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735A -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 Google Patents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735A
KR20170019735A KR1020150113944A KR20150113944A KR20170019735A KR 20170019735 A KR20170019735 A KR 20170019735A KR 1020150113944 A KR1020150113944 A KR 1020150113944A KR 20150113944 A KR20150113944 A KR 20150113944A KR 20170019735 A KR20170019735 A KR 2017001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ar wheel
frame
bracke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0549B1 (en
Inventor
김지명
Original Assignee
김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명 filed Critical 김지명
Priority to KR102015011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549B1/en
Publication of KR2017001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6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cycle operable as a stroller which is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by simply folding a rear wheel in a foldable manner, and smoothly steers front wheels to be driven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and worrying about falling even when turning on a curve. The tricycle operable as a stroller comprises: a front wheel vehicle rod (100)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pedal shaft (10) to rotatably support both front wheels (20); a shock absorber (200) having a shaft support unit (201)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vehicle rod (100) by a shaft (S1) to rotatably support a handle shaft (31) of a handle (30); a steering member (300)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shaft (31) to rotate both front wheels (20) to a left and a right; an infant seat (400) detach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hock absorber (200); a bracket (500) having a folding shaft (510) rotatably installed on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front end thereof is fixed on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 saddle frame (600) having a shaft support unit (610)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and the shaft support unit (201) of the shock absorber (200) to rotatably support a saddle shaft (41) of a saddle (40); a rear wheel vehicle rod (700) connected to the folding shaft (510) of the bracket (500) to rotatably support a rear wheel (50); a rear wheel frame (800) connected to the folding shaft (510) of the bracket (500) and a rear wheel shaft (51) of the rear wheel (50); and a connection member (90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to fold the rear wheel frame (800).

Description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와 자전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후륜을 절첩식으로 간단하게 접어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전륜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wheeled bicycle combined with a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 having a stroller and a bicycl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wheel bicycle combined with a baby carriage, which can be smoothly operated, and can be driven without a large force without fear of collapse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일반적으로 자전거가 친환경적인 건강관리의 일환으로 각광을 받게 되면서 자전거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As bicycles are generally regarded as a par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health care, research on bicycles is being carried out constantly.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종 기상 이변이 일어나는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의 주요인으로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대기오염 물질을 방출하며 교통 혼잡을 유발하는 자동차 중심 문화가 꼽히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various weather phenomena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One of the main reasons for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is automobile-centered culture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energy, emits air pollutants, and causes traffic congestion as the industry develops.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무동력, 무공해의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가 대두되고 있는데, 자전거는 목적지에 대한 접근성이 우수하고 운동수단으로서 웰빙이라는 최근의 트랜드에도 적합하다. 그리고, 친환경 저탄소 녹색 교통수단의 하나인 자전거의 이용률을 높이면 도심지 교통체증이 해소되고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어, 자전거는 생활 밀착형 녹색성장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As a result, bicycles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as a means of non-motorized and pollution-free transportation. Bicycles are well-suited for the recent trend of well-being as an excellent means of access to destinations and as a means of exercise.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bicycles, on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low carbon green transportation methods, urban traffic jams can be resolved and air pollution can be reduced, and bicycl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means of life-friendly green growth.

그러나, 대부분의 자전거는 남성위주의 이용률이 높고 대부분 취미생활 및 운동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전거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통상의 자전거의 기능과 함께 실생활에 이용 가능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However, most bicycles have a high usage rate for men, and most of them are used only for hobby and sports.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bicycles have been studied, and one of them is a method of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ordinary bicycles.

이와 같은 자전거 이용에 있어서 비주류에 속하는 가정주부들은 자전거 기능과 유모차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면서, 상황에 맞게 변신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유모차 겸용 자전거는 국내외에서 출시된 사례가 있으나, 이들은 기존의 자전거에 유모차 부분을 단순히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 것으로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없는 도로나 실내와 같은 환경에서는 유모차 부분을 자전거에서 분리하여 이동하여야 하므로, 조립과 해체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t was found that housewives who belong to the subculture prefer bicycle and stroller functions, but prefer products that can be transformed to fit the situation. These stroller-use bicycles have been introduced at home and abroad, but they are merely detachable parts of the stroller part of the existing bicycle.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road or the room where the bicycle can not be operated, the stroll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bicycle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rocess is very troublesome and takes a long time.

