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340A -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340A
KR20170020340A KR1020167034393A KR20167034393A KR20170020340A KR 20170020340 A KR20170020340 A KR 20170020340A KR 1020167034393 A KR1020167034393 A KR 1020167034393A KR 20167034393 A KR20167034393 A KR 20167034393A KR 20170020340 A KR20170020340 A KR 2017002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ource
pucch
cc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646B1 (ko
Inventor
데츠야 야마모토
치 가오
히데토시 스즈키
세이고 나카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17002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것.
수신부(202)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부는, 자단말이,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본 개시는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에서는, 하향 링크의 통신 방식으로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있다.
3GPP LTE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eNB라고 부르기도 함)은, 미리 정해진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SCH: Synchronization Channel) 및 통보 신호(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UE(User Equipment)라고 부르기도 함)는, 우선 SCH를 잡음으로써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보한다. 그 후, 단말은, BCH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기지국 독자적인 파라미터(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폭 등)를 취득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3을 참조).
또, 단말은, 기지국 독자적인 파라미터의 취득이 완료한 후, 기지국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행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기지국은, 통신이 확립된 단말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의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PDCCH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정보를 각각 「블라인드 판정」한다. 즉, 제어 정보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분을 포함하고, 이 CRC 부분은,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의해 마스크된다. 따라서, 단말은, 수신한 제어 정보의 CRC 부분을 자기(自機)의 단말 ID를 이용하여 디마스크(demask)해 볼 때까지는, 자기앞으로의 제어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없다. 이 블라인드 판정에서는, 디마스크한 결과, CRC 연산이 OK가 되면, 그 제어 정보가 자기앞으로의 것이라고 판정된다.
또, LTE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된다. 즉, 단말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단말은,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CRC를 행하고, CRC=OK(오류 없음)이면 긍정 응답(ACK: Acknowledgement)을, CRC=NG(오류 있음)이면 부정 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을 응답 신호로서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이 응답 신호(즉, ACK/NACK 신호)의 피드백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의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이 이용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할당한 리소스 정보 등을 포함한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제어 정보의 송신에는, 전술한 것처럼 PDCCH가 이용된다. PDCCH는 1개 또는 복수의 L1/L2 CCH(L1/L2 Control Channel)로 구성된다. 각 L1/L2 CCH는 1개 또는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즉, CCE는, 제어 정보를 PDCCH에 매핑할 때의 기본 단위이다. 또, 1개의 L1/L2 CCH가 복수의 CCE로 구성될 경우에는, 그 L1/L2 CCH에는 연속된 복수의 CCE가 할당된다. 기지국은,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의 통지에 필요한 CCE수에 따라서, 그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해서 L1/L2 CCH를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 L1/L2 CCH의 CCE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에 제어 정보를 매핑하여 송신한다.
또, 각 CCE는, PUCCH의 구성 리소스(이하, PUCCH 리소스 라고 부름)와 1 대 1로 대응화되어 있다. 따라서, L1/L2 CCH를 수신한 단말은, 이 L1/L2 CCH를 구성하는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를 특정하고, 이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 L1/L2 CCH가 연속된 복수의 CCE를 점유할 경우에는, 단말은, 복수의 CCE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PUCCH 리소스 중 1개의 리소스(예를 들면, 인덱스가 가장 작은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에 있어서의 PUCCH로의 ACK/NACK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수신한 PDCCH 신호 및 그 PDDCH 신호에 의해 데이터가 할당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신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도 1에서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K서브프레임 후(예를 들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는 K=4)의 서브프레임(도 1에서는 서브프레임 n+K)이 된다.
복수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ACK/NACK 신호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간축상에 있어서 제로 오토 콜러레이션(Zero Auto-correlation) 특성을 가지는 ZAC(Zero Auto-correlation) 계열, 월시(Walsh) 계열 및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계열에 의해 확산되어, PUCCH내에 있어서 코드 다중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W(0), W(1), W(2), W(3))은 계열 길이 4인 월시 계열을 나타내고, (F(0), F(1), F(2))는 계열 길이 3인 DFT 계열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에서는 ACK/NACK 신호는, 우선 주파수축상에 있어서 ZAC 계열(계열 길이 12)에 의해 1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으로 1차 확산된다. 즉, 계열 길이 12인 ZAC 계열에 대해서, 복소수로 표시되는 ACK/NACK 신호 성분이 곱셈된다. 다음에, 1차 확산 후의 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로서의 ZAC 계열은 각각 월시 계열(계열 길이 4: W(0)~W(3)) 및 DFT 계열(계열 길이 3: F(0)~F(2))에 의해서 2차 확산된다. 즉, 계열 길이 12인 신호(1차 확산 후의 ACK/NACK 신호, 또는, 참조 신호로서의 ZAC 계열)의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직교 부호 계열(Orthogonal sequence: 월시 계열 또는 DFT 계열)의 각 성분이 곱셈된다. 또, 2차 확산된 신호는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또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시간축상의 계열 길이 12의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IFFT 후의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가 부가되어, 7개의 SC-FDMA 심볼로 되어 있는 1 슬롯의 신호가 형성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 양단(兩端)에 배치된다. 또, PUCCH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각 단말에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또, 1 서브프레임은 2 슬롯으로 구성되고, PUCCH는 전반 슬롯과 후반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슬롯간 주파수 호핑)된다.
다른 단말로부터의 ACK/NACK 신호끼리는 다른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Index)에 대응하는 ZAC 계열, 또는, 다른 계열 번호(OC Index: Orthogonal Cover Index)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해 확산되고 있다. 직교 부호 계열은 월시 계열과 DFT 계열의 조합이다. 또, 직교 부호 계열은 블록 와이즈 확산 코드 계열(Block-wise spreading cod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종래의 역확산 및 상관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코드 다중된 복수의 ACK/NACK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4를 참조). 도 3은 직교 부호 계열의 계열 번호(OC index:0~2) 및 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Index:0~11)에 의해 정의되는 PUCCH 리소스를 나타낸다. 계열 길이 4인 월시 계열 및 계열 길이 3인 DFT 계열을 이용했을 경우, 동일 서브캐리어에는 최대로 3*12=36개의 PUCCH 리소스가 있다. 단, 36개의 PUCCH 리소스를 모두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18개의 PUCCH 리소스(#0~#17)를 이용 가능하게 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런데, 향후의 정보 사회를 지탱하는 구조로서, 최근, 사용자의 판단을 거치는 일없이 기기(機器)간의 자율적 통신에 의해 서비스를 실현하는 M2M(Machine-to-Machine) 통신이 기대되고 있다. M2M 시스템의 구체적인 응용 사례로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기 또는 가스 등의 라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인프라 시스템이며, 각 가정 또는 빌딩에 배치되는 스마트 미터와 중앙 서버 사이에서 M2M 통신을 실시하여, 자율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자원의 수요 밸런스를 조정한다. M2M 통신 시스템의 다른 응용 사례로서, 물품 관리 또는 원격 의료 등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자동 판매기의 재고 또는 과금의 원격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M2M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특히 광범위한 통신 에리어를 가지는 셀룰러 시스템의 이용이 주목되고 있다. 3GPP에서는, LTE 및 LTE-Advanced의 규격화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M2M의 검토가, 머신 타입 통신(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이라고 하는 명칭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빌딩의 지하 등에 있는 스마트 미터 등 MTC 통신 기기가 기존의 통신 에리어에 있어서 이용할 수 없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 에리어를 한층 더 확대하는 「커버리지 인핸스먼트(Coverage Enhancement)」가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5를 참조).
특히,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에서는, 동일 신호를 복수회 반복하여 송신하는 리피티션(repetition)이 통신 에리어 확대의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PDCCH, PDSCH 및 PUCCH 등의 각 채널에 있어서 리피티션 송신을 행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1.5.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1),"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2: 3GPP TS 36.212 V11.4.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1),"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3: 3GPP TS 36.213 V11.5.0,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1), "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4: Seigo Nakao, Tomofumi Takata, Daichi Imamura, and Katsuhiko Hiramatsu, "Performance enhancement of E-UTRA uplink control channel in fast fad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2009 IEEE 69 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2009-Spring), April 2009. 비특허문헌 5: 3GPP TR 36.888 V12.0.0, "Study on provision of low-cost Machine-Type Communications (MTC) User Equipments (UEs) based on LTE," June 2013.
