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735A - 충전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충전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735A
KR20170020735A KR1020167004583A KR20167004583A KR20170020735A KR 20170020735 A KR20170020735 A KR 20170020735A KR 1020167004583 A KR1020167004583 A KR 1020167004583A KR 20167004583 A KR20167004583 A KR 20167004583A KR 20170020735 A KR20170020735 A KR 2017002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electricity quantity
main device
charging
remaining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410B1 (ko
Inventor
?페이 레이
??페이 레이
웨이 쑨
씨앙동 왕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5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01R31/3679
    • G01R31/3682
    • H02J7/0021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2007/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충전방법은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에서 서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충전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4289706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7월 20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배터리 용량이 비교적 작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는 모두 지속시간이 비교적 짧은 문제가 존재한다. 지속시간이 짧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스마트 기기의 전기량이 낮을 경우 스마트 기기에 별도로 되는 전기량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보조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비교적 크므로 휴대하기 불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기반하면, 다기능 I/O(Input/Output, 입출력)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메인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방법에 있어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기반하면,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서브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방법에 있어서,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충전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인 단계와;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하는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기반하면,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메인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과;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과;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과;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1 발송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양태에 기반하면,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서브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충전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인 인스트럭션 수신 모듈과;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양태에 기반하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고,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양태에 기반하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충전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이고,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기기가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서브 기기 충전 또는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데 이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설명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충전방법과 관련된 실시환경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2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과 관련된 충전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2C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과 관련된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의 업데이트 과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3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4A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4B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과 관련된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의 표시과정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4C와 도4D는 도4A에 도시된 충전방법의 실시 모식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도6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도7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하기 내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설명은 그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하여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충전방법과 관련된 실시환경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환경은 메인 기기(120), 서브 기기(140)와 연결선(160)을 포함한다.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는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전자책 리더기, MP3플레이어(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 III, 동화상전문가그룹 오디오 계층3), MP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 IV, 동화상전문가그룹 오디오 계층4) 플레이어 또는 랩톱 휴대용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동일하고,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Type C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는 연결선(16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선(160)의 조인트(162)와 조인트(164)는 각각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매칭된다. 예를 들어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일 경우, 연결선(160)은 Type C 연결선이고 Type C 연결선의 조인트(162)와 조인트(164)는 모두 Type C 조인트이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아래 실시예에서는 단지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는 스마트폰이고 메인 기기(120)와 서브 기기(140)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Type C 인터페이스이며 연결선(160)은 Type C 연결선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2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충전방법을 도1에 도시된 실시환경의 메인 기기(120)에 사용되는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상기 충전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한다.
단계202에서는,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203에서는,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204에서는,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방법은 메인기기가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서브 기기 충전 또는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데 이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직관적으로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잔여 전기량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잔여 전기량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프로그래스바의 형식으로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잔여 전기량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잔여 전기량을 수신하게 되는 바,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201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A에서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되, 초기 전기량 정보는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고, 총 잔여 전기량은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의 합이다.
단계201B에서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한다.
단계201C에서는,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하되, 목표 전기량 정보는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한다.
단계201D에서는, 초기 전기량 정보와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 사이의 충전상황을 실시간으로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할 수 있고 현재 잔여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바,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5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메인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전기량 소비정보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한다.
단계206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서브 기기에서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한다.
단계207에서는,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제2 전기량 소비정보가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시킨다.