특히 외국에서 개발된 제품의 경우에는 굴곡이 심한 국내 도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제품으로서,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당히 고가의 제품이어서 대중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리고 유모차와 자전거와의 상호 변형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중량이 무겁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실질적으로 여성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변형시키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Especially, the products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are not considered for domestic roads with severe bending, and they are not suitable for use in Korea, and they are very expensive products, which is a hindrance to popularization. Even if interchangeability of the stroller and the bicycle is possible, the weight is heavy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is disadvantageous that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transform without actually helping others.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288975호에는 양측에 주행휠이 구비된 유모차가 전륜의 제거후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프레임에 대해 후륜이 구비되는 후방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후륜이 유모차의 주행휠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혀졌다 펴질 수 있어 접은 상태에서 통상의 유모차처럼 후방에서 밀어 이동가능하며 보관시 부피축소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유모차 착탈형 자전거가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88975, the rear frame having the rear wheel is rot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frame in which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traveling wheels on both sides is detachably coupled after the front wheel is removed, A foldable bicycle which is fold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raveling wheels of the stroller can be pushed and moved from the rear like a normal stroller in a folded state and the volume can be easily reduced during storag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전륜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커브를 돌 때 쓰러질 염려가 있고 조향에 큰 힘이 소요되어 가정주부들이 운전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teering of the front wheels is not performed smoothly,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teering wheel may be structurally collapsed when a curve is formed, and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steer the steering wheel.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단순히 경첩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자전거의 주행중 바닥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이 심한 경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연결부가 심하게 요동하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simply connected by a hinge, there is a problem in safety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is severely shaken when the floor during running of the bicycle is not smooth and the bending is severe .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288975호(등록일자 : 2013.07.17)Patent Document: Registered Patent No. 10-1288975 (Registered Date: July 17,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유모차와 자전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후륜을 절첩식으로 간단하게 접어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전륜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troller and a bicycl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together and to easily fold and fold the rear wheel in a foldable manner for easy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ree-wheeled bicycle that can smoothly steer the front wheel so as to be able to travel without a great deal of force without fear of collapse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유모차, 휠체어, 쇼핑 카트 등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가정주부들이 영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때 장소에 따라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쉽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가정주부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를 제송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baby carriage, a wheelchair, a shopping cart, and the like as needed, and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bicycle or a baby carriag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n housewives move with infants. A bicycle or a baby carriage which can be easily folded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전륜 2개와 후륜 1개의 삼륜으로 구성하여 균형 감각이 낮은 가정주부들과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아시트에 앉아 있는 영유아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cycle comprising two front wheels and one rear wheel so that even a bicycle rider can easily ride a bicycle with a low sense of home housewife, and a baby stroller And a combination tricy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페달축의 양측에 양측 전륜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전륜차대를 연결하고, 상기 전륜차대의 상부에 핸들의 핸들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구비된 쇽업소버를 축으로 각각 연결하며, 상기 핸들축의 하부에 양측 전륜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향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쇽업소버의 전방에 유아시트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페달축의 양측에 후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절첩축이 구비된 브래킷의 선단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페달축과 쇽업소버의 축지지부에 안장의 안장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구비된 안장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브래킷의 절첩축에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차대를 연결하고, 상기 브래킷의 절첩축과 후륜의 후륜축에 후륜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후륜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후륜프레임을 안장프레임에 연결부재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 front wheel base which supports both front wheels on both sides of a pedal shaft in a rotatable manner, and a shock absorber having a shaft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a handle shaft of the handle, A steering member for turning both front wheels to the left and righ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shaft, an infant se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hock absorber, And a saddle frame having a pedestal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addle shaft of the saddle is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And the rear wheel frame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axle of the rear wheel and the folding axis of the bracket, Is one of the folded rear wheel frame can be connected detachably to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saddle frame, the rear fram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페달축에는 구동축을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하고, 상기 페달축의 양측에는 브래킷의 전방부가 구동축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방부가 하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고정하며,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는 전륜차대의 후방에 일체로 구비된 연결링을 각각 장착하고,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는 페달을 각각 끼워 볼트체결로 고정한 것이다.The pedal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edal shaft so as to b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The rear portion of the bracket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passing through the drive shaft.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connection rings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wheelbase are respectively mounted, and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are fixed by bolts while sandwiching the pedal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의 경사각도는 30~40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racket is formed to be inclined by 30 to 40 degre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쇽업소버에 구비된 축지지부의 양측에는 고정봉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아시트의 후방 양측에는 고정봉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을 형성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rods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shock absorber, and fixing pins detachably fitted to the fixing ro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child sea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부재는 핸들축의 하부에 고정되는 조향판과, 상기 조향판의 양측에 각각 축으로 연결되는 제1레버와, 상기 양측 전륜차대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전륜축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양측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는 제2레버와, 상기 양측 제1레버와 제2레버에 양단이 축으로 각각 연결되는 연결레버로 구성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member may include a steering plat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a first lever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teering plate on respective shafts, and a first lever fixed to both ends of the both front wheel differentials, A housing having a rotating shaft, a second lever connected to the both rotation shafts, and a connecting lev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ver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후륜프레임과 안장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원터치 타입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수커플링으로 구성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n arm and a male coupling which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type state while being fixed to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saddle fram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륜차대의 후단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안장프레임에 축으로 연결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differential is axially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in a state of being bent upwar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은 페달축의 양측에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축설하고, 상기 절첩축은 브래킷의 후단에 용접 등으로 고정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s are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edal shaft at their tips, and the folding shafts are fixed to the rear ends of the brackets by welding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장프레임과 축지지부는 절첩부재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절첩부재에는 안장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축지지부에 고정되어 고정판과 축으로 연결되는 절첩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결합홈과 결합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절첩판의 일단에 형성된 축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결합축을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결합축에는 압박편과 스프링을 관통한 로드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로드에는 고정레버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frame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folding member, and the fol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fixed to the saddle frame and a folding plate fixed to the fixing frame and connected with the fixing plate, A coupling shaft having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axial tube formed at one end of the fold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o receive a resilient force of a spring and the pressing shaft and a spring And one end of the rod is connected to the rod, and the ro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lever by an axis.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에 따르면, 페달축에 브래킷의 절첩축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후륜차대와 후륜프레임을 이용하여 후륜을 간단하게 펴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와 자전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후륜을 접으면 부피가 작아지므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조향부재에 의해 전륜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hree-wheel bicycle combined with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wheel can be easily folded and folded by using the rear wheel frame and the rear wheel frame that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through the folding shaft of the bracket, the baby carriage and bicycle can be conveniently used Since the front wheel is smoothly steered by the steering member, it is possible to travel without a large force without fear of falling down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have.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유모차, 휠체어, 쇼핑 카트 등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가정주부들이 영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때 장소에 따라 자전거 또는 유모차 등으로 쉽게 변형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주부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절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baby strollers, wheelchairs, shopping carts, etc. Especially, when housewives are moving with infants, they can be easily changed to bicycles or baby carriages depending on the places,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with a bicycle or a baby carriage without the help of a person.

또한 2개의 전륜과 1개의 후륜을 가지는 삼륜 자전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형 감각이 낮은 가정주부들과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고, 방향전환시 조향부재에 의해 유아시트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핸들과 전륜만 회전하므로 유아시트에 앉아 있는 영유아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icycle is composed of a three-wheel bicycle having two front wheels and one rear wheel,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bicycles even at home housewives with low sense of balance and those who ride the bicycle for the first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infants and children sitting on the infant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시트의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부재의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축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보인 예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a는 도 11의 "A"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b는 도 12a에 적용되는 원터치 클램프를 보인 예시도.
도 12c는 도 12a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d는 도 12c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장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6은 도 15의 절첩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절첩부재의 단면도.
도 18은 절첩부재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stee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a pedal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ion "A" in Fig.
1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ne-touch clamp applied to Fig. 12A. Fig.
FIG. 12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 12A; FIG.
FIG. 12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C.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13;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add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ing member of FIG. 15;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ing member of Fig. 15;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installed state of the fold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는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페달축(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양측 전륜(20)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전륜차대(100); 상기 전륜차대(100)의 상부에 축(S1)으로 각각 연결되어 핸들(30)의 핸들축(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201)를 구비하는 쇽업소버(200); 상기 핸들축(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양측 전륜(2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향부재(300); 상기 쇽업소버(20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아시트(400); 상기 페달축(10)의 양측에 선단이 각각 고정되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절첩축(510)을 구비하는 브래킷(500); 상기 페달축(10)과 쇽업소버(200)의 축지지부(201)에 연결되어 안장(40)의 안장축(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610)를 구비하는 안장프레임(600); 상기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에 연결되어 후륜(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차대(700); 상기 브래킷(500)의 절첩축(510)과 후륜(50)의 후륜축(51)에 연결되는 후륜프레임(800); 상기 후륜프레임(800)을 절첩가능하도록 안장프레임(6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1 to 18, the three-wheeled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wheel base 100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pedal shaft 10 and rotatably supporting both front wheels 20; A shock absorber 20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base 100 by an axis S1 and having a shaft support portion 201 for rotatably supporting a handle shaft 31 of the handle 30; A steering member 3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shaft 31 and rotating both front wheels 20 to the left and right; An infant seat 400 detach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hock absorber 200; A bracket (500) having a folding axis (510) which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pedal shaft (10)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end thereof; A saddle frame 600 having a pedestal portion 610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201 of the shock absorber 200 to rotatably support the longitudinal axis 41 of the saddle 40, ; A rear wheel support 700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to rotatably support the rear wheel 50; A rear wheel frame 800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and the rear wheel shaft 51 of the rear wheel 50; And a connecting member 900 detachably connecting the rear wheel frame 800 to the saddle frame 600 so as to be foldable.

