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953A -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953A
KR20170019953A KR1020150114506A KR20150114506A KR20170019953A KR 20170019953 A KR20170019953 A KR 20170019953A KR 1020150114506 A KR1020150114506 A KR 1020150114506A KR 20150114506 A KR20150114506 A KR 20150114506A KR 20170019953 A KR20170019953 A KR 2017001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cup
topsheet
soft
tops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313B1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5011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통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 1팽이컵과, 인접한 팽이파일의 제 1팽이컵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팽이컵의 4방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팽이컵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팽이컵은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BASED ON TOP FILE ASSEMBLY OF THE SOFT GROUND AN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이파일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상호 간 연결 시켜 기존의 이음철근 사용을 없애고, 더불어 상기 각 팽이파일은 제 1팽이컵의 하부에 상통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제 2팽이컵을 형성시켜 접지면적의 증가로 인해 상기 각 팽이파일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는 한편, 상기 각 팽이파일의 사이에 충전되는 채움 쇄석은 제 1팽이컵과 제 2팽이컵이 아래위로 압축 구속하여 지반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는 연약지반 기초팽이파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軟弱地盤)에 건축물을 짓거나 각종 토목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견고하게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팽이파일(Top-pile)을 기초지면에 깔아서 기반 다짐공사를 하게 되는바, 콘크리트로 성형된 팽이파일은 지반에 대한 응력분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중(荷重)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팽이파일을 이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대한 보강공사를 시공하는 경우,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지면에 평면상으로 배열한 후 채움 쇄석등의 골재를 이용하여 팽이파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채우고 다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팽이파일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게 되면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보강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지반보강의 능률성과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콘크리트로 미리 성형된 기존의 팽이파일 보다 시공현장에서 성형하여 바로 시공할 수 있는 현장타설(Cast-in-place)형 팽이파일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현장타설형 팽이파일을 이용한 시공은 먼저 다수개의 합성수지재 팽이파일 성형틀을 준비하고, 건설 현장의 연약지반 위에 배치한 다음 상기 각각의 팽이파일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팽이파일을 성형토록 함으로서, 현장에서 팽이파일의 파일의 제작 및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특허로는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특허등록 제0842802호: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1은 다수의 팽이파일을 연결철근을 관통시켜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1은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연접되게 설치하는 경우 연결철근을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시공성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특허로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특허등록 제 1164989호: 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가 있는데, 이러한 선행기술 2는 다수의 매트를 격자구조로 연결시키고, 매트의 교차점에 다수의 팽이파일을 결합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2 역시 다수의 매트를 격자구조로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매트의 교차점에 팽이파일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1,2의 팽이파일의 구조는 상광하협 구조로 팽이파일의 단독 설치가 어렵고, 또한 연결철근 없이는 설치된 각 팽이파일의 평활도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428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1649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팽이파일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상호 간 연결 시켜 기존의 이음철근 사용을 없앨 수 있는 구조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각 팽이파일은 제 1팽이컵의 하부에 상통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제 2팽이컵을 형성시켜 접지면적의 증가로 인해 상기 각 팽이파일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는 한편, 채움 쇄석은 제 1팽이컵과 제 2팽이컵이 아래위로 압축 구속하여 지반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매트를 없애고, 팽이파일에 일체로 형성된 시트판이 매트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소량설치가 용이하고, 평활도 및 국소적인 부등침하 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연약지반 기초팽이파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통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 1팽이컵과, 인접한 팽이파일의 제 1팽이컵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팽이컵의 4방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팽이컵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팽이컵은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팽이파일은 연약지반 위의 매트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 1결합부는 제 2팽이컵의 4방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2팽이컵에는 방사상으로 연약지반에 밀착되는 4개의 시트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각 시트판은 팽이파일과 팽이파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1/4 크기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각 시트판은 상호 접촉되는 면상이 상호 간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각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는 연직 하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과, 후크돌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따르면, 팽이파일의 상하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하중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팽이파일은 제 2팽이컵이 접지면적을 증대시켜 부등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팽이파일 간의 평활도를 형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팽이컵과 제 2팽이컵이 아래위로 채움 쇄석을 압축 구속하여 지반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이파일의 상부에 배치된 제 1팽이컵과, 하부에 배치된 제 2팽이컵을 제 1결합부를 통해 개별적으로 상호간 연설시켜 이음철근 없이 조립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움 쇄석의 투입량과, 채움재의 타설량을 1:1로 하여 전체적인 보강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매트를 없애고, 팽이파일에 일체로 형성된 시트판이 매트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소량설치가 용이하고, 평활도 및 국소적인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는 연약지반 위의 매트에 시공되는 팽이파일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상호 간 연결시켜 기존의 이음철근 사용을 없애고, 상기 각 팽이파일은 제 1팽이컵의 하부에 상통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제 2팽이컵을 형성시켜 접지면적의 증가로 인해 상기 각 팽이파일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는 한편, 채움 쇄석은 제 1팽이컵과 제 2팽이컵이 아래위로 압축 구속하여 지반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약지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는 크게 2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이는 팽이파일(100) 및 상기 각 팽이파일(100)을 상호 간 연결시키는 제 1결합부(130a)로 구성된다.
