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75A - 전복 양식장 - Google Patents

전복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75A
KR20170020175A KR1020150115044A KR20150115044A KR20170020175A KR 20170020175 A KR20170020175 A KR 20170020175A KR 1020150115044 A KR1020150115044 A KR 1020150115044A KR 20150115044 A KR20150115044 A KR 20150115044A KR 20170020175 A KR20170020175 A KR 2017002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extending
rod
abalone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611B1 (ko
Inventor
최영태
Original Assignee
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태 filed Critical 최영태
Priority to KR102015011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6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조체와,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부유구조체에 현가되어 해수면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복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식공간에 투입된 상기 전복의 먹이가 해류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먹이를 거치할 수 있는 먹이걸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은 상호 인접된 케이지들이 다른 수심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케이지들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여 전복이 생존율이 높아지고, 먹이걸이유닛에 먹이가 거치되어 해수에 의해 먹이가 일측에 집중 분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수의 전복이 균일하게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복 양식장{Device for rearing abalone}
본 발명은 전복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고, 케이지 내의 전복들에게 균일하게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전복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삼면이 바다와 접해있어 어업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산물의 소비 또한 크게 늚에 따라 배를 타고 나가 고기를 잡는 어업형태에서 길러서(양식) 공급하는 형태로 크게 전환되어 가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양식산업 중에 패류인 전복도 포함된다.
전복을 양식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전복 씨알(치폐)을 바다에 방사하여 수년이 지난 뒤에 수중작업을 통해 성장한 전복을 수확하거나 또는 콘크리트형태로 된 전복 양식집을 바다속에 설치하여 이 곳을 통하여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이 선호되었으나, 전자나 후자 모두 전복을 대량으로 양식한다거나 집약적으로 양식 및 수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바닷속에 전복이 방치되는 형태이므로 양식과정에서 천적에 의해 전복의 사라지고, 전복이 펼쳐져 양식되는 상태이기에 수확이 힘듦은 물론, 고른 생산성을 기대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전복을 양식하는 데 있어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2901호에 개시된 전복양식장치와 같이 전복을 감싸도록 그물망이 설치된 양식장이 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그물망은 중량이 작으며, 설치가 용이한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복 양식장은 다수의 케이지가 동일한 수심에 배열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후방에 위치한 케이지는 전방에 위치한 케이지에 의해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전복이 패사율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전복양식장 케이지는 내부로 먹이를 투입시 해수에 의해 먹이가 케이지 일측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케이지 내의 전복들에 균일하게 먹이가 공급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인접된 케이지들이 다른 수심에 배열되며, 케이지 내부에 투입된 먹이가 일측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먹이를 거치할 수 있는 먹이걸이유닛이 마련된 전복양식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은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조체와,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부유구조체에 현가되어 해수면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복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식공간에 투입된 상기 전복의 먹이가 해류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먹이를 거치할 수 있는 먹이걸이유닛을 구비한다.
상호 인접된 상기 케이지들은 각 상기 서식공간으로 해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부유구조체에 현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유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로프와, 상기 메인로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어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고정부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은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의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파판이 마련된 파판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파판들 사이의 상기 결합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이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봉과, 상기 파판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연장봉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봉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봉을 구비한다.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연장봉에 대해 상기 거치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거치봉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제2중공이 마련된 지지본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메인관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가 형성된 제1서브관과, 상기 제1서브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메인관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메인관에 고정되는 제1고정봉을 구비한다.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서브본체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가 형성된 제2서브관과, 상기 제2서브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서브본체에 고정되는 제2고정봉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케이지의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먹이걸이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먹이걸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걸이부재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케이지의 천장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은 상호 인접된 케이지들이 다른 수심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케이지들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여 전복이 생존율이 높아지고, 먹이걸이유닛에 먹이가 거치되어 해수에 의해 먹이가 일측에 집중 분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수의 전복이 균일하게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양식장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양식장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양식장의 케이지 및 먹이걸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양식장의 먹이걸이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걸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먹이걸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걸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구조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복 양식장(100)은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조체(200)와, 연결유닛(336)에 의해 상기 부유구조체(200)에 현가되어 해수면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복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케이지(300)와, 상기 케이지(3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식공간에 투입된 상기 전복의 먹이가 해류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먹이를 거치할 수 있는 먹이걸이유닛(400)을 구비한다.
