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292A -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292A
KR20170020292A KR1020160132535A KR20160132535A KR20170020292A KR 20170020292 A KR20170020292 A KR 20170020292A KR 1020160132535 A KR1020160132535 A KR 1020160132535A KR 20160132535 A KR20160132535 A KR 20160132535A KR 20170020292 A KR20170020292 A KR 2017002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ing
guiding portion
led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292A/ko
Publication of KR2017002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1)는, 화장품이 담기는 본체(110); 상기 본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120); 및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조명거울(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거울(130)이, 윗면에 반사면(132a)이 형성되는 반사판(132);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도광부(133); 및 상기 도광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 광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반사면(132a)이 직접 거울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Light mirro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백라이트를 자체 조명으로 활용하는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 상태를 확인하거나 화장을 고치는 데 있어서 여성들에게 필수 휴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어두운 곳에서는 거울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기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102호(2012.08.28.공고)에서와 같이 LED 백라이트 유닛을 자체 조명으로 활용하는 화장품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1)는 본체(10)와 덮개(20)로 구성되며, 덮개(2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본체(10)에 힌지 결합된다. 본체(10)에는 화장품(11)이 담기고, 덮개(20)에는 거울(21)이 설치된다.
거울(21)의 밑에는 LED 백라이트 유닛(30)이 설치된다. 거울(21)은 LED 백라이트 유닛(30)의 가운데 부분 상에 설치된다. 거울(21)의 외측 둘레에는 거울(21)과 LED 백라이트 유닛(30)의 단차를 없애면서 거울(21)과 LED 백라이트 유닛(30) 사이의 접착력을 보완하기 위한 투명몰딩(22)이 설치된다.
따라서 LED 백라이트 유닛(30)에서 발생된 빛이 거울(21)의 외측 둘레에 있는 투명몰딩(22)을 통하여 위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LED 백라이트 유닛(30)을 자체조명으로 하여 거울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어디까지나 거울(21)의 밑에 LED 백라이트 유닛(30)을 설치하여 이를 자체 조명으로 활용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LED 백라이트 유닛(30) 외에 별도의 거울(21)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102호(2012.08.28.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ED 백라이트의 반사판을 직접 거울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거울 설치할 필요가 없는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은,
윗면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 광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반사면이 거울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면의 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부는 상기 반사판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반사면 쪽을 향하는 상기 도광부의 안쪽 측면에 빛 차단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부는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도광부와 상기 반사면의 경계부에 빛 차단 도출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윗면에 비스듬하게 위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상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밑면에 비스듬하게 아래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이 상기 상향경사면에 걸터앉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상향경사면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부는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부 상에 확산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이 가려지도록 상기 확산시트 상에 투명보호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이 담기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조명거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거울이,
윗면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 광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반사면이 거울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거울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덮개에는 오목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명거울은 상기 반사면이 상기 덮개의 외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오목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수용부의 입구에는 상기 조명거울이 상기 오목수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거울의 테두리를 누르기 위한 고정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부가 조명역할을 하고, 반사판이 거울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광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수의 LED 광원으로도 충분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콤팩트 화장품 케이스는 소지하기 편하도록 크기가 한정되어 공간 제약이 심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와 같이 작은 수의 LED만 설치해도 된다는 점은 매우 유용한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의 소모량이 적어 배터리 교체주기가 길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점도 크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한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도 4의 조명거울(130)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광부(133)와 반사판(132)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의 구조도;