그렇지만,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리피티션 송신을 행하는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과 통상 모드의 단말(리피티션 송신을 행하지 않는 단말)이 공존하고 있을 경우에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사용하는 PUCCH 리소스를, 통상 모드의 단말이 사용하는 PUCCH 리소스와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PDCCH 리소스의 주파수 이용 효율 저하 및 스케줄링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자단말(自端末)이,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群)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송신 방법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에서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에서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수신 방법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하면, PDCCH 리소스의 주파수 이용 효율 저하 및 스케줄링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응답 신호 및 참조 신호의 확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리피티션 송신시의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PUCCH 리소스의 충돌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PUCCH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PUCCH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 3에 따른 PUCCH 리소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CCE와 PUCCH 리소스의 대응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CCE와 PUCCH 리소스의 대응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형태 5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충돌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시형태 5에 따른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6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충돌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형태 6에 따른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형태로서 상정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에 있어서의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4에서는, PDCCH의 리피티션 레벨(리피티션 회수, 또는, 리피티션 팩터)을 NPDCCH라고 하고, PDS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DSCH라고 하고,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UCCH라고 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에서는, PDCCH의 리피티션 송신 후에, 해당 PDCCH에 의해 데이터가 할당된 PDSCH의 리피티션 송신이 행해진다. 단말에서의 ACK/NACK 신호(PUCCH)의 송신 타이밍은, PDSCH의 수신을 끝낸 서브프레임으로부터, KMTC 서브프레임 후(後)가 된다.
동일 기지국이 커버하는 에리어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리피티션 송신을 행하는 단말)과 통상 모드의 단말(리피티션 송신을 행하지 않는 단말)이 공존하고 있을 경우, 하향 링크 제어 신호용 제어 채널을 따로따로 설치하면, 주파수 이용 효율이 저하해 버린다. 그래서,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동일 주파수를 이용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서는, ACK/NACK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PUCCH의 리피티션 송신을 하는 최초의 서브프레임)과, ACK/NACK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리소스와 관련지어져 있는 CCE를 포함한 PD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PDCCH의 리피티션 송신이 행해지는 최후의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간격이 다르다. 그 때문에, 양쪽 단말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통상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가 겹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양쪽 단말에 있어서 동일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가 송신되어 버린다.
도 5는 통상 모드 단말의 PUCCH 리소스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의 PUCCH 리소스가 충돌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의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을 n이라고 한다.
이 경우,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는, 서브프레임 n-K에 있어서 PDCCH가 송신되고, 또 동일 서브프레임 n-K에 있어서 그 PDCCH에 의해 할당된 PDSCH가 송신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는, 서브프레임 n-KMTC-NPDSCH-NPDCCH~n-KMTC-NPDSCH-1에 있어서 PDCCH가 송신된다. 또, 그 PDCCH에 의해 할당된 PDSCH는, 서브프레임 n-KMTC-NPDSCH~n-KMTC-1에 있어서 송신된다.
통상 모드의 단말이 PDC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PDC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겹쳐 있을 경우에는, 양쪽 단말이 동일 CCE를 이용해 PDCCH가 송신되지 않도록 스케줄링된다. 그러나, 그 외의 경우(예를 들면, 도 5의 경우),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 송신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 리피티션 송신에 대해서 동일한 CCE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에는 CCE#0~CCE#3이 사용되고, 해당 단말은, CCE#0(CCE#0~CCE#3 중 최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또, 도 5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에는 CCE#0, CCE#1이 사용되고, 해당 단말은 CCE#0(CCE#0, CCE#1 중의 작은 인덱스)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이 결과,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이 일어나 버린다.
통상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기지국 측에 있어서 통상 모드 단말의 PDCCH 할당을 제어하는(과거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이용된 CCE를 통상 모드의 단말에 할당하지 않음)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PDCCH 리소스의 이용 효율 저하 또는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의 개요]
이하의 설명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을 예로 설명한다.
또,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Advanced에 대응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구비한다.
단말(200)에는, 통상 모드 또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된다. 단말(200)은,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PDCCH, PDSCH 또는 PUCCH의 송신시,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리피티션 송신을 적용한다. 즉, 단말(200)은 소정 리피티션 레벨 분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동일한 신호를 반복해서 송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송신부(112)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PDCCH 신호), 및, 하향 링크 데이터(PDSCH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101)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고, ACK/NACK 신호의 수신부(PUCCH 추출부(116), 역확산부(118), 상관 처리부(119))는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 및 ACK/NACK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ACK/NACK 신호를, 제 1 리소스군(PUCCH 리소스 영역)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ACK/NACK 신호를,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PUCCH 리소스 영역)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또, 도 7은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수신부(202)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213)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여, ACK/NACK 신호의 송신부(1차 확산부(216), 2차 확산부(217), IFFT부(218))는,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자단말이, 제어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 및 ACK/NACK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실시형태 1)
[기지국의 구성]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제어 신호 생성부(102)와,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와, 제어 신호 변조부(104)와, 통보 신호 생성부(105)와, 데이터 부호화부(106)와, 재송(再送) 제어부(107)와, 데이터 변조부(108)와, 신호 할당부(109)와, IFFT부(110)와, CP 부가부(111)와, 송신부(112)와, 안테나(113)와, 수신부(114)와, CP 제거부(115)와, PUCCH 추출부(116)와, 계열 제어부(117)와, 역확산부(118)와, 상관 처리부(119)와, 판정부(120)를 가진다.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 및, 해당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PDCCH 또는 EPDCCH(Enhanced PDCCH)에 대응하는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는 PDSCH에 대응하는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의 각각에 다른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상술한 L1/L2 CCH와 동등하다. 즉,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는 1개 또는 복수의 CCE로 구성된다. 또, 상술한 것처럼 PUCCH가 CCE를 이용해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되는 경우, 각 CCE는 상향 링크 제어채널 영역(PUCCH 영역)의 PUCCH 리소스와 대응화되어 있다.
제어부(101)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 PDCCH가 점유하는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주파수, 및, 1차 확산/2차 확산에 이용하는 부호)를 특정한다. 제어부(101)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PUCCH 신호(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의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ZAC 계열 및 직교 부호 계열(즉, PUCCH 리소스)에 관련된 정보를, 계열 제어부(117)에 출력하고, 주파수에 관련된 정보를 PUCCH 추출부(116)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결정하고, 결정한 부호화율을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결정하고, 결정한 부호화율을 데이터 부호화부(106)에 출력한다.
또한, 결정되는 부호화율에 따라 제어 정보의 데이터량이 다르므로, 제어부(101)는 이 데이터량의 제어 정보를 매핑할 수 있는 CCE를 포함한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를 할당한다. 제어부(101)는, 제어 신호 생성부(102)에 대해서,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 및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신호 할당부(109)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해당 단말(200)의 각 채널(PDCCH, PDSCH 또는 PUCCH)에 대한 리피티션 레벨(리피티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제어 신호 생성부(102) 및 데이터 부호화부(106)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통보 신호 생성부(105)에 대해서, 미리 기지국마다 결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통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또, 제어부(101)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신호 생성부(102)에 출력한다.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있어서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셀 고유한 값으로서 통보 정보로서 단말(200)에 통지되어도 좋고,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으로서 단말(2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제어 신호 생성부(102)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정보(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 또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는 경우,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끼리를 구별하기 위해서, 제어 신호에는, 행선지(受信處) 단말의 단말 ID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에는, 행선지 단말의 단말 ID에 의해 마스킹된 CRC 비트가 포함된다. 또, 제어 신호 생성부(102)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리피티션 신호를 생성한다. 즉, PD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1보다 큰 경우에는, 제어 신호 생성부(102)는, 리피티션 레벨에 대응한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동일한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부호화율에 따라서, 제어 신호 생성부(102)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변조부(104)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변조부(104)는, 제어 신호 부호화부(103)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 후의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09)에 출력한다.
통보 신호 생성부(105)는, 제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통보 신호를 생성하고, 통보 신호를 신호 할당부(109)에 출력한다. 또한, 통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폭, 또는, PUCCH 리소스에 관련된 신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통보 신호에는, 부호화 처리 및 변조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데이터 부호화부(106)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부호화율에 따라서, 행선지 단말마다의 송신 데이터(비트 계열. 즉,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재송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또, 데이터 부호화부(106)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리피티션 레벨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서, 리피티션 신호를 생성한다. 즉, PDSCH의 리피티션 레벨이 1보다 큰 경우에는, 데이터 부호화부(106)는, 리피티션 레벨에 대응한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재송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부(107)는, 첫회 송신시에는, 데이터 부호화부(106)로부터 받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유지(保持)하는 것과 동시에 데이터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부(107)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행선지 단말별로 유지한다. 또, 재송 제어부(107)는, 후술하는 판정부(12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NACK를 받으면, 대응하는 유지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부(107)는,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를 받으면, 대응하는 유지 데이터를 삭제한다.
데이터 변조부(108)는, 재송 제어부(107)로부터 받는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고, 데이터 변조 신호를 신호 할당부(109)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109)는, 제어 신호 변조부(104)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 통보 신호 생성부(105)로부터 받는 통보 신호, 및, 데이터 변조부(106)로부터 받는 데이터 변조 신호를, 하향 리소스(하향 링크 데이터 신호 할당 리소스,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 등)에 매핑하고, 매핑한 신호를 IFFT부(11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할당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하향 제어 정보 할당 리소스에 나타나는 리소스에 제어 신호를 매핑하고,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나타나는 리소스에 데이터 변조신호를 매핑한다. 또, 신호 할당부(109)는 미리 설정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통보 신호를 매핑한다.