상기 팽이파일(100)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 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로 이루어지며, 이외에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목재류, 재생 PE 및 재생 PP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팽이파일(100)은 상통하는 연결부(140)를 매개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 1,2팽이컵(110,120)을 갖는 구조로 접지면적의 증가로 인해 상기 각 팽이파일(100)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제 1팽이컵(110)과 제 2팽이컵(120)이 아래위로 채움 쇄석(170)을 압축 구속하여 지반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 때 상기 제 1팽이컵(1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팽이컵(120)은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취하며, 제 1팽이컵(110)을 내부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채움재(160)를 타설하여 제 1팽이컵(110) 및 제 2팽이컵(120)과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2팽이컵(110,120)은 연결부(140)를 중심으로 아래위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뿔 형상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각 팽이컵(110,120)은 그 형상이 원 형태를 갖고, 다른 실시예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 및 십팔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 역시 원 형태를 갖지만, 상술된 다각형 형태를 갖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 1,2팽이컵(110,120)의 4방면에는 제 1결합부(130a)가 형성되어 기존의 이음철근 사용을 없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각 제 1결합부(130a)는 상호 간 연직 하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1)과, 후크돌기(1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제 1결합부(130a)의 결합홈(131)과, 후크돌기(132)는 상기 제 1,2팽이컵(110,120)의 둘레 4방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며, 이외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클립, 클램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각 팽이파일(100)은 매트(15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있어, 제 1팽이컵(110)과 제 2팽이컵(120)의 사방면에 형성된 제 1결합부(130a)가 각각 연직 하방으로 상호 간 끼움결합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시공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터 파기된 지반을 다짐하여 매트(150)를 설치한다.
그리고 팽이파일(100)의 제 1,2팽이컵(110,120)에 형성된 제 1결합부(130a)를 통해 다수의 팽이파일(100)을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팽이컵(110)에 채움재(160)를 타설면서 바이브레이터로 다짐하여 채움재(160)가 연결부(140)를 통해 제 2팽이컵(120)에 고밀도로 충전시키도록 하고 양생시킨다.
이 후, 상호 연결된 팽이파일(100)과 팽이파일(100) 사이의 공간부로 채움 쇄석(170)을 충전하여 시공을 완성한다.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기초팽이파일 어셈블리는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팽이파일의 상하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단독설치가 용이하고, 하중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팽이파일 사이의 채움 쇄석의 투입량을 최소화하면서, 제 2팽이컵과 매트 간의 접지면적을 높여 채움재의 타설압에 의해 수평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팽이파일의 상부에 배치된 제 1팽이컵과, 하부에 배치된 제 2팽이컵을 제 1결합부를 통해 개별적으로 상호 간 연설시켜 이음철근 없이 조립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채움 쇄석의 투입량과, 채움재의 타설량을 1:1로 하여 전체적인 보강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제 2팽이컵(120)에는 제 1결합부(130a)를 없애고, 방사상으로 연약지반에 밀착되는 4개의 시트판(121)을 더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 2실시예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매트(150)를 없애고, 팽이파일(100)에 일체로 형성된 시트판(121)이 매트(150)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시트판(121)은 팽이파일(100)과 팽이파일(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1/4 크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시트판(121)의 구성은 4개의 팽이파일(100)이 제 1결합부(130a)를 통해 상호 간 연설되면 팽이파일(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1/4 크기로 분할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시트판(121)은 4개가 조합되면 연약지반이 노출되는 공간부를 매울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각 시트판(121)은 상호 접촉되는 면상이 상호 간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결합부(130b)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결합부(130b) 역시 제 1결합부(130a)와 같이 상호 간 연직 하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1)과, 후크돌기(1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각 시트판(121)은 연질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제 2결합부(130b)만이 결속력을 위해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시트판(121)은 4개로 분할된 구성 이외에, 2개. 3개. 5개 및 6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된 제 2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는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매트를 설치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다.