부유구조체(200)는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1연장부재(210)와,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2연장부재(220)가 상호 격자구조로 고정되며,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연장부재(210,220)의 하면에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부구(230)가 설치되어 있다.
부유구조체(200)는 제1 및 제2연장부재(210,220)들이 격자구조를 이루므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작업공간부(240)가 마련되고, 상기 작업공간부(24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부유구조체(200)는 작업공간부(24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연장판(210)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가 형성되고, 작업공간부(240)의 전후좌우 가장자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구조체(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메인로프(251)와, 상기 메인로프(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며,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고정부구(25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메인로프(251)들은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케이지(300)는 연결와이어(337)에 의해 고정부구(252)들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면으로부터 동일 수면에 위치하고, 메인로프(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케이지(300)들은 결합로프(253)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구조체(200)는 해안으로부터 먼 바다에 설치되는 양식장에 적용될 수 있다.
케이지(300)는 내부에 전복과 같은 패류가 서식하는 서식공간(311)이 마련된 메인하우징(310)과, 서식공간(31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부재(320)와, 메인하우징(310)의 하면 및 사방면에 설치되는 메인그물패널(330)을 구비한다.
메인하우징(310)은 사각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메인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전복과 같이 패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간(311)이 마련되며, 상면을 통해 서식공간(311)으로 패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하우징(310)은 서식공간(311) 내부로 용이하게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 및 사방면에 서식공간(311)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하우징(310)의 하면 및 사방면이 개방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개방된 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면 또는 사방면 중 어느 한면 또는 두면일 수도 있다.
개방면이 형성된 메인하우징(310)의 하면 및 사방면의 가장자리 각 모퉁이에는 후술되는 메인그물패널(33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판(미도시)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그물패널(330)에 접하는 결합판의 외측면에는 메인하우징(310)에 메인그물패널(330)의 설치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메인그물패널(3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인하우징(310)은 해수의 염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식성이 우수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재(320)는 메인하우징(3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서식공간(311)을 폐쇄할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덮개부재(320)는 일측이 메인하우징(310)에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재(320)의 타측에는 메인하우징(3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잠금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덮개부재(320)의 타측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잠금판과, 상기 잠금판에 대향되는 위치의 메인하우징(310)에는 상기 잠금판의 관통구에 삽입되며, 삽입구(343)가 형성된 잠금고리와, 잠금판의 관통구에 삽입된 걸림고리가 잠금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구(343)에 삽입되는 잠금걸쇠를 구비한다.
덮개부재(320)는 메인하우징(310)과 같이 해수의 염도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내식성이 있고, 소정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덮개부재(320)는 서식공간(311)에 양식되는 전복에게 해조류의 먹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겅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부재(3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해수가 서식공간(311)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그물패널(330)은 메인하우징(310)에 형성된 개방면을 덮을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하면 및 사방면에 각각 설치되며, 서식공간(311)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메인그물패널(330)은 메인하우징(310)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전방그물판(331)과, 메인하우징(310)의 후방면에 설치되는 후방그물판(332)과, 메인하우징(310)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그물판(333)과, 메인하우징(3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그물판(334)과, 메인하우징(310)의 하면에 설치되는 하방그물판(미도시)을 구비한다.