IFFT부(110)는, 신호 할당부(109)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IFFT 처리를 행함으로써, 주파수 영역 신호를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IFFT부(110)는 시간 영역 신호를 CP 부가부(111)에 출력한다.
CP 부가부(111)는, IFFT부(110)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CP를 부가하고, CP 부가 후의 신호(OFDM 신호)를 송신부(112)에 출력한다.
송신부(112)는, CP 부가부(111)로부터 받는 OFDM 신호에 대해서 D/A(Digital-to-Analog) 변환, 업 컨버트 등의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하여, 안테나(113)를 경유하여 단말(2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114)는, 안테나(113)를 경유하여 수신된 단말(200)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또는 A/D(Analog-to-Digital)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얻어지는 수신 신호를 CP 제거부(115)에 출력한다.
CP 제거부(115)는, 수신부(114)로부터 받는 수신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하고, CP 제거 후의 신호를 PUCCH 추출부(116)에 출력한다.
PUCCH 추출부(116)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정보에 기초하여, CP 제거부(115)로부터 받는 신호로부터 상향 제어 채널 신호(PUCCH)를 추출하고, 추출한 PUCCH를 역확산부(118)에 출력한다. 또, PUCCH 추출부(116)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200)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리피티션 송신된 PUCCH에 대해서, 동상합성(同相合成)을 실시하여 PUCCH(합성 신호)를 추출한다.
계열 제어부(117)는, 제어부(101)로부터 받는 ZAC 계열 및 직교 부호 계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의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ZAC 계열, 및, 직교 부호 계열을 생성한다. 계열 제어부(117)는, 직교 부호 계열을 역확산부(118)에 출력하고, ZAC 계열을 상관 처리부(119)에 출력한다.
역확산부(118)는, 계열 제어부(117)로부터 받는 직교 부호 계열 (단말(200)이 2차 확산에서 이용해야 할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PUCCH 추출부(116)로부터 받는 신호 중 ACK/NACK 신호에 상당하는 부분의 신호를 역확산하고, 역확산 후의 신호를 상관 처리부(119)에 출력한다.
상관 처리부(119)는, 계열 제어부(117)로부터 입력되는 ZAC 계열(단말(200)이 1차 확산에서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ZAC 계열)과, 역확산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상관값을 구하고, 상관값을 판정부(120)에 출력한다.
판정부(120)는, 상관 처리부(119)로부터 받는 상관값에 기초하여,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ACK/NACK 신호가, 송신된 데이터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20)는 판정 결과를 재송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단말의 구성]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단말(200)은 안테나(201)와, 수신부(202)와, CP 제거부(203)와, FFT(Fast Fourier Transform)부(204)와, 추출부(205)와, 통보 신호 수신부(206)와, 제어 신호 복조부(207)와, 제어 신호 복호부(208)와, 판정부(209)와, 데이터 복조부(210)와, 데이터 복호부(211)와, CRC부(212)와, 제어부(213)와, ACK/NACK 생성부(214)와, 변조부(215)와, 1차 확산부(216)와, 2차 확산부(217)와, IFFT부(218)와, CP 부가부(219)와, 송신부(220)를 가진다.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를 경유하여 수신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또는 AD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베이스밴드의 OFDM 신호를 얻는다. 수신부(202)는 OFDM 신호를 CP 제거부(203)에 출력한다.
CP 제거부(203)는, 수신부(202)로부터 받는 OFDM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하고, CP 제거 후의 신호를 FFT부(204)에 출력한다.
FFT부(204)는, CP 제거부(203)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FFT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FFT부(204)는 주파수 영역 신호를 추출부(205)에 출력한다.
추출부(205)는, FFT부(204)로부터 받는 신호로부터 통보 신호를 추출하여, 통보 신호 수신부(206)에 출력한다. 여기서, 통보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추출부(205)는, 그 리소스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통보 신호를 얻는다. 추출된 통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폭, 또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신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추출부(205)는, FFT부(204)로부터 받는 신호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 신호(PDCCH 신호)를 추출하여, 제어 신호 복조부(207)에 출력한다. 또, 추출부(205)는, 판정부(209)로부터 받는, 자단말앞으로의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FFT부(204)로부터 받는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 데이터(PDSCH 신호)를 추출하여, 데이터 복조부(210)에 출력한다. PDCCH 신호에는, 예를 들면,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 또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추출부(205)는, 단말(200)에 대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되어, PDCCH 신호가 리피티션 송신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리피티션 송신된 PDCCH 신호에 대해서 동상합성하여, PDCCH 신호를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추출부(205)는, 하향 링크 데이터(PDSCH 신호)가 리피티션 송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리피티션 송신된 PDSCH 신호에 대해서 동상합성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를 추출한다.
통보 신호 수신부(206)는, 추출부(205)로부터 받는 통보 신호로부터, 시스템 대역폭, 또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 등을 얻는다. 통보 신호 수신부(206)는, 통보 신호에 부호화 처리 및 변조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를 실시한다. 통보 신호 수신부(206)는 얻어진 통보 신호를 판정부(209) 또는 제어부(213)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복조부(207)는, 추출부(205)로부터 받는 PDCCH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PDCCH 신호를 제어 신호 복호부(208)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복호부(208)는, 제어 신호 복조부(207)로부터 받는 PDCCH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 결과를 판정부(209)에 출력한다.
판정부(209)는, 제어 신호 복호부(208)로부터 받는 복호 결과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가 자단말앞으로의 제어 정보인지 아닌지를 블라인드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209)는, 자단말의 단말 ID에 의해 CRC 비트를 디마스킹하여, CRC=OK(오류 없음)가 되는 제어 정보를, 자단말 앞으로의 제어 정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209)는 자장치앞으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추출부(205)에 출력한다. 또, 판정부(209)는, 자장치앞으로의 제어 정보가 매핑되어 있던 CCE를 특정하고, 특정한 CCE의 식별 정보를 제어부(213)에 출력한다.
데이터 복조부(210)는, 추출부(205)로부터 받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데이터 복호부(211)에 출력한다.
데이터 복호부(211)는, 데이터 복조부(210)로부터 받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후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CRC부(212)에 출력한다.
CRC부(212)는, 데이터 복호부(211)로부터 받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CRC를 이용해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 검출 결과를 ACK/NACK 생성부(214)에 출력한다. 또, CRC부(212)는, 오류 검출의 결과, 오류없음으로 판정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13)는, 통보 신호, PDCCH 신호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대해서 통지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를 미리 유지한다.
제어부(213)는,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판정부(209)로부터 받는 CCE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CCE의 식별 정보에 나타나는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주파수, 및, 1차 확산/2차 확산에 이용하는 부호)를 특정한다. 즉, 제어부(213)는 CCE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채널의 PUCCH 리소스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13)는, 사용해야 할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ZAC 계열을 생성함과 동시에, 설정된 순회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사용해야 할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하여, 1차 확산부(216)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13)는 사용해야 할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2차 확산부(217)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13)는 사용해야 할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리소스(서브캐리어)를 IFFT부(218)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13)는, 단말(200)에 대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가 설정되어,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를 ACK/NACK 생성부(214)에 출력한다.
ACK/NACK 생성부(214)는, CRC부(212)로부터 받는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ACK/NACK 생성부(214)는,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NACK를 생성하고,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ACK를 생성한다. ACK/NACK 생성부(214)는 생성한 ACK/NACK 신호를 변조부(215)에 출력한다. 또, ACK/NACK 생성부(214)는, 자단말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인 경우, 제어부(213)로부터 받는 리피티션 레벨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리피티션 신호를 송신한다. 즉,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1보다 큰 경우에는, ACK/NACK 생성부(214)는, 리피티션 레벨에 대응한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동일한 ACK/NACK 신호를 변조부(215)에 출력한다.
변조부(215)는, ACK/NACK 생성부(214)로부터 받는 ACK/NACK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 후의 ACK/NACK 신호를 1차 확산부(216)에 출력한다.
1차 확산부(216)는, 제어부(213)에 의해 설정된 ZAC 계열 및 순회 시프트량을 이용하여, 참조 신호, 및, 변조부(215)로부터 받는 ACK/NACK 신호를 1차 확산하고, 1차 확산 후의 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를 2차 확산부(217)에 출력한다.
2차 확산부(217)는, 제어부(213)에 의해 설정된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해 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를 2차 확산하고, 2차 확산 후의 신호를 IFFT부(218)에 출력한다.
IFFT부(218)는, 제어부(213)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리소스를 이용하여, 2차 확산부(217)로부터 받는 ACK/NACK 신호 및 참조 신호에 대해서 서브캐리어로의 매핑, 및, IFFT 처리를 행함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IFFT부(218)는 생성한 신호를 CP 부가부(219)에 출력한다.