여기서,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는 가정주부들이 영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때 장소에 따라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쉽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는 페달축(10), 전륜(20), 전륜축(21), 핸들(30), 핸들축(31), 안장(40), 안장축(41), 후륜(50), 후륜축(51)을 포함하고, 또한 전륜차대(100), 쇽업소버(200), 조향부재(300), 유아시트(400), 브래킷(500), 안장프레임(600), 후륜차대(700), 후륜프레임(800), 연결부재(9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three-wheeled bicycle combined with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be transformed into a bicycle or a baby carriag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n the housewife move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bicycle trolley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al shaft 10, And includes a front wheel 20, a front wheel 21, a handle 30, a handle shaft 31, a saddle 40, a longitudinal axis 41, a rear wheel 50 and a rear wheel shaft 51, A rear wheel assembly 800, a connecting member 900, and a rear wheel assembly 700. The rear wheel assembly 100 includes a shock absorber 200, a steering member 300, an infant seat 400, a bracket 500, a saddle frame 600, .

상기 페달축(10)은 구동축(1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양측 페달(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페달축(10)의 구동축(11)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변속기어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페달축(10)의 중앙 상부에는 안장프레임(600)의 하부가 연결된다.The pedal shaft 10 rotatably supports both side pedals 12 fixed to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11. The drive shaft 11 of the pedal shaft 10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gea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frame 600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pedal shaft 10.

상기 전륜(20)은 양측 전륜차대(10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전륜(20)에는 전륜(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륜축(21)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륜(20)은 2개가 설치된 이륜으로 이루어지므로 주행중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The front wheels 20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both-wheel drive wheels 100. Each of the front wheels 20 is provided with a front wheel shaft 2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wheels 20.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wheel 20 is composed of two wheels, the stability during driving can be maintained.

상기 핸들(30)은 핸들축(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핸들(30)의 양측에는 전륜(20)과 후륜(50)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각각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레버가 설치되고, 또한 핸들(30)에는 페달축(10)과 후륜(50)에 설치된 변속기어의 변속비를 조절하는 변속레버가 설치된다.The handle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shaft 31. Brake levers for operating the brakes provided on the front wheel 20 and the rear wheel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30, (30) is provided with a shift lever that adjusts the speed ratio of the transmission provided to the pedal shaft (10) and the rear wheel (50).

상기 안장(40)은 안장축(4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장(40)의 안장축(41)은 안장프레임(600)의 축지지부(6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안장축(41)은 안장(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addle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ngitudinal axis 41 and the longitudinal axis 41 of the saddle 40 is connected to the axially supporting portion 610 of the saddle frame 600.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axis 4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addle 40.

상기 후륜(50)은 후륜차대(7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륜(50)에는 후륜(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축(51)이 구비되고, 후륜축(51)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변속기어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륜(50)은 1개가 설치되고, 상기 후륜(50)에는 체인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rear wheel 5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ar wheel assembly 700. The rear wheel 50 is provided with a rear wheel shaft 5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wheel 50, The transmission gears to which the chain is connected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t this time, one rear wheel 50 is installed, and the rear wheel 50 is provided with a member for preventing the chain from sagging.

상기 전륜차대(100)는 페달축(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전륜차대(100)는 양측 전륜(20)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양측 전륜차대(100)는 양측 쇽업소버(200)와 조향부재(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양측 전륜차대(100)는 평면에서 볼 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전륜차대(100)에는 조향시 전륜(2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측 전륜(20)의 조향시 양측 전륜(20)은 어떠한 부품과도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The front wheel base 10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The front wheel base 100 supports both front wheels 20 in a rotatable manner and also supports both front wheel supports 100 support the both side shock absorber 200 and the steering member 300. At this time, the both-wheel drive vehicle 100 is inclined so as to be wider from the rear to the front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both-side front wheel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wheel 20 It is obvious tha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both front wheels 20 of the two side front wheels 20 are configured such that no interference occurs with any of the parts when the two side front wheels 20 are steered.

상기 쇽업소버(200)는 전륜차대(100)의 상부에 축(S1)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쇽업소버(200)는 핸들(30)의 핸들축(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양측 쇽업소버(200)는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쇽업소버(200)의 상부에는 핸들축(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201)가 설치되고, 또한 쇽업소버(200)에는 완충스프링(202)이 각각 설치된다.The shock absorber 200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base 100 via a shaft S1 and the two side shock absorbers 200 are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31 of the handle 30 And both shock absorbers 200 serve to absorb and mitigate shocks generated during traveling. At this time, a shaft support portion 20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handle shaft 3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200, and a buffer spring 202 is installed on the shock absorber 200, respectively.

상기 조향부재(300)는 핸들축(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륜(2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조향부재(300)는 주행중 커브를 돌 때 전륜(2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eering member 3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31 and rotates the front wheel 20 to the left and right. The steering member 300 adjust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20 Role.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와 도 6a,6b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향부재(300)는 핸들축(31)의 하부에 고정되는 조향판(310)과, 상기 조향판(310)의 양측에 각각 축(S2)으로 연결되는 제1레버(320)와, 상기 양측 전륜차대(10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전륜축(21)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331)을 구비하는 하우징(330)과, 상기 양측 회전축(331)에 각각 연결되는 제2레버(340)와, 상기 양측 제1레버(320)와 제2레버(340)에 양단이 축(S3)(S4)으로 각각 연결되는 연결레버(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4, 6A, 6B and 7, the steering member 300 includes a steering plate 310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31, A housing 330 having a first lever 320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base 100 by a shaft S2 and a rotation shaft 331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wheel base 10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wheel shaft 21. [ A second lever 340 connected to the both side rotating shafts 331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ever 320 and the second lever 340 at both ends of the shaft S3, And a lever (350).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3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1)은 전륜축(21)의 내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31)은 하우징(33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우징(330)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하우징(330)의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331)의 상부에는 와셔(360)가 끼워진 상태에서 캡너트(370)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331)의 하부에는 제2레버(340)가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30)은 전륜차대(1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레버(340)와 회전축(331) 및 전륜축(21)은 일체형으로 같이 회전된다.7, the housing 3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otation shaft 33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shaft 21, and the rotation shaft 331 protrude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30 A cap nut 370 is screwed in a state where the washer 36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331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30, The second lever 34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331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integrally. At this time, the housing 330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ont wheel assembly 100, and the second lever 340, the rotary shaft 331 and the front wheel shaft 21 are integrally rotated together.