도3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충전방법이 도1에 도시된 실시환경의 서브 기기(140)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상기 충전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는,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충전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단계302에서는,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방법은 서브 기기를 통하여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4A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방법의 방법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충전방법을 도1에 도시된 실시환경에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바, 상기 충전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에서는, 메인 기기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연결선을 사용하여 두개의 스마트 기기를 연결할 경우 두개의 스마트 기기사이에 데이터 통신연결을 셋업하더라도 스마트 기기사이에는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일 수 있고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일 수 있으며 두개의 스마트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상기 Type C 연결선을 사용하게 되면 두개의 스마트 기기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Type C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두개의 스마트 기기는 Type C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서 하나의스마트 기기는 메인 기기이고 다른 한 스마트 기기는 서브 기기이며 메인 기기는 서브 기기에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으나 서브 기기는 메인 기기에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서 우선Type C 연결선을 삽입한 스마트 기기는 묵시적인 메인 기기로 설정되고, 상응되게 그 후에 Type C 연결선을 삽입한 스마트 기기는 묵시적인 서브 기기로 설정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가 서로 연결된 후 메인 기기(또는 서브 기기)는 서브 기기(또는 메인 기기)에 메인 기기 전환 요청을 발송할 수 있고 서브 기기(또는 메인 기기)는 상기 메인 기기 전환 요청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또는 서브 기기)로 전환될 수 있으며 현재의 메인/서브 기기 관계에 기반하여 새로운 데이터 통신을 셋업할 수 있다. Type C 프로토콜을 통하여 메인/서브 기기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잔여 전기량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설정하되, 메인 기기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의 초기 전기량 정보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는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며 총 잔여 전기량은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의 합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1A에서는,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획득한다.
사용자가 Type C 연결선을 사용하여 두개의 스마트 기기를 연결할 경우 두개의 스마트 기기 중의 메인 기기는 자동으로 스마트 기기 사이의 충전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작동시킨 후 메인 기기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호출하여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할 수 있고 현재 잔여 전기량을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1B에서는, 메인 기기는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한 연결에 의해 서브 기기에 대응되는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판독한다.
메인 기기는 서브 기기에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메인 기기는 자체의 잔여 전기량을 획득함과 동시에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할 수 있고 판독한 현재 잔여 전기량을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1C에서는,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와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각각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을 결정한다.
메인 기기는 획득한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기반하여 잔여 전기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직관적으로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잔여 전기량의 크기 관계를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진일보로 산출한다.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산출한 후, 메인 기기는 스크린에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한다. 여기서,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은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고,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은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와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는 사용자들이 구별하기 쉽도록 상이한 배경색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기(41)가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1000밀리암페어임을 획득하고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42)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500밀리암페어임을 판독할 경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67%와 33%임을 산출한다. 산출한 백분율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41)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43)를 표시하고 여기서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431)이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43)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은 67%이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432)이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43)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은 33%이다.
단계402에서는, 메인 기기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한다.
메인 기기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조작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의 슬라이드 바를 드래그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인 기기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바의 실시간 위치에 기반하여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표시된 수치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예를 들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기(41)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43)의 슬라이드 바(433)를 통하여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고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래스바(431)와 프로그래스바(432)에 표시된 백분율 수치를 업데이트한다.
단계403에서는, 메인 기기가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하되, 목표 전기량 정보는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한다.
메인 기기는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433)가 도시된 위치까지 드래그되고 사용자가 결정버튼(44)을 클릭할 경우 메인 기기(41)는 현재 슬리이드 바(433)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43)에 위치한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와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각각 33%와 67%임을 결정한다.
단계404에서는, 메인 기기가 초기 전기량 정보와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한다.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에 충전할 수 있고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할 수도 있으므로 메인 기기는 초기 전기량 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진일보로 충전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본 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404A에서는,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또는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메인 기기는 충전방향을 제1충전방향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1충전방향이란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을 가리킨다.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단계405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33%이고,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인 67%보다 작을 경우 메인 기기(41)는 충전방향을 제1충전방향으로 결정한다.
단계404B에서는,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또는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메인 기기는 충전방향을 제2충전방향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제2충전방향이란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는 것을 가리킨다.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단계406을 수행한다.
단계405에서는,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메인 기기는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직관적으로 설정된 충전방식을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충전방향을 결정한 후 상응한 충전방향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기(41)은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상응한 제1충전방향 아이콘(45)을 표시한다.
단계406에서는,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메인 기기는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응되게 메인 기기의 충전방향을 제2충전방향으로 결정할 경우, 상응한 제2충전방향 아이콘을 표시한다.
단계407에서는, 메인 기기는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한다.
메인 기기는 결정된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한다.
충전조작이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지시할 경우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메인 기기로 하여금 방전하도록 지시하는 인스트럭션을 발송하고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서브 기기로 하여금 충전하도록 지시하는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며, 충전조작이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지시할 경우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메인 기기로 하여금 충전하도록 지시하는 인스트럭션을 발송하고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서브 기기로 하여금 방전하도록 지시하는 인스트럭션을 발송한다.
