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17B1 -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817B1
KR101239817B1 KR1020110096751A KR20110096751A KR101239817B1 KR 101239817 B1 KR101239817 B1 KR 101239817B1 KR 1020110096751 A KR1020110096751 A KR 1020110096751A KR 20110096751 A KR20110096751 A KR 20110096751A KR 101239817 B1 KR101239817 B1 KR 10123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image
reagent storage
storage devic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율
Original Assignee
김회율
(주)피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율, (주)피시피아 filed Critical 김회율
Priority to KR102011009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문자들을 이용하여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관리하도록 하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시약을 용이하게 식별하고 시약의 이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REAGENT KEEPING APPARATUS AND REAGENT MANAGING SYSTEM FOR MANAGING REAGENT BRINGING IN/OUT}
본 발명은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문자들을 이용하여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관리하도록 하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약이란, 약학, 화학, 의학 등의 분야에서, 물질의 성분을 검출하거나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 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약은 특정 제조사로부터 구매하거나, 연구소나 개발 부서에 직접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시약은 시약을 보관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에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약은 시약 보관재에 인쇄된 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일부의 시약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바코드에 기입된 내용이 시약을 특정하기 위해서 부족한 경우도 많다.
이러한 시약의 관리를 위해서 시약을 사용하는 연구소에서 RFID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약의 크기나 양이 작고, 시약이 소모성 재료에 불과하며 그 종류가 다양하여 관리가 용이치 않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약은 연구실, 연구소, 개발 부서 등에서 사용되고 널리 사용되지 않는 특수성으로 인해 시약의 제조 비용이나 구매 비용이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약의 무분별한 사용을 제어할 필요가 있고, 연구소나 개발 부서에서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에 포함된 시약들을 관리하고, 어디에 어떤 시약이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구매를 방지하고 시약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시약을 수용하거나 보관하는 시약 보관재에는 다양한 정보가 문자들로 표시된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연구원(사용자)이 해당 시약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고, 예를 들어 시약의 성분 정보나 제조사 정보 등을 포함하고, 연구원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서 어떤 시약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한편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인쇄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읽어 들이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식 문자 인식) 기술(알고리즘)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OCR 기술은 핸드폰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혹은 퍼스널 컴퓨터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명함이나 특정 프린트된 종이에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OCR 기술을 이용하여 시약의 시약 보관재에 인쇄된 문자들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들을 기초로 하여 시약을 식별하여, 이 시약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의 제공은, 시약의 체계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필요할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약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관리할 수 있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약 보관 장치의 시약을 통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는,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capturing)하는 리딩 모듈과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에서의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로서,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capturing)하는 리딩 모듈과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와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여,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시약을 식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은,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시약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약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사용량과 함께 식별하여,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별로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약 사용량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시약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약 보관 장치의 시약을 통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약의 중복 구매를 방지하고 필요한 시약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시약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에서의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시약 보관 장치의 구성 블록을 포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어 모듈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시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의 모델링된 상세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문자들이나 이미지 코드가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예시적인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의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시약 관리 시스템은 로컬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와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며, 로컬 네트워크(300)에 또는 시약 보관 장치(100)에 직접 연결된 퍼스널 컴퓨터(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약 관리 시스템은, 연구소, 개발 부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시약 관리 시스템의 각 블록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는,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연구소나 개발 부서가 위치하는 다수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각각 비치되어, 시약 보관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시약 보관 장치(100)는 시약의 반입과 반출에 따른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시약의 반입과 반출과 관련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는, 각각 상이한 시약들을 관리할 수 있고, 시약의 반입과 반출에 따른 변동 사항을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리할 수 있는 시약들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약들은 시약을 수용할 수 있는 시약 보관재(130)로 보관될 수 있다.
