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888A - 터치형 제어기 - Google Patents

터치형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888A
KR20170021888A KR1020177003214A KR20177003214A KR20170021888A KR 20170021888 A KR20170021888 A KR 20170021888A KR 1020177003214 A KR1020177003214 A KR 1020177003214A KR 20177003214 A KR20177003214 A KR 20177003214A KR 20170021888 A KR20170021888 A KR 2017002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ng device
physical
ke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타오 후
Original Assignee
징타오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징타오 후 filed Critical 징타오 후
Publication of KR2017002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형 제어기를 공개하였고, 터치 센싱 기기(102), 중력 센싱 기기(104), 피지컬 키(physical key)(103), 제어 회로(101) 및 전력 공급 기기(106)를 포함한다. 터치 센싱 기기(102), 중력 센싱 기기(104) 및 피지컬 키(103)는 각각 제어 회로(101)와 연결되고, 터치 센싱 기기(102)는 터치 패널 및 피지컬 버튼을 포함하며, 피지컬 버튼은 터치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터치 패널과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하며, 터치 센싱 기기(102), 중력 센싱 기기(104) 및 제어 회로(101)는 모두 전력 공급 기기(106)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설계를 통해, 터치 센싱 기기(102) 등을 사용하여 기기에 대한 멀티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고, 사용자가 기타 제어 기기를 구매하는 원가를 절감시켰다. 아울러, 본 발명은 중력 센싱 기술을 상기 제어기에 창조적으로 응용하여, 사용자의 상이한(不同的) 핸드 헬드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형 제어기{TOUCH-TYPE CONTROLLER}
본 발명은 제어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형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전자 제품의 대중화에 따라, 제어기는 사람과 스마트 전자 제품의 휴먼-기계 교환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킨다. 게임 기능, 비디오 기능 및 인터넷 서핑 기능을 동시에 집합(集合)시키는 안드로이드 TV 박스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날따라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의 상기 스마트 기기와 매칭되는 제어기는 일부 기능은 단일하고, 일부는 복잡하게 설계되어 사용자가 쉽게 혼란에 빠지게 되며 사용자 체험감이 바람직하지가 않다.
이 밖에, 현재의 대부분 휴대폰 게임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어를 실현하지만, 시장에서는 기존의 크로스 제어 게임과 터치형 휴대폰 게임을 동시에 제어하는 게임 제어기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시장에서는 비디오 제어, 문자 입력, 기존 게임 제어, 터치형 게임 제어 및 마우스 등 기능을 동시에 실현하는 간단한 설계의 멀티 기능 제어기의 수요가 현재 절박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간편한 설계의 제어기를 제공하여, 터치 센싱 기기를 통해 멀티 기능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형 제어기를 제공하고, 이는 터치 센싱 기기, 중력 센싱 기기, 피지컬 키, 제어 회로, 전력 공급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 상기 중력 센싱 기기 및 상기 피지컬 키는 각각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는 터치 패널 및 피지컬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피지컬 버튼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이는 상기 터치 패널과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 상기 중력 센싱 기기 및 상기 제어 회로는 모두 상기 전력 공급 기기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터치형 제어기는 데이터 출력 기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모드 지시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상기 모드 지시등은 각각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모드 지시등은 상기 전력 공급 기기와도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센싱 기기는 터치 패널 및 피지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피지컬 버튼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패널과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패널 표면에는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터치 센싱되는 눈금 마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눈금 마크는 터치 패널을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영역은 내부 터치 영역 및 상기 내부 터치 영역을 에워싸고 있는 다수의 외부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지컬 키는 피지컬 프로그램 가능 키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터치형 제어기는, 메뉴 선택 기능, 마우스 기능, 문자 입력 기능, 기존 게임 제어 기능 및 터치 게임 제어 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고, 여러가지 스마트 기기 및 컴퓨터와 휴먼-기계 교환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을 대폭 편리하게 하였고, 사용자가 기타 제어 기기를 구매하는 원가를 절감시켰다.
