기된 백색광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레이저 광 및 파장 변환부는 다른 색상 또는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440nm~4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인 경우 파장 변환부(300)는 백색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560nm~5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황색 파장 변환부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이고, 파장 변환부(300)로서 황색 파장 변환부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장 변환부(300)는 전술한 차량용 램프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청색, 녹색 및 적색 파장 변환부 등과 같은 다양한 파장 변환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여기되어 생성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으로부터 출사면(222)을 통하여 안내되어 램프 모듈(400)에 도달할 수 있는데, 제2 광 가이드(220)는 파장 변환부(300)의 출사면(302)으로부터 빠져나온 광을 안내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색상 영역을 가지는 광들이 혼합시켜 균일한 색상 영역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100)으로부터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이 발생되는 경우, 파장 변환부(300)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백색광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생성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청색 영역의 광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 가이드(220)는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여기되어 생성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의 출사면(302)을 지나 진행할 때 서로 다른 색상 영역을 가지는 광들, 예를 들어 백색광과 청색광이 서로 혼합되어 균일한 색상 영역의 광, 즉 백색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차량용 램프가 최종적으로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따라 파장 변환부(300)에 의해 변환되는 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용 램프가 테일 램프로 사용된다면 상기 광의 색상은 적색일 수 있고, 상기 차량용 램프가 턴 시그널 램프로 사용된다면 상기 광의 색상은 황색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램프 모듈에 리플렉터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모듈(400)은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생성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410) 리플렉터(41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렌즈(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램프 모듈(400)이 제2 광 가이드(22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램프 모듈(400)이 위치하는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리플렉터(410)는 제2 광 가이드(220)에 의해 안내되어 도달되는 광, 즉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생성된 광을 렌즈(420)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사층이 형성된 일면은 자유 곡면이나 타원 곡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렌즈(420)는 리플렉터(41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차량 외부로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배광 패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곡률 특성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램프 모듈에 리플렉터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즉, 본 발명의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생성된 광이 제2 광 가이드(220)에 의해 안내된 후, 리플렉터(410)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420)로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반사형 또는 프로젝션 타입),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리플렉터(410)가 생략되고 직접 렌즈(420)로 입사될 수 있다(직사형 타입).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모듈(400)이 리플렉터(410) 또는 렌즈(4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에 따라 요구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렌즈(420)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도 1과 유사하게 광원(100), 제1 광 가이드(210), 제2 광 가이드(220), 파장 변환부(300) 및 램프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전술한 도 1과 유사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파장 변환부(300)를 둘러싸도록 하우징(320)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서, 하우징(320)의 일측에는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입사 개구(321)를 포함하고, 하우징(320)의 타측에는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출사 개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입사 개구(321) 및 출사 개구(322)를 통해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의 위치를 고정하여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가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파장 변환부(300)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공간 등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0)의 입사 개구(321) 및 출사 개구(322)의 개구 형상은 제1 광 가이드(210) 및 제2 광 가이드(220)의 외주면 형상에 밀착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파장 변환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20)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20)의 내측벽에 별도의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파장 변환부(300)가 하우징(3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도 1과 유사하게 광원(100), 제1 광 가이드(210), 제2 광 가이드(220), 파장 변환부(300) 및 램프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전술한 도 1과 유사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파장 변환부(300)를 둘러싸도록 반사 부재(310)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11) 및 출사면(3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광(L2)이 반사 부재(310)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으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반사 부재(310)는 반사층(310a) 및 기재(310b)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310a)는 반사층(310b)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층(310b)은 기재(310a)의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증착되거나 박막의 필름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반사층(310a)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 등의 반사형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 부재(310)는 별도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파장 변환부(3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을 통하여 빠져나온 광은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을 통하여 입사되고,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되어 생성된 광은 주로 파장 변환부(300)의 출사면(302)을 통하여 화살표 L1을 따라 빠져나오게 되나, 일부의 레이저 광은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 및 출사면(3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하여 화살표 L2를 따라 빠져나오게 되어 광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반사 부재(310)가 배치됨으로써 화살표 L2를 따라 빠져 나온 레이저 광을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므로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술한 도 4와 유사하게 광원(100), 제1 광 가이드(210), 제2 광 가이드(220), 파장 변환부(300), 하우징(320) 및 램프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전술한 도 4와 유사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파장 변환부(300)를 수용하도록 하우징(320)이 배치되되, 하우징(320)의 내측면에 반사 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반사형 물질이 하우징(320)의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므로 도 6의 경우와 같이 반사층(310a)을 일정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재(310b)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반사 부재(330)는 파장 변환부(300)의 여기되어 생성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 및 출사면(3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하여 광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사 부재를 별도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지 않고, 반사 부재(330)가 직접적으로 하우징(3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사 부재(330)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 및 출사면(3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빠져나오는 광(L2)을 제2 광 가이드(220)의 입사면(221)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사 부재(330)는 알루미늄 또는 크롬 등의 반사형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320)의 내측면에 박막의 필름형으로 부착하거나 증착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 가이드(210)의 출사면(212)으로부터 파장 변환부(300)의 입사면(301)으로 안내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에서 여기된 광이 파장 변환부(300)로부터 외부로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광 패턴 및 구현되는 색상이 일정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광 가이드(220)에 의하여 파장 변환부(300)에서 파장이 변환된 광이 지속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광원
210: 제1 광 가이드
220: 제2 광 가이드
300: 파장 변환부
310: 반사 부재
320: 하우징
400: 램프 모듈

Claims (8)

  1. 여기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여기 광을 수용하여 출사면까지 안내하는 제1 광 가이드;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변환한 광을 생성하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생성된 변환광을 수용하여 램프 외부로 안내하는 제2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파장 변환부의 입사면과 출사면을 제외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기재의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증착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기재의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차량용 램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파장 변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출사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사 개구;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입사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출사면이 상기 입사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입사면이 상기 출사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18952A 2015-08-24 2015-08-24 차량용 램프 KR2017002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52A KR20170023592A (ko) 2015-08-24 2015-08-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52A KR20170023592A (ko) 2015-08-24 2015-08-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92A true KR20170023592A (ko) 2017-03-06

Family

ID=5839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952A KR20170023592A (ko) 2015-08-24 2015-08-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35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2929A1 (en) 2011-02-01 2015-03-12 Artur Martynov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carboxylated oligopepti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2929A1 (en) 2011-02-01 2015-03-12 Artur Martynov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carboxylated oligopepti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1237B1 (en)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US8733957B2 (en) Light emitting device, vehicle headlamp, and illumination device
US9863595B2 (en) Light-emitting unit with optical plate reflecting excitation light and transmitting fluorescent light, and light-emitting device, illumination device, and vehicle headlight including the unit
US10203079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conversion device
JP5589007B2 (ja)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6161877B2 (ja) 発光装置、車両用前照灯および照明装置
JP6067629B2 (ja)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US9377169B2 (en) Headlight system incorporating adaptive beam function
KR101461565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9208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23592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09333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09688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529A (ko) 차량용 램프
KR20180067368A (ko) 차량용 램프
KR101951463B1 (ko) 차량용 램프
KR102065050B1 (ko) 차량용 램프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WO2013141053A1 (ja) 照明装置、車両用前照灯および導光部材
KR20170062851A (ko) 차량용 램프
JP6305967B2 (ja)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KR20160011937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2491A (ko) 차량용 램프
WO2019179121A1 (zh) 一种光源模组以及车用前照灯
KR20230081288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