도 16 및 도 17는 도 15의 E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광원(2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광원(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LED 광원(200)의 렌즈 표면에 형성된 미세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LED 광원(200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LED 광원(200a)의 미세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LED 광원(200, 200a)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도 15에 따른 면발광램프(2)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a)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발광램프(2b)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B-B선에 따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발광램프(2c)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도 28의 C-C선에 따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조명거울]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거울(130)은 반사판(132), 도광부(133), 및 LED 광원(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사판(132)의 윗면에는 반사면(1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광부(133)는 반사면(132a)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도 3에서는 반사면(132a)의 전부가 노출되도록 반사판(132)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상기 LED 광원은 도광부(133)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LED 광원의 설치는 LED 백라이트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따르면, 반사판(132)이 거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거울이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도광부(133)을 통하여 반사판(132)의 둘레가 환하게 밝혀지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반사판(132)을 거울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과 달리 도광부(133)가 반사판(132)의 가장자리에 있는 반사면(132a) 상에 설치되어 반사면(132a)의 전부가 아닌 일부 특히, 가운데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도광부(133)에서 밑쪽을 향하는 빛이 도광부(133)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반사면(132a)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조명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의 경우는 도광부(133)가 반사면(132a)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도광부(133)에서 발하는 빛이 거울역할을 하는 반사면(132a) 쪽으로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반사판(132)을 거울로서 바라볼 때에 눈부심 현상이 나타나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 및 도 4의 구성에서 반사면(132a) 쪽을 향하는 도광부(133)의 안쪽 측면에 빛 차단부(139)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도광부(133)에서 발하는 빛이 빛 차단부(139)에 가려 반사면(132a) 쪽으로 직접 가지 못하게 되므로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날 수 있는 눈부심 현상이 방지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날 수 있는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광부(133)가 반사판(132)의 외측에 설치되면서도 반사면(132a)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도광부(133)에서 발하는 빛이 반사판(133)의 측면에 의해 가로막혀 반사면(132a)쪽으로는 향할 수 없기 때문에 반사면(132a)에서의 눈부심 효과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의 구성에서 도광부(133)와 반사면(132a)의 경계부에 빛 차단 돌출부(239)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도광부(133)에서 발하는 빛이 빛 차단 돌출부(239)에 가려 반사면(132a) 쪽으로 직접 가지 못하게 되므로 도 7에서 나타날 수 있는 눈부심 현상이 방지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역시 도 7의 경우를 더욱 개량하여 눈부심 방지 효과 뿐 만 아니라 뛰어난 조명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반사판(132)의 측면에 비스듬하게 위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상향경사면(232)을 형성시키고, 도광부(133)의 측면에 비스듬하게 아래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하향경사면(233)을 형성시켜, 하향경사면(233)이 상항경사면(232)에 걸터앉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면 도광부(133)에서 발하는 빛 중 반사판(133)의 측면을 향하는 것이 상향경사면(232)에서 부딪혀 전방 쪽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도광부(133)에 의한 조명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 때, 상향경사면(232)에 반사면(232a)을 형성시키면 이러한 효과가 더욱 발현되어 바람직하다.
상항경사면(232)에 형성되는 반사면(232a)은 반사판(132)의 반사면(132a)과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공정편의상 이들 반사면(132a, 232a)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거울(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와의 차이점은 반사판(132)의 측면이 아닌 윗면 가장자리에 상향경사면(232)을 형성함으로써 반사판(132)의 윗면에 형성되는 반사면(132a)을 그대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화장품 케이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의 조명거울(130)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케이스(101)는 본체(110)와 덮개(120)로 구성되며, 덮개(12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본체(110)에 힌지 결합된다. 본체(110)에는 화장품(111)이 담기고, 덮개(1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130)이 설치된다.
화장품 케이스(101)를 소지하고 다닐 때에 조명거울(130)이 흔들림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잘 유지하도록 조명거울(130)은 덮개(120)의 오목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명거울(130)이 오목수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명거울(130)의 테두리를 누르기 위한 고정틀(121)이 오목수용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조명거울(130)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조명거울(130)에 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거울(130)은 반사판(132) 상에 상부층으로서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도광부(133)의 가장자리에는 FPC-LED(134)가 설치된다.
FPC-LED(134)에서 방출되는 광은 도광부(133)를 통하여 옆으로 넓게 퍼진 후 위 또는 아래쪽으로 면 발광되는데,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것은 반사판(132)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될 것이므로 결국에는 모든 빛이 확산시트(135)가 있는 위쪽을 향하게 된다.