CP 부가부(219)는, IFFT부(218)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CP를 부가하고, CP 부가 후의 신호를 송신부(220)에 출력한다.
송신부(220)는, CP 부가부(219)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D/A 변환, 업 컨버트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201)를 경유하여 기지국(1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기지국(100)의 셀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은, 각 단말(200)에 대해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통지한다.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CCE 번호로부터 PUCCH 번호를 특정할 때에 사용되는 오프셋값, 및, 각 PUCCH 영역에 배치되는 1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당에 부호 다중되는 PUCCH 리소스의 최대수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상기 오프셋값이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모드의 단말은, 하향 링크 할당 제어 정보(PDCCH 또는 EPDCCH)를 수신한 경우, 대응하는 할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는 하향 링크 데이터(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한다.
Figure pct00001
수학식(1)에 있어서, nCCE는 PDCCH가 점유하는 CCE 번호(0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PDCCH가 1개의 CCE만을 점유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nCCE는 해당 CCE의 번호이다. 또, PUCCH가 복수의 CCE를 점유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nCCE는 최소 CCE의 번호이다.
또, 수학식(1)에 있어서, NPUCCH (1)는,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3GPP Release 11에서는, NPUCCH (1)은 SPS/SR(Semi-Persistent Scheduling/Scheduling Request)용 리소스용으로 확보된 PUCCH 리소스수를 나타낸다. NPUCCH (1)은, 예를 들면, 셀 내에서 공통(common)의 값이고,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보 신호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된다.
통상 모드의 단말은, 결정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에 기초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OC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하향 링크 할당 제어 정보(PDCCH 또는 EPDCCH)를 수신했을 경우, 대응하는 할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는 하향 링크 데이터(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한다.
Figure pct00002
수학식 (2)에 있어서, NPUCCH _ MTC (1)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나타낸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통상 모드 단말의 오프셋 NPUCCH (1)과는 다른 독립된 오프셋값 NPUCCH _ MTC (1)이 설정된다. NPUCCH _ MTC (1)는, 예를 들면, 단말(200)에 의존하는 개별(UE specific)적인 값이어도 좋고,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공통된 값이어도 좋다.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결정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에 기초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도 10은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1 RB(PRB(Physical RB))마다 최대 36개의 PUCCH 리소스 중, 18개의 PUC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다. 도 10에서는, 3개의 RB에 걸쳐서, 이용 가능한 54개의 PUCCH 리소스에 대해서 PUCCH 리소스 번호(#0~#53)가 각각 부여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한 오프셋값 NPUCCH (1)=6이고,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오프셋값 NPUCCH _ MTC (1)=30이다.
즉, 통상 모드의 단말은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nCCE+6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nCCE+30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즉, 단말(200)은, 자단말이 통상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통상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 중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통상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과는 다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 중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또, 동일하게 하여, 기지국(100)은, 통상 모드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ACK/NACK 신호를, 통상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ACK/NACK 신호를, 통상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과는 다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용의 PUCCH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수신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PDCCH 신호, PDSCH 신호 및 ACK/NACK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군과,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통상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군은 다르다. 즉,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양쪽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 영역이 분할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각 모드의 단말(200)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CCE수를 24개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단, 각 모드의 단말(200)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CCE수는 24개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값이라도 좋으며, 사용할 수 있는 CCE수에 따라, 각 모드의 단말(200)에 대한 PUCCH 리소스 영역이 분할되도록, 오프셋값 NPUCCH (1) 및 NPUCCH _ MTC (1)가 설정되면 좋다.
여기서,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CCE 번호가 CCE#0인 경우(즉, nCCE=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통상 모드의 단말은, 수학식 (1)에 따라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6(=0+6)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수학식(2)에 따라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30(=0+30)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즉, 단말(200)(제어부(213))은, 자단말이 통상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인덱스 nCCE에 오프셋값 NPUCCH (1)를 가산하여, 실제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산출한다. 또, 단말(200)은, 자단말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인덱스 nCCE에 오프셋값 NPUCCH _ MTC (1)를 가산하여, 실제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산출한다. 단, 오프셋값 NPUCCH (1)과 오프셋값 NPUCCH _ MTC (1)은 다르다.
따라서, 양쪽 단말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통상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가 동일한 CCE#0이라 하더라도, 양쪽에 있어서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는 다르다.
즉, 양쪽 단말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PDCCH에 사용된 CCE 번호(최소 인덱스)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간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각각 다른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 모드의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ACK/NACK 신호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에 사용된 PDCCH가 점유하는 CCE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므로, PD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해서 아무런 제한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DCCH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또는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DCCH 리소스의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 및 스케줄링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예를 들면, 수학식(1)을 참조)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시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오프셋값 NPUCCH _ MTC (1)만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새로이 통지되면 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8(기지국(100))과 도 9(단말(200))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기지국(100)의 셀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은, 각 단말(200)에 대해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통지한다.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CCE 번호로부터 PUCCH 번호를 특정할 때에 사용되는 오프셋값, 및, 각 PUCCH 영역에 배치되는 1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당에 부호 다중되는 PUCCH 리소스의 최대수에 관련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상기 오프셋값이 공통적으로 설정된다. 단,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과는, CCE 번호와 PUCCH 리소스 번호의 대응화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모드의 단말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를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하향 링크 할당 제어 정보(PDCCH 또는 EPDCCH)를 수신한 경우, 대응하는 할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는 하향 링크 데이터(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_MTC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한다.
Figure pct00003
수학식 (3)에 있어서, NPUCCH (1)은,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이고, 수학식 (1)에도 포함되는 값이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통상 모드 단말의 오프셋 NPUCCH (1)과 동일한 오프셋값 NPUCCH (1)이 설정된다. NPUCCH (1)은,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보 신호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서 통지되어도 좋다.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결정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에 기초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즉, 단말(200)(제어부(213))은, 자단말이 통상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인덱스 nCCE에 오프셋값 NPUCCH (1)을 가산하여, 실제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산출한다. 한편, 단말(200)은, 자단말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인 경우에는, 오프셋값 NPUCCH _ MTC (1)로부터, PDCCH에 사용되는 CCE의 인덱스 nCCE를 감산하여, 실제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산출한다.
도 11은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1RB마다 최대 36개의 PUCCH 리소스 중, 18개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3개의 RB에 걸쳐서, 이용가능한 54개의 PUCCH 리소스에 대해서 PUCCH 리소스 번호(#0~#53)가 각각 부여되어 있다.
또, 도 11에서는, 각 단말(200)에 대한 오프셋값 NPUCCH (1)=30이다.
즉, 통상 모드의 단말은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nCCE+30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30-1-nCCE(=29-nCCE)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PUCCH 리소스 번호 #29와 #30 사이를 경계로 하여, #30 이상인 번호의 PUCCH 리소스는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으로 설정되고, #29 이하인 번호의 PUCCH 리소스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서 다른 PUCCH 리소스 영역이 설정된다. 즉,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대응화(수학식 1 및 수학식3)를 다르게 함으로써, 양쪽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 영역이 분할된다.
여기서,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CCE 번호가 CCE#0인 경우(즉, nCCE=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통상 모드의 단말은, 수학식 (1)에 따라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30(=0+30)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수학식 (3)에 따라서,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29(=29-0)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한다.
즉, 양쪽 단말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통상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에 관련지어진 CCE 번호가 동일한 CCE#0이라 하더라도, 양쪽에 있어서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는 다르다.
즉, 양쪽 단말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대응하는 PDCCH에 사용된 CCE 번호(최소 인덱스)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각각 다른 CCE와의 대응화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 모드의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동일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ACK/NACK 신호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에 사용된 PDCCH가 점유하는 CCE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대응화를 다르게 함으로써,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므로, PDCCH 리소스의 할당에 관해서 아무런 제한을 추가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DCCH 리소스의 이용 효율의 저하 또는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DCCH 리소스의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 및 스케줄링의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예를 들면, 수학식 (1)을 참조)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 행해지고 있다. 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시에도, 통상 모드의 단말과 동일한 파라미터(오프셋값 NPUCCH (1))가 이용된다. 따라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새로이 추가해야 할 파라미터는 없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는 대응화를, 통상 모드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에서 반대로 해도 좋다. 즉, 통상 모드의 단말이 수학식 (3)을 이용해 PUCCH 리소스 번호를 결정하고,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수학식 (1)을 이용해 PUCCH 리소스 번호를 결정해도 좋다. MTC에서는 단말은 그다지 빈번하게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PUCCH 영역 사용 빈도는 적은 것으로 상정된다. 또, 상향 링크에서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에 PUSCH 영역(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배치되고, 양단에 PUCCH 영역이 배치되고, PUCCH 리소스(예를 들면, 도 11을 참조)에는 상기 PUCCH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PUCCH 리소스 번호가 순차적으로 붙어 있다. 따라서, 수학식(1)에 의해서 대응화된, 사용 빈도가 적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PUCCH 영역은, 상향 링크의 내측 주파수 대역에 배치되므로, 상향 링크 데이터용의 주파수 대역과 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PUCCH 리소스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그 리소스를 상향 링크 데이터(PUSCH)에 이용할 수 있다. 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PUCCH 영역이 PUSCH 영역과 연속해 있는 것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한꺼번에 특정 단말에 할당하여, 최대전력대 평균 전력비(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8(기지국(100))과 도 9(단말(200))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기지국(100)의 셀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은, 각 단말(200)에 대해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통지한다.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PUCCH 리소스(예를 들면, 도 3을 참조)의 1 직교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이용 가능한 PUCCH 리소스 사이의 순회 시프트량의 차(差), 및, 각 PUCCH 영역에 배치되는 1 RB당에 부호 다중되는 PUCCH 리소스의 최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서 다른 PUCCH 리소스 영역이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으로서, CCE 번호에 대응화하여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는,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으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을 이용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명시적으로(explicit) 통지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상기 순회 시프트량의 차가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2개의 RB의 합계 72개의 PUCCH 리소스 중, 12개의 PUCCH 리소스는 SPS/SR용으로 확보되고, 48개의 PUCCH 리소스는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확보되고, 나머지 12개의 PUCCH 리소스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확보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도 12에 나타내는 PUCCH 리소스는 직교 부호 계열(OC index)과 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Index)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다.