시약 보관 장치(100)에 대한 더욱더 상세한 사항은 도 2 내지 도 3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서버(200)는, 로컬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의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관리한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 베이스(240)를 구비할 수 있고, 이 데이터 베이스(24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 각각에 출입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보관된 시약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연구소 또는 개발 부서에 새로이 수령한 시약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약에 대한 식별 정보를 직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혹은 이 시약을 수용하는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해당 시약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시약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새로운 시약이 보관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시약 보관 장치(100)를 결정하고 사용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로컬 네트워크(300)는,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를 관리 서버(200)에 연결하고, 하나 이상의 퍼스널 컴퓨터(400)를 시약 보관 장치(100) 또는 관리 서버(200)에 연결한다. 이 로컬 네트워크(300)는 유선 랜 또는 무선 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로컬 네트워크(300)는 한 연구소 또는 한 개발 부서를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연구소 또는 다른 개발 부서를 연결할 수 있고 또한,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이용하여 다른 로컬 네트워크(300)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다수의 로컬 네트워크(300)를 포함(광대역 네트워크)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400)는, 로컬 네트워크(300)에 연결되거나(미도시) 또는 시약 보관 장치(100)에 연결되어, 관리 서버(200)로부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400)가 직접 접속 가능한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시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퍼스널 컴퓨터(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포함되는 모든 이용 가능한 시약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직접 접속된 시약 보관 장치(100)에 보관된 시약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시약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시약에 대한 이미지 혹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3D 이미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약 보관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모델링된 3D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약 보관 장치(100) 혹은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모든 시약들의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예시와 같은 시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시약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시약의 분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시약의 남용과 부정한 사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된 각 실험 별로 어떤 시약이 얼마만큼 사용되었는지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실험별로 시약의 실제 사용량을 집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시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집계가 매우 편리하게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험을 진행하다 보면 사전 요청한 시약의 종류 및 사용량과 달리 다른 시약을 추가하게 되거나 시약의 사용량에 증감이 있을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시약 보관 장치(100)의 구성 블록을 포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시약 보관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선반(120)과, 리딩 모듈(140), 제어 모듈(150), 및 접근 통제 모듈(160)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선반(120)에 시약 보관재(130)에 보관된 시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 중 일부의 구성은 그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2에 포함되지 않은 구성이 시약 보관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시약 보관 장치(100)의 각 구성 블록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하나 이상의 선반(120)은, 시약 보관재(13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반(12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물질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딩 모듈(140)은,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110) 내부 혹은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110)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시약을 반입 또는 반출할 때 시약을 수용하는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를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이미지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한다.
캡쳐링된 이미지에는 시약 보관재(130)에 수용된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는 복수의 문자들(131)(예 문장 혹은 텍스트)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에 더하여 바코드, QR 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 코드(133)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리딩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141), 리딩 모듈 케이스(144), 개폐 손잡이(145)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중량 센서나, 회전판(142), 및 회전 모터와 이미지 센서(141)가 이미지를 캡쳐링할 때 켜져 있는 조명(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리딩 모듈(140)의 구성과 동작 방법은, 먼저 리딩 모듈 케이스(144) 내부에 부착되어 전면, 후면, 좌면, 우면 및 이에 더하여 상면(천장)의 중앙에 배치된 4개 혹은 5개의 이미지 센서(141)(예를 들어 CCD 센서)를 포함하고, 리딩 모듈 케이스(144) 내부의 하면(바닥)에 중량 센서(146)(도면에 미도시)를 배치한다.
그리고 개폐 손잡이(145)를 이용하여 개폐함에 따라 발생하는 개폐 신호(예를 들어 닫혀 있을 때는 OFF 신호, 열려 있을 때는 ON 신호 등)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고 제어 모듈(150)의 제어 하에 4개 혹은 5개의 이미지 센서(141)가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를 캡쳐링하고 이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고, 또한 로드 셀(load cell)과 같이 시약을 포함하는 시약 보관재(13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센서(146)로부터 감지된 무게 값을 제어 모듈(150)로 전송한다.
이렇게 캡쳐링되어 전송된 이미지들은 시약 보관재(130)에 대한 적어도 4 방향의 전후좌우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면에 캡쳐링된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무게 값에 따라 시약의 사용 양 또는 현재 양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리딩 모듈(140)의 구성과 동작 방법은, 먼저 리딩 모듈 케이스(144) 내부에 부착되어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141)와 이에 더하여 상면(천장)의 중앙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41)를 포함하고, 리딩 모듈 케이스(144) 내부의 하면(바닥)에 회전판(142)과 회전판(142)을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360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미도시)와 중량 센서(미도시)(도면에 미도시)를 회전판(142)의 하부 등에 배치하거나, 회전판(142) 없이 회전판(142)의 위치에 중량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손잡이(145)를 이용하여 개폐함에 따라 발생하는 개폐 신호(예를 들어 닫혀 있을 때는 OFF 신호, 열려 있을 때는 ON 신호 등)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고 제어 모듈(150)의 제어 하에 회전 모터(143)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 속도에 맞추어 전후좌우 중 하나의 위치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41)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캡쳐링하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는 예를 들어 초당 30개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혹은 제어 모듈(150)은 회전을 예를 들어 15도 회전하고 정지시키고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등 회전과 정지 그리고 정지후 이미지의 캡쳐링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캡쳐링 주기는 제어 모듈(150)에 의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와는 별도로 상면에 위치한 이미지 센서(141)는 회전판(142)이 회전 정지 상태에서 이미지를 캡쳐링할 수 있다.