도광부(133)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crylate)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반사판(132)은 스테인레스강(SUS), 황동(brass), 알루미늄(Al), PET 등의 모재 위에 은(Silver), 산화티타늄(TiO2) 등과 같은 고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반사면을 이루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도광부(133)에 의해 산란된 빛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면 도광부(133)의 패턴이 그대로 비치게 되므로 도광부(133)의 패턴이 상쇄되도록 도광부(133) 상에 확산시트(13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산시트(135)로는 폴리머 재료를 기본으로 하고 그 양면에 수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확산 안료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확산시트(135)를 지나면 광휘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 광을 다시 집중시켜 광 휘도를 올리기 위하여 확산시트(135) 상에 프리즘시트(136, 13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시트(136, 137)으로는 띠 모양(strip type)의 마이크로 프리즘이 PET 등과 같은 모재(base materials) 상에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될 것인데, 띠 모양이 서로 직교 교차하도록 참조번호 136, 137로 표시한 바와 같이 두 장을 한 세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132),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의 고정을 위하여 프레임(131)이 설치된다. 맨 위에 있는 프리즘시트(137)의 테두리 상에는 양면테이프(138)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덮개(120)의 고정틀(121)에 조명거울(130)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사판(132)이 거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반사판(132)의 위에 있는 상부층 즉,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에는 반사판(132)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A)가 형성된다.
개구부(A)는 반사판(132) 상에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를 적층시킨 후에 반사판(132)은 놔두고 그 위에 있는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를 일괄 타발하여 형성시켜도 좋고, 먼저 도광부(133), 확산시트(135), 및 프리즘시트(136, 137)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일괄 타발시킨 후에 이를 반사판(132) 상에 적층시켜도 좋다.
물기, 파우더, 먼지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조명거울(130)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한 보호시트(미도시)가 프리즘시트(137) 상에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양면테이프(138)는 상기 보호시트 상에 설치될 것이며, 상기 보호시트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3에 따르면, 조명효과의 향상을 위해 도광부(133) 위에 확산시트(135), 프리즘시트(136, 137)가 적층되는데, 이는 비단 제2실시예(도 4)의 구조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도광부(133)와 반사판(132)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도광부(133)가 반사판(132)을 둘러싸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지만, 도 14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도광부(133)와 반사판(132)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부(133)가 조명역할을 하고, 반사판(132)이 직접 거울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광부(133)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수의 LED 광원으로도 충분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콤팩트 화장품 케이스는 소지하기 편하도록 크기가 한정되어 공간 제약이 심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와 같이 작은 수의 LED만 설치해도 된다는 점은 매우 유용한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의 소모량이 적어 배터리 교체주기가 길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점도 크다.
[면발광 램프]
도 15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거울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면발광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의 구조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발광 램프(2)는, 인쇄회로기판(206), 복수개의 LED 광원(200), 실리콘 커버(300) 및 확산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은, 일면을 LED 광원의 실장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장되는 LED 광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회로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은, FR4 기판상에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LED 광원 및 기타 소자의 실장을 위한 단자를 노출시킨 후 상기 회로패턴을 레지스트막으로 덮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은 기판(201), 인쇄회로층(202) 및 레지스터층(20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은, FR4 기판(201)상에 회로패턴(202)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패턴(202) 중 LED 실장영역을 제외한 회로패턴을 덮는 레지스터층(20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실장영역에는 LED 광원(200)이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전적인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는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는 리플렉터(20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에서 상기 LED 광원(200)이 실장되지 않은 영역에 리플렉터(204)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켜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의 상기 레지스터층(203) 상부에는 리플렉터(20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플렉터(204)는 알루미늄(Al)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의 표면에 알루미늄층을 형성함으로서,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의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플렉터(204)에는 반사패턴(205)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205)은,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Ni/Ag 로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반사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패턴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205)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요철형태이므로 상기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205)은 일측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반사패턴의 단면이 일측방향의 기울기가 다른측 방향의 기울기보다 큰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반사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실장용 인쇄회로기판(206)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6) 상에 마련된 리플렉터층(204) 및 반사패턴(205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사패턴(205a)이, 상기 도 16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반사패턴을 불규칙한 요철구조로 형성한 점이다.
