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094A -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094A
KR20170021094A KR1020150115482A KR20150115482A KR20170021094A KR 20170021094 A KR20170021094 A KR 20170021094A KR 1020150115482 A KR1020150115482 A KR 1020150115482A KR 20150115482 A KR20150115482 A KR 20150115482A KR 20170021094 A KR20170021094 A KR 2017002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unit
elevating
units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섭
김석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094A/en
Publication of KR2017002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craft lifting/lowering apparatus capable of lifting/lowering an aircraft in a balanced state of the aircraft. To this end,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lifting/lowering unit to support an aircraft; a second lifting/lowering unit installed at an interval from the first lifting/lowering unit to support the aircraft; a measurement unit install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lifting/lowering unit to measure an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and the second lifting/lowering unit while lifting/lowering the aircraft; and a control unit compari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and the second lifting/lowering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and the second lifting/lowering unit to lift/lower the aircraft in the balanced state of the aircraft. Thus, since the aircraft can be lifted/lowered in the balanced state of the aircraft, maintenance for the aircraft is easy. Moreover, since the minimum processing manpower is required for device control, process efficiency can be enhanced.

Description

항공기 승강 장치{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0001]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0002]

본 발명은 항공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항공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capable of elevating and lowering an aircraft.

항공기는 항공기 이착륙 장치 및 바퀴 등의 점검에서 지면으로부터 상승된 상태로 유지보수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항공기의 승강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압 잭(Hydraulic jack)과 같은 승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The maintenance of the aircraft can be performed with the aircraft lifted from the ground in the check of the aircraft landing gear and the wheels and the like. In such an aircraft, a lift device such as a hydraulic jack is generally used.

이러한 승강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33677호(유압잭 장치, 2013.04.04.)"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유압을 기반으로 승강체를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ior art for such a lifting device has already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33677 (Hydraulic Jack Device, Apr. 24, 2014).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body can be lifted and lowered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hydraulic pressure.

그러나 항공기 승강에서는 복수 개의 승강장치가 항공기를 지지하게 되고, 각각의 승강장치가 개별 동작하며 항공기 승강에 관여하게 된다. 이에, 항공기 승강에서는 승강장치들의 개별 동작에 따라 동체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각각의 승강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공정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an aircraft lift, a plurality of lift platforms support the aircraft, and each lift and elevator device operates independently and is involved in an aircraft lif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moving body unbalance may occur due to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landing gears during the landing and landing of the aircraft, and a plurality of process manpower is required to control each landing gea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33677호(유압잭 장치, 2013.04.04.)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33677 (Hydraulic Jack Device, Apr. 04,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항공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항공기 승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capable of elevating and lowering an aircraft in an equilibrium state of an aircraft.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장치는 항공기를 지지하는 제 1승강유닛 및 상기 제 1승강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항공기를 지지하는 제 2승강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의 승강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길이를 비교하며, 상기 항공기의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ircraft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lift unit for supporting an aircraft and a second lift unit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lift unit to support the aircraft and the first lift unit and the second lift unit,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at an ascent and descent and an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ascent and descent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ft unit.

상기 항공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동되어 상기 항공기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craft landing gear may include a speak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when an unbalance occurs in the aircraft attitu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1모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작동되는 상태에서 불균형이 발생된 승강유닛이 작동되며 상기 항공기 자세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제 2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when an unbalance occurs in the aircraft posture and an unbalance occurs when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are stopped or operate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elevator unit is operated and the aircraft posture imbalance is canceled.

상기 항공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높이가 제한되도록 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가 승강 범위 내에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ircraft elev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that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to limi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aircraft .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승강유닛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상향 제한부와, 상기 승강유닛의 수축 길이를 제한하는 하향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icting portion may include an upwar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evating unit and a downwar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contraction length of the elevat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together or individually.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신축되며 상기 항공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본체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를 구름 지지하는 이송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fting and lowering units may include a main body, a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that is extended and retracted from the main body and lifts the aircraft, a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main body on the ground, and a transporting portion that supports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는 항공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항공기의 승강이 가능하여 항공기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치 제어에서 최소의 공정인력이 요구되므로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levating and lowering an aircraft in a state in which an aircraft is maintained in balance, facilitates maintenance of an aircraft, and requires a minimum process force in device control, thereby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를 나타낸 블록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to 8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completely. The shape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를 나타낸 블록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100)는 승강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vating unit 200.

승강유닛(20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항공기 이착륙 장치와 같은 랜딩 기어 및 바퀴 등에 대한 유지보수 공정에서 항공기(10) 동체를 지상에 대하여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유닛(200)은 본체(210), 승강부(220), 지지부(230), 이송부(240), 측정부(250) 및 제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ng unit 20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and can lift and lower the body of the aircraft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maintenance process for landing gears, wheels and the like such as an aircraft landing gear. The elevating unit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lifting unit 220, a supporting unit 230, a conveying unit 240, a measuring unit 250 and a restricting unit 260.