이렇게 캡쳐링된 복수의 이미지와 추가로 상면에서 캡쳐링된 이미지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고, 중량 센서(146)로부터 감지된 무게 값을 제어 모듈(15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할 때 시약 보관재(130)의 전후좌우와 상면의 자연스러운 3D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접근 통제 모듈(160)은, 제어 모듈(150)에 연결되어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통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근 통제 모듈(160)은 시약 보관 장치(100)를 개폐할 수 있는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110) 전면에 부착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접근 통제 모듈(160)은,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타입 또는 터치 타입의 키 패드를 구비할 수 하거나(하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어 RF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는 RF 카드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 즉 지문 인식 방식이나, 비밀 번호 입력 방식, RF 카드 인식 방식 중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을 접근 통제 모듈(160)이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접근 통제 모듈(160)은,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표시하도록 하는 시약 반출입 버튼 혹은 터치 버튼을 더 구비하여, 이 버튼을 통해서 사용자의 의도(반입 또는 반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접근 통제 모듈(160)에서 이러한 버튼 혹은 특정 방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들을 접근 통제 모듈(160)에 의해서 직접 처리하거나 혹은 제어 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통제 모듈(160)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세서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서 특정 방식(지문, 비밀 번호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사용자의 식별 정보 등)와의 비교를 통해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시약에 대한 반입과 반출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대안으로, 접근 통제 모듈(160)은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여 제어 모듈(150)의 제어하에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시약에 대한 반입과 반출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모듈(150)은, 리딩 모듈(140)과 접근 통제 모듈(160)에 연결되어, 리딩 모듈(140)과 접근 통제 모듈(160)을 직접 제어할 수 있고, 리딩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들을 직접 처리하여 시약 보관재(130)에 포함된 문자들이나 이미지 코드의 문자들을 추출하거나 혹은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들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관리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문자들이나 혹은 반출입하고자 하는 시약의 식별 정보(또는 식별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150)의 수행 형태는 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 의해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와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직접 이미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수행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리딩 모듈(140)이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110) 내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데 따라서도 제어 모듈(150)의 제어 흐름은 일정 부분 달라질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제어 모듈(150)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 모듈(150)은, 통신 인터페이스(151), 비휘발성 메모리(152), 휘발성 메모리(153), 접근 통제 모듈 인터페이스(154), 리딩 모듈 인터페이스(155), 제어 프로세서(156), 및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57)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그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3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제어 모듈(15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의 각 블록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통신 인터페이스(151)는, 로컬 네트워크(300)의 통신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1)는 시약 보관 장치(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400)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통신 단자는 예를 들어 USB, RS232,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유선의 혹은 무선 안테나를 구비한 단자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52)는, 제어 모듈(150)의 제어 프로세서(156)에서 수행되는 초기화 프로그램, 리딩 모듈(140)과 접근 통제 모듈(1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할 수 있는 시약들에 대한 식별 정보와 본 시약 보관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와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시약들의 반입, 반출 시간, 반입/반출시의 시약들의 각각의 무게 등의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152)는 리딩 모듈(140)로부터 캡쳐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들은 통신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휘발성 메모리(153)는, 비휘발성 메모리(152)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153)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접근 통제 모듈 인터페이스(154)는, 접근 통제 모듈(160)과 연결되어 접근 통제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통제 모듈(16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접근 통제 모듈 인터페이스(154)는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2C, SPI, UART, 병렬 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리딩 모듈 인터페이스(155)는, 리딩 모듈(140)과 연결되어 리딩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리딩 모듈(14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리딩 모듈 인터페이스(155)는,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2C, SPI, UART, 병렬 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57)는, 제어 모듈(150)의 각 블록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57)는 다수 데이터 비트의 병렬 버스이거나 단수 비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버스(예 I2C, SPI, UART 등)일 수 있고 이러한 병렬 버스와 시리얼 버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블록들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버스를 공유하거나 혹은 단독 버스(예 Point to Point 버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프로세서(156)는, 제어 모듈(150)의 각 블록들을 휘발성 메모리(153)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15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혹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한다.
제어 프로세서(156)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의 일 예로서, 제어 프로세서(156)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딩 모듈(140)과 접근 통제 모듈(16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i) 제어 프로세서(156)는 접근 통제 모듈(160)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비밀 번호나 사용자의 지문, 혹은 RF 카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해 제어 프로세서(156)는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알 수 있는 반출입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접근 통제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 프로세서(156)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본 시약 보관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서 사용자의 반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혹은 수신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를 출입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부터의 비교를 통해 결정된 반출입 허가를 결정할 수 있는 출입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신되거나 결정된 허가 여부에 따라서, 제어 프로세서(156)는 시약 보관 장치(100)를 개폐한다.