여기서, 불규칙한 요철구조라는 것은, 상기 도 16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패턴이 형성된 형태가 아닌 형태일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요철의 형태가 불규칙한 것뿐만 아니라 요철의 배열이 불규칙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한 반사패턴은 불연속적인 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팅 방식, 증착, 프린팅이나 증착 후 그라인딩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LED 광원(200)은, LED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LED 광원은 사이드뷰(sideview) 타입의 LED 패키지일 수 있다. 사이드뷰 타입의 LED 패키지를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발광 램프의 발광면에 점광원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뷰 타입의 LED 패키지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LED 광원(200)은 렌즈타입, COB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LED 광원(200)은 인쇄회로기판(206) 상에 실장되는 LED 소자(210) 및 상기 LED 소자(210)를 덮는 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소자(210)는 LED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OB(Chip On Board) 형태의 LED 램프를 만드는 경우에는 기판상에 직접 LED 칩을 실장하고 이를 렌즈로 덮는 형태이므로 이 경우에는 LED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내부에 백색광 변환을 위한 형광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LED 칩은 상기 기판에 와이어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에 의해 실장되고, 상기 LED 칩을 덮는 렌즈는 인젝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소자(210)는 LED 칩이 하우징 내에 실장되어 있는 LED 패키지일 수도 있다. 상기 LED 패키지는 내부에 LED 칩이 와이어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으로 실장되고, 상기 LED 칩을 덮는 몰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패키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키지 내부의 몰딩부에 백색광 변환을 위한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220)는 상면의 중심부가 오목(221)하고 그 주변부가 볼록(222)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렌즈의 형태는 중심부가 볼록한 형태이지만, 도 18의 (a)의 사시도 및 도 18의 (b)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220)는 중심부가 오목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부가 점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하부에는 LED 소자(210)가 위치한다. LED 소자의 특성상 발광 방향에 따른 광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외부에서의 광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렌즈의 형태를 발광특성에 맞게 바꾸어 줌으로서 외부에서의 광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소자의 직상부의 렌즈두께는 얇게 하고 측상부의 렌즈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220)의 표면에는 미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패턴은 렌즈의 표면에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렌즈의 표면이 평평함으로서 생기는 전반사에 의해 렌즈 내부로 반사되는 광을 렌즈 외부로 추출할 수 있어 렌즈 표면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분산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패턴을 형상 및 배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200)에는 렌즈(220)의 내부에 광확산제(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제(230)는 상기 LED 소자(210)로부터 방출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제(230)로는 산화티탄, 티탄산밸륨,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아연, 금속편 또는 형광체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확산제(230)와 형광체(240)가 모두 포함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실시형태에 따라 광확산제(230)만을 사용하거나 형광체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0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광원(200)에 있어서 상기 렌즈(220) 표면에 마련된 미세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20) 표면에 형성된 미세패턴(223)은 렌즈(220)의 중심부(221)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몇 개의 동심원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품에서는 보다 촘촘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20) 표면에 형성된 미세패턴(223)은 렌즈(220)의 중심부(221)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몇 개의 선의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품에서는 보다 촘촘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동심원 형태 및 방사상 형태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200a)의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200a)에는, 인쇄회로기판(206)상에 LED 소자(210)가 실장되고, 상기 LED 소자를 덮는 렌즈(220a)가 형성된다.