따라서, 도 6a에서와 같이 주행중 핸들(30)을 좌측으로 돌리면 핸들축(31)과 조향판(310)이 동시에 좌측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조향판(310)의 양측에 축(S2)으로 각각 연결된 제1레버(320) 및 제1레버(320)에 축(S3)으로 연결된 연결레버(350)가 도 6a에서와 같이 작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양측 연결레버(350)에 축(S4)으로 각각 연결된 제2레버(340)가 도 6a에서와 같이 작동하면서 양측 하우징(330)의 회전축(331)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회전축(331)에 일체로 형성된 양측 전륜축(21)이 회전축(331)과 같이 회전하면서 전륜(20)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6A, when the handle 30 is turned to the left, the handle shaft 31 and the steering plate 310 simultaneously rotate to the left. At the same time, the steering shaft 310 and the steering plate 310 The connecting lever 350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320 and the first lever 320 by the shaft S3 is operated as shown in FIG. 6A and the two connecting levers 3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320 and the first lever 320 by the shaft S4 The second lever 340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340 rotates the rotary shaft 331 of the both side housings 330 while operating as shown in FIG. 6A. As a result, both front wheel shafts 21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ry shaft 331 And rotates the front wheel 20 in the left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as the rotating shaft 331.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주행중 핸들(30)을 우측으로 돌리면 핸들축(31)과 조향판(310)이 동시에 우측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조향판(310)의 양측에 축(S2)으로 각각 연결된 제1레버(320) 및 제1레버(320)에 축(S3)으로 연결된 연결레버(350)가 도 6b에서와 같이 작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양측 연결레버(350)에 축(S4)으로 각각 연결된 제2레버(340)가 도 6b에서와 같이 작동하면서 양측 하우징(330)의 회전축(331)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회전축(331)에 일체로 형성된 양측 전륜축(21)이 회전축(331)과 같이 회전하면서 전륜(20)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6B, when the handle 30 is turned to the right, the handle shaft 31 and the steering plate 310 simultaneously rotate to the r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steering shaft 31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teering shaft 310 with the axis S2 The connecting lever 350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320 and the first lever 320 by the shaft S3 operates as shown in FIG. 6B and is connected to the both connecting levers 350 by the shaft S4 The second lever 340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340 rotates the rotary shaft 331 of the both side housings 330 while operating as shown in FIG. 6B. As a result, both side front wheel shafts 21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ry shaft 331, And rotates the front wheel 20 in the right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as shown in Fig.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 제1레버(320)와 제2레버(340)에 의해 양측 전륜(20)의 전륜축(21)이 진행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고, 또한 양측 쇽업소버(200)에 지지된 유아시트(400)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도 6a,6b에서와 같이 양측 전륜(20)만 주행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커브를 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axle 21 of both front wheels 20 smoothly rotat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the both-side first lever 320 and the second lever 340 and is supported by the both side shock absorbers 200 6A and 6B, the infant seat 400 rotates only in the running direc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so that the user can safely turn the curve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즉, 양측 전륜(20)의 전륜축(21)과 양측 제2레버(34)가 회전축(331)을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방향전환 시에도 유아시트(400)와는 별개로 핸들(30)과 양측 전륜(20)만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므로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ront wheel shaft 21 of the front wheels 20 and the both second levers 34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rotary shaft 331, the handle 30 is separated from the baby seat 400, Only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20 move left and right so that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it is possible to safely operate without a large force without fear of collapse.

상기 유아시트(400)는 양측 쇽업소버(20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유아시트(400)에는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벨트와 발판 및 차양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측 쇽업소버(200)의 전방에 유아시트(400) 대신 필요에 따라서는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바구니 등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휠체어 등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유모차, 휠체어, 쇼핑 카트 등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infant seat 4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h side shock absorber 200. The infant seat 400 may be provided with a seat belt, a foot plate, and a shade so as to safely protect the infant. At this time, in place of the baby seat 400, a basket or the like can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two-side shock absor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a wheelchai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baby carriage, a wheelchair, a shopping cart, and the like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쇽업소버(200)에 구비된 축지지부(201)의 양측에는 고정봉(21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유아시트(400)의 후방 양측에는 고정봉(2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4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410)을 고정봉(210)에 끼우면 유아시트(400)을 축지지부(201)에 간단하고도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고정핀(410)을 고정봉(210)에서 빼내면 유아시트(400)을 축지지부(201)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2, fixing rods 2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haft support portion 201 provided in the shock absorber 200, and fixing rods 2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child seat 400, A fixing pin 410 detachably fitted to the fixing pin 410 is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pin 4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od 210, the child seat 400 can be easily and securely attached to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201, The baby sheet 4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haft support portion 201. [

상기 브래킷(500)은 페달축(10)의 양측에 선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브래킷(500)의 후단에는 절첩축(510)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은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을 절첩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rackets 500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respectively. The rear end of the bracket 50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haft 510. At this time,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serves to support the rear wheel < Desc / Clms Page number 16 > carriage 70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in a foldable m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9에서와 같이 상기 페달축(10)에는 구동축(11)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페달축(10)의 양측에는 브래킷(500)의 전방부가 구동축(11)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방부가 하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K)로 경사지게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11)의 양측에는 전륜차대(100)의 후방에 구비된 연결링(11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11)의 양단에는 페달(12)이 볼트(13)체결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페달축(10)과 브래킷(500) 및 전륜차대(100)의 연결링(1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축(11)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변속기어가 다단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축(11)은 페달(12)과 같이 구동하도록 구성된다.8 and 9, the drive shaft 11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pedal shaft 10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nd on the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The rear portion is fixed downward at an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K while the driving shaft 11 passes through the driving shaft 11 and the connecting rings 1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wheel & And the pedal 12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1 by bolts 13. At this time, the pedal shaft 10, the bracket 500, and the connecting ring 110 of the front wheel < RTI ID = 0.0 > carriage 100 ar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he drive shaft 11 is configured to be driven as the pedal 12.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500)의 경사각도(K)는 30~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0)을 경사지게 고정한 것은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을 용이하게 절첩시키기 위함이다.9, the inclination angle K of the bracket 500 is inclined by 30 to 40 degrees. At this time, the bracket 500 is inclined to easily fold the rear wheel assembly 700 and the rear frame 800. [

상기 안장프레임(600)은 페달축(10)과 쇽업소버(200)의 축지지부(201)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안장프레임(600)에는 안장(40)의 안장축(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6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지지부(610)는 안장프레임(600)에 축(601)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축지지부(610)에는 안장프레임(600)에 접촉되어 안장(4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용 스토퍼(620)가 구비된다.The saddle frame 600 is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and the pivot shaft 201 of the shock absorber 200. The saddle frame 600 is provided with a pivot shaft 41, (Not shown). At this time, the shaft support 610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by an axis 601, and the saddle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addle frame 600 by the shaft support 610, A stopper 620 for preventing sagging is provided.