아울러, 본 발명은 중력 센싱 기술을 상기 제어기에 창조적으로 응용하여, 사용자의 상이한 핸드 헬드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기기는 체적이 작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한가지 외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 구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데이터 흐름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제어기가 수직으로 파지(擺持) 될 경우 터치 영역과 버튼 위치의 대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제어기가 수평으로 파지될 경우 터치 영역과 버튼 위치의 대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제어기가 터치형 게임 제어에 대해 작동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을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이래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형 제어기는 제어 회로(101), 터치 센싱 기기(102), 피지컬 키(103), 중력 센싱 기기(104)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출력 기기(105), 전력 공급 기기(1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102), 상기 중력 센싱 기기(104), 상기 데이터 출력 기기(105) 및 상기 피지컬 키(103)는 각각 상기 제어 회로(101)와 연결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102), 상기 중력 센싱 기기(104), 상기 제어 회로(101) 및 상기 데이터 출력 기기(105)는 모두 상기 전력 공급 기기(106)와 연결된다. 상기 터치 센싱 기기(102)는 터치 패널 및 피지컬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피지컬 버튼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 패널과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회로(1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모드 지시등(108)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상기 모드 지시등(108)은 각각 상기 제어 회로(101)와 연결되고, 상기 모드 지시등(108)은 상기 전력 공급 기기(106)와도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한가지 외부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기능 제어기 외부 하드웨어는 터치 센싱 기기(102), 피지컬 키(103), 피지컬 모드 전환 키(107), 모드 지시등(108)을 포함하고, 외각 내부에 위치한 중력 센싱 기기(104), 전력 공급 기기(106), 제어 회로(101) 및 그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출력 기기(105)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지시등(108)은 외각 최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지컬 모드 전환 키(107)는 그 다음에 설치되며, 상기 모드 지시등(108)과 붙어있고, 상기 터치 패널은 외각의 중상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지컬 키(103)는 7개이고, 여기서 3개 피지컬 키(103)는 외각의 중부에 설치되며, 일자로 배열되고, 나머지 4개는 외각의 하부에 설치되며, 마름모 형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지컬 키(103)는 바람직하게는 피지컬 프로그램 가능 키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피지컬 키(103)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피지컬 키(103)를 온 오프 버튼, 방향 버튼, 일시 정지/재생 버튼 등등으로 설정하며, 또한, 길게 누름의 커스텀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어느 한 키를 길게 누르면 온 오프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상기 피지컬 프로그램 가능 키를 설정하여 조합 키 방식으로 기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실제 동작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표면은 또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터치 센싱되는 눈금 마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눈금 마크는 터치 패널을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구획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영역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 영역은 내부 터치 영역 및 상기 내부 터치 영역을 에워싸고 있는 다수의 외부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 구획도이다.
터치 센싱 기기(102)의 하단은 하나의 피지컬 버튼이고, 상기 버튼은 터치 패널 표면과 함께 하나의 대면적의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한다. 터치 패널 표면에 사용자 손가락을 올려놓고 감지된 눈금 마크(301)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눈금 마크의 주요한 기능은 터치 패널을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 손가락이 대응되는 터치 영역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경우, 터치 패널 표면은 바람직하게 9개 터치 영역으로 구획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터치 영역 5는 터치 패널 중심에 위치하고, 주변의 영역은 각각 터치 영역 1~터치 영역 9이다.
실시예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터치형 제어기의 데이터 흐름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기반으로, 또한, 터치형 제어기의 지능화를 위해, 상기 제어기를 구체적인 기능에 따라 모션 분석 모듈(401), 터치 제어 모듈(402), 키 모듈(403), 중력 센싱 모듈(404),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 및 모드 전환 모듈(406)로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제어 모듈(402)은 터치 센싱 기기 및 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제어 모듈(402)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 모듈(403)은 피지컬 키 및 관련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키 모듈(403)은 사용자의 키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력 센싱 모듈(404)은 중력 센싱 기기 및 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중력 센싱 모듈(404)은 제어기의 중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은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관련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은 상기 터치 제어 모듈(402), 상기 키 모듈(403) 및 