상기 LED 소자(210)는 LED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OB(Chip On Board) 형태의 LED 램프를 만드는 경우에는 기판상에 직접 LED 칩을 실장하고 이를 렌즈로 덮는 형태이므로 이 경우에는 LED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렌즈의 내부에 백색광 변환을 위한 형광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LED 칩은 상기 기판에 와이어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에 의해 실장되고, 상기 LED 칩을 덮는 렌즈는 인젝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소자(210)는 LED 칩이 하우징내에 실장되어 있는 LED 패키지일 수도 있다. 상기 LED 패키지는 내부에 LED 칩이 와이어본딩 또는 플립칩 본딩으로 실장되고, 상기 LED 칩을 덮는 몰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패키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키지 내부의 몰딩부에 백색광 변환을 위한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220a)는 상면의 중심부가 오목하고 그 주변부가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는 도 18의 실시형태와 달리 중심부(221a)가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220a)는 두 개의 반구 형태 렌즈(222a, 222b)가 일부가 중첩되도록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하부에는 LED 소자(210)가 위치한다. LED 소자의 특성상 발광 방향에 따른 광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외부에서의 광균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렌즈의 형태를 발광특성에 맞게 바꾸어 줌으로서 외부에서의 광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소자의 직상부의 렌즈두께는 얇게 하고 측상부의 렌즈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의 렌즈(220a)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일부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렌즈에 의해 LED 소자(210)에서 방출된 광의 산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산란되는 각도가 렌즈의 폭방향을 따라 산란되는 각도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렌즈(220a)의 형태는 면광원 램프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부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서 광의 방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LED 광원(200a)에 형성된 미세패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미세패턴은 렌즈의 표면에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렌즈 표면에 미세패턴을 형성함으로서, 미세패턴이 없는 경우에 비해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의 (a)는 미세패턴(223a)이 렌즈(220a)의 중심부 영역에만 형성된 형태이다. 렌즈(220a)의 중심부 하부에는 LED 소자(210)가 위치하므로 이곳에서 광이 가장 강하게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LED 소자(210)가 위치한 영역의 렌즈부분인 렌즈의 중심부에 미세패턴(223a)을 형성함으로써 광의 세기(intensity) 및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의 (b)는 미세패턴(223a)이 렌즈 표면 전체에 형성된 형태이다. 렌즈의 상부뿐만 아니라 측부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미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미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렌즈(220a)에서 방출되는 광의 세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패턴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광원(200, 200a)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예이다.
도 23의 (a)는 도 18의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의 표면에 미세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광출력을 측정한 것이고, 도 23의 (b)는 동일한 형태의 렌즈에서 표면에 미세패턴을 형성한 상태에서 광출력을 측정한 것이다. 도 23의 (a) 및 (b)를 비교하면 LED 소자에서 나오는 광출력(PKG X, PKG Y)은 각각 동일하지만, 렌즈를 통해 방출되는 광출력(lens X, lens Y)은 미세패턴을 형성한 경우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향각은 줄어들고 광의 균일도는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커버(3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6) 및 LED 광원(200, 200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광원(200, 200a)을 덮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 커버(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지며 LED 광원(200, 200a)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6) 상에 실리콘 커버(300)를 형성하는 공정은, 지그(Jig)에 인쇄회로기판을 넣고, 액상의 실리콘을 부어 일정한 틀에 맞게 경화시키는 공정을 따를 수 있다. 이처럼 액상의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면발광 램프(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206)은 실제 형성하고자 하는 면광원 램프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실리콘 커버(300)도 인쇄회로 기판의 형태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리콘 커버(300)가 제조되는 공정상 액상의 실리콘을 부어서 제조하므로, 면광원 램프(2)의 발광면 형태가 어떠한 형태이든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커버(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의 투과율은 좋으나, 내부의 LED 광원 등이 보이므로 시각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반투명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LED 광원 등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커버(300)의 재질은 면발광 램프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즉, 큰 광도를 요구하지 않는 장식용 또는 지시용 램프의 경우에는 반투명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재(400)는, 상기 실리콘 커버(300) 내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확산재(400)는, 상기 실리콘 커버(300) 내에서 진행하는 광을 분산시켜 상기 면발광 램프(2)의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조 공정상으로는, 액상인 실리콘에 상기 확산재(400)를 섞고, 확산재가 섞인 액상의 실리콘을 지그(JIG)에 부어 경화시키는 공정을 따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리콘 커버(300)는 몰더블 실리콘(moldable Silicone)을 사용하였고, 이에 혼합되는 확산재(400)는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몰더블 실리콘과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80:20 의 비율로 섞어 액상의 실리콘을 형성하고 이를 경화시켜 상기 실리콘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실리콘 커버(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리콘 커버(300)에 분산되어 있는 확산재(400)를 통해 분산되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실리콘 커버(300)의 전체 발광면에서 발광하는 형태의 면발광 램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따른 면발광 램프(2)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의 (a)는 인쇄회로기판(206)에 LED 광원(200)을 실장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LED 광원(200)은 사이드뷰(Side view)형태의 LED 패키지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 기판(206)에서 LED광원이 실장되지 않은 부분에는 리플렉터(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6)로는 플렉서블 기판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4의 (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을 지그(207)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지그(207)는, 액상의 실리콘을 부어 경화시 원하는 형태의 실리콘 커버가 형성되도록 액상의 실리콘의 외형을 잡아줄 수 있다.