상기 후륜차대(700)는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륜차대(700)는 후륜(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후륜차대(700)에는 후륜(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축(51)이 연결된다.The rear wheel assembly 700 is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and the rear wheel assembly 700 supports the rear wheel 50 in a rotatable manner. At this time, a rear wheel shaft 51 that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50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페달축(10)의 양측에는 브래킷(500)의 선단이 경사지게 각각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500)의 후단에는 절첩축(510)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절첩축(510)에 후륜차대(700)가 연결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차대(700)를 펼치면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차대(700)를 안쪽으로 회전시켜 접으면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s of the brackets 500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t an oblique angle, the cutting axis 510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rear end of the bracket 500, The rear wheel support 70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5A, the rear wheel & pinion 700 can be used as a bicycle when it is unfolded. When the rear wheel & pinion 700 is folded inward as shown in FIG. 5B, it can be used as a baby carriage.

상기 후륜프레임(800)은 브래킷(500)의 절첩축(510)과 후륜(50)의 후륜축(51)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륜프레임(800)은 연결부재(900)를 통해 안장프레임(6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800)을 안장프레임(600)에 연결하면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800)과 안장프레임(600)을 분리하면 후륜(50)을 안쪽으로 간단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다.The rear wheel frame 800 is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and the rear wheel shaft 51 of the rear wheel 50. The rear wheel frame 8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5A, when the rear wheel frame 8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it can be used as a bicycle. When the rear wheel frame 800 and the saddle frame 6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5B, 50) can be simply folded inwar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roller.

상기 연결부재(900)는 후륜프레임(800)을 절첩가능하도록 안장프레임(6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900)는 후륜프레임(800)을 안장프레임(6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necting member 900 detachably connects the rear wheel frame 800 to the saddle frame 600 so that the rear wheel frame 800 can be folded. The connecting member 900 can separate the rear wheel frame 800 from the saddle frame 600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a,10b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900)는 후륜프레임(800)과 안장프레임(600)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원터치 타입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수커플링(901)(90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A and 10B, the connecting member 900 is fixed to the rear wheel frame 800 and the saddle frame 600,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frame 800 and the saddle frame 600, respectively, (901) and (902).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암커플링(901)과 수커플링(902)을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서 결합하면 후륜프레임(800)을 안장프레임(60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한편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암커플링(901)에 구비된 해지부를 해지방향으로 당기면 암커플링(901)과 수커플링(902)이 간단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후륜(50)을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절첩시킬 수 있다.The rear wheel frame 800 can be easily and firmly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by engaging the female coupling 901 and the male coupling 902 in a one-touch manner as shown in FIG. 10B, Since the female coupling 901 and the male coupling 902 are easily separated when the release portion provided in the female coupling 901 is pulled in the release direction as shown in FIG.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전륜차대(100)의 후단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안장프레임(600)에 축(S5)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륜차대(100)의 후단은 페달축(10)에 연결되지 않고 안장프레임(600)에 축(S5)으로 연결되므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thetas; 1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in an upwardly bent state by an axis S5. At this time, since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base 1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via the shaft S5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a,12b,12c에서와 같이, 상기 안장프레임(600)에는 축공(630)이 형성된 한쌍의 제1고정편(631)이 구비되고, 상기 축지지부(610)에는 축공(611)이 형성된 연결편(612)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612)은 한쌍의 제1고정편(63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터치 클램프(60)로 클램핑된다.12A, 12B and 12C, the saddle frame 6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fixing pieces 631 having a shaft hole 630 formed therein, 610 ar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ece 612 having a shaft hole 611 form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piece 612 is clamped by the one-touch clamp 60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ieces 63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a,12b,12c에서와 같이, 상기 안장프레임(600)에는 축공(640)이 형성된 한쌍의 제2고정편(641)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620)에는 축공(621)이 형성된 연결편(622)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622)은 한쌍의 제2고정편(64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터치 클램프(60)로 분리가능하게 클램핑된다. 이때 상기 축공(621)의 일측은 개방된다.12A, 12B and 12C, the saddle frame 6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fixing pieces 641 having a shaft hole 640 form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piece 622 is clamped to be detachable by the one-touch clamp 60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ing pieces 641. The connecting piece 622 has a shaft hole 621 formed therein.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haft hole 621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a,12b,12c에서와 같이, 상기 안장프레임(600)에는 축공(650)이 형성된 한쌍의 제3고정편(651)이 구비되고, 상기 후륜프레임(800)에는 축공(810)이 형성된 연결편(81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811)은 한쌍의 제3고정편(651)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터치 클램프(60)로 분리가능하게 클램핑된다. 이때, 상기 축공(810)의 일측은 개방된다. 한편, 상기 제3고정편(651)과 연결편(811) 및 원터치 클램프(60)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900)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게 된다.12A, 12B and 12C, the saddle frame 6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ird fixing pieces 651 having a shaft hole 65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The connecting piece 811 is clamped to be detachable by the one-touch clamp 60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third fixing pieces 651.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haft hole 810 is opened. The third fixing piece 651, the connecting piece 811 and the one-touch clamp 60 constitute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원터치 클램프(60)는 도 12b,12c에서와 같이 제1,2,3고정편(631)(641)(651)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원터치 클램프(60)는 도 12b,12c에서와 같이 제1,2,3고정편(631)(641)(651)을 관통하는 연결축(61)과, 연결축(61)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캡너트(62)와, 연결축(61)의 타측에 장착되는 조임판(63)과, 상기 캡너트(62)의 내측과 조임판(63)의 외측으로 각각 장착되는 고무링(64)과, 상기 연결축(61)의 타단에 힌지핀(65)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캠(66a)을 구비하는 작동레버(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2c에서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작동레버(66)를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캠(66a)에 의해 조임판(63)이 캡너트(62)측으로 조여지면서 클램핑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작동레버(66)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간단하게 클램핑이 해지된다.The one-touch clamp 60 is install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ieces 631, 641 and 651 as shown in FIGS. 12B and 12C. A connecting shaft 61 passing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ieces 631, 641 and 651, a cap nut 62 screw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61, A rubber ring 64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p nut 62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tightening plate 63 and a hinge pin 62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61, And an operating lever 66 rotatably connected by a pin 65 and having a cam 66a. 12C, when the operation lever 66 is rotated inward, the clamping plate 63 is tightened to the cap nut 62 side by the cam 66a, and the clamping is performed while the operation lever 66 66 are rotated outwardly, the clamping is simply released.