상기 중력 센싱 모듈(404)에서 발송한 데이터에 대해 운전 모드 표식을 진행하고, 표시한 후의 데이터를 상기 모션 분석 모듈(401)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션 분석 모듈(40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모션 분석 모듈(401)은 상기 모드 전환 모듈(406)에서 발송한 데이터를 인스트럭션 분석하고, 인스트럭션 생성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을 상기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은 데이터 출력 기기 및 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은 상기 모션 분석 모듈(401)에서 발송한 인스트럭션을 제어하고자 하는 외부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본 실시예의 기능 실현 방식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기능 실현은 터치 제어 모듈(402), 키 모듈(403) 및 중력 센싱 모듈(404)에 의해 산생(産生)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터치 제어 모듈(402)은 주요하게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 패널에서 접촉되는 절대 좌표를 전송하는 것을 책임지고, 아울러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터치 패널에서 이동되는 상대 좌표를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두개 그룹의 좌표는 터치 제어 모션 데이터 패키지로 결합된다. 키 모듈(403)은 사용자가 피지컬 키에 대해 작동하여 산생된 키 대응 신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책임지고, 상기 신호 데이터는 키 동작 데이터 패키지를 구성한다. 중력 센싱 모듈(404)은 사용자가 제어기를 파지하여 산생되는 중력 데이터를 제공하고, 즉 사용자가 당시에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있을 시 산생된 수평 방향 데이터와 제어기가 흔들리는 가속 데이터는 중력 데이터 패키지로 결합된다. 세가지 데이터 패키지는 하나의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을 구성한다.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을 수집한 후, 모드 전환 모듈(406)은 단계 판정 모드를 진행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모드 전환 모듈(406)이 일으킨 모드 상태를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에 표기한다. 모드 전환 모듈(406)은 주요하게 당시의 제어기의 모드 상태를 하나의 데이터로 표기하고, 각각의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을 하나의 대응되는 모드에 표기하며, 메뉴 모드 대응 데이터 패키지, 게임 모드 대응 데이터 패키지, 마우스 모드 대응 데이터 패키지, 문자 입력 모드 대응 데이터 패키지를 생성하고, 또한 대응되는 모드 지시등을 사용자에게 선사한다. 예를 들면, 당시 제어기가 메뉴 선택 모드이면, 상기 모듈은 하나의 메뉴 선택 태그를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에 산생시키고, 모드 지시등에서 대응되는 메뉴 선택 등을 표시한다.
모션 분석 모듈(401)은 주요하게 이미 모드 상태가 표기된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을 분석하고 인스트럭션 분석 결과를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에 전송하는 것을 책임진다.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은 여러 기기의 한가지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를 연결시킬 수 있고, 대응되는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진행하는 것을 책임진다. 예를 들면, 제어기는 블루투스 스마트 기기의 리모컨에 응용되고,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블루투스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진행한다. 당연히, 상기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도 기타 방식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적외선 및 음파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멀티 기능 제어기에는 메뉴 선택 모드, 마우스 모드, 게임 모드 및 문자 입력 모드, 네가지 운전 모드가 존재한다. 아래는 네가지 모드 하의 인스트럭션 데이터 분석 과정이다.
1. 메뉴 선택 모드
일반적인 메뉴 제어 기능은 상측으로, 하측으로, 좌측으로, 우측으로, 좌측 상측으로, 좌측 하측으로, 우측 상측으로 및 우측 하측으로의 절대 방향으로 인스트럭션을 제어한다. 스마트 기기 스크린에서, 상기 방향은 절대적이지만, 기기의 제어기를 손으로 잡으면 상기 방향은 상대적인데, 이는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 손에서의 핸드 헬드 방향이 개변(改變)될 수 있기때문이다. 사용자가 수평방향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작동하는 방향과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작동하는 방향 좌표는 상이하다.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 모션 분석 모듈(401)은 주요하게 터치 제어 모듈(402)이 획득한 손가락이 터치 패널을 접촉하는 절대 좌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제어기를 손을 잡은 방향과 결부하여 하나의 메뉴 제어 인스트럭션을 구현(體現)한다. 터치 패널은 눈금 마크(301)로 다수개의 터치 영역을 형성하는 상황하(情況下)에서, 터치 패널의 각각의 접점 좌표는 모두 어떠한 터치 영역 집합 내에 분류된다. 상기 절대 좌표는 중력 데이터 패키지를 통해 방향 보정을 진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직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을 경우, 터치 영역 1~터치 영역 9는 각각 버튼 위치 1~9에 대응되고, 사용자가 터치 영역 2와 접촉하였을 경우, 터치 모션이 산생한 좌표는 버튼 위치 2에 분류된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평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으면, 터치 영역 1은 버튼 위치 7에 대응되고, 터치 영역 2는 버튼 위치 4에 대응되며, 터치 영역 3은 버튼 위치 1에 대응되고, 터치 영역 6은 버튼 위치 2에 대응되며……, 이 때 사용자가 터치 영역 2와 접촉하면, 상기 터치 모션이 산생한 좌표는 버튼 위치 4로 분석된다. 모션 분석 모듈(401)은 사용자가 터치한 대응되는 버튼 위치 번호를 수집한 후, 사용자가 피지컬 키에서 누르는 버튼을 기다리고, 손가락으로 터치한 버튼 위치 번호는 다시 대응되는 피지컬 키 조합을 눌러 하나의 메뉴 선택 인스트럭션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직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터치 영역 2와 접촉한 후, 사용자가 터치 패널 최저부의 피지컬 버튼을 누르는데, 이러한 모션은 모션 분석 모듈(401)에 의해 메뉴가 상측으로의 인스트럭션인 것으로 판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평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터치 영역 2와 접촉한 후, 사용자가 터치 패널 최저부의 피지컬 버튼을 누르는데, 이러한 모션은 모션 분석 모듈(401)에 의해 메뉴가 좌측으로의 인스트럭션인 것으로 판정된다.