먼저, 본체(210)는 승강유닛(2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성요소 각각으로 전달할 수 있다. First, the main body 210 allows coupling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vation unit 200, and can transmit the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그리고 승강부(220)는 본체(210)의 상측에 마련되어, 항공기(10)가 승강유닛(200)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부(220)는 본체(210) 내측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항공기(1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승강부(22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elevation part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aircraft 10 is supported by the elevation unit 200. The elevating unit 220 may include an actuator that is operated by a mo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210 so that the aircraft 10 may be elevated or lowered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type of the lifting unit 220 is not limited.

지지부(230)는 승강유닛(200)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부(230)는 복수 개의 다리(231)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210) 및 승강부(220)를 지면에 대하여 각각 지지하여 항공기(10) 승강에서 본체(210) 및 승강부(220)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230 allows the lifting unit 200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supporting part 23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egs 231 and may support the main body 210 and the elevating part 220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main body 210 and the elevating part 220 220 can be maintained in balance.

그리고 이송부(240)는 지지부(230)에 마련되어 승강유닛(200)이 이송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송부(240)는 바퀴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다리(231)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240)는 승강유닛(200)으로 항공기(10)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지면에 미접촉되고 승강유닛(200)으로 항공기(10)의 하중이 미인가될 경우 지면에 접촉되어 승강유닛(200)을 구름 지지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240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230 so that the elevation unit 200 can be transferred. Here, the transfer unit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heel, and may b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legs 231, respectively. When the load of the aircraft 10 is applied to the elevating unit 200, the conveying unit 240 makes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load of the aircraft 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elevation unit 200, ) Can be supported in a cloud.

한편, 측정부(250)는 항공기(10) 승강에서 승강부(220)의 신축 길이를 측정하여 항공기(10) 동체에 불균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측정부(250)는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에 항공기(10)가 지지될 경우 승강부(220) 각각의 최초 높이를 측정하고, 항공기(10) 승강에서 승강부(220)의 신축 거리가 상이할 경우 항공기(10)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되었음이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asuring unit 250 may measure an extension / contraction length of the elevation unit 220 when the aircraft 10 ascends and descends, thereby preventing an unbalance of the aircraft 10 from occurring. That is, the measuring unit 250 measures the initial height of each of the elevating units 220 when the aircraft 10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If the distances are different, it can be recognized that an unbalance has occurred in the posture of the aircraft 10.

다만, 본 실시에서는 측정부(25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측정부(250)는 승강부(220)를 승강시키는 모터에 엔코더로 마련될 수 있다. However, the measuring unit 25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lifting unit 220 up and down (i.e., move the lifting unit 220 upward and downward) And may be provided as an encoder in a motor.

한편, 제한부(260)는 항공기(10)의 승강 높이가 제한되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 제한부(260)는 항공기(10)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향 제한부(261)와 하향 제한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제한부(261)는 항공기(10) 상승에서 항공기(10)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고, 하향 제한부(263)는 항공기(10) 하강에서 항공기(10)가 설정된 범위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miter 260 limits the height of the aircraft 10 to be elevated. The elevator limiter 260 may include an upper limiter 261 and a lower limiter 263 so that the aircraft 10 can ascend and descen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erein, the upward limiting section 261 limits the elevation of the aircraft 10 from the set range to the elevation of the aircraft 10, and the downward limiting section 263 limits the elevation of the aircraft 10 in the set range Or less.

이에, 항공기(10)에 대한 유지보수 공정에서 필요공정에 따라 항공기(10)의 승강 범위를 설정할 경우, 항공기(10)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elevation range of the aircraft 10 is set according to a required process in the maintenance process for the aircraft 10, the aircraft 10 can be elev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한편, 이러한 승강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항공기(10) 승강에 관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vating units 200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ways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involved in raising and lowering the aircraft 10.

다만,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항공기 승강 장치(100)가 3개의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승강유닛의 개수는 변경 실시 가능하며, 본 실시예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항공기 승강 장치(100)가 제 1승강유닛(200)과 복수 개의 제 2승강유닛(300, 300')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lthough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100 includes three elevating units in FIGS. 1 to 3, the number of elevating units may be changed, an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vat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elevating unit 20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vating units 300 and 300 'will be described.