단계408에서는,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서브 기기가 수신한다.
대응되게, 서브 기기는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가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한다.
단계409에서는, 서브 기기가 충전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한다.
서브 기기가 그로 하여금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할 경우 서브 기기는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에 충전한다.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충전 인스트럭션을 서브 기기가 수신하게 될 경우 서브 기기는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에서 전송한 전기량 리소스를 수신한다.
단계410에서, 메인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메인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전기량 소비정보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 프로세스를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는데 상기 기 설정된 시간간격은 10초 일 수 있다.
이 외에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는 충전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 운행과 사용자의 사용 등 원인으로 끊임없이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데 사용자로 하여금 기기가 전력을 소비하는 상황을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는 동시에 메인 기기로 하여금 충전시간내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전기량 소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411에서는, 메인 기기가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서브 기기에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한다.
대응되게, 메인 기기는 제1 전기량 소비정보과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는 동시에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2 전기량 소비정보는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내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412에서, 서브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메인 기기에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발송한다.
대응되게, 서브 기기는 Type C 연결선을 통하여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메인 기기에 발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인 기기는 주동적으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를 판독할 수 있고 또 서브 기기가 주동적으로 발송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수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413에서,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제2 전기량 소비정보가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시킨다.
메인 기기는 획득한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제2 전기량 소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 중의 수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시킨다.
여기서,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현재 전기량 정보를 표시할 경우 메인 기기는 상이한 컬러를 사용하여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제1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및 제2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기(41)은 상이한 배경색을 사용하여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제1전기량 소비 정보 및 제2전기량 소비 정보를 표시한다.
설명해야 할 한가지는, 메인 기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상응한 목표 전기량 제시 마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다른 한가지는, 메인 기기는 현재 잔여 전기량과 목표 잔여 전기량에 기반하여 충전대기 전기량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대기 전기량과 현재의 충전속도에 기반하여 잔여 충전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충전하는 시간을 장악할 수 있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충전효과를 담보하기 위하여 메인 기기는 제1전기량 소비정보와 제2전기량 소비정보를 획득한 후 충전시간내에 메인 기기에 대응되는 제1전력소비속도 및 서브 기기에 대응되는 제2전력소비속도를 산출하고, 제1전력소비속도 및 제2전력소비속도가 기 설정된 전력소비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메인 기기는 충전시간내의 전력소비가 과도하게 빠른 것으로 결정되어 상응한 제시정보를 발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효과를 담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를 감소하도록 경고하거나 또는 상응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호출하여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정리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충전효과를 달성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백그라운드 실행 프로그램이거나 사용빈도가 비교적 낮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단계414에서는,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메인 기기가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한다.
메인 기기가 현재 잔여 전기량이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자동으로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하고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사이의 충전조작을 정지시키도록 명령한다.
단계415에서, 서브 기기는 메인 기기가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발송된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수신한다.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메인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메인 기기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서브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될 경우 발송한 것이다.
단계416에서, 서브 기기는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의 충전조작을 정지한다.