2. 마우스 모드
마우스 기능은 이동 궤적 데이터와 클릭 동작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마우스 모드하에서, 터치 제어 모듈(402)은 손가락에 접촉되는 절대 좌표와 손가락이 이동한 상대 좌표를 분석하여, 이동 궤적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모션 분석 모듈(401)은 마찬가지로 중력 센싱 모듈(404)과 결합하여 하나의 절대 방향 이동 궤적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직으로 제어기를 손으로 잡고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에서 도 3의 터치 영역 5에서 터치 영역 4까지 슬라이딩할 경우, 모션 분석 모듈(401)은 상기 인스트럭션을 마우스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으로 하여 출력하게 된다. 대응되는 것은,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기를 수평으로 잡고 손가락으로 터치 영역 5에서 터치 영역 4까지 슬라이딩할 경우, 모션 분석 모듈(401)은 상기 인스트럭션을 마우스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으로 하여 출력한다. 클릭 동작의 기능은 키 모듈(403)로써 직접 대응되는 마우스 키 클릭 인스트럭션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기를 수직으로 잡고 손가락으로 터치 영역 5에서 터치 영역 4까지 슬라이딩하고 터치 패널 최하부의 피지컬 버튼을 누를 경우, 모션 분석 모듈(401)은 마우스가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고 마우스가 좌측 키를 누르는 인스트럭션으로 출력한다.
3.게임 모드
게임 모드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은 여러가지 게임 제어 수요와 호환될 수 있다.
기존의 게임 제어는 십자 방향 제어 기능을 필요로 하였는데, 상기 기능의 실현 방법은 상기 메뉴 선택 모드하에서의 방향 제어와 동일한 것으로서,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터치 제어형 게임은 제스쳐 이동 궤적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데, 본 발명은 인스트럭션 데이터 집합를 분석하여 제스쳐 이동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터치 게임 '앵그리 버드'에서,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이동한 궤적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상기 궤적 데이터를 산출하여 버드가 튕겨 나가는 방향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 중의 터치 제어 모듈(402)에서 제공되는 손가락 이동 상대 좌표는 하나의 손가락 방향 제어의 궤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게임은 손가락이 스크린에서 절대 위치하에서 어떠한 제스쳐를 취하여 게임 제어를 진행하는 지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터치 게임 '템플 런'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중앙 위치에서 손가락을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모션을 필요로 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좌측 상단을 클릭하여 게임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필요로 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우측 하단을 클릭하여 게임 일시 정지/시작 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사용자는 단지 본 실시예의 터치 패널에서 대응 위치의 제스쳐를 진행하여 터치 게임 제스쳐 제어를 완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기를 수평으로 잡고, 터치 패널 중앙(701)에서 상, 하 스라이딩 모션은 상기 게임에서 상, 하 슬라이딩 모션에 대응되고, 제어기에서 터치 패널 좌측 상단(702)을 클릭하는 것은 상기 게임 중의 좌측 상단을 클릭하여 게임 도구를 사용하는 모션에 대응되며, 제어기에서 터치 패널 우측 하단(703)을 클릭하는 것은 상기 게임에서 터치스크린 우측 하단을 클릭하여 게임을 일시 정지/시작하는 모션에 대응된다.