통상 모드의 단말에는, PUCCH 리소스를 정의하는 1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이용 가능한 리소스간 순회 시프트량의 차 Δshift PUCCH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Δshift PUCCH=2가 설정되어 있다. 즉, 1개의 직교 부호 계열에 대해서 취할 수 있는 12개의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Index=0~11)에 대해 1개 간격의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는, 1 RB(PRB(Physical RB))마다 최대 36개 PUCCH 리소스 중, 18개 PUC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은, 하향 링크 할당 제어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대응하는 할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를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해도 좋다(단, NPUCCH (1)=6).
도 12에서는, PUCCH 리소스#0을 시점(始點)으로 하여, 각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1개 간격의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대해서 번호가 부여된 PUCCH 리소스 중, PUCCH 리소스 번호 #6~#29의 24개 PUCCH 리소스가 통상 모드의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가 된다.
한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는, PUCCH 리소스를 정의하는 1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이용 가능한 리소스 간의 순회 시프트량의 차 Δshift PUCCH_MTC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Δshift PUCCH _ MTC=1이 설정되어 있다. 즉, 이용가능한 PUCCH 리소스간의 순회 시프트량의 차로서,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서로 다른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Δshift PUCCH _ MTC는 Δshift PUCCH보다 작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서는, 1개의 직교 부호 계열에 대해서 취할 수 있는 12개의 순회 시프트량(Cyclic Shift Index=0~11)에 대해서 연속하는 전부의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하향 링크 할당 제어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대응하는 할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는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를 수학식 (2)에 따라서 결정해도 좋다(단, NPUCCH _ MTC (1)=60).
도 12에서는, PUCCH 리소스#0을 시점으로 하여, 각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연속하는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대해서 번호가 부여된 PUCCH 리소스 중, PUCCH 리소스 번호 #60~#71의 12개의 PUCCH 리소스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가 된다.
또한, 단말(200)은, PUCCH 리소스 번호에 기초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PUCCH 리소스 번호와,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의 대응화는,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에 의존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PUCCH 리소스 번호로부터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특정하는 대응화가,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기존 시스템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 번호로부터 실제로 사용하는 OC index 및 순회 시프트량을 특정하는 대응화를 나타내는 수식(나타내지 않음)에 있어서의 Δshift PUCCH를 Δshift PUCCH _MTC와 대체시켜 동작하면 된다.
기존의 시스템(예를 들면, 3GPP Release 11)에서는, 상술한 통상 모드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는 확보되어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 더하여,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가 추가적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RB 내에서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는 취할 수 있는 순회 시프트량 중의 이용 가능한 순회 시프트량의 수에 의해 특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는 PUCCH 리소스로서 순회 시프트량을 몇 개 간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즉, Δshift PUCCH 및 Δshift PUCCH _ MTC)에 의해서 특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서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순회 시프트량의 차)가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직교 부호 계열과 순회 시프트량의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 Δshift PUCCH _ MTC는,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직교 부호 계열과 순회 시프트량의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Δshift PUCCH보다 작다.
이 때문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에서는,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과 비교해, 각 PUCCH 리소스 영역 전체에 대한 이용가능 PUCCH 리소스의 비율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에서는, 48개 PUCCH 리소스 중, 24개 PUC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비해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영역에서는, 12개 PUCCH 리소스의 전부가 이용 가능하게 된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가 최대한으로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 있어서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 있어서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PUCCH 리소스수를 많게 하여, PUCCH 리소스의 오버헤드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개의 PUCCH 리소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Δshift PUCCH _MTC=2일 경우에는 24개의 PUCCH 리소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비하여, Δshift PUCCH _MTC=1일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12개의 PUCCH 리소스만 확보하면 된다. 따라서, Δshift PUCCH _ MTC를 Δshift PUCCH보다 작게 함으로써, 통상 모드의 단말에 설정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 Δshift PUCCH와 동일하게 하는 경우와 비교해, PUCCH 리소스의 오버헤드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 RB 내의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부호 다중에 이용되지 않았던 PUCCH 리소스는 부호 확산에 의한 부호간 간섭 저감 효과로 인해 부호간 간섭의 저감에 기여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서는, 이용 가능 PUCCH 리소스 #6~#29의 인접하는 리소스 사이에 이용되지 않는 PUCCH 리소스(부호 다중에 이용되지 않는 PUCCH 리소스)가 존재하며, 해당 PUCCH 리소스가 부호간 간섭의 저감에 기여한다.
이것에 비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서는, 부호 다중에 이용되지 않는 PUCCH 리소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MTC에서의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면, MTC에서의 단말은 빈번하게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의 사용 빈도는 확률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에 있어서, 동일 RB내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켰다 하더라도, 동시에 부호 다중되는 단말수가 적기 때문에, 동일 계열의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리소스가 동시에 사용될 가능성은 낮아진다. 즉,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리소스가 동시에 사용됨으로 인한 부호간 간섭의 발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ACK/NACK 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는 발생하기 어렵다.
또, MTC에서의 통신 환경을 고려하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이 낮게 설정되어, PDCCH를 구성하는 L1/L2 CCH의 CCE의 점유수가 비교적 많아지는 일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CCE 번호에 의해 PUCCH 리소스 번호가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되는 경우, 번호가 인접하는 CCE는 동일 단말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번호가 인접하는 PUCCH 리소스(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리소스)가 동시에 사용될 가능성은 낮아진다.
이와 같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를 통상 모드의 경우와 비교해 작게 설정하더라도, 동일 RB 내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킨 PUCCH 리소스 영역에서의 실제 사용 확률이 낮기 때문에,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킨 것에 기인하는 ACK/NACK 신호의 성능 열화는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의 모드 단말에 대해서 각각 다른, 순회 시프트량의 차(즉,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이용해 PUCCH 리소스가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공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PUCCH 리소스의 오버헤드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통상 모드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시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 Δshift PUCCH _MTC가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새로이 통지되면 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다르게 함으로써,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통상 모드의 단말(리피티션을 행하지 않는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리피티션을 행하는 단말)에 대해서, 각각 다른, 순회 시프트량의 차(즉,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셀 내의 단말 그룹마다(예를 들면, 동일 셀내의 매크로 기지국 휘하의 단말과 리모트 안테나국 휘하의 단말 등) 각각 다른, 순회 시프트량의 차(즉,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4)
전술한 것처럼, 기존 시스템에서는, CCE 번호와 PUCCH 리소스 번호는 1 대 1로 대응화되어 있다. 즉, M개의 CCE에 대해서, CCE수와 동일한 수인 M개 PUCCH 리소스가 각각 대응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CCE#0과 PUCCH#60, CCE#1과 PUCCH#61, CCE#2와 PUCCH#62, …가 각각 대응화되어 있다.
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제어 정보의 오류율 특성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의 부호화율이 낮게 설정되는 것이 상정된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를 구성하는 L1/L2 CCH의 CCE의 점유수는 비교적 많아질 것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CCE의 점유수(어그리게이션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고 부르기도 함)로서 취할 수 있는 값(예를 들면, 1, 2, 4, 8) 중, 보다 큰 값(4, 8)이 설정되는 것이 상정된다.