매트의 기능을 하는 시트판이 팽이파일과 일체화되어 있어 시공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200)에 관한 것으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200)은 중앙부위가 협소하고, 상부와 하부가 확장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200)은 현장에 이동시켜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시공의 지연을 없애고 빠른시간에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0)은 내부에 보강철근(미도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취성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0)은 제 1결합부(미도시)를 콘크리트에 부분 매립시켜 양생 후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0: 팽이파일
110: 제 1팽이컵 120: 제 2팽이컵 121: 시트판
130a: 제 1결합부 130b: 제 2결합부 131: 결합홈
132: 후크돌기 140: 연결부
150: 매트 160: 채움재
170: 채움 쇄석
200: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7)

  1. 상통하는 연결부(140)를 매개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 1팽이컵(110)과, 제 2팽이컵(120)이 형성된 팽이파일(100); 및
    인접한 팽이파일(100)의 제 1팽이컵(110)이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팽이컵(110)의 4방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부(13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팽이컵(1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팽이컵(120)은 하부가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팽이파일(100)은 연약지반 위의 매트(15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결합부(130a)는 제 2팽이컵(120)의 4방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팽이컵(120)에는 방사상으로 연약지반에 밀착되는 4개의 시트판(1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판(121)은 팽이파일(100)과 팽이파일(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1/4 크기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판(121)은 상호 접촉되는 면상이 상호 간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결합부(130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결합부(130a) 및 제 2결합부(130b)는 연직 하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1)과, 후크돌기(1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7. 제 1항의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50114506A 2015-08-13 2015-08-13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71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06A KR101716313B1 (ko) 2015-08-13 2015-08-13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06A KR101716313B1 (ko) 2015-08-13 2015-08-13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953A true KR20170019953A (ko) 2017-02-22
KR101716313B1 KR101716313B1 (ko) 2017-03-14

Family

ID=5831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506A KR101716313B1 (ko) 2015-08-13 2015-08-13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0731B (zh) * 2019-12-05 2021-02-12 东莞嘉誉诚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的施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619A (ja) * 2006-03-01 2007-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骨格ブロック
KR200436652Y1 (ko) * 2006-12-05 2007-09-18 시지이엔씨주식회사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KR100842802B1 (ko)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164989B1 (ko) 2011-12-16 2012-07-13 박종민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95872A (ko) * 2012-02-21 2013-08-29 박종민 팽이형 파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619A (ja) * 2006-03-01 2007-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骨格ブロック
KR200436652Y1 (ko) * 2006-12-05 2007-09-18 시지이엔씨주식회사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KR100842802B1 (ko)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164989B1 (ko) 2011-12-16 2012-07-13 박종민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95872A (ko) * 2012-02-21 2013-08-29 박종민 팽이형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13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76B1 (ko) 3차원 프린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101370102B1 (ko)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CN204112525U (zh) 高强度混凝土预制框架内嵌带竖缝预制剪力墙结构
KR101716313B1 (ko)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92161B1 (ko) 현장타설용 팽이파일
KR101570938B1 (ko) 강관 말뚝 기초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내 댐 건설 방법
CN207538074U (zh) 砌块挡土墙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CN205669211U (zh) 一种预制重力式挡墙
KR20140005759A (ko) 팽이 상부 덮개를 포함한 팽이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시공 방법
KR101826094B1 (ko) 트랜스퍼 매트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트랜스퍼 매트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KR101720513B1 (ko) 중량물의 기초 받침대 및 그 받침대 시공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820090B1 (ko) 인테리어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JP6211731B1 (ja) コンクリート製受圧板及び該受圧板を用いた受圧構造
KR101538001B1 (ko) 콘크리트 파일
KR101438306B1 (ko) 상부 덮개를 포함한 팽이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시공 방법
CN202416572U (zh) 构造柱纵向钢筋复合连接件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200461421Y1 (ko) 청소구를 구비한 판넬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