일부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기를 잡고 스윙하는 모션으로 게임 제어를 진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게임 '템플 런'에서, 사용자는 손으로 잡은 스크린을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우측을 향한 게임 제어로 해야 하고,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좌측을 향한 게임 제어로 해야 한다. 본 실시예 중의 중력 센싱 모듈(404)에서 제공되는 제어기 파지 방향과 모션 데이터는 상기 게임 제어 수요를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실제 작동에 있어서, 제어되는 각 스마트 기기의 스크린 사이즈 크기가 상이하고, 절대 위치의 제스쳐 슬라이딩을 필요로 한다면, 맵핑 좌표의 연산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터치 패널이 정사각형이고, 모션 분석 모듈(401)은 터치 패널 좌표(x, y)를 게임 제어 좌표(a, b)에 맵핑해야 한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은 192 DPI(인치당 도트 수)의 기술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1인치(즉 192*192개 작동 가능한 좌표를 구비함)이다. 현재 1080P의 고해상도 스크린의 게임이 있는데, 상기 스크린의 작동 가능한 좌표 도트 수는 1920*1080이다. 사용자 손가락은 절대 좌표(100, 50)에서 클릭하였고, 모션 분석 모듈(401)은 상기 맵핑 좌표를 하기와 같이 연산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인스트럭션 출력 모듈(405)은 스마트 기기에 모션 분석 모듈(401)이 획득한 인스트럭션인 클릭 좌표(1000, 281)를 출력한다.
4. 문자 입력 모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의 터치 패널은 9개 터치 영역으로 구획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영역에서 입력을 누를 경우, 9가지 상이한 전자파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9가지 상이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는 대응되게 1~9까지의 숫자를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스마트 기기에서 기타 전자파 신호와 입력 정보의 대응 관계를 기설정함으로써, 기타 문자 입력 방식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T9 입력법, 스크래쳐블 라텍스 입력법이다.
또한, 상이한 슬라이딩 모션에 따라 상이한 전자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전자파 신호와 입력 정보의 대응 관계를 기설정하여 텍스트 입력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을 9개 터치 영역으로 구획하고, 터치 영역 1에서 터치 영역 2까지 슬라이딩하여 전자파 신호를 발생한다면, 터치 영역 1에서 터치 영역 4까지 슬라이딩하여 전자파 신호를 발생하고, 터치 영역 1에서 터치 영역 5까지 슬라이딩하여 전자파 신호를 발생하며, 터치 영역 1에서 터치 패널까지 슬라이딩하여 또 전자파 신호를 발생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하면, 40가지 상이한 전자파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전자파 신호와 입력한 대응 관계를 기설정하고, 즉 26개 자모의 입력 및 기타 자체 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자체 정의 기능은 스페이스바 입력, 부호 입력, 복제/붙여 넣기 등일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터치형 제어기는, 간단한 설계를 통해, 터치 센싱 기기 등을 사용하여 기기에 대한 멀티 기능을 제어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중력 센싱 기술을 상기 제어기에 창조적으로 응용하여, 사용자의 상이한 핸드 헬드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할 수 없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약간의 개선과 변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변동도 본 발명의 보허범위로 간주할 수 있음을 지적하는 바이다.

Claims (7)

  1. 터치 센싱 기기, 중력 센싱 기기, 피지컬 키(physical key), 제어 회로 및 전력 공급 기기를 포함하는 터치형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기기, 상기 중력 센싱 기기 및 상기 피지컬 키는 각각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기는 터치 패널 및 피지컬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피지컬 버튼은 상기 터치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이는 상기 터치 패널과 피지컬 터치 키를 구성하며;
    상기 터치 센싱 기기, 상기 중력 센싱 기기 및 상기 제어 회로는 모두 상기 전력 공급 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모드 지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피지컬 모드 전환 키 및 상기 모드 지시등은 각각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되며; 상기 모드 지시등은 상기 전력 공급 기기와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3.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 출력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표면에는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터치 센싱되는 눈금 마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눈금 마크는 터치 패널을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구획(劃分)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내부 터치 영역 및 상기 내부 터치 영역을 에워싸고 있는 다수의 외부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컬 키는 피지컬 프로그램 가능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제어기.