ii) 또한 제어 프로세서(156)는 개폐 손잡이(145) 혹은 개폐 손잡이(145)를 이용하여 개폐함에 따라 발생하는 개폐 신호를 리딩 모듈(140)로부터 수신하고, 열린 후에 닫힌 경우에, 리딩 모듈(140)의 이미지 센서(141)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캡쳐링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 프로세서(156)는 리딩 모듈(140)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141)에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지시를 내리고,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141)로부터 캡쳐링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프로세서(156)는 리딩 모듈(140)이 회전판(142)을 구비한 경우에, 이 회전판(142)을 회전하도록 회전 모터(143)에 회전을 지시하고, 이미지 센서(141)로부터 이미지를 일정한 주기로(예를 들어 초당 30 프레임) 캡쳐링하는 지시를 내리고, 이로부터 복수의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14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복수의 이미지는 예를 들어 360도 회전하여 만들어진 이미지들일 수 있다. 혹은 제어 프로세서(156)는 회전 모터(143)의 회전 각도(예를 들어 15도 각도 마다 1장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만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프로세서(156)는 시약을 포함하는 시약 보관재(130)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리딩 모듈(140)의 중량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값인 무게 값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제어 프로세서(156)에서 수행되는 i)과 ii)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순차적인 수행 과정은 예를 들어 리딩 모듈(140)이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110)의 내부 혹은 외부에 있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딩 모듈(140)이 외부에 있는 경우에, 시약의 반입을 위해서 먼저 시약을 포함하는 시약 보관재(130)를 리딩 모듈(140)에 넣어 인식하도록 하고, 그 후에 접근 통제 모듈(160)에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와 함께 시약 반출입 버튼(이때에는 반입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수행하고, 반출을 위해서는 접근 통제 모듈(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와 반출 버튼을 누른 후에, 리딩 모듈(140)에 반출할 시약 보관재(130)를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순서가 지켜지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반입 또는 반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제어 모듈(150)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리딩 모듈(140)이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먼저 접근 통제 모듈(160)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와 반출 또는 반입 버튼을 누른 후에, 리딩 모듈(140)에 반출 혹은 반입할 시약 보관재(130)를 인식하도록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리딩 모듈(140)이 내부 혹은 외부에 있는 것은 설계상의 문제일 뿐이다. 그러나 반입과 반출을 정확히 통제하기 위해서는 리딩 모듈(140)이 외부에 있을 때 보다 더 정확히 반입과 반출을 통제할 수 있다.
iii) 또한 제어 프로세서(156)는 리딩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프로세서(156)는 기존에 알려진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식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프로세서(156)는 이러한 OCR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추출된 문자들을, 메모리에 저장된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반입 또는 반출되는 시약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식별 정보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들이거나 혹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고, 이 식별 정보는 시약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자는 하나 이상의 필드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는 제조사, 화학 성분(비)으로 식별하거나 혹은 이에 더하여 일련 번호(이러한 일련번호는 제조사에 의해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어 부착된 번호 일 수 있다)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이러한 식별자는 시약의 명칭(제품명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OCR를 통해 인식된 문자들을 비교하여(즉 스트링 비교 함수 등을 이용하여) 일치하는 식별자를 가진 시약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식별자를 복수의 식별 정보로부터 찾은 경우에는 해당 식별 정보에 중량 센서로부터 알 수 있는 무게 값과 반입 또는 반출 시점을 기록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식별 정보로부터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약 보관재(130)의 캡쳐링된 이미지와 함께 추출된 문자들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추출된 문자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식별 정보나 혹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 중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복수의 식별 정보를 갱신하거나 특정 시약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156)는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코드는 예를 들어 바코드(barcode), QR 코드, V-Tag 등과 같이 정형화된 형태를 취하고 정형화된 형태에서, 인코딩된 문자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세서(156)는, 이러한 이미지 코드에 인코딩된 문자들을 더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문자들을 더 이용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iii)의 과정은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제어 프로세서(156)가 추출할 수 있는 예이다. 이러한 iii)의 과정은 대안으로 iv) 제어 프로세서(156)가 리딩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가 OC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문자들을 이용하여 시약의 식별자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시약 식별자를 제어 모듈(15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50)은 수신된 식별자를 메모리에 무게 값과 반입 반출 시점들과 함께 저장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관리 서버(200)가 스스로 이러한 정보를 직접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150)의 제어 프로세서(156)에서 수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더욱더 경제적인 시약 보관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같은 제어 모듈(150)의 구성을 통해, 시약의 반입과 반출을 트랙킹 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약 보관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시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 서버(200)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휘발성 메모리(220), 비휘발성 메모리(230), 데이터 베이스(240), 하드 디스크(250), 입력부(260), 출력부(270), 제어 프로세서(280) 및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90)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그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도 4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관리 서버(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베이스(240)의 구조 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관리 서버(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 서버(200)의 각 블록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로컬 네트워크(300)의 통신 타입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무선 또는 유선 랜을 위한 MAC 레이어의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230)는, 제어 프로세서(280)에서 수행되는 초기화 프로그램과 초기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와 인터페이스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220)는, 비휘발성 메모리(230)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전부 혹은 일부, 하드 디스크(250)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전부나 일부 및/또는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된 테이블들 중 전부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나 데이터 등을 임시로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240)는, 시약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테이블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240)는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거나 정형화된 자료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240)는 도 4에서 비록 별도의 분리된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드 디스크(250)와 메모리(220, 230) 그리고 제어 프로세서(280)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보다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 분리 표시한 것이다.