도 24의 (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6)이 위치된 지그(207)에 확산재(400)가 포함된 액상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상기 액상의 실리콘이 인쇄회로기판(206) 및 LED 광원(200)을 덮도록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도포되는 실리콘의 높이는 LED 광원(200)의 실장높이보다는 높아야 한다.
도 24의 (d)는 상기 도포된 액상의 실리콘을 경화시켜 실리콘 커버(3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실리콘이 경화되면 지그를 제거하여 면발광 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면발광 램프(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LED 광원(200)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광원(200a)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a)는 LED 광원(200, 200a), 투명 튜브(500), 투명 튜브(500)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600) 내에는 기포(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발광 램프(2a)의 LED 광원은,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LED 광원(200, 200a)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튜브(500)에서 '투명'이라는 용어는 완전 투명한 재질뿐만 아니라 빛의 투과가 가능한 반투명 재질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투명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면광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튜브는 휘어짐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유연한 재질의 투명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면광원을 제조할 수 있고,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투명 튜브(500)의 양단에는 LED 광원(200, 200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 광원은 인쇄회로기판(206)상에 배치된 LED일 수도 있고, 상기 튜브의 양단 개구부를 상기 광원의 둘레에 맞게 제조하여 상기 튜브(500)의 양단이 LED 광원에 의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튜브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LED 광원(200, 200a)을 배치하였으나, 튜브(500)의 형태 및 LED 램프의 용도에 따라 튜브(500)의 일단에만 광원이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LED 광원이 배열된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튜브(500) 내에는 액체(600)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액체(600)에는 기포(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600) 내에 형성된 기포(610)는, 상기 LED 광원(200,200a)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 또는 산란시켜 투명 튜브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H2O)에 탄산수소 나트륨(NaHCO3)을 섞어 기포가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외에 기포가 형성된 액체는, 기포가 발생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600) 내부의 기포(610)의 밀도는 제조되는 면발광 램프(2a)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튜브 내의 액체의 약 30% 정도를 기포가 차지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600) 내에 형성된 기포(610)는, 투명 튜브(500) 양단에 배치된 LED 광원(200, 200a)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반사시키거나 산란시켜 투명 튜브(500)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처럼, 투명 튜브(500)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이용하여 면광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휘어짐이 가능한 투명 튜브(500)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면광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 2 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b)는 LED 광원(200, 200a), 실리콘 커버(300a), 확산재(400), 복수 개의 투명 튜브(500) 및 투명 튜브(500) 각각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600) 내에는 기포(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발광 램프(2b)의 LED 광원은,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LED 광원(200, 200a)일 수 있다. 그리고, LED 광원(200, 200a)은 상기 투명 튜브(50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LED 광원(200, 200a)은 상기 투명 튜브(50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실리콘 커버(300a)는 복수개의 투명 튜브(5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실리콘 커버(300a)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지며,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기포(610)에 의하여 반사 또는 산란된 후 투명 튜브(500)를 통과한다. 그리고, 투명 튜브(500)를 통과한 광은 실리콘 커버(300a) 내에 분산된 확산재(400)에 의하여 분산된다.
그에 따라, 면발광 램프(2b)의 광추출 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한편,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커버(300a)의 일면에는 리플렉터(204)가 더 설치되어 상기 LED 광원(200, 200a)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반사시켜 광추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리플렉터(204)와 상기 실리콘 커버(300a) 사이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반사패턴(205)이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술 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 2a, 2b)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램프(2c)는 LED 광원(200, 200a), 실리콘 커버(300a), 확산재(400), 및 복수 개의 플라스틱 광섬유(700)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광섬유(700)의 일영역은 광이 인출될 수 있도록 연마제(미도시)에 의하여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광섬유(700)는 표면 처리된 복수 개의 표면 처리 영역(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면발광 램프(2c)의 LED 광원은,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LED 광원(200, 200a)일 수 있다. 그리고, LED 광원(200, 200a)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70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LED 광원(200, 200a)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70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실리콘 커버(300a)는 복수 개의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7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실리콘 커버(300a)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지며, LED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플라스틱 광섬유(700)의 표면 처리 영역(D)을 통해 조사된 후 실리콘 커버(300a) 내에 분산된 확산재(400)에 의하여 분산된다.