한편, 도 12d는 도 12c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2,3고정편(631)(641)(651)과 연결편(612)(622)(811)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분리방지턱(P)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턱(P)은 자전거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1,2,3고정편(631)(641)(651)과 연결편(612)(622)(811)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12D shows another embodiment of FIG. 12C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ieces 631, 641, 651 and the connecting pieces 612, 622, (P)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ieces 631, 641 and 65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pieces 612, 622 and 811 due to an impact generated during running of the bicycle, And the like.

도 13,1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5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브래킷(500)은 페달축(10)의 양측에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절첩축(510)은 브래킷(500)의 후단에 고정된다. 이때, 도 13에서 "B"부는 회전되고, 도 13에서 "C"부는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륜프레임(700)의 절첩시 상기 브래킷(500), 절첩축(510), 후륜차대(500), 후륜프레임(800)은 도 14에서와 같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13 and 1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ke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racket 500 is rotatably supported at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racket 500. At this time, the "B" part in Fig. 13 is rotated and the "C" part is fixed in Fig. 14, when the rear wheel frame 700 is folded, the brackets 500, the turning shaft 510, the rear wheel assembly 50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1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5,16,1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프레임(6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장프레임(600)과 축지지부(610)는 절첩부재(1000)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절첩부재(1000)에는 안장프레임(600)에 고정되는 고정판(1100) 및 축지지부(610)에 고정되어 고정판(1100)과 축(1201)으로 연결되는 절첩판(120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100)에는 결합홈(1110)과 결합공(112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절첩판(1200)의 일단에 형성된 축관(1210)에는 고정돌기(1310)가 형성된 결합축(1300)이 스프링(1320)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축(1300)에는 압박편(1410)과 스프링(1420)을 관통한 로드(1400)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로드(1400)에는 고정레버(1500)가 축(15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축(1300)의 고정돌기(1310)는 결합공(112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로드(1400)는 결합홈(1110)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레버(1500)의 회전에 의한 압박편(1410)의 압박으로 고정판(1100)과 절첩판(1200)이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서와 같이 로드(1400)를 회전시켜 결합홈(1110)에 끼우고, 고정레버(1500)를 고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편(1410)이 고정판(1100)과 절첩판(1200)이 밀착되도록 압박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1320)이 탄력을 받는 결합축(1300)의 고정돌기(1310)가 도 17에서와 같이 결합공(11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도 1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안장프레임(600)과 축지지부(610)는 절첩부재(1000)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반대로 고정레버(1500)를 해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편(1410)의 압박이 해지되고, 이 상태에서 로드(1400)를 회전시켜 결합홈(1110)에서 빼낸 후, 로드(140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 결합축(1300)의 고정돌기(1310)가 결합홈(110)에서 빠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절첩판(1200)을 도 16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 축지지부(610)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다.15, 16 and 1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addle fram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addle frame 600 and the axle support unit 610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folding member 1000, The folding member 10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1100 fixed to the saddle frame 600 and a folding plate 120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100 and the shaft 1201, A coupling groove 1110 and an engaging hole 1120 are formed in the shaft 1100 and an engaging shaft 1300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1310 is formed in a shaft tube 1210 formed at one end of the folding plate 1200, And one end of a rod 1400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piece 1410 and the spring 142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300 and the rod 1400 is connected to the rod 1400 The fixing lever 15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15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310 of the coupling shaft 13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hole 1120 The rod 1400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0 and the pressing plate 1410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lever 1500 so that the fixing plate 1100 and the folding plate 1200 . 15, when the rod 1400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0 and the fixing lever 1500 is rotated in the fixing direction, the pressing piece 1410 is rotated The fixing protrusion 1310 of the coupling shaft 130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20 is pressed against the coupling plate 1120 as shown in FIG. The saddle frame 600 and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610 are firmly fixed in a state of being spread by the folding member 100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lever 1500 is rotated in the releasing direction, the pressing piece 1410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rod 1400 is rotated and removed from the coupling groove 1110, The fixing protrusion 1310 of the coupling shaft 1300 is pulled out of the coupling groove 110. When the folding plate 1200 is rotated as shown in Fig. 16 in this state,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610 can be easily folded have.

상기 절첩부재(1000)의 고정판(1100)과 절첩판(1200)은 서로 반대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즉, 상기 고정판(1100)은 축지지부(610)에 고정하고, 상기 절첩판(1200)은 안장프레임(600)에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It is clear that the fixing plate 1100 of the folding member 1000 and the folding plate 1200 may be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fixing plate 1100 may be fixed to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610, and the folding plate 1200 may be fixed to the saddle frame 600.

한편, 도 15,16,17에서는 축지지부(610)가 수평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18에서와 같이 절첩부재(1000)를 90도 직각방향으로 돌려서 설치하면 축지지부(610)를 상하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절첩부재(1000)의 고정판(1100)과 절첩판(1200)은 서로 반대로 설치할 수 있다.15, 16, and 17,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610 is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if the folding member 1000 is rotated by 90 degre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direction, The fixing plate 1100 of the folding member 1000 and the folding plate 120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에 지지된 후륜(50)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펼친 상태에서, 연결부재(900)로 후륜프레임(800)을 안장프레임(600)에 견고하게 연결하면,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 5a에서와 같이 후륜(50)을 펼친 상태에서는 본 발명을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다.5A, the rear wheel frame 8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with the connecting member 900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50 supported by the rear wheel assembly 70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is rotated backward, The turning shaft 510 of the bracket 500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rotate. Therefore, when the rear wheel 50 is opened as shown in FIG. 5A,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icycle .

도 5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자전거로 사용할 경우 유아시트(400)에는 유아를 안전하게 태울 수 있고, 또한 2개의 전륜(20)과 1개의 후륜(50)을 가지는 삼륜 자전거로 이루어지므로 균형 감각이 낮은 가정주부들과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icycle, the baby seat 400 can be safely carried on the infant, and the bicycle can have two front wheels 20 and one rear wheel 50, Housewives and first-time cyclists can easily ride bicycles.

자전거의 주행중 방향전환 시에는 조향부재(300)에 의해 유아시트(400)와는 별개로 핸들(30)과 양측 전륜(20)만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므로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Only the steering wheel 30 and both front wheels 20 are moved left and right independently of the baby seat 400 by the steering member 300 at the time of turning the bicycle in the running direction so that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You can safely drive without.

자전거의 주행중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주행중 바닥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이 심한 경우에도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이 요동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during the running of the bicycle is kept firmly fixed so as not to rotate, even when the floor during running is not flat and the bending is severe, the turning shaft 510 of the bracket 500 is pivoted Therefore, safety can be ensured.