전방그물판(331) 및 후방그물판(33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메인하우징(310)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덮을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그물판(331) 및 후방그물판(332)의 전방면 가장자리 모퉁이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결합판의 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좌측그물판(333) 및 우측그물판(334)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메인하우징(3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그물판(333) 및 우측그물판(334)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메인하우징(3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모퉁이에 볼트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방그물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메인하우징(31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310)의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형성된다. 하방그물판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결합판의 체결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면 가장자리 모퉁이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그물판(331), 후방그물판(332), 좌측그물판(333), 우측그물판(334) 및 하방그물판은 해수가 서식공간(31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해수의 흐름에 의해 파손되거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질소재인 스테인레스 스틸,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탄소섬유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지(300)는 상단부 가장자리에 연결유닛(336)의 연결와이어(337)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고리(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고리(314)는 케이지(300)의 전후단부 좌우측, 전단부 중앙부, 후단부 중앙부 및 좌우측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지(300)는 전후 좌우측면에 부우구조체(200)의 고정고리에 걸릴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훅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훅은 부유구조체(200)의 고정고리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되, 케이지(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작업자는 케이지(300)를 상측으로 견인한 다음, 걸림훅을 상기 고정고리에 결합시켜 케이지(300)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부재(320)를 분리하여 케이지(300) 내부에 전복 먹이를 투입하거나 케이지(300) 내부의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유닛(336)은 일단이 결합고리(314)에 고정되며, 타단은 부유구조체(200)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와이어(337)를 구비한다. 각 케이지(300)는 다수의 연결와이어(337)에 의해 부유구조체(200)에 의해 현가되어 소정의 수심에 위치한다. 이때, 상호 인접된 케이지(3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서식공간으로 해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부유구조체(200)에 현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류는 케이지(300)에 충돌시 일부는 케이지(300) 내부를 통과하고, 나머지는 케이지(300) 주위를 선회하여 후방으로 유동한다. 케이지(300)의 후방측에는 와류가 발생되어 해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다. 이때, 종래와 같이 상호 인접된 케이지(300)들이 동일한 수심에 배열될 경우, 전방에 위치한 케이지(300)에 의해 발생된 와류에 의해 후방에 위치한 케이지(300)로의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고, 전방에 위치한 케이지(300)를 통과한 해수가 후방에 위치한 케이지(300)로 그대로 유입되므로 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량도 낮을 뿐 아니라 다수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전복의 생존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복 양식장(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케이지(300)들이 상호 상이한 수심에 배열되므로 케이지(300)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고, 해수 내의 용존산소율이 높아 전복의 생존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300) 내부에는 전복이 부착되어 양식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파판 조립체(340)가 설치된다. 케이지(300) 내부에 다수의 쉘타(350)를 설치하고, 쉘타(350)의 상면에 상기 파판 조립체(340)를 고정시킨다.
상기 파판 조립체(34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된 다수의 결합봉(342)과, 상기 결합봉(342)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파판(341)을 구비한다.
상기 파판(341)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판(341)은 네 모서리에 결합봉(342)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삽입구(3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파판(341)들은 삽입구(343)에 결합봉(342)이 삽입되어 결합봉(34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열된다.
이때, 파판(341)들 사이에는 상호 인접된 파판(341)들을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에 상기 결합봉(342)이 관통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스페이서는 파판(341)의 삽입구(343)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봉(34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환봉형의 나사부분(344)과, 나사부분(344)의 일단부에 파판(341)의 삽입구(343)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부분(미도시)을 구비한다. 파판(341)들에 관통되게 결합된 나사부분(344)의 단부에는 체결너트(345)가 나사결합되어 파판(341)들을 결합봉(342)에 고정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파판 조립체(340)가 쉘터의 상면에 고정시킨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파판 조립체(34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지(300)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먹이 걸이유닛(400)은 상기 파판(341)들 사이의 상기 결합봉(3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3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411)이 형성된 메인관(410)과, 상기 메인관(4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봉(420)과, 상기 파판(341)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연장봉(420)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봉(42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봉(430)과, 상기 거치봉(43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봉(430)을 지지하는 보조지지부(440)를 구비한다.