전술한 것처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DCCH에 있어서 L1/L2 CCH가 복수의 CCE를 점유하는 경우, 단말은, 복수의 CCE 중, 1개 CCE(최소 인덱스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ACK/NACK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CCE 이외의 다른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는 사용되지 않고 낭비가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에 대한 PDCCH를 구성하는 L1/L2 CCH가 CCE#0~CCE#3의 4개 CCE를 점유하는 경우, 해당 단말은, 4개의 CCE 중 최소 인덱스인 CCE#0에 대응하는 PUCCH#60만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즉, CCE#1~CCE#3에 대응하는 PUCCH#61~PUCCH#63의 물리 리소스는 사용되지 않고 낭비가 된다.
또, MTC에서의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면, MTC에서의 단말은 빈번히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의 사용 빈도는 확률적으로 낮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M개의 CCE에 대해서 M개의 PUCCH 리소스를 1 대 1로 대응시키는 것이 아니라, M개 CCE에 대해서, M개보다 적은 PUCCH 리소스를 대응시킨다. 다시 말하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1개의 PUCCH 리소스에 대해서 복수의 CCE를 관련지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8(기지국(100))과 도 9(단말(200))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CCE와 PUCCH 리소스의 대응화를 미리 유지(保持)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CCE와 PUCCH 리소스의 대응화에 관한 방법 1 및 방법 2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서 다른 PUCCH 리소스 영역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의 단말 및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는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으로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명시적으로(Explicit) 통지되어도 좋다. 또,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간의 순회 시프트량의 차는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1로 한다(Δshift PUCCH _ MTC=1).
이하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의 PUCCH 리소스(#60~#71)에 주목한다.
<방법 1 (도 13)>
방법 1은 CCE 번호와 PUCCH 리소스의 대응화를 N 대 1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도 13은 N=4로 했을 경우의 CCE 번호와 PUCCH 리소스 번호의 대응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CCE#0~CCE#3의 4개의 CCE는 PUCCH#60에 대응화되고, CCE#4~CCE#7의 4개의 CCE는 PUCCH#61에 대응화되고, CCE#8~CCE#11의 4개의 CCE는 PUCCH#62에 대응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자단말 앞으로의 PDCCH를 구성하는 L1/L2 CCH를 점유하는 CCE 중, 가장 작은 인덱스의 CCE가 CCE#0~CCE#3의 어느 하나인 경우, PUCCH 리소스#60을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할당되는 CCE중 가장 작은 인덱스의 CCE가, CCE#4~CCE#7일 경우에는 ACK/NACK 신호의 송신에 PUCCH 리소스#61이 사용되고, CCE#8~CCE#11일 경우에는 ACK/NACK 신호의 송신에 PUCCH 리소스#62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사용하는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된다.
Figure pct00004
수학식 (4)에 있어서, 함수 「floor(X)」는, X 이하의 최대 정수를 돌려주는 바닥함수를 나타낸다. 또, nCCE는 PDCCH가 점유하는 CCE 중 가장 작은 CCE 번호를 나타내고, N은 1개의 PUCCH 리소스에 대응화되는 CCE수(도 13에서는 N=4)를 나타낸다. 또, NPUCCH _ MTC (1)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오프셋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는, NPUCCH _ MTC (1)=60이다.
방법 1에 의하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으로 확보하는 PUCCH 리소스 영역은, CCE 번호와 PUCCH 번호를 1 대 1로 대응화된 경우와 비교하여, 1/N로 삭감된다. 구체적으로는, CCE 번호와 PUCCH 번호를 1 대 1로 대응시키는 경우에는, 12개의 CCE에 대해서 12개의 PUCCH 리소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던 것에 비하여, 방법 1에서는, 도 13의 경우(N=4의 경우), 12개의 CCE에 대해서 3개의 PUCCH 리소스만을 확보하면 된다.
<방법 2>
방법 2는 1개의 PUCCH 리소스에 대응화되는 CCE수를, CCE 점유수(어그리게이션 레벨)로서 취할 수 있는 값으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방법 2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CCE 점유수N(>1)이 설정된다고 한다.
예를 들면, 도 14는, N=4로 했을 경우의 CCE 번호와 PUCCH 리소스 번호의 대응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CCE#0~CCE#3의 4개의 CCE는 PUCCH#60에 대응화되고, CCE#4~CCE#7의 4개의 CCE는 PUCCH#61에 대응화되고, CCE#8~CCE#11의 4개의 CCE는 PUCCH#62에 대응화되어 있다. 즉, CCE 점유수 N개의 CCE마다 1개의 PUCCH 리소스가 대응화되어 있다.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 단말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4개의 CCE 단위로 CCE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자단말앞 PDCCH를 구성하는 L1/L2 CCH를 점유하는 CCE가 CCE#0~CCE#3일 경우, PUCCH 리소스#60을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CCE#4~CCE#7이 할당될 경우에는, ACK/NACK 신호의 송신에 PUCCH 리소스#61이 사용되고, CCE#8~CCE#11이 할당될 경우에는, ACK/NACK 신호의 송신에 PUCCH 리소스#62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사용하는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된다.
Figure pct00005
수학식 (5)에 있어서 nCCE는 PDCCH가 점유하는 CCE중 가장 작은 CCE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CCE 점유수(도 13에서는 N=4)를 나타낸다. 또, NPUCCH _ MTC (1)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한 오프셋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NPUCCH _ MTC (1)=60이다.
방법 2에 의하면,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으로 확보하는 PUCCH 리소스 영역은, CCE 번호와 PUCCH 번호를 1 대 1로 대응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1/N로 삭감된다. 구체적으로는, CCE 번호와 PUCCH 번호를 1 대 1로 대응시키는 경우에는, 12개의 CCE에 대해서 12개의 PUCCH 리소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던 것에 비하여, 방법 2에서는, 도 14의 경우(N=4의 경우), 12개의 CCE에 대해서 3개의 PUCCH 리소스만을 확보하면 된다.
또, 각 PUCCH 리소스는, 각 단말이 점유하는 CCE수 단위로 CCE에 대응화되어 있으므로, 1개 PUCCH 리소스에 대응화된 N개 CCE가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동시에 사용되는 일은 없다.
이상, 방법 1 및 방법 2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CCE를 1개의 PUCCH 리소스와 관련지운다. 이렇게 함으로써,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로서 확보하는 리소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존재하는 시스템(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가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경우)에서도, PUCCH 리소스의 오버헤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모드의 단말과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에 대해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를 다르게 함으로써,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에 있어서, 기존의 시스템과 동일하게 CCE 번호와 대응시켜서 PUCCH 리소스 번호를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하는 것은, PDCCH 및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단말이 존재하면, 동일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어, PUCCH 리소스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5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간의 PUCCH 리소스가 충돌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에서는, 단말 1(UE#1) 및 단말 2(UE#2)의 PDCCH 및 PDSCH의 리피티션 레벨을 각각 NPDCCH, NPDSCH라고 한다. 또, 단말 1의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UCCHPUCCH라고 하고, 단말 2의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UCCH라고 한다. 즉, 단말 1에서는, 단말 2와 비교하여, NPDCCH, NPDSCH가 동일하고,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αPUCCH만큼 크다.
또, 도 15에서는, 단말 1이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2는, 단말 1의 PDCCH가 송신 완료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즉, 단말 1 및 단말 2의 양쪽은 CCE#0에 대응화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은 NPUCCHPUCCH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2는 단말 1이 ACK/NACK 신호를 NPUCCH 서브프레임 송신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NPUCCH에 걸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의 PUCCH 리피티션 후반의 αPUCCH 서브프레임, 및, 단말 2의 PUCCH 리피티션 전반의 αPUCCH 서브프레임에 상당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CCH 리소스가 단말간에서 충돌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8(기지국(100))과 도 9(단말(200))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PDCCH와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경우,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PDCCH의 리피티션 레벨과 동일한 수의 서브프레임까지는, CCE 번호(즉, 최소 CCE 번호)에 대응시켜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200)은, PD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초과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명시적으로(Explicit) 할당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해당 PUCCH 리소스는,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대해서 미리 통지된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도 15와 마찬가지로, 단말 1(UE#1) 및 단말 2(UE#2)의 PDCCH 및 PDSCH의 리피티션 레벨을 각각 NPDCCH, NPDSCH라고 한다. 또, 단말 1의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UCCHPUCCH라고 하고, 단말 2의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NPUCCH라고 한다. 또, 도 16에서는, NPUCCH는 NPDCCH와 동일하다.