본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시약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모든 시약들의 정보를 가진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과, 시약 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들의 정보를 가진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과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보관하거나 보관할 시약들의 정보인 하나 이상의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테이블(24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테이블(247)을 대응하는 시약 보관 장치(100)로 초기화 과정(예를 들어 시약 관리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에서 시약 보관 장치(100)로 다운로드 될 수 있고, 이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사용자 테이블(247)을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 베이스(240)의 모델링된 상세 테이블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데이터 베이스(240)의 구조를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 데이터 베이스(240)는,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과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과 시약 보관 장치 테이블(245)과,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할당되는 사용자 테이블(247)과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을 포함한다. 이 외의 다른 테이블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 베이스(240)의 각 테이블을 상세히 살펴보면,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은,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시약 관리 시스템이 관리해야 할 모든 시약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에는, 제조사, 성분 정보, 이미지 코드 유무, 이미지 코드 포인터(즉 하드 디스크(250) 혹은 데이터 베이스(240)에 포함될 수 있는 특정 시약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 할당될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식별자, 시약의 보관재의 형태를 알 수 있는 타입, 동일한 시약이 복수개가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더 포함될 수 있는 시리얼 넘버나 혹은 미리 지정된 문자열 등의 필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필드들은 시약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의 각 시약의 필드를 참조하면, 어떤 시약 보관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는지 혹은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는 어떤지 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필드 중 일부는 시약을 다른 시약 혹은 특정 시약 보관 장치(100)에 포함된 시약들을 동일한 시약 보관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시약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한 필드(식별자 필드, 도 5에 미도시)를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은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 정보만이 하나의 식별자를 구성하거나 혹은 이에 더하여, 제조사나 이미지 코드 혹은 시리얼 넘버의 조합으로 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의 구성은 그 시약 관리 시스템의 사용 형태나 설계 형태에 따라 달라 질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를 구성하는 필드 정보는 관리 서버(200)에 의해서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전송을 통해 알려질 수 있고,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사용하는 식별자의 필드 정보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시약 보관 장치 내(100)에서도 동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나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저장될 시약에 대한 식별자도 상이할 수 있어서, 하나의 시약은 성분 정보로 식별될 수 있고, 다른 시약은 명칭 등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은,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시약 관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 또는 관리 서버(200)를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이다.
사용자의 정보에는 사용자의 식별자인 ID(Identification)나 ID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고, 패스워드의 대안으로 혹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지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코드는 지문의 특정 패턴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 혹은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약 보관 장치 테이블(245)은, 시약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시약 보관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이러한 시약 보관 장치 테이블(245)은,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식별자, 지문, RF 카드, 및 비밀 번호 입력 방식 중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수행 가능한지를 알 수 있는 보안 방식, 사용자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처리를 자체(즉 시약 보관 장치(100)가) 혹은 관리 서버(200)에 의한 처리인지를 알 수 있는 보안의 처리 방식, 문자 인식의 처리를 자체 혹은 관리 서버(200)에 의한 처리인지를 알 수 있는 문자 인식 처리 방식, 로컬 네트워크(300)에 현재 연결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접속 여부 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할당되는 사용자 테이블(247)은,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이용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정보에는 시약 보관 장치(100)에 출입한 시간 필드, 시약의 반입/반출 필드, 시약의 식별자 필드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로부터 추출되고, 예를 들어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의 ID, 패스워드나 지문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를 위한 사용자 테이블(247)은,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초기에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할당된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은,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에 보관되거나 보관될 수 있는, 시약에 대한 반입이나 반출 시간 혹은 이용량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이다.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은, 시약 관리 시스템 또는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다른 시약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 예를 들어 성분 정보나 제조사 필드를 포함하고, 그외 이미지 코드 유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드는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은, 시약의 사용 상태 즉 보관되어 있는지 혹은 반출되었는 지를 관리 할 수 있는 반입/반출 필드, 반입/반출 시간 필드, 현재 보관시의 무게 혹은 반출시의 무게를 알 수 있는 용량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사용자 테이블(247)은, 관리 서버(200)가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혹은 관리 서버(200)가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사용자 테이블(247)을 시약 보관 장치(100)가 구성할 수 있도록,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과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로부터 추출된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에 보관되거나 보관될 시약의 식별 정보(여기서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그 외 필드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와 이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해당 시약 보관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혹은 주기적으로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과 사용자 테이블(247)을 관리 서버(200)와 시약 보관 장치(100) 간에 동기화하거나 혹은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마다, 이 변동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 서버(200)가 수신하여 갱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240)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약 보관 장치(100)의 출입이 가능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고, 