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587A -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587A
KR20170023587A KR1020150118929A KR20150118929A KR20170023587A KR 20170023587 A KR20170023587 A KR 20170023587A KR 1020150118929 A KR1020150118929 A KR 1020150118929A KR 20150118929 A KR20150118929 A KR 20150118929A KR 20170023587 A KR20170023587 A KR 2017002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data
management
laboratory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332B1 (ko
Inventor
조성기
Original Assignee
조성기
(주)비즈니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기, (주)비즈니스랩 filed Critical 조성기
Priority to KR102015011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3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내의 환경 및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연구실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입고부터, 사용, 보관 및 폐기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관리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험물질 및 유해물질 시약을 기반으로 연구, 시험, 분석 등 연구 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기업연구소, 정부연구소 및 대학연구소에서 위험물질 및 유해물질의 각종 시약의 입고, 사용, 보관, 폐기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연구실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 및 방지하고, 연구와 관련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의 안정적인 시험, 분석, 검사, 실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SMART LAB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구실 내에 위치되는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환경 및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연구실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입고부터, 사용, 보관 및 폐기까지의 전체 프로세스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관리하는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구실 내 취급 화학물질은 소량 다품종으로, 위험, 유해물질의 특성이 강해 기관 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연구자들은 화학물질 또는 안전 관리규정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아, 지속적인 안전 사고에 노출되어 위험성이 높으며, 실제적으로도 연구실 내의 안전사고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정부는 연구실의 안전사고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인한 관련 법규를 강화하고, 정부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연구실 정부 인증 사업을 도입하였다.
정부는 연구개발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사전 평가를 실시하고, 연구책임자(PI, Principle Investigator)가 연구수행 과정에서 연구실 안전관리를 시행하도록 의무화하였다.
또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안전법) 개정안을 마련하여 안전관리비를 확보하고, 집행 강화, 안전관리위원회 운영 내실화 강화, 안전설비 설치 마련, 물질안전보건자료 비치 및 교육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임의규정이었던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 보건자료를 비치하여 교육을 실시하도록 개정하였으며, 이 같은 사안들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시정을 명하거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위법행위 시정명령제도를 신설하였다.
이러한 법 및 제도의 규제를 따르기 위해, 기존의 연구소에서는 안전 관리를 강화하였으나, 연구자들이 연구실의 위험 요인을 모두 파악하여 대비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기존의 연구실은 시약의 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시약의 분리 및 격리 보관 등의 관리가 어려웠고,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리되어 격리 보관된 시약들도 연구자의 부주의 및 보관의 부주의로 인해 화재나 폭발 사고의 위험에 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마약과 같은 향정신성의약품의 관리에 있어서 약품 분실 시 범인을 색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특정한 온도에서 반드시 보관하여야 품질에 영향이 없는 시약의 경우, 보관온도이력이 분석품질과 직결되는 항목으로서, 이력추적이 필수적이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보관온도이력을 추적할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시약 관리 및 안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은 RFID를 이용하여 시약의 보관 위치 관리와, 연구실 내 위험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연구실 내의 시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과 직결된 문제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연구실 내의 안전과 관련된 기술은 연구자의 시약사용 이력에 대한 관리가 미흡하고, 특히, 화학물질의 재고관리, 사용관리, 폐기관리의 전체 시약 라이프사이클 관리가 미흡하였으며, 관리가 형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8795호(발명의 명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785798호(발명의 명칭: 가정 내 물품 관리를 위한 물품정보제공단말 및 물품관리서버) 한국등록특허 제10-1356081호(발명의 명칭: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239817호(발명의 명칭: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NFC, RFID, 비콘 및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내의 시약 또는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및 가스 누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약 용기 및 시약 냉장고에 부착되는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량, 유효기간, 폐기, 보관, 분식 및 오남용의 전반적인 시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구실 내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약을 사용한 연구자, 시약의 사용량, 폐기기간 및 유효기간 알림, 연구실 내부 환경오염, 가스누출 알림, 사고위험감지 및 사고 발생 공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연구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입력으로부터, 각종 연구실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구실을 출입하는 연구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연구자의 시약 사용 현황, 연구실 사용 현황, 시약 사용량 체크, 시약 이력 관리, 실험 현황 및 인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연구소모품 구매 서비스, 시약 구매 서비스, 컨텐츠 및 컨설팅 서비스, 및 데이터 관리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은 연구실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시약 용기 및 시약 저장고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연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실 환경의 안전관리와, 시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랩 서버 및 상기 스마트 랩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시약 업체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서비스 시약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상기 시약 및 연구 소모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환경 및 안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연구 재단 업체, 컨텐츠 제공 업체, 연구실 진단 업체 및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실험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외부의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화상회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및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및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관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랩 서버는 시약의 입고일, 사용량, 유효 기간, 보관 현황 및 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약 관리 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환경 관리 모듈, 상기 환경데이터에 기반하여 연구실이 위치해 있는 