또, 도 16에서는, 단말 1이 CCE#0부터 CCE#3을 이용하여 PDCCH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2는, 단말 1의 PDCCH가 송신 완료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CCE#0부터 CCE#3을 이용하여 PDCCH를 송신한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은,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NPUCCHPUCCH 서브프레임 중, NPDCCH와 동일한 수의 NPUCCH 서브프레임까지는, PDCCH에 사용된 CCE 중 최소 인덱스를 가지는 CCE#0에 대응화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1은, NPUCCHPUCCH 서브프레임 중, NPUCCH 서브프레임을 초과한 αPUCCH 서브프레임 이후에서는, 명시적으로(Explicit) 통지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2는,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단말 1이 ACK/NACK 신호를 NPUCCH 서브프레임 송신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NPUCCH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PDCCH에 사용된 CCE 중 최소 인덱스를 가지는 CCE#0에 대응화된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즉, 도 16에서는, 단말 1의 PUCCH 리피티션 후반의 αPUCCH 서브프레임, 및, 단말 2의 PUCCH 리피티션 전반의 αPUCCH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단말 1 및 단말 2의 양쪽에 있어서 서로 다른 PUCCH 리소스가 이용된다. 따라서, 단말 1과 단말 2 사이에서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단말(200)은, ACK/NACK 신호의 리피티션 송신이 행해지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PDCCH의 리피티션 레벨 이하의 서브프레임에서는,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용 PUCCH 리소스 중, PDCCH에 사용되는 CCE에 대응시켜진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하고, PDCCH의 리피티션 레벨을 초과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미리 설정된 PUCCH 리소스의 어느 하나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PDCCH와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CCE를 이용해 PDCCH를 송신한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에 있어서 ACK/NACK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발생하더라도,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가 단말간에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4의 동작과 조합해도 좋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끼리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여,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과 통상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시형태 1~4의 어느 하나를 적용하면 된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5에서는, PDCCH와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단말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말에서의 PDCCH와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은 동일하지만, 단말간의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에 있어서, 기존 시스템과 동일하게 하여 CCE 번호와 대응시켜 PUCCH 리소스 번호를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하는 것은, 단말간에 있어서 동일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어, PUCCH 리소스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7은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의 PUCCH 리소스가 충돌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에서는, 단말 1(UE#1)의 PDCCH, PDSCH,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8이고, 단말 2(UE#2)의 PDCCH, PDSCH,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4이다.
또, 도 17에서는, 단말 1이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2는, 단말 1의 PDCCH가 송신 완료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즉, 단말 1 및 단말 2의 양쪽은 CCE#0에 대응시켜진 PUCCH 리소스를 이용해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은, 8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의 8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PDSCH를 수신한다. 한편, 단말 2는, 단말 1이 PDCCH의 수신을 완료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4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PDCCH를 수신하고, 다음의 4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PDSCH를 수신한다. 즉, 단말 1과 단말 2는 PDSCH의 수신 완료 타이밍(또는 ACK/NACK 신호의 송신 개시 타이밍)이 동일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타이밍에 있어서, 단말 1은 8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2는 4 서브프레임에 걸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도 17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의 PUCCH 리피티션 전반(前半) 4 서브프레임, 및, 단말 2의 PUCCH 리피티션의 전(全) 4 서브프레임에 상당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CCH 리소스가 단말간에서 충돌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피티션 레벨이 서로 다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 간의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8(기지국(100))과 도 9(단말(200))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0)(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은,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PDCCH의 송신에 사용된 CCE 번호(즉, 최소 CCE 번호)에 대응시켜 암묵적으로(Implicit) 통지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단, 단말(200)은 설정되는 리피티션 레벨마다 다른 오프셋값을 사용해 특정되는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리피티션 레벨이 4인 경우의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 _4, 및, 리피티션 레벨이 8인 경우의 PUCCH 리소스 번호 nPUCCH _ MTC _8은,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결정된다.
Figure pct00006
수학식 (6), (7)에 있어서, nCCE는 PDCCH가 점유하는 CCE 번호(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수학식 (6), (7)에 있어서, NPUCCH _ MTC _ 4 (1)은 리피티션 레벨이 4인 경우에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나타내고, NPUCCH _ MTC _8 (1)은 리피티션 레벨이 8인 경우에 CCE 번호로부터 PUCCH 리소스 번호를 특정하기 위한 오프셋값을 나타낸다.
NPUCCH _ MTC _4 (1)과 NPUCCH _ MTC _8 (1)은 다른 값이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단말(200)이 이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는 적어도, 리피티션 레벨이 4인 경우의 PUCCH 리소스와, 리피티션 레벨이 8인 경우의 PUCCH 리소스로 분할된다. 즉, 단말(200)이 이용할 수 있는 PUCCH 리소스군은 ACK/NACK 신호의 리피티션 레벨마다의 복수의 서브 리소스군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리피티션 레벨이 4, 8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리피티션 레벨은 4, 8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값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오프셋값이 설정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각 채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8에서는, 도 17과 마찬가지로, 단말 1(UE#1)의 PDCCH, PDSCH,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8이고, 단말 2(UE#2)의 PDCCH, PDSCH, PUCCH의 리피티션 레벨이 4이다. 또, 도 18에서는, 단말 1이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2는 단말 1의 PDCCH가 송신 완료한 다음의 서브프레임부터, CCE#0부터 CCE#3을 이용해 PDCCH를 송신한다.
이 경우,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은,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수학식 (6)에 따라서, NPUCCH _ MTC _8 (1)+nCCE=NPUCCH _ MTC _8 (1)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단말 2는, PUCCH 리피티션에 있어서, 수학식 (7)에 따라서, NPUCCH _ MTC _4 (1)+nCCE=NPUCCH _ MTC _4 (1)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PUCCH _ MTC _4 (1)과 NPUCCH _ MTC _8 (1)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의 PUCCH 리피티션 전반(前半) 4 서브프레임, 및, 단말 2의 PUCCH 리피티션의 전(全) 4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단말 1 및 단말 2의 양쪽에 있어서 서로 다른 PUCCH 리소스가 이용된다. 이 때문에, 단말 1과 단말 2 간에서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리피티션 레벨이 다른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간에 있어서, 동일한 CCE를 이용해 PDCCH를 송신하고, ACK/NACK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발생하더라도,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가 단말간에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4의 동작과 조합시켜 실시해도 좋다. 즉,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끼리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여, MTC 커버리지 인핸스먼트 모드의 단말과 통상 모드의 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시형태 1~4의 어느 하나를 적용하면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일 형태를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또,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단말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자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인덱스에 제 1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1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상기 CCE의 인덱스에 제 2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2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며, 상기 제 1 오프셋값과 상기 제 2 오프셋값은 다르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인덱스에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1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고, 상기 오프셋값으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상기 CCE의 인덱스를 감산하여, 상기 제 2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한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 및 상기 제 2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는, 직교 부호 계열과 순회 시프트량의 조합에 의해서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 1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상기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는, 상기 제 2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상기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보다 작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복수개에 대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의 1개 리소스가 대응화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는 상기 할당 정보가 점유하는 CCE의 개수이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행해지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상기 제어 정보의 리피티션 회수 이하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제 1 리소스군 중,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에 대응화된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피티션 회수를 초과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미리 설정된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은 상기 응답 신호의 리피티션 회수별로 복수의 서브 리소스군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기지국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수신한다.
본 개시의 송신 방법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에서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에서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수신 방법은,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해 수신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일 형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기지국
200: 단말
101, 213: 제어부
102: 제어 신호 생성부
103: 제어 신호 부호화부
104: 제어 신호 변조부
105: 통보 신호 생성부
106: 데이터 부호화부
107: 재송 제어부
108: 데이터 변조부
109: 신호 할당부
110, 218: IFFT부
111, 219: CP 부가부
112, 220: 송신부
113: 안테나
114, 202: 수신부
115, 203: CP 제거부
116: PUCCH 추출부
117: 계열 제어부
118: 역확산부
119: 상관 처리부
120, 209: 판정부
204: FFT부
205: 추출부
206: 통보 신호 수신부
207: 제어 신호 복조부
208: 제어 신호 복호부
210: 데이터 복조부
211: 데이터 복호부
212: CRC부
214: ACK/NACK 생성부
215: 변조부
216: 1차 확산부
217: 2차 확산부

Claims (11)

  1.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자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인 경우에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자단말이,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인덱스에 제 1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1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상기 CCE의 인덱스에 제 2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2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며,
    상기 제 1 오프셋값과 상기 제 2 오프셋값은 다른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인덱스에 오프셋값을 가산하여, 상기 제 1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고,
    상기 오프셋값으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상기 CCE의 인덱스를 감산하여, 상기 제 2 리소스군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산출하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 및 상기 제 2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는 직교 부호 계열과 순회 시프트량의 조합에 의해서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 1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상기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는, 상기 제 2 리소스군의 각 리소스로서 정의된 상기 조합 중, 동일 직교 부호 계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순회 시프트량의 차보다도 작은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의 복수개에 대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의 1개의 리소스가 대응화되는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는 상기 제어 정보가 점유하는 CCE의 개수인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행해지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상기 제어 정보의 리피티션 회수 이하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제 1 리소스군 중, 상기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에 대응화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의 리피티션 회수를 초과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미리 설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소스군은 상기 응답 신호의 리피티션 회수마다의 복수의 서브 리소스군으로 구성되는
    단말.
  9.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기지국.
  10.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에서는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에서는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방법.