먼저, 제 1승강유닛(200)에는 제어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에 각각 설치된 측정부(250)와 연결되어 항공기(10)가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한다. 승강 제어부(270)는 제 1승강유닛(200)과 복수 개의 제 2승강유닛(300, 300')의 승강부(220)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승강유닛(200)과 별도로 마련된 컨트롤러(4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 unit 27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unit 200. The control unit 27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250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elevation units 200 so that the aircraft 1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balanced state. The elevation control unit 270 can drive the elevation unit 220 of the first elevation unit 200 and the elevation units 220 of the plurality of the second elevation units 300 and 300 'together or independently of the elevation unit 200, And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ler 400 provided.

컨트롤러(400)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소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27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컨트롤러(400)를 통해 제어부(27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러(400)는 복수 개의 버튼(410)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27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ler 400 may be held by an operator performing an opera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70 wirelessly so that an operator can control the controller 270 through the controller 400. [ The controller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410 and may control the controller 270 so that the plurality of lift units 200 and 300 may operate together or individually.

또한, 컨트롤러(400)는 스피커(430)를 포함하여 항공기(10) 승강에서 항공기(10) 자세 불균형이 발생될 경우 제어부(2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항공기(10)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includes a speaker 430 and outputs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270 when an uneven posture of the aircraft 10 occurs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ircraft 1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an unbalance has occurred in the posture.

한편, 복수 개의 제 2승강유닛(300, 300')은 케이블(20)에 의해 제 1승강유닛(200)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 2승강유닛(300, 300')은 제 1승강유닛(200)으로부터 전원이 제공되며 제어부(270)와 각각 연동되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항공기(10) 승강에 관여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lifting units 300 and 3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unit 200 by cables 2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ng units 300 and 300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first elevating unit 200 and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270 to be involved in the elevation of the aircraf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can do.

다만, 본 실시에서는 제어부(270)가 제 1승강유닛(200)에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270)는 승강유닛(200)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거나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However, the control unit 27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vating unit 200. The control unit 27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elevating unit 200, Or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300.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landing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5 to 8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승강 장치의 제어방법은 항공기 이착륙 장치와 같은 랜딩 기어 및 바퀴 등에 대한 유지보수 공정에서 항공기(10) 동체를 지상에 대하여 승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8,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levate the aircraft body 10 on the ground in the maintenance process for the landing gear and the wheels, such as the aircraft take- have.

먼저, 항공기(10) 하측으로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이 이송되고, 항공기(10)는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에 의해 지지된다(S10). 이때,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의 배치되는 지면의 높이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각각의 승강부(220)의 신축 길이를 제어하여 항공기(10)가 평행하게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and 300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aircraft 10, and the aircraft 1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and 300 (S10). At this time, the heights of the ground surfaces on which the plurality of lift units 200 and 300 are dispose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the length of the elevation portion 2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20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aircraft 10 can be supported by the elevation units 200 and 300 in parallel.

이후, 작업자가 컨트롤러(400)를 작동하여 제어부(270)로 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270)는 승강유닛들(200, 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항공기(10)가 승강유닛들(200, 300)에 의해 상승되도록 한다(S20). Thereafter,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controller 400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ler 270,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 units 200 and 300 so that the aircraft 10 lifts the lift units 200, 300) (S20).

여기서,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 각각에 마련된 측정부(250)는 승강부(220)의 신축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270)는 제 1 및 제 2승강유닛(200, 300)의 신장 길이를 서로 비교하여 제 1 및 제 2승강유닛(200, 300)의 신장 길이가 상이할 경우 항공기(10)의 불균형 여부가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S30). 이때, 항공기(10)의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설정 높이까지 항공기(10)는 상승하게 된다(S60) The measuring unit 250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and 300 measure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istance of the elevating unit 220 and the control unit 270 measures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200 and 30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aircraft 10 is unbalanced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200 and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30). At this time, if the imbalance of the airplane 10 is not generated, the airplane 10 is raised to the set height (S60)

만약, 항공기(10)의 불균형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부(270)는 제 1 및 제 2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제 1모드는 항공기(10)에 불균형이 발생되었을 경우, 승강유닛들(200, 3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S40). 이때, 작업자에게 소지된 컨트롤러(400)에서는 경고음이 발생되어 항공기(10) 자세 불균형을 작업자에게 알린다. 이에, 작업자는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여 항공기(10)의 균형을 맞추고(S50), 이후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의 동작을 함께 또는 개별 제어하며 항공기(10)가 기설정된 설정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S60).If an imbalance of the aircraft 10 occurs, the control unit 270 may be op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First, when an unbalance occurs in the aircraft 10, the first mode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units 200 and 300 (S4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0 possessed by the operator generates a warning sound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posture imbalance of the aircraft 10. Accordingly, the operator balances the aircraft 10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and 300 (S50),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200 and 300, The control unit 10 can be raised to a preset height (S60).