대응되게,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은 수신된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의 충전조작을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방법은 메인기기가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서브 기기 충전 또는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데 이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기기는 프로그래스바의 형식으로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 및 충전된 전기량을 수신함으로써 전반 충전과정으로 하여금 더욱 직관적으로 정확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기기는 실시간으로 자신과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고 프로그래스바에 현재 잔여 전기량과 충전시간내의 전력소비상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충전 프로세스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잔여 전기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 중의 전원제어칩과 서브 기기 중의 전원제어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메인 기기 또는 서브 기기의 과도한 충전을 방지하고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 사이의 충전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상기 충전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하여 도1의 메인 기기(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510)과;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520)과;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530)과;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1 발송 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장치는 메인기기가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서브 기기 충전 또는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데 이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6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상기 충전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하여 도1의 메인 기기(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610)과;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620)과;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서브 기기로부터 메인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630)과;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1 발송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610)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고 상기 총 잔여 전기량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의 합인 표시 서브 모듈(611)과;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수신 서브 모듈(612)과;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613)과;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와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서브 모듈(61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결정 서브 모듈(614)은,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1충전방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방향 결정 서브 모듈(614A);
또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2충전방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방향 결정 서브 모듈(614B)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표시 서브 모듈(611)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서브 모듈(611A)과;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서브 모듈(611B)과;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와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각각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결정 서브 모듈(611C)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메인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전기량 소비정보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650)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서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모듈(660)과;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가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업데이트 모듈(67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현재 전기량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이한 컬러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2 발송 모듈(68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장치는 메인기기가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서브 기기 충전 또는 서브 기기가 메인 기기에 충전하도록 하는데 이는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기기는 프로그래스바의 형식으로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의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 및 충전된 전기량을 수신함으로써 전반 충전과정으로 하여금 더욱 직관적으로 정확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기기는 실시간으로 자신과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고 프로그래스바에 현재 잔여 전기량과 충전시간내의 전력소비상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충전 프로세스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잔여 전기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메인 기기는 메인 기기 중의 전원제어칩과 서브 기기 중의 전원제어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함으로써 메인 기기 또는 서브 기기의 과도한 충전을 방지하고 메인 기기와 서브 기기 사이의 충전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도7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의 구조 블록 선도이다. 상기 충전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하여 도1의 서브 기기(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충전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것인 인스트럭션 수신 모듈(710)과,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연결선과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메인 기기와 충전조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충전 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전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메인 기기에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3 발송 모듈(73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발송한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메인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상기 메인 기기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서브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될 경우 발송한 것인 정지 인스트럭션 수신 모듈(740)과,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의 상기 충전조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충전정지 모듈(75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장치는 서브 기기를 통하여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메인 기기와의 충전조작을 완성하며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전할 경우 보조배터리의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두개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즉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사이의 상호적인 충전을 이루는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이 실행하는 조작의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상기 충전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하여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충전장치(8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충전장치(8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또는 전자 책 리더일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충전장치(8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한 충전장치(8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상기 충전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충전장치(800)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충전장치(800)에서 작동되는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 연락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충전장치(8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충전장치(8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상기 충전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조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충전장치(8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도영상 모드일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바, 충전장치(8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인식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또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어셈블리(816)를 거쳐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입출력(I/O) 인터페이스(812)는 Type C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충전장치(8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814)는 충전장치(800)의 온/오프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충전장치(800)의 모니터와 키패드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814)는 충전장치(800) 또는 충전장치(8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충전장치(800)의 접촉여부, 충전장치(800) 방위 또는 가속/감속과 충전장치(8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아무런 물리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CMOS 또는 CCD 영상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8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충전장치(800)와 기타 기기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충전장치(8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접입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816)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주파수 인식(RFID)기술, 적외선 통신규격(IrDA)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장치(800)는 상기 충전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충전방법을 완성하도록 충전장치(800)의 프로세서(820)가 실행하는 인스트렉션을 포함한 메모리(8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장치(800)의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매체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할 경우 충전장치(800)로 하여금 상기 메인 기기측 또는 서브 기기측의 충전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서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6)

  1.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메인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방법에 있어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상기 메인 기기로부터 상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상기 충전조작을 상기 서브 기기로부터 상기 메인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고, 상기 총 잔여 전기량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의 합인 단계와;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와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와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1충전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2충전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와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각각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메인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전기량 소비정보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서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가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현재 전기량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이한 컬러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하는 충전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joint)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인 충전방법.
  9.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서브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은 상기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인 단계와;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충전조작을 완성하는 충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메인 기기에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발송한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메인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상기 메인 기기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서브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될 경우 발송되는 것인 단계와;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의 상기 충전조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인 충전방법.
  13.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서브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메인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상기 메인 기기로부터 상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과;
    상기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상기 충전조작을 상기 서브 기기로부터 상기 메인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과;
    상기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1 발송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초기 전기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고, 상기 총 잔여 전기량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의 합인 표시 서브 모듈과;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수신 서브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기반하여 목표 전기량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을 포함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과;
    상기 초기 전기량 정보와 상기 목표 전기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1충전방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방향 결정 서브 모듈;
    또는,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클 경우, 또는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이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충전방향을 상기 제2충전방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방향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서브 모듈은,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서브 모듈과;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서브 모듈과;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과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이 각각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와 상기 서브 기기의 초기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가 각각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에서 차지하는 길이 백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메인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 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전기량 소비정보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서브 기기에서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모듈과;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가 각각 상기 총 잔여 전기량에서 차지하는 백분율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전기량 제어 프로그래스바를 통하여 현재 전기량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이한 컬러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상기 제1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 및 상기 제2 전기량 소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그래스바를 표시하는 충전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메인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상기 서브 기기의 목표 잔여 전기량에 도달할 경우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2 발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인 충전장치.