시약을 누가 얼마나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어디에 어떤 시약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나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하드 디스크(250)는, 각종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시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입력부(260)를 통해 사용자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OCR 알고리즘을 적용한 프로그램, 입력부(26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240)를 접근, 제어 및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 베이스(240)에 포함된 테이블과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이즈가 큰 이미지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관리 서버(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26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를 캡쳐링할 수 있는 카메라 혹은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관리 서버(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혹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27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90)는, 관리 서버(200)의 각 블록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90)는 다수 데이터 비트의 병렬 버스이거나 단수 비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버스(예 I2C, SPI, UART 등)일 수 있고 이러한 병렬 버스와 시리얼 버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입력부(260)나 출력부(270)를 고려한 전용의 특화된 버스(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블록들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버스를 공유하거나 혹은 단독 버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프로세서(280)는, 관리 서버(200)의 각 블록을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약 보관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 프로세서(280)의 제어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어 프로세서(280)는 i)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나 OCR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 프로세서(280)는, 데이터 베이스(240)에 저장된 테이블을 추가하거나 갱신하도록 하기 위해, 시약 관리 시스템에 추가될 시약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될 시약의 정보에는 해당 시약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이러한 식별 정보에는 제조사나, 명칭, 성분 정보, 이미지 코드 유무, 이미지 코드 포인터, 할당될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식별자, 시약의 보관재의 형태를 알 수 있는 타입, 동일한 시약이 복수개 일 수 있음을 고려하여 더 포함될 수 있는 시리얼 넘버나 혹은 미리 지정된 문자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약의 정보는 OC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들을 추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물론 이미지 코드 포인터는 문자 추출이 필요 없고 자동으로 생성 가능하다). 이때에는 OC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를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서, 문자들 중에 일부를 선택하여 데이터 베이스(240)의 특정 필드(field)로 지정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리고 OCR을 통해 수신된 이미지는 데이터 베이스(240) 혹은 하드 디스크(250)에 저장될 수 있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약의 정보를 입력부(260)로부터 수신하여 테이블(예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241))에 갱신한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280)는 데이터 베이스(240)에 포함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부(260)를 통해 수신하고, 데이터 베이스(240)(예 전체 사용자 테이블(243))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에는 사용자의 식별자인 ID(Identification)나 ID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고, 패스워드의 대안으로 혹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지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코드는 지문의 특정 패턴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 혹은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i) 또한 제어 프로세서(280)는 로컬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테이블(247) 및/또는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을 생성하거나 혹은 시약 보관 장치(100)가 생성하도록 시약의 식별 정보나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시약 보관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때에는 식별 정보 중 어떠한 필드의 조합이 식별자인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관리 서버(200) 혹은 시약 보관 장치(100) 중 어디에서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할 것인가는 예를 들어 시약 보관 장치 테이블(245)의 문자 인식 방식 및/또는 보안 처리 방식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문자 인식 방식이나, 보안 처리 방식이 관리 서버(200)에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200)에서 사용자 테이블(247)을 생성하고,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에 출입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테이블(247)을 이용하여 인증하고, 만일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허가를 나타내는 출입 제어 명령을 로컬 네트워크(300)를 통해 시약 보관 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테이블(247)에 사용자의 출입 시간을 기입하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도 동일한 형태로 갱신될 수 있다. 즉 문자 인식이 시약 보관 장치(100)가 수행 불가능한 경우(즉 관리 서버(200)에서), 시약 보관 장치(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재(130)에 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서 OCR 알고리즘을 통해 문자들을 추출(이 때에 이미지 코드가 있는 경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문자들을 더 추출할 수 있다)한다.
그리고 추출된 문자들을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에 있는 식별자와 비교를 통해서 특정 시약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특정 시약에 대한 식별자나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시약 보관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의 수행되는 이러한 과정은 물론 시약 보관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수행가능한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사용자나 시약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처리된 결과를 주기적으로 혹은 처리된 직후에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약 보관 장치(100)의 실행 능력에 따라 관리 서버(200)가 직접 처리하거나 혹은 시약 보관 장치(100)에서 실행된 결과만을 관리할 수도 있다.
도 6은, 문자들이나 이미지 코드가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예시적인 시약 보관재(130)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로부터 관리 서버(200)나 시약 보관 장치(100)의 제어 프로세서(280, 156)에서 수행될 수 있는 문자들의 추출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의 (a) 내지 (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약 보관재(130)는 시약을 보관 또는 수용하며, 시약 보관재(130)는 다양한 물질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시약 보관재(1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병이나, 용기, 박스의 형태일 수도 있고, 유리로 구성된 병이나, 용기, 또는 박스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시약 보관재(130)는 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외 종이로 구성된 박스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시약 보관재(130)는, 시약 보관재(130)의 몸체가 원통형, 육면체형(정육면체, 직육면체 등)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시약 보관재(130)에 기입되어 있는 다양한 문자(종이에 프린트 되어 부착되거나 혹은 직접 기입되어 있는)들을 용이하고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시약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나 식별 정보를 구성한다.