  11. 하향 링크 데이터의 할당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및,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 공정과,
    상기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공정은,
    상기 제어 정보,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해서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는 제 1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제 1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리피티션 송신이 적용되지 않는 제 2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제 1 리소스군과는 다른 제 2 리소스군 중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수신 방법.
KR1020167034393A 2014-06-24 2014-06-24 단말, 기지국,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180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0628 WO2015196368A1 (en) 2014-06-24 2014-06-24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340A true KR20170020340A (ko) 2017-02-22
KR102180646B1 KR102180646B1 (ko) 2020-11-19

Family

ID=5493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393A KR102180646B1 (ko) 2014-06-24 2014-06-24 단말, 기지국,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5) US10652871B2 (ko)
EP (3) EP3637920B1 (ko)
JP (1) JP6410112B2 (ko)
KR (1) KR102180646B1 (ko)
CN (3) CN106465355B (ko)
CA (1) CA2950636C (ko)
ES (2) ES2787896T3 (ko)
MX (1) MX359734B (ko)
MY (1) MY191807A (ko)
PL (2) PL3162139T3 (ko)
RU (1) RU2670775C9 (ko)
WO (1) WO2015196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4164B2 (en) * 2014-08-18 2018-08-28 Apple Inc. Radio access technology with non-continuous and periodic PUSCH transmission
JP6386572B2 (ja) * 2014-09-25 2018-09-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CN107113137B (zh) * 2014-10-30 2020-09-29 Lg 电子株式会社 通过mtc设备的pucch发送方法
CN107534460B (zh) * 2015-03-06 2020-06-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用于mtc ue的帧结构和频率跳变的方法和装置
CN111953453B (zh) 2015-03-30 2023-10-1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设计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10728914B2 (en) 2015-05-15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el (PUCCH) configuratio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KR102202325B1 (ko) 2015-11-04 2021-01-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협대역 lte 동작을 위한 방법 및 프로시저
DE112017000007T5 (de) * 2016-02-05 2017-10-26 Sony Corporation Kommunikationsgeräte, infrastruktureinrichtung und verfahren
CN106357372A (zh) * 2016-11-15 2017-01-2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避免反馈消息资源冲突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06507493B (zh) * 2016-11-22 2020-01-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避免上行资源冲突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US11166262B2 (en) * 2017-01-05 2021-11-0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Lo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design for 5th generation (5G) new radio (NR)
KR20200012842A (ko) 2017-05-03 2020-02-05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7317656A (zh) * 2017-06-22 2017-11-03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装置、网络侧设备和终端
US11503609B2 (en) * 2019-09-27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PUCCH repetition before RRC connection setup
US20220124702A1 (en) * 2020-10-16 2022-04-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petition for a control channel
AU2022322340A1 (en) * 2021-08-05 2024-02-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7743A1 (ja) * 2009-12-25 2011-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送信方法
US20140098761A1 (en) * 2012-10-05 2014-04-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verage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7836B2 (ja) 2007-09-25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応答信号拡散方法
JP5497656B2 (ja) * 2008-10-30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応答信号送信方法及び応答信号受信方法、並びに集積回路
CN102356682B (zh) 2009-03-16 2014-12-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线通信终端装置、无线通信基站装置以及资源区域设定方法
CN101902782B (zh) * 2009-05-27 2012-08-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持续传送新传包的方法与装置
US8964658B2 (en) * 2010-03-31 2015-02-24 Mediatek Inc. Methods of contention-based transmission
EP2557708B1 (en) * 2010-04-05 2016-10-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10120808A (ko) 2010-04-29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ack/nack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하향링크 ack/nack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ES2729939T3 (es) * 2010-08-13 2019-11-07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de terminal,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procedimiento de retransmisión y procedimiento de asignación de recursos
WO2012044135A2 (ko) * 2010-10-01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2080416A (ja) 2010-10-04 2012-04-19 Sony Corp 基地局、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
WO2012098827A1 (ja) 2011-01-21 2012-07-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端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GB2493143A (en) 2011-07-21 2013-01-30 Sca Ipla Holdings Inc Time multiplexed additional carrier for LTE carrier aggregation and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KR102094890B1 (ko) 2011-08-19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CN103095395B (zh) 2011-11-02 2017-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ucch的资源配置方法、传输方法、装置和系统
EP2603030B1 (en) * 2011-12-09 2014-12-24 Fujitsu Limi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2013197891A (ja) 2012-03-19 2013-09-30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て方法
KR102040622B1 (ko) 2012-04-15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자원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그리고 이들을 위한 장치
CN108282268B (zh) 2012-05-10 2021-01-12 太阳专利信托公司 无线终端装置、无线通信终端以及资源分配方法
US9055569B2 (en) 2012-06-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hybrid acknowledgement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TWI469718B (zh) * 2012-07-09 2015-01-11 Aopen Inc 電子裝置及其線材固定機構
US9807740B2 (en) 2012-08-02 2017-10-31 Sun Patent Trust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uplink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method
CN103873215B (zh) * 2012-12-17 2017-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物理混合自动重传请求指示信道传输方法及装置
CN103188051A (zh) * 2013-03-15 2013-07-03 北京创毅讯联科技股份有限公司 Mtc中业务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基站、用户设备
WO2014168336A1 (ko) * 2013-04-11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4185748A1 (ko) * 2013-05-16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12665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42064B2 (en) * 2013-09-17 2018-11-27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 enhanced coverage mode
US11291051B2 (en) * 2013-09-27 2022-03-2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devices for random access
US9961595B2 (en) * 2013-10-31 2018-05-01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coverage enhanc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67386B2 (en) * 2013-11-13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EP3076577B1 (en) * 2013-12-04 2019-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CN104767595A (zh) * 2014-01-07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Harq-ack反馈信息的传输方法、系统及终端和基站
JP2017513260A (ja) 2014-01-29 2017-05-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バレッジ拡張されたワイヤレス送信のためのアクセスおよびリンクアダプテーションの方法
JP6159672B2 (ja) 2014-01-30 2017-07-0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送信方法、移動局及び再送制御方法
JP6368028B2 (ja) * 2014-03-28 2018-08-0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繰り返し回数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943016A1 (en) * 2014-05-08 2015-11-11 Fujitsu Limited Coverage exten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7743A1 (ja) * 2009-12-25 2011-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送信方法
US20140098761A1 (en) * 2012-10-05 2014-04-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verage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5360 *
3GPP R1-140116* *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1.5.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1),"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2: 3GPP TS 36.212 V11.4.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1),"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3: 3GPP TS 36.213 V11.5.0,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1), " December 2013.
비특허문헌 4: Seigo Nakao, Tomofumi Takata, Daichi Imamura, and Katsuhiko Hiramatsu, "Performance enhancement of E-UTRA uplink control channel in fast fad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2009 IEEE 69 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2009-Spring), April 2009.
비특허문헌 5: 3GPP TR 36.888 V12.0.0, "Study on provision of low-cost Machine-Type Communications (MTC) User Equipments (UEs) based on LTE," June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162139T3 (pl) 2020-10-19
BR112016028073A2 (pt) 2017-08-22
RU2670775C2 (ru) 2018-10-25
EP3998819A1 (en) 2022-05-18
CN106465355B (zh) 2019-12-31
CN110932834B (zh) 2022-03-15
ES2914358T3 (es) 2022-06-09
RU2016148175A (ru) 2018-07-24
KR102180646B1 (ko) 2020-11-19
US11606785B2 (en) 2023-03-14
MX2016015879A (es) 2017-03-20
EP3162139A4 (en) 2017-07-05
CN110730061A (zh) 2020-01-24
US20220086813A1 (en) 2022-03-17
US20200236663A1 (en) 2020-07-23
CN106465355A (zh) 2017-02-22
RU2016148175A3 (ko) 2018-07-24
BR112016028073A8 (pt) 2017-12-26
CA2950636A1 (en) 2015-12-30
CN110730061B (zh) 2022-04-19
MY191807A (en) 2022-07-16
JP6410112B2 (ja) 2018-10-24
US20240049247A1 (en) 2024-02-08
US20170164335A1 (en) 2017-06-08
US11219012B2 (en) 2022-01-04
RU2670775C9 (ru) 2018-12-19
ES2787896T3 (es) 2020-10-19
CN110932834A (zh) 2020-03-27
EP3162139A1 (en) 2017-05-03
JP2017520129A (ja) 2017-07-20
MX359734B (es) 2018-10-09
EP3637920B1 (en) 2022-02-23
EP3162139B1 (en) 2020-02-12
US11838927B2 (en) 2023-12-05
US10652871B2 (en) 2020-05-12
WO2015196368A1 (en) 2015-12-30
US20230180257A1 (en) 2023-06-08
EP3637920A1 (en) 2020-04-15
CA2950636C (en) 2021-03-02
PL3637920T3 (pl) 2022-06-20
EP3998819B1 (en) 2024-04-24
WO2015196368A8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927B2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20230413273A1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477768B2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JP7016047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JP6799787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JP6590267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