  21. 다기능 입출력(I/O) 인터페이스가 연결선을 통하여 메인 기기의 다기능 I/O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서브 기기에 사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은 상기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인 인스트럭션 수신 모듈과;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충전조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상기 메인 기기에 상기 서브 기기가 충전시간 내에서의 전력소비상황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전기량 소비정보와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제3 발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기가 상기 연결선을 통하여 셋업된 연결에 의해 발송한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은 메인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메인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상기 메인 기기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서브 기기의 현재 잔여 전기량이 서브 기기의 목표 전기량에 도달되었음이 검출될 경우 발송하도록 구성된 정지 인스트럭션 수신 모듈과;
    상기 충전정지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의 상기 충전조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충전정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Type C 연결선이고, 상기 Type C 연결선의 양단은 모두 Type C 조인트이며,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서브 기기의 상기 다기능 I/O 인터페이스는 모두 Type C 인터페이스인 충전장치.
  25.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신호에 기반하여 충전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방향이 제1충전방향일 경우 충전조작을 메인 기기로부터 서브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충전방향이 제2충전방향일 경우 상기 충전조작을 상기 서브 기기로부터 상기 메인 기기에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기기의 전원관리칩과 상기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상응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충전장치.
  26.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인 기기가 서브 기기의 전원관리칩에 발송한 충전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은 상기 메인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충전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충전조작에 따라 생성된 것인 단계와;
    상기 충전 인스트럭션에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전원관리칩을 통하여 상기 메인 기기와 상기 충전조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충전장치.
KR1020167004583A 2015-07-20 2015-12-25 충전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869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28970.6A CN105098888B (zh) 2015-07-20 2015-07-20 充电方法及装置
CN201510428970.6 2015-07-20
PCT/CN2015/098849 WO2017012267A1 (zh) 2015-07-20 2015-12-25 充电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735A true KR20170020735A (ko) 2017-02-24
KR101869410B1 KR101869410B1 (ko) 2018-06-20

Family

ID=5457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583A KR101869410B1 (ko) 2015-07-20 2015-12-25 충전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05332B2 (ko)
EP (1) EP3121926B1 (ko)
JP (1) JP6273404B2 (ko)
KR (1) KR101869410B1 (ko)
CN (1) CN105098888B (ko)
MX (1) MX360309B (ko)
RU (1) RU2642439C2 (ko)
WO (1) WO2017012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609280RA (en) * 2014-11-11 2016-12-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 Power adaptor,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CN105098273B (zh) * 2015-07-20 2018-11-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05098888B (zh) 2015-07-20 2018-11-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05680510A (zh) * 2016-01-29 2016-06-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充电控制方法及充电控制装置
CN105956458A (zh) * 2016-04-28 2016-09-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终端交互控制方法和装置
CN106058968A (zh) * 2016-06-06 2016-10-2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06026240A (zh) * 2016-06-06 2016-10-12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06249836A (zh) * 2016-08-02 2016-12-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和终端
JP6884266B2 (ja) * 2017-07-21 2021-06-0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モバイル端末、周辺デバイス、及びこれらの充電方法
WO2019043391A1 (en) * 2017-08-30 2019-03-07 Bullitt Group Limited DISCHARGEABLE MOBILE COMPUT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8054794A (zh) * 2017-12-12 2018-05-1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充放电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881630B (zh) * 2018-06-11 2021-08-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反向充电管理方法、装置及终端
CN113131022A (zh) * 2019-12-31 2021-07-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11371204B (zh) * 2020-03-25 2021-10-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方法及电能中转装置
US11824375B2 (en) * 2020-07-02 2023-11-21 Apple Inc. State of charge information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R3114700B1 (fr) * 2020-09-29 2023-09-29 Thales Sa Dispositif de gestion d'alimentation en energie, systeme, procede et programme d'ordinateur associes
CN114498784A (zh) * 2020-10-26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398196B (zh) * 2020-11-11 2022-03-2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充放电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220285970A1 (en) * 2021-03-05 2022-09-08 RHiot, Inc. Managing power between wearable devices