다음, 도 5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부재(900)를 해지하면 후륜프레임(800)과 안장프레임(600)이 간단하게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후륜(50)을 안쪽으로 접으면, 브래킷(500)에 설치된 절첩축(510)을 중심으로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이 회전하기 때문에,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을 도 5b에서와 같이 간단하게 회전시켜 후륜(50)을 접을 수 있다.5B, the rear wheel frame 800 and the saddle frame 600 are simp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rear wheel 50 is folded inward as shown in FIG. 5B, The rear wheel assembly 700 and the rear wheel assembly 800 are rotated around the folding axis 510 installed on the bracket 500 so that the rear wheel assembly 700 and the rear wheel assembly 800 are as simple as in FIG. So that the rear wheel 50 can be folded.

도 5b에서와 같이 후륜(50)을 안쪽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본 발명을 유모차나 쇼핑 카트 등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 5b에서와 같이 후륜(50)을 접은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아지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5B,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baby carriage, a shopping cart, and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50 is inwardly folded. Further, since the volume of the rear wheel 50 is reduced when the rear wheel 50 is folded as shown in FIG. And can be easily loaded, particularly in a trunk of an automobile.

도 5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유모차로 사용할 경우 유아시트(400)에는 유아를 안전하게 태울 수 있고, 사용자는 안장(40)이나 핸들(30)을 이용하여 유모차를 편리하게 끌고 다닐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aby carriage, the baby seat 400 can safely carry an infant,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the baby carriage using the saddle 40 or the handle 30.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페달축(10)에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을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후륜차대(700)와 후륜프레임(800)을 이용하여 후륜(50)을 간단하게 펴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와 자전거를 편리하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후륜(50)을 접으면 부피가 작아지므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조향부재(300)에 의해 전륜(20)의 조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커브를 돌 때에도 쓰러질 염려 없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extend and collapse the rear wheel 50 using the rear wheel assembly 70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which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through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The stroller and the bicycle can be conveniently used together. When the rear wheel 50 is folded, the volume becomes small, so that the stroller and the bicycle can be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travel without a large force without fear of falling down even when the curve is turned.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유모차, 휠체어, 쇼핑 카트 등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가정주부들이 영유아를 동반하여 이동할 때 장소에 따라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쉽게 변형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주부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자전거 또는 유모차로 절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baby carriage, a wheelchair, a shopping cart, and the like as needed. In particular, when housewives are moving with infants, they can easily be transformed into bicycles or baby carriages, Can easily be folded into a bicycle or a baby carriage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2개의 전륜(20)과 1개의 후륜(50)을 가지는 삼륜 자전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형 감각이 낮은 가정주부들과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들도 쉽게 자전거를 탈 수 있고, 방향전환시 조향부재(300)에 의해 유아시트(400)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핸들(30)과 양측 전륜(20)만 회전하므로 유아시트(400)에 앉아 있는 영유아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three-wheel bicycle having two front wheels 20 and one rear wheel 50, it is possible to easily ride bicycles, The baby seat 400 can be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300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child seat 400 is not rotated and only the handle 30 and both front wheels 20 are rotated, There are advantages.

10 : 페달축 20 : 전륜
21 : 전륜축 30 : 핸들
31 : 핸들축 40 : 안장
41 : 안장축 50 : 후륜
51 : 후륜축 100 : 전륜차대
200 : 쇽업소버 201 : 축지지부
300 : 조향부재 400 : 유아시트
500 : 브래킷 510 : 절첩축
600 : 안장프레임 610 : 축지지부
700 : 후륜차대 800 : 후륜프레임
900 : 연결부재 1000 : 접첩부재
10: pedal shaft 20: front wheel
21: front wheel shaft 30: handle
31: handle shaft 40: saddle
41: inner shaft 50: rear wheel
51: rear wheel shaft 100: front wheel rack
200: Shock absorber 201: Axis support
300: Steering member 400: Infant seat
500: bracket 510:
600: Saddle frame 610: Axis branch
700: Suburban car stand 800: Rear frame
900: connecting member 1000: connecting member

Claims (10)