문자들을 추출하기 위해서 시약 보관 장치(100)의 리딩 모듈(140)에서 캡쳐링된 이미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캡쳐링된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전후좌우 또는 일정한 회전 각도에서 획득한 이미지 및/또는 상측(면)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미지로부터 제어 프로세서(280, 156)는 문자들을 OCR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추출하며, 바코드나 QR 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 코드가 내장된 경우에는 바코드나 QR 코드의 형태로부터 문자들을 더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이미지의 문자들을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의 식별자(혹은 식별 정보)의 문자열과의 비교를 통해서 시약을 식별한다.
즉, 식별자가 2개의 필드(예를 들어 제조사, 성분 정보)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이미지의 문자들에서 특정 시약의 제조사와 성분 정보가 있는지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에서, 특정 시약의 제조사가 일치하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에서 성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 시약 보관재(130)가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의 특정 시약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를 더 고려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시약의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가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알 수 있는 형태와 일치하는 것임을 더 고려하여 시약을 식별할 수도 있다.
육면체 형태는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여, 문자열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원통형(도 6의 (d) 참조, 혹은 육면체 형태 중 일부)의 경우에는 원통형의 라운드(Round)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걸쳐서 문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에는, 문자들이 표시된 이미지의 문자들을 연결하여 문자들(즉 문자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문자들을, 인접하는 이미지의 추출된 문자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문자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의 추출된 문자들의 가장 자리의 문자(이미지의 좌측 혹은 우측)들은 인접하는 이미지의 추출된 문자들의 가장 자리의 문자(이미지의 우측 혹은 좌측)들과 동일한 문자들(즉 단어)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중복되는 문자들을 찾고(문자 간의 이미지의 유사도로서 찾을 수도 있다), 중복되는 문자를 중심으로 각각의 이미지의 문자들을 연결함으로써 문자들로 구성된 문자열을 구성하고,
이 문자열에서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249)에 포함된 식별자의 비교를 통해서 특정 시약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식별된 특정 시약의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를 확인함으로써 식별된 시약이 동일한 것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장 자리의 일부의 문자들은 라운드 형태에 의해서 일부 인식(추출)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추출된 문자들에 대해서만 중복되는 문자들을 찾음으로써 이러한 일부 인식되지 않은 문자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추출되지 않은 문자와 추출된 문자 간의 이미지의 유사도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약의 식별 방식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시약 보관재(130)의 형태를 자동으로 고려하고,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시약 보관 장치 110 : 시약 보관 장치 케이스
120 : 선반 130 : 시약 보관재
131 : 문자들 133 : 이미지 코드
140 : 리딩 모듈 141 : 이미지 센서
142 : 회전판 143 : 회전 모터
144 : 리딩 모듈 케이스 145 : 개폐 손잡이
146 : 중량 센서
150 : 제어 모듈 151 : 통신 인터페이스
152 : 비휘발성 메모리 153 : 휘발성 메모리
154 : 접근 통제 모듈 인터페이스 155 : 리딩 모듈 인터페이스
156 : 제어 프로세서 157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160 : 접근 통제 모듈 200 : 관리 서버
2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 휘발성 메모리
230 : 비휘발성 메모리 240 : 데이터 베이스
241 : 전체 시약 정보 테이블 243 : 전체 사용자 테이블
245 : 시약 보관 장치 테이블 247 : 사용자 테이블
249 : 시약 정보 식별 테이블
250 : 하드 디스크 260 : 입력부
270 : 출력부 280 : 제어 프로세서
290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300 : 로컬 네트워크 400 : 퍼스널 컴퓨터

Claims (12)

  1. 삭제
  2.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로서,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capturing)하는 리딩 모듈; 및
    상기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는, 상기 시약 보관재에 대한 적어도 4 방향의 이미지를 캡쳐링하도록, 적어도 4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적어도 4 방향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들과 저장된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와의 비교로 상기 시약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시약 보관 장치.
  3.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로서,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capturing)하는 리딩 모듈; 및
    상기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딩 모듈은, 상기 시약 보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지정된 주기로 이미지 센서가 캡쳐링한 일련의 복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들과 저장된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와의 비교로 상기 시약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시약 보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모듈은, 시약을 포함하는 상기 시약 보관재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 식별된 상기 시약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에 시약의 무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어 시약 보관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통제하기 위한 접근 통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접근 통제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통제 모듈은, 지문 인식 방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코드에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문자들을 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시약이 복수의 식별 정보로부터 식별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로 시약 보관재의 캡쳐링된 이미지와 함께 추출된 문자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접근 통제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출입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약의 반입 또는 반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관리 서버로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결정된 시약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보관 장치.