또한, 제 2모드는 항공기(10)에 불균형이 발생되었을 경우,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동작되는 상태에서 불균형이 발생된 승강유닛 만이 작동되며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이 항공기(10)의 자세 불균형을 스스로 해소시킬 수 있다(S70). In the second mode, when an unbalance is generated in the aircraft 10, only the lift unit in which an unbalance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ft units 200 and 300 is stopped or operated is operated and a plurality of lift units 200 , 300) can solve the posture imbalance of the airplane 10 by itself (S70).

한편, 항공기의 자세 불균형이 해소되면, 항공기(10)에 대한 유지보수 공정이 수행되고, 작업자는 컨트롤러(400)를 통해 복수 개의 승강유닛(200, 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항공기(10)가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osture imbalance of the aircraft is eliminated, a maintenance process for the aircraft 10 is performed, and the operat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vation units 200 and 300 through the controller 400, It can be lowered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이와 같이, 항공기 승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항공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항공기의 승강이 가능하여 항공기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치 제어에서 최소의 공정인력이 요구되므로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an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because the aircraft can be raised and lowered with the balance of the aircraft being maintained, the aircraf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the minimum process manpower is required in the apparatus control .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항공기 승강 장치 200 : 승강유닛
210 : 본체 220 : 승강부
230 : 지지부 240 : 이송부
250 : 자체 측정부 260 : 승강 제한부
270 : 승강 제어부
10: Aircraft elevating apparatus 200: Elevating unit
210: main body 220:
230: Support part 240:
250: self-measuring unit 260:
270:

Claims (7)

항공기를 지지하는 제 1승강유닛;
상기 제 1승강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항공기를 지지하는 제 2승강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의 승강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길이를 비교하며, 상기 항공기의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A first lift unit supporting the aircraft;
A second lift unit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lift unit to support the aircraft;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for measuring an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at the tim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ircraft; And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so that the aircraft can be elevated and maintained in a balanc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동되어 상기 항공기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output a warning sound when an imbalance occurs in the aircraft pos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자세에 불균형이 발생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1모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작동되는 상태에서 불균형이 발생된 승강유닛이 작동되며 상기 항공기 자세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제 2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an imbalance occurs in the aircraft posture
A first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is stopped and an elevation unit in which an imbalance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are stopped or operated,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신축 높이가 제한되도록 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가 승강 범위 내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to limit a stretching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units,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the aircraft to ascend and descend within an ascending / descending rang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승강유닛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상향 제한부와, 상기 승강유닛의 수축 길이를 제한하는 하향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miter
An upwar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an extension length of the elevating unit; and a downwar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contraction length of the eleva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의 동작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units to be jointly or individually contro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승강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신축되며 상기 항공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본체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를 구름 지지하는 이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승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units may comprise:
A main body,
A lifting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aircraft,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on the ground;
And a convey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in a rolling manner.






KR1020150115482A 2015-08-17 2015-08-17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KR201700210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82A KR20170021094A (en) 2015-08-17 2015-08-17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82A KR20170021094A (en) 2015-08-17 2015-08-17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94A true KR20170021094A (en) 2017-02-27

Family

ID=5831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82A KR20170021094A (en) 2015-08-17 2015-08-17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09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2A (en) * 2019-11-19 2021-05-27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Method for lifting weight loads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77A (en) 2011-09-27 2013-04-04 박상현 Hydraulic jack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77A (en) 2011-09-27 2013-04-04 박상현 Hydraulic jack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2A (en) * 2019-11-19 2021-05-27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Method for lifting weight loads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4035A (en) Guide rail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guide rails
KR100933361B1 (en) Aerial platform
FI20106401A0 (en) METHOD AND LIFT SYSTEM
CN105143575A (en) Building system
WO2010116022A8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9153539B (en) Elevator traction machine installation method
CN111302187B (en) Lifting assembly, jump elevator and jump method
CN104140037A (en) Wallboard lifting system
WO2020035933A1 (en) Method for applying construction elevator lifting height extension technology
KR20170021094A (en) Apparatus for elevating aircraft
CN104314319A (en) Early warning device for cantilevered discharging platform
JP2013119458A (en) Elevator equipment
JP6720110B2 (en) Double deck elevator and maintenance method of double deck elevator
KR101689896B1 (en) Apparatus for changing assembly for up/down transferring robot
KR20190109873A (en)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KR101470517B1 (en) Gondola for tower working
CN203820321U (en) Four-point balanced lifting device of setting machine
ITTO20100134U1 (en) ELEVATION PLATFORM FOR THE REVISION OF GAS MILLS
KR200488887Y1 (en) Lift device for a high place work
JP6740811B2 (en) Vanning/devanning equipment
KR101903689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lock and method for connecting block using the same
JP6216743B2 (en) Fork type lifting device
CN108883898B (en) Elevator device
JP2013086935A (en) Double deck elevator
JP5468029B2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