메인관(4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중공(411)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메인관(410)은 파판(341)의 삽입구(343)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파판(341)의 상단 좌측에 결합되는 결합봉(3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봉(420)은 메인관(410)의 상측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은 파판(34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거치봉(430)은 연장봉(42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거치봉(4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에 먹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먹이를 간섭하기 위해 다수의 간섭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는 거치봉(43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부(440)는 상기 연장봉(420)에 대해 상기 거치봉(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거치봉(430)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봉(441)과, 상기 지지봉(441)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봉(342)이 관통될 수 제2중공(447)이 마련된 지지본체(442)와, 상기 메인관(410)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34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342)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448)가 형성된 제1서브관(443)과, 상기 제1서브관(44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메인관(4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메인관(4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봉(444)과, 상기 서브본체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34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342)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449)가 형성된 제2서브관(445)과, 상기 제2서브관(44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서브본체에 고정되는 제2고정봉(446)을 구비한다.
지지봉(441)은 연장봉(420)에 대해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거치봉(430)에 상단이 고정되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봉(441)은 연장봉(420)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파판(341) 상단에 형성된 삽입구(343)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로 상기 연장봉(42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본체(442)는 지지봉(441)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제2중공(447)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본체(442)은 파판(341)의 삽입구(343)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파판(341)의 상단 우측에 결합되는 결합봉(3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서브관(443)은 파판(341)의 하단 좌측에 결합되는 결합봉(342)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448)가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서브관(443)은 파판(341)의 삽입구(343)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봉(44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은 제1서브관(443)에 고정되고, 상단은 메인관(410)에 고정된다.
제2서브관(445)은 파판(341)의 하단 우측에 결합되는 결합봉(342)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449)가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서브관(445)은 파판(341)의 삽입구(343)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봉(44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은 제2서브관(445)에 고정되고, 상단은 지지본체(442)에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지지부(440)는 파판(341)에 결합된 결합봉(342)들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봉(430)이 회전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거치봉(430)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거치봉(43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지지부(440)의 지지본체(442)는 메인관(410)이 설치된 결합봉(342)에 설치되고, 제2서브관(445)은 제1서브관(443)이 설치된 결합봉(3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지지부(440)는 제1서브관(443), 제1고정봉(444), 제2서브관(445) 및 제2고정봉(446)을 제외하고 지지봉(441) 및 지지본체(442)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먹이걸이유닛(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봉(430)을 제외하고, 메인관(410), 연장봉(420) 및 보조지지부(4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양식장(100)은 먹이걸이유닛(400)에 먹이가 거치되어 해수에 의해 먹이가 케이지(300) 후방에 집중 분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수의 전복이 균일하게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걸이유닛(5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먹이걸이유닛(500)은 상기 케이지(300)의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고정부재(510)와, 상기 제1고정부재(51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510)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먹이걸이부재(520)와, 상기 제1고정부재(510)에 대해 상기 먹이걸이부재(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걸이부재(520)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케이지(300)의 천장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530)를 구비한다.
제1고정부재(5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환봉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1플랜지부재(5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511)는 제1고정부재(510)의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결합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플랜지부재(511)의 제1결합구에 관통된 고정볼트는 케이지(300)의 천장면에 볼팅되어 제1고정부재(510)를 케이지(300)에 고정시킨다.