  11.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에서의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관리 시스템으로서,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capturing)하는 리딩 모듈; 및 상기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는, 상기 시약 보관재에 대한 적어도 4 방향의 이미지를 캡쳐링하도록, 적어도 4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여,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시약을 식별하되, 상기 적어도 4 방향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들과 저장된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와의 비교로 시약을 식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약 관리 시스템.
  12.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에서의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관리 시스템으로서,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여 시약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시약 보관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리딩 모듈; 및 상기 캡쳐링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리딩 모듈은 상기 시약 보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지정된 주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련의 복수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시약 보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시약 보관재의 이미지로부터 문자들을 추출하여, 각각의 시약 보관 장치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시약을 식별하되, 상기 캡쳐링된 일련의 복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시약 보관재에 표시된 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들과 저장된 시약에 대한 복수의 식별 정보와의 비교로 시약을 식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시약 관리 시스템.
KR1020110096751A 2011-09-26 2011-09-26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23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51A KR101239817B1 (ko) 2011-09-26 2011-09-26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51A KR101239817B1 (ko) 2011-09-26 2011-09-26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817B1 true KR101239817B1 (ko) 2013-03-06

Family

ID=4818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51A KR101239817B1 (ko) 2011-09-26 2011-09-26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8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87A (ko) 2015-08-24 2017-03-06 조성기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KR101753298B1 (ko) * 2015-12-31 2017-07-05 대덕밸리과학기술인 협동조합 IoT 센서 기반의 시약 등록 장치 및 방법
CN106970586A (zh) * 2017-03-30 2017-07-21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医院检验科实验室试剂用量监控系统
KR20190008669A (ko) * 2017-07-17 2019-01-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CN111420715A (zh) * 2020-03-24 2020-07-17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应用于化学实验室存储化学药品的智能柜
KR20210017861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시약용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화학물질 종합관리 시스템
KR20210138907A (ko) 2020-05-13 2021-11-22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158A (ja) * 2002-11-22 2004-06-17 Glory Ltd 薬剤認識装置
KR20080036031A (ko) * 2008-04-01 2008-04-24 주식회사 제이오텍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약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158A (ja) * 2002-11-22 2004-06-17 Glory Ltd 薬剤認識装置
KR20080036031A (ko) * 2008-04-01 2008-04-24 주식회사 제이오텍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약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87A (ko) 2015-08-24 2017-03-06 조성기 IoT 기반의 스마트 랩 관리 시스템
KR101753298B1 (ko) * 2015-12-31 2017-07-05 대덕밸리과학기술인 협동조합 IoT 센서 기반의 시약 등록 장치 및 방법
CN106970586A (zh) * 2017-03-30 2017-07-21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医院检验科实验室试剂用量监控系统
CN106970586B (zh) * 2017-03-30 2019-06-07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医院检验科实验室试剂用量监控系统
KR20190008669A (ko) * 2017-07-17 2019-01-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KR101996724B1 (ko) * 2017-07-17 2019-07-04 안영주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KR20210017861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시약용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화학물질 종합관리 시스템
KR102264747B1 (ko) * 2019-08-09 2021-06-15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시약용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화학물질 종합관리 시스템
CN111420715A (zh) * 2020-03-24 2020-07-17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应用于化学实验室存储化学药品的智能柜
KR20210138907A (ko) 2020-05-13 2021-11-22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KR20230058597A (ko) 2020-05-13 2023-05-03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817B1 (ko) 시약의 반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약 보관 장치 및 시약 관리 시스템
CN103279779B (zh) 一种自助终端吞卡处理设备及系统
US104104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d container
CN106104600B (zh) 多模式电子收款机装置
US8559669B2 (en) Security polymer threat detec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8059579A (ja) Rfidおよびその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13534652A5 (ko)
CN110503375A (zh) 仓储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70079133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having a su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CN111401159A (zh) 酒店鉴权管理方法、系统、酒店管理系统以及用户终端
US20130103528A1 (en) Methods for using a shopping bag of reusable type with identification of digital type
CN109332223A (zh) 用于物件处理的系统、方法和设备
CN107610360A (zh) 物品寄存方法及系统
CN107180222A (zh) 指纹感测系统和方法
CN105046304A (zh) 基于nfc近场通信技术的图书馆系统
CN101634859A (zh) 信息处理系统
CN213644158U (zh) 一种应用于材料化学领域实验室的智能化化学试剂柜
CN104392558A (zh) 用于智能快件柜的登录方法及登录装置
CN103824040B (zh) 一种基于rfid的自助取料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20101714A1 (en) Management of an object
CN203242018U (zh) 一种自助终端吞卡处理设备及系统
CN104252681B (zh) 用以对电子票证进行数字盖章的装置、使用系统及方法
US20210201284A1 (en) Sal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557252A (zh) 销售数据处理装置以及销售数据处理方法
Kandhikonda IoT Based Vehicle and License Authent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