연구소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안전 관리 모듈,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와, 상기 시약 관리 모듈, 상기 환경 관리 모듈 및 상기 안전 관리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위험 상황 감지 모듈, 상기 감지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알림 모듈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의 통신과, 상기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랩 서버는 상기 연구실을 출입하는 상기 연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연구실의 유해 물질, 안전 관리 및 각종 관리 문서의 사전 정의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의 출입 및 보안을 관리하는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Barcode)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연구실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이산화탄소 농도 및 가스 누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기는 시약을 사용한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 시약의 사용량, 유효기간 및 보관 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시약 저장고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상기 시약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약 용기에 대한 입출 데이터, 상기 시약 저장고의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시약의 성상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연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연구실을 출입하는 상기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 리더기, 상기 시약 용기 내의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는 전자 저울 및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 상기 태그 리더기로부터 인식된 상기 신원 데이터, 상기 전자 저울로부터 측정된 질량 데이터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구자로부터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FC, RFID 비콘 및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내의 시약 및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구실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및 가스 누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약 용기 및 시약 냉장고에 부착되는 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량, 유효기간, 폐기, 보관, 분식 및 오남용의 전반적인 시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실 내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약을 사용한 연구자, 시약의 사용량, 폐기기간 및 유효기간 알림, 연구실 내부 환경오염, 가스누출 알림, 사고위험감지 중 사고 발생 공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구자에게 제공하고, 연구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입력으로부터, 각종 연구실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실을 출입하는 연구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연구자의 시약 사용 현황, 연구실 사용 현황, 시약 사용량 체크, 시약 이력 관리, 실험 현황 및 인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연구소모품 구매 서비스, 시약 구매 서비스, 컨텐츠 및 컨설팅 서비스, 및 데이터 관리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랩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미디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100)은 IoT 단말기(110)로부터 연구실 내의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로부터 연구실 환경의 안전관리와, 시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100)은 IoT 단말기(110), 스마트 디바이스(120), 스마트 랩 서버(130) 및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IoT 단말기(110)는 연구실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시약 용기(112) 및 시약 저장고(111)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IoT 단말기(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Barcode)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단말기(110)는 연구실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이산화탄소 농도 및 가스 누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연구실의 벽면에 위치하여 연구실의 온도, 습도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 및 감지하고, 일산화탄소 또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 오염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기(110)는 연구실의 가스 누출 또는 오염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도 있다.
IoT 단말기(110)는 시약을 사용한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 시약의 사용량, 유효기간 및 보관 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시약 용기(112)에 위치하여, 시약 용기(112)에 보관되어 있는 화학 물질(시약)의 종류, 화학 물질의 정보, 입고일, 유효기간, 폐기일, 보관 현황, 사용량 및 유의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시약 용기(112)를 사용한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 사용한 날짜, 횟수 및 용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IoT 단말기(110)는 시약 용기(112)의 표면 또는 시약 용기(112)의 뚜껑에 부착되거나, 시약 용기(112)에 달려있을 수 있고, 시약 용기(112)를 보관하는 선반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T 단말기(110)는 시약 저장고(111)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시약 용기(112)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약 용기(112)에 대한 입출 데이터, 시약 저장고(111)의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시약의 성상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단말기(110)는 시약을 저장 및 보관하는 저장고(111)에 위치하여, 시약 용기(112)에 위치된 IoT 단말기(110)와의 통신을 통해 입고 또는 출고되는 시약 용기(112)를 감지할 수 있고, 시약 저장고(111)의 저장 온도 및 저장 습도의 저장 환경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기(110)는 시약 저장고(111)의 밀폐형, 오픈형, 폭발성 물질 저장형 및 일반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시약 저장고(111)의 위치와, 시약 저장고(111)에 저장되어 있는 시약의 성상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IoT 단말기(110)는 시약 저장고(111)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시약 저장고(111)와 일정 거리에 유지되어 떨어져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110)로부터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연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IoT 단말기(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와,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수신되는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여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실 내의 시약의 현황, 정보, 원료를 사용한 사용자, 사용량, 유효기간과, 연구실의 사고위험감지, 사고 발생 공지, 환경오염 정도 및 가스누출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실시간으로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연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 또는 연구 관련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시약 용기(112)에 부착되어 있는 RFID 및 바코드 등의 태그를 인식하여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IoT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시약의 사용이나 교체, 위치 변경 등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스마트 랩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일 수 있고,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스마트 랩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실시간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실 환경의 안전관리와, 시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한다.