CN113852760A (zh) * 2021-09-26 2021-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064A (ja) * 2008-11-07 2010-05-20 Canon Inc 充電システム、電力供給機器及び充電機器
KR2011000461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278A (ja) * 2004-03-31 2005-10-13 Casio Comput Co Ltd 電子端末の充電制御装置及び電子端末の充電制御方法
US7508162B2 (en) * 2006-04-07 2009-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a portable device from energy storage of another portable device
US7701168B2 (en) * 2007-03-23 2010-04-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device
US20090134836A1 (en) * 2007-11-27 2009-05-28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 recharging
JP2009232638A (ja) * 2008-03-25 2009-10-08 Nec Corp 電源管理システム、及び電源装置
CN101340652B (zh) * 2008-08-11 2011-09-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分体式移动终端电源管理方法、管理装置及分体式终端
US8898485B2 (en) * 2009-07-15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Power transfer between devices
CN102255346B (zh) * 2010-05-20 2015-11-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711552B2 (en) * 2010-10-06 2014-04-29 Compal Electronics Inc. Modular system having expandable form factor
US20130217274A1 (en) * 2011-12-06 2013-08-22 Transwitch Corporation Connector for achieving complete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types of data and multimedia interfaces
CN103457458B (zh) * 2012-05-28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电流切换控制设备及电子设备
CN103682491B (zh) * 2012-09-13 2016-04-27 华平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间的充电方法、充电电路以及电子设备
KR101457889B1 (ko) * 2013-01-31 2014-11-07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9912016B2 (en) * 2013-04-08 2018-03-06 Ford Meazell Link for battery power transfer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3248089A (zh) * 2013-04-11 2013-08-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管理系统及其电子设备
US10476283B2 (en) * 2013-09-27 2019-11-12 Intel Corporation Bi-directional charger for battery device with control logic based on sensed voltage and device type
KR102193181B1 (ko) * 2014-02-21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3972957B (zh) * 2014-04-21 2017-01-1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互相供应电力系统、可携式电子装置互相供应电力方法及电力传输媒介
CA2851983C (en) * 2014-05-21 2016-08-16 Blackberry Limited Management of power delivered over a port
CN105098273B (zh) * 2015-07-20 2018-11-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105098888B (zh) * 2015-07-20 2018-11-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064A (ja) * 2008-11-07 2010-05-20 Canon Inc 充電システム、電力供給機器及び充電機器
KR2011000461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16959A (ru) 2017-11-02
MX2016002130A (es) 2017-03-06
MX360309B (es) 2018-10-26
JP6273404B2 (ja) 2018-01-31
WO2017012267A1 (zh) 2017-01-26
KR101869410B1 (ko) 2018-06-20
CN105098888A (zh) 2015-11-25
RU2642439C2 (ru) 2018-01-25
US20170025874A1 (en) 2017-01-26
JP2017528112A (ja) 2017-09-21
EP3121926B1 (en) 2018-12-05
CN105098888B (zh) 2018-11-30
US10205332B2 (en) 2019-02-12
EP3121926A1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410B1 (ko) 충전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RU2641995C2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RU26361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абочего состоя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домашн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900405B1 (ko) 충전 관리 방법, 충전 관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5098273B (zh) 充电方法及装置
CN106774774B (zh) 终端电池的电量显示方法及装置
KR101813413B1 (ko) 외부 설비 연결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700641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mage file
EP29405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photographing parameters
US10572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tate
EP30767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KR20190047697A (ko) 알람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2574A (ko) 사용자 명령 실행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6530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очечной отчетности сенсорного экрана
JP6276863B2 (ja) モバイルルータの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及び装置
RU26175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106451670B (zh) 一种充电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70147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screen sensitivity
CN106791169A (zh) 屏幕控制方法及装置
CN106791089B (zh) 一种电池电量的提示方法及装置
CN106299515B (zh) 充电方法及装置
EP31767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184122B1 (ko) 화면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220247198A1 (en)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device
CN108983948B (zh) 终端设备用电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