먹이걸이부재(520)는 제1고정부재(510)의 하단에 고정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먹이걸이부재(5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에 먹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먹이를 간섭하기 위해 다수의 간섭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는 거치봉(430)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먹이걸이부재(52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먹이걸이부재(52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2고정부재(53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이 먹이걸이부재(520)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제2플랜지부재(5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재(531)는 제2고정부재(530)의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결합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재(531)의 제2결합구에 관통된 고정볼트는 케이지(300)의 천장면에 볼팅되어 제2고정부재(530)를 케이지(300)에 고정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먹이걸이유닛(500)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케이지(300)의 천장면에 고정되어 케이지(300) 내부로 투입된 먹이를 거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복양식장
200: 부유구조체
230: 부구
300: 케이지
310: 메인하우징
320: 덮개부재
330: 메인그물패널
340: 파판조립체
341: 파판
342: 결합봉
350: 쉘타
400: 먹이걸이유닛
410: 메인관
420: 연장봉
430: 거치봉
440: 보조지지부
441: 지지봉
442: 지지본체
443: 제1서브관
444: 제1고정봉
445: 제2서브관
446: 제2고정봉

Claims (9)

  1.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구조체와;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부유구조체에 현가되어 해수면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복이 서식하는 서식공간이 마련된 다수의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식공간에 투입된 상기 전복의 먹이가 해류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먹이를 거치할 수 있는 먹이걸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된 상기 케이지들은 각 상기 서식공간으로 해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부유구조체에 현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로프와, 상기 메인로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어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고정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의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파판이 마련된 파판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파판 조립체에 결합되며, 상기 먹이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파판 조립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파판들 사이의 상기 결합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이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봉과,
    상기 파판보다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연장봉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봉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연장봉에 대해 상기 거치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거치봉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제2중공이 마련된 지지본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메인관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가 형성된 제1서브관과,
    상기 제1서브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메인관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메인관에 고정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서브본체에 대해 하측에 위치한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가 형성된 제2서브관과,
    상기 제2서브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해류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서브본체에 고정되는 제2고정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케이지의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복의 먹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먹이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걸이유닛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먹이걸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걸이부재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케이지의 천장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장.
KR1020150115044A 2015-08-14 2015-08-14 전복 양식장 KR10184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44A KR101847611B1 (ko) 2015-08-14 2015-08-14 전복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44A KR101847611B1 (ko) 2015-08-14 2015-08-14 전복 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75A true KR20170020175A (ko) 2017-02-22
KR101847611B1 KR101847611B1 (ko) 2018-04-10

Family

ID=583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44A KR101847611B1 (ko) 2015-08-14 2015-08-14 전복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6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852A (zh) * 2020-07-15 2020-08-28 大连壹海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养殖收货装置
CN114342846A (zh) * 2022-01-22 2022-04-15 张利英 一种高效海鲜鲍鱼育苗方法
KR20230009145A (ko) * 2021-07-08 2023-0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세플라스틱 발생 방지를 위한 친환경 굴 패각 부표 및 제작 방법
KR20230012156A (ko) * 2021-07-15 2023-01-26 오상현 종패 밀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230065396A (ko) 2021-11-04 2023-05-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장 먹이 섭이량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730Y1 (ko) * 2000-04-26 2000-11-15 박진원 전복 양식기
KR101278858B1 (ko) 2012-04-03 2013-07-01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외해 수중 침하식 밀폐형 가두리 양식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852A (zh) * 2020-07-15 2020-08-28 大连壹海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养殖收货装置
KR20230009145A (ko) * 2021-07-08 2023-0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세플라스틱 발생 방지를 위한 친환경 굴 패각 부표 및 제작 방법
KR20230012156A (ko) * 2021-07-15 2023-01-26 오상현 종패 밀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230065396A (ko) 2021-11-04 2023-05-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장 먹이 섭이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4342846A (zh) * 2022-01-22 2022-04-15 张利英 一种高效海鲜鲍鱼育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611B1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611B1 (ko) 전복 양식장
US9681645B2 (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KR101278858B1 (ko) 외해 수중 침하식 밀폐형 가두리 양식장
KR101728120B1 (ko) 해파리 포획장치
JPS62259527A (ja) 大ハマグリ等の貝類の養殖方法及び装置
AU20082015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apture of larvae and the sea-culture of sea urchins
KR102306835B1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KR101065622B1 (ko) 해삼종묘 방류장치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KR20130004765U (ko)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KR101555635B1 (ko) 조류순환식 전복양식 가두리용 케이지
JP2007082466A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20130063998A (ko) 패류 양식장
KR20160131874A (ko) 삿갓형 어초
JP2013215170A (ja) 人工着底礁
KR101314316B1 (ko) 패류 양식장
KR101108147B1 (ko) 인공 어초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20180000824U (ko) 양식장용 그물지지기구
KR100643778B1 (ko)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
KR100666032B1 (ko) 다품종 해산물 양식기
KR200375141Y1 (ko)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
CN216254738U (zh) 海洋牧场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