스마트 랩 서버(130)는 연구실의 레거시 시스템(150)와 연동할 수 있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반한 플랫폼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랩 서버(130)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로부터 수신된 플랫폼 서비스를 스마트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랩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전에 정의한 기준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또는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120) 또는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랩 서버(130)는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또는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와, 스마트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연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연구자의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스마트 랩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시약 업체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서비스 시약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시약 및 연구 소모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환경 및 안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연구 재단 업체, 컨텐츠 제공 업체, 연구실 진단 업체 및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실험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외부의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화상회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140)는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150)을 통하여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또는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와 연계하고,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또는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로 관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100)은 레거시 시스템(150) 및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150)은 연구실의 기존 시스템(Back Office)일 수 있으며, 연구실의 구매시스템, 환경 및 안전 시스템, 관제 시스템, 실험정보관리시스템, 화상회의 시스템 및 기타 관련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는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구소 및 연구실과 관련된 외부 협력 업체를 일컫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파트너 서버(160)는 국립환경과학원, 시약 업체, 연구소모품 업체, 각 연구소, 연구실 안전정보망, 한국연구재단, 기타 컨텐츠 제공 업체, 연구소 진단 업체 및 연구 관련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업체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랩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랩 서버(130)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실 환경의 안전관리와, 시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랩 서버(130)는 시약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안전 관리 모듈(133),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 경고 알림 모듈(135) 및 인터페이스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시약 관리 모듈(131)은 시약의 입고일, 사용량, 유효 기간, 보관 현황 및 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약 관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시약 관리 모듈(131)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시약에 관해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초하여 시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환경 관리 모듈(132)은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연구실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환경 관리 모듈(132)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경에 관해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초하여 연구실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안전 관리 모듈(133)은 연구실의 위험 상황 발생에 따른 경고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와, 시약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에 기반하여 연구실의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약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에서 사전에 정의된 기준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연구실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기준치가 초과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시약 관리 모듈(131)에 기반하여, 시약의 유효 기간이 연구자(관리자)가 사전에 정의한 기준 일자 보다 짧을 경우, 시약의 접합한 보관 환경이 아닐 경우, 시약의 입고일이 사전에 정의한 기준일 보다 초과하여 폐기해야할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환경 관리 모듈(132)에 기반하여 연구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사전에 지정된 기준치를 초과 또는 미만일 경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포름알데히드의 유해물질의 농도가 초과될 경우, 가스 및 오염물질의 농도가 초과될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안전 관리 모듈(133)에 기반하여 연구실이 위치해 있는 연구소의 화재, 지진, 소음 및 외부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환경 데이터로부터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에 기반하여 연구실을 출입하는 연구자의 정보가 승인되지 않았을 경우, 연구실에 유해 물질이 반입되었을 경우, 연구실에 보관 중인 각종 관리 문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시약 관리 모듈(131) 환경 관리 모듈(132) 및 안전 관리 모듈(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에 기반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 및 판단하고, 판단된 신호를 경고 알림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은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을 더 포함하여 연구실의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고 알림 모듈(135)은 감지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알림 모듈(135)은 위험 상황 발생에 따른 경고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6)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6)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고,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6)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를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와 통신할 수 있고,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6)는 위험 상황 감지 모듈(134) 또는 경고 알림 모듈(135)로부터 긴급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랩 서버(130)는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은 연구실을 출입하는 연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연구실의 유해 물질, 안전 관리 및 각종 관리 문서의 사전 정의에 기반하여 연구실의 출입 및 보안을 관리할 수 있다.