그에 따라, 면발광 램프(2c)의 광추출 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면발광 램프(2c)는 표면 처리 영역(D)에 의하여 방향성을 갖게 되는바, 확산재(400)는 표면 처리 영역(D)을 통해 조사되는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발광 램프(2c)는 표면 처리 영역(D)에 의하여 방향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리플렉터(204)가 필요치 않으며, 확산재(400) 또한 표면 처리 영역(D)을 통해 조사되는 광 경로상에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면발광램프를 화장품 케이스에 사용하면, 적은 수의 LED를 가지고도 충분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 케이스에 따라 형태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1, 101: 화장품 케이스 10, 110: 본체
11, 111: 화장품 20, 120: 덮개
21: 거울 22: 투명몰딩
30: LED 백라이트 유닛 121: 고정틀
130: 조명거울 131: 프레임
132: 반사판 133: 도광판
134: FPC-LED 135: 확산시트
136, 137: 프리즘시트 138: 양면테이프
139: 빛 차단부 239: 빛 차단 돌출부

Claims (19)

  1. 윗면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 광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반사면이 거울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반사면 쪽을 향하는 상기 도광부의 안쪽 측면에 빛 차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도광부와 상기 반사면의 경계부에 빛 차단 도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윗면에 비스듬하게 위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상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밑면에 비스듬하게 아래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이 상기 상향경사면에 걸터앉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8.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 상에 확산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이 가려지도록 상기 확산시트 상에 투명보호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거울.
  10. 화장품이 담기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제1항의 조명거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반사면 쪽을 향하는 상기 도광부의 안쪽 측면에 빛 차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서 발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 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상기 도광부와 상기 반사면의 경계부에 빛 차단 돌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윗면에 비스듬하게 위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상향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밑면에 비스듬하게 아래를 바라보도록 경사지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경사면이 상기 상향경사면에 걸터앉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가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의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7.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도광부 상에 확산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 의해 노출되는 반사면이 가려지도록 상기 확산시트 상에 투명보호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오목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명거울은 상기 반사면이 상기 덮개의 외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오목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수용부의 입구에는 상기 조명거울이 상기 오목수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거울의 테두리를 누르기 위한 고정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160132535A 2016-10-13 2016-10-13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17002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35A KR20170020292A (ko) 2016-10-13 2016-10-13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35A KR20170020292A (ko) 2016-10-13 2016-10-13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665A Division KR20170020026A (ko) 2015-08-13 2015-08-13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92A true KR20170020292A (ko) 2017-02-22

Family

ID=5831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535A KR20170020292A (ko) 2016-10-13 2016-10-13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2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02B1 (ko) 2010-07-16 2012-08-28 금호전기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02B1 (ko) 2010-07-16 2012-08-28 금호전기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4625B (zh) 导光板、面光源装置、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JP4729028B2 (ja) バックライト付きディスプレイの光源
JP6987762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用ランプ
JP2013045651A (ja) 照明器具
JP2010003597A (ja) Led灯具ユニット
KR102476140B1 (ko) 광학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WO2017200245A2 (ko) 장식렌즈 및 이를 구비한 직하형 led 면조명 장치
TWI553272B (zh) 側入式背光模組
JP2012169507A (ja) Led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044330A (ja) 発光装置
KR10199876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70020292A (ko)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170020026A (ko) 조명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130108019A (ko) 광 확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KR102172685B1 (ko) 조명 장치
KR20200070643A (ko) Led백라이트를 이용하는 조명거울을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101933571B1 (ko)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
KR20160127906A (ko) 면발광램프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4511062B2 (ja) 平面照明装置
KR20190076935A (ko) 발광 소자 패키지
JP7157351B2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90056485A (ko) 조명 액자
TWI827475B (zh) 具有發光功能之電子裝置
KR20180118340A (ko) 조명장치
JP5535688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