KR1020177003214A 2014-08-06 2015-07-24 터치형 제어기 KR20170021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439245.X 2014-08-06
CN201420439245.XU CN204009771U (zh) 2014-08-06 2014-08-06 一种触感型控制器
PCT/CN2015/085000 WO2016019811A1 (zh) 2014-08-06 2015-07-24 一种触感型控制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18U Division KR20170001081U (ko) 2014-08-06 2015-07-24 터치형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88A true KR20170021888A (ko) 2017-02-28

Family

ID=520497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18U KR20170001081U (ko) 2014-08-06 2015-07-24 터치형 제어기
KR1020177003214A KR20170021888A (ko) 2014-08-06 2015-07-24 터치형 제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18U KR20170001081U (ko) 2014-08-06 2015-07-24 터치형 제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25068A1 (ko)
EP (1) EP3179343A4 (ko)
JP (1) JP3211484U (ko)
KR (2) KR20170001081U (ko)
CN (1) CN204009771U (ko)
WO (1) WO2016019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09771U (zh) * 2014-08-06 2014-12-10 胡竞韬 一种触感型控制器
CN108768373A (zh) * 2018-07-03 2018-11-06 珠海进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势控制的新型线控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113A (en) * 1991-07-31 1997-09-09 Microtouch Systems, Inc. System for using a touchpad input device for cursor control and keyboard emulation
US5613137A (en) * 1994-03-18 1997-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touchpad support in operating system
US5748185A (en) * 1996-07-03 1998-05-05 Stratos Product Development Group Touchpad with scroll and pan regions
US5943044A (en) * 1996-08-05 1999-08-24 Interlink Electronics Force sensing semiconductive touchpad
US6392636B1 (en) * 1998-01-22 2002-05-21 Stmicroelectronics, Inc. Touchpad providing screen cursor/pointer movement control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US6392637B2 (en) * 1998-08-13 2002-05-21 Dell Usa, L.P. Computer system having a configurable touchpad-mouse button combination
AU2002234123A1 (en) * 2000-12-21 2002-07-01 Cirque Corporation Touchpad code entry system
JP4034796B2 (ja) * 2005-06-17 2008-01-16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WO2008103018A1 (en) * 2007-02-23 2008-08-28 Tp-I Co., Ltd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pointing apparatus in digial device
US8125461B2 (en) *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20110148762A1 (en) * 2009-12-22 2011-06-2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command input
US9520056B2 (en) * 2010-05-11 2016-12-1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CN202014320U (zh) * 2011-01-25 2011-10-19 海尔集团公司 遥控器及电视机系统
CN102843597A (zh) * 2012-08-21 2012-12-26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机顶盒遥控器
CN103065447B (zh) * 2012-12-19 2014-07-30 中感科技有限公司 触摸板的输入切换方法及基于触摸板的双面遥控器
CN203012942U (zh) * 2012-12-19 2013-06-19 中感科技有限公司 基于双面遥控器的红外控制系统
CN103747314A (zh) * 2013-08-02 2014-04-23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触控式遥控器及其触控方法
CN204009771U (zh) * 2014-08-06 2014-12-10 胡竞韬 一种触感型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81U (ko) 2017-03-22
US20170225068A1 (en) 2017-08-10
EP3179343A1 (en) 2017-06-14
WO2016019811A1 (zh) 2016-02-11
EP3179343A4 (en) 2017-08-02
JP3211484U (ja) 2017-07-20
CN204009771U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993A1 (en) Computer mouse
KR101471267B1 (ko) 터치 키보드의 동적 생성 방법 및 장치
US89638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part I
CN101779188B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JP5323070B2 (ja) 仮想キーパッドシステム
US20160364138A1 (en) Front touchscreen and back touchpad operated user interface employing semi-persistent button groups
CN108700957B (zh) 用于虚拟环境中文本输入的电子系统和方法
CN103686283B (zh) 一种智能电视遥控器人机交互方法
WO201713854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66097A (zh) 手持信号输出装置和手持装置输出信号的方法
JP6127679B2 (ja) 操作装置
KR20170021888A (ko) 터치형 제어기
CN206674011U (zh) 一种后壳具有触摸板操作功能的智能手机
CN204740560U (zh) 手持信号输出装置
CN103777783B (zh) 触控鼠标以及使用在触控鼠标中的方法
JP2012073698A (ja) 携帯端末装置
US20140320419A1 (en) Touch input device
TW201445370A (zh) 應用遙控器的快捷輸入系統及方法
US20120182231A1 (en) Virtual Multi-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3872302U (zh) 一种光学触摸智能遥控装置
US9405460B2 (en) Touch mouse supporting key functions of keyboard device and related method used in touch mouse
CN105511607B (zh) 立体式的人机交互设备、方法及系统
KR101567046B1 (ko)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2578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2479042A (zh) 手持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