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137)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 전자 저울로부터 측정된 시약의 질량 데이터, 환경 데이터 및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연구자 및 각종 문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 리더기(121), 시약의 질량을 측정하는 전자 저울(123) 및 연구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더기(121)는 연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연구실을 출입하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태그 리더기(121)는 RFID, 카드, 비콘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연구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저울(123)은 시약 용기 내의 물질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는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환경 데이터, 시약 관리 데이터와, 태그 리더기(121)로부터 인식된 신원데이터, 전자 저울(123)로부터 측정된 질량 데이터 및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연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는 스마트 랩 서버로부터 수신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람 및 대피 지시와, 안전 관련 정보 및 공지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경고에 따른 알람 및 음성을 출력하여 연구 중인 연구자들에게 위험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바코드 리더기(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24)는 시약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IoT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바코드 리더기(124)를 이용하여 시약 용기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바코드 리더기(124)는 바코드를 인식 및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 라이트펜(light pen) 스캐너, 건(gun) 스캐너, 슬롯 스캐너, 카운터톱(countertop) 스캐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미디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태그 리더기(121)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가 신원 확인 외의 다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미디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취소(Cancel)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가 승인되었을 경우,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시약 용기의 바코드 리더기(124) 또는 전자 저울(123)을 이용한 시약 용기의 질량 체크에 관한 안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연구자가 시약 용기를 스캔 또는 인식하는 서비스 외의 다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미디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취소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시약 용기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측정된 시약 관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측정된 시약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약 반납, 폐기신청, 재측정 및 취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IoT 단말기
120: 스마트 디바이스
130: 스마트 랩 서버
140: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
150: 레거시 시스템
160: 서비스 파트너 서버

Claims (13)

  1. 연구실 환경의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고, 시약 용기 및 시약 저장고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연구자로부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실 환경의 안전관리와, 시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랩 서버; 및
    상기 스마트 랩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시약 업체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서비스 시약 또는 연구 소모품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상기 시약 및 연구 소모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실 안전 정보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환경 및 안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연구 재단 업체, 컨텐츠 제공 업체, 연구실 진단 업체 및 컨설팅 제공 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 관련 컨설팅 및 컨텐츠 제공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실험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외부의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연구실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화상회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통하여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및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와 연계하고,
    상기 환경 과학 연구 업체 및 연구 재단 업체의 서비스 파트너 서버로 관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랩 서버는
    시약의 입고일, 사용량, 유효 기간, 보관 현황 및 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약 관리 모듈;
    상기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 환경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환경 관리 모듈;
    상기 환경데이터에 기반하여 연구실이 위치해 있는 연구소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안전 관리 모듈;
    상기 수신된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와, 상기 시약 관리 모듈, 상기 환경 관리 모듈 및 상기 안전 관리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위험 상황 감지 모듈;
    상기 감지된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알림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고 알림 모듈;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의 통신과, 상기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을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랩 서버는
    상기 연구실을 출입하는 상기 연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연구실의 유해 물질, 안전 관리 및 각종 관리 문서의 사전 정의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실의 출입 및 보안을 관리하는 연구자 및 마스터 관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Barcode)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연구실 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유해물질, 이산화탄소 농도 및 가스 누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시약을 사용한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 시약의 사용량, 유효기간 및 보관 현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시약 저장고로부터 입고 또는 출고되는 상기 시약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약 용기에 대한 입출 데이터, 상기 시약 저장고의 고유 식별 데이터 및 시약의 성상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연구자가 보유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태그를 인식하여 연구실을 출입하는 상기 연구자의 신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 리더기;
    상기 시약 용기 내의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는 전자 저울; 및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데이터, 상기 시약 관리 데이터, 상기 태그 리더기로부터 인식된 상기 신원 데이터, 상기 전자 저울로부터 측정된 질량 데이터 및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구자로부터 상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KR1020150118929A 2015-08-24 2015-08-24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KR10173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29A KR101730332B1 (ko) 2015-08-24 2015-08-24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29A KR101730332B1 (ko) 2015-08-24 2015-08-24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87A true KR20170023587A (ko) 2017-03-06
KR101730332B1 KR101730332B1 (ko) 2017-04-27