페달축(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양측 전륜(20)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전륜차대(100);
상기 전륜차대(100)의 상부에 축(S1)으로 각각 연결되어 핸들(30)의 핸들축(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201)를 구비하는 쇽업소버(200);
상기 핸들축(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양측 전륜(2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향부재(300);
상기 쇽업소버(20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아시트(400);
상기 페달축(10)의 양측에 선단이 각각 고정되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절첩축(510)을 구비하는 브래킷(500);
상기 페달축(10)과 쇽업소버(200)의 축지지부(201)에 연결되어 안장(40)의 안장축(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610)를 구비하는 안장프레임(600);
상기 브래킷(500)의 절첩축(510)에 연결되어 후륜(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륜차대(700);
상기 브래킷(500)의 절첩축(510)과 후륜(50)의 후륜축(51)에 연결되는 후륜프레임(800);
상기 후륜프레임(800)을 절첩가능하도록 안장프레임(6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900)를 포함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
A front wheel base 10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nd rotatably supporting both front wheels 20;
A shock absorber 20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base 100 by an axis S1 and having a shaft support portion 201 for rotatably supporting a handle shaft 31 of the handle 30;
A steering member 3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shaft 31 and rotating both front wheels 20 to the left and right;
An infant seat 400 detach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shock absorber 200;
A bracket (500) having a folding axis (510) which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pedal shaft (10)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end thereof;
A saddle frame 600 having a pedestal portion 610 connected to the pedal shaft 10 and a shaft support portion 201 of the shock absorber 20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longitudinal axis 41 of the saddle 40, ;
A rear wheel support 700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to rotatably support the rear wheel 50;
A rear wheel frame 800 connected to the folding axis 510 of the bracket 500 and the rear wheel shaft 51 of the rear wheel 50;
And a connecting member (900) detachably connecting the rear wheel frame (800) to the saddle frame (600) so as to be fold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축(10)에는 구동축(11)이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페달축(10)의 양측에는 브래킷(500)의 전방부가 구동축(11)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방부가 하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K)로 경사지게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11)의 양측에는 전륜차대(100)의 후방에 구비된 연결링(11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11)의 양단에는 페달(12)이 볼트(13)체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pedal shaft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ive shaft (11) is rotatably passed through the pedal shaft (10)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and a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500) The rear portion is fix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K and the connecting rings 1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wheel assembly 10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11, And a pedal (12)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stroller (11) by fastening bolts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00)의 경사각도(K)는 30~40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bicy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K) of the bracket (500) is inclined by 30 to 40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200)에 구비된 축지지부(201)의 양측에는 고정봉(21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유아시트(400)의 후방 양측에는 고정봉(2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4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child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absorber (200) is provided with fixing rods (210) on both sides of a shaft support (201) And a fixing pin (410) that is fitted to the bicy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재(300)는 핸들축(31)의 하부에 고정되는 조향판(310)과, 상기 조향판(310)의 양측에 각각 축(S2)으로 연결되는 제1레버(320)와, 상기 전륜차대(10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전륜축(21)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331)을 구비하는 하우징(330)과, 상기 회전축(331)에 각각 연결되는 제2레버(340)와, 상기 양측 제1레버(320)와 제2레버(340)에 양단이 축(S3)(S4)으로 각각 연결되는 연결레버(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ering member (300) comprises: a steering plate (310) fixed to a lower portion of a steering shaft (31); a first lever A housing 330 which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wheel assembly 100 and has a rotation shaft 331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wheel shaft 21 and a second And a connecting lever 35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ever 340 and the first and second levers 320 and 34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hafts S3 and S4.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900)는 후륜프레임(800)과 안장프레임(600)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원터치 타입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수커플링(901)(90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connecting member 900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900 includes an arm and male couplings 901 and 90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ar wheel frame 800 and the saddle frame 600 in a one- And the breechblock combination tricy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차대(100)의 후단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안장프레임(600)에 축(S5)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bicy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ar end of the front wheel base (100) is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600) by an axis (S5) while being bent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610)에는 스토퍼(620)가 구비되고, 상기 축지지부(610)와 스토퍼(620) 및 후륜프레임(800)은 안장프레임(600)에 원터치 클램프(60)로 각각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saddle frame 600 is provided with a stopper 620 and the stopper 620 and the rear wheel frame 800 are coupled to the saddle frame 600 by a one-touch clamp 60, Respectively. The bicycle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00)은 페달축(10)의 양측에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절첩축(510)은 브래킷(500)의 후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2. The s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500) is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pedal shaft (10) and the folding axis (510)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racket (500) trisha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프레임(600)과 축지지부(610)는 절첩부재(1000)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절첩부재(1000)에는 안장프레임(600)에 고정되는 고정판(1100) 및 축지지부(610)에 고정되어 고정판(1100)과 축(1201)으로 연결되는 절첩판(120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100)에는 결합홈(1110)과 결합공(112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절첩판(1200)의 일단에 형성된 축관(1210)에는 고정돌기(1310)가 형성된 결합축(1300)이 스프링(1320)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축(1300)에는 압박편(1410)과 스프링(1420)을 관통한 로드(1400)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로드(1400)에는 고정레버(1500)가 축(15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축(1300)의 고정돌기(1310)는 결합공(112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로드(1400)는 결합홈(1110)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레버(1500)의 회전에 의한 압박편(1410)의 압박으로 고정판(1100)과 절첩판(12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The f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ddle frame (600) and the shaft support (610)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folding member (1000) And a folding plate 1200 fixed to the shaft supporting portion 610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00 and the shaft 1201. The fixing plate 11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110 and a coupling hole 1120, And an engaging shaft 1300 having a fixing protrusion 1310 is installed on the shaft tube 1210 formed at one end of the folding plate 1200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320, 13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rod 1400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piece 1410 and the spring 1420. A fixed lever 15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1400 by a shaft 1510, The fixing protrusion 1310 of the coupling shaft 1300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0 and the rod 14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10 And the fixing plate 1100 and the folding plate 1200 are fixed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iece 1410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lever 1500. [
KR1020150113944A 2015-08-12 2015-08-12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KR101730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44A KR101730549B1 (en) 2015-08-12 2015-08-12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44A KR101730549B1 (en) 2015-08-12 2015-08-12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735A true KR20170019735A (en) 2017-02-22
KR101730549B1 KR101730549B1 (en) 2017-04-26

Family

ID=5831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44A KR101730549B1 (en) 2015-08-12 2015-08-12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5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182A (en) * 2018-08-29 2019-01-11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Bogie and collapsible parent-offspring's entertainment car
WO2019203505A1 (en) * 2018-04-18 2019-10-24 유상진 Stroller
CN111098904A (en) * 2019-05-24 2020-05-05 维多诺·哈林 Foldable multifunctional cart
CN113320631A (en) * 2021-06-18 2021-08-31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Motor tricycle turning self-balancing system based on double front whe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75B1 (en) 2011-04-06 2013-07-23 하영근 Bicycle with baby carri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69B2 (en) * 1991-11-26 2000-08-0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Chromatographic data processor
KR100709607B1 (en) * 2006-10-20 2007-04-27 허주일 Bicycle having 3 wheels
KR101079393B1 (en) * 2008-06-12 2011-11-02 김용순 A combined baby carriage and bicycle
KR100908789B1 (en) * 2009-02-03 2009-07-22 박성운 Folding vehicle equipped a pair of front whe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75B1 (en) 2011-04-06 2013-07-23 하영근 Bicycle with baby carri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05A1 (en) * 2018-04-18 2019-10-24 유상진 Stroller
US11572093B2 (en) 2018-04-18 2023-02-07 Sang Jin Yoo Stroller
CN109178182A (en) * 2018-08-29 2019-01-11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Bogie and collapsible parent-offspring's entertainment car
CN109178182B (en) * 2018-08-29 2024-04-02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Bogie and folding parent-child recreational vehicle
CN111098904A (en) * 2019-05-24 2020-05-05 维多诺·哈林 Foldable multifunctional cart
CN113320631A (en) * 2021-06-18 2021-08-31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Motor tricycle turning self-balancing system based on double front whe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549B1 (en)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6702C2 (en) Convertible bicycle
KR101730549B1 (en)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KR101319481B1 (en) Bicycle frame and bicycle capable of transforming tricycle using the same
JP2010254265A (en) Folding bicycle
US10011316B2 (en) Vehicle with foldable double-wheel assembly
CN102275622B (en) Twin-frame bicycle
US20120187649A1 (en) Rowing-Motion Propelled Wheelchair Generating Power from Rowing Motion in Both Directions
EP3782874B1 (en) Stroller
US3229782A (en) Collapsible three wheeled power vehicle
CN103895683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buggy
KR100889463B1 (en) A bicycle having double front-wheels
WO2004067352A1 (en) Infant carriage convertible for use as rider operated transport
JP5267781B2 (en) Walking stick bicycle
US20190168840A1 (en) Urban elliptical bicycle
KR200462239Y1 (en) Reverse tricycle capable departing and folding front wheel part
KR101747321B1 (en) Pram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ricycle
CN210175048U (en) Multifunctional baby carriage
CN203391926U (en) Multifunctional children bike
JP2017013662A (en) Bicycle steering device and tricycle equipped with the same
JP2012224186A (en) Bicycle for safe ride
CN201385731Y (en) Front-driving back-steering reclining type three-wheeled bicycle
CN207550389U (en) A kind of changeable built-up pram
JP2005119450A (en) Front double-wheel and rear single-wheel tricycle
KR100796348B1 (en) Bicycle with baby carriage
KR20140122158A (en) Baby carriage using bicycl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