Family

ID=5839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929A KR101730332B1 (ko) 2015-08-24 2015-08-24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33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9457A (zh) * 2018-02-14 2018-08-10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沉浸式的实验室安全准入方法
KR20190043906A (ko) * 2017-10-19 2019-04-2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약장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0211343A (zh) * 2019-06-05 2019-09-06 龙峰 实验室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371633A (zh) * 2018-12-26 2020-07-03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物联网卡使用异常的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1857032A (zh) * 2020-08-03 2020-10-30 福州理工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实验室监测装置
KR20200141204A (ko) * 2019-06-10 2020-12-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실시간 시약 계량 및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N112859662A (zh) * 2020-08-11 2021-05-28 广东中汇移动实验室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实验室物联网检测系统
CN113962569A (zh) * 2021-10-26 2022-01-21 冰山松洋生物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的生物实验室综合管理系统
CN115268287A (zh) * 2022-07-20 2022-11-01 清华大学 智能家居综合实验系统及数据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60B1 (ko) * 2018-04-16 2021-04-30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장치 관리 방법
WO2019203410A1 (ko) * 2018-04-16 2019-10-24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장치 관리 방법
CA3114811A1 (en) * 2018-10-01 2020-04-09 Elemental Machin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integ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to measurement metadata in an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 enviro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98B1 (ko) 2005-12-09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정 내 물품 관리를 위한 물품정보제공단말 및물품관리서버
KR100818795B1 (ko)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239817B1 (ko) 2011-09-26 2013-03-06 김회율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356081B1 (ko) 2013-07-11 2014-01-28 한국과학기기공업협동조합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98B1 (ko) 2005-12-09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정 내 물품 관리를 위한 물품정보제공단말 및물품관리서버
KR100818795B1 (ko)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239817B1 (ko) 2011-09-26 2013-03-06 김회율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356081B1 (ko) 2013-07-11 2014-01-28 한국과학기기공업협동조합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906A (ko) * 2017-10-19 2019-04-2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약장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8389457A (zh) * 2018-02-14 2018-08-10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沉浸式的实验室安全准入方法
CN111371633A (zh) * 2018-12-26 2020-07-03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物联网卡使用异常的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0211343A (zh) * 2019-06-05 2019-09-06 龙峰 实验室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41204A (ko) * 2019-06-10 2020-12-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실시간 시약 계량 및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N111857032A (zh) * 2020-08-03 2020-10-30 福州理工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实验室监测装置
CN112859662A (zh) * 2020-08-11 2021-05-28 广东中汇移动实验室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实验室物联网检测系统
CN113962569A (zh) * 2021-10-26 2022-01-21 冰山松洋生物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的生物实验室综合管理系统
CN115268287A (zh) * 2022-07-20 2022-11-01 清华大学 智能家居综合实验系统及数据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332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332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US103112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he delivery of an object to a specific location
US20090243856A1 (en) System for managing chemicals using rfid
MX2011006105A (es) Asignacion/desasignacion multimodal de etiquetas para administrar activos.
CN109360089A (zh) 贷款风险预测方法及装置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US20070158410A1 (en) Employer notification system
Mok et al. ISO 15189: 2012 implementation: an update of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guidance documents for medical laboratory quality management
KR20110085350A (ko) 유해 물질 관리용 지능형 알에프아이디 약품함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uzmina et al. Chemical management: storage and inventory in research laboratories
JP6798870B2 (ja) 高圧ガス容器の管理システム
KR101762770B1 (ko) 독성가스 용기 추적 안전관리 시스템
US9043157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exposure of one or more persons to one or more products of chemical or biological origin and method for the use of such a device
Knapp The scientific basis for visible particle inspection
JP2013088934A (ja) 出庫処理システム、タクシーメータ及び車両管理装置
Allard et al. Guidelines for validation and qualification, including change control, for hospital transfusion laboratories
Braxton et al. A Human-Centered Approach to Modeling Security Information and its Impact on Cargo Operations for Guidance in the Design of Interventions in the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KR20100089120A (ko)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aksono Android Based Inventory Management with NFC Enabled for Faster Tracking Items at a Steel Company: A Case Study
Chung et al. The application of RFID monitoring technology to patrol management system in petrochemical industry
KR101839322B1 (ko) 실시간 정보처리를 통한 산업재산권 관리 시스템
Stein Radioactive materials and the OSHA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
Ulberth Metrological concepts required for food safety and quality testing
US20230179978A1 (en) Safety Equipment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Morrison et al. Investigating chemical process accidents: Examples of good pract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