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574A - 한옥식 발코니 - Google Patents

한옥식 발코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574A
KR20170019574A KR1020150113544A KR20150113544A KR20170019574A KR 20170019574 A KR20170019574 A KR 20170019574A KR 1020150113544 A KR1020150113544 A KR 1020150113544A KR 20150113544 A KR20150113544 A KR 20150113544A KR 20170019574 A KR20170019574 A KR 2017001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air
duct
wall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800B1 (ko
Inventor
이규혁
Original Assignee
이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혁 filed Critical 이규혁
Priority to KR102015011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식 발코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는, 건물의 실내와 발코니를 구획하는 벽체부와, 발코니의 외벽과 벽체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발코니의 천장에 구비된 단열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부 공간층을 형성하며, 복수의 서까래가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지붕부와, 발코니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부 공간층과 좌식 공간층을 구획하는 마루부와, 상부 공간층과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은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며, 타측은 벽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에 노출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환기부는,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타측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게 하는 급기 덕트부와, 상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실내 공기가 일측을 통해 발코니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옥식 발코니{A balcony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식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아파트의 한옥식 리노베이션 형태로 공급 가능한 한옥식 발코니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발하여 아파트의 주거 문화 개선과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고, 자연 순환 방식으로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옥식 발코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경제개발로 인한 산업화 과정에서 삶의 환경이 크게 변하였으며, 주택 또한 많은 변화가 생겼다. 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아파트는 저층 아파트에서 초고층 아파트로 바뀌었으며, 이제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 비율(58.5% 2010년 인구주택 총 조사)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2003년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에서 "초고층아파트 거주자의 건강에 관한 조사연구"에 의하면 아파트에서 발생되는 질병조사에서 호흡기 질환 질병이 1위를 차지하였다. 최근의 아파트 및 공동 주택은 고기밀, 고단열화되면서 환기량이 감소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건물 내 오염된 공기는 재실자가 두통과 현기증을 느끼는 새집 증후군 및 헌집 증후군 현상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개정(2004)을 통하여 새집증후군 등의 문제인식과 더불어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을 정책적으로도 인식하게 되었고, 이후 국토부의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이 개정(2006) 되면서 100세대 규모 이상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경우, 세대 환기량이 시간당 0.7회 이상 이루어지도록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 설치가 규제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건축자재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환기기준이 0.5회 이상으로 하향 조정(2013.12) 되어왔다.
이러한 환기설비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동법 제11조에서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동주택에서는 열교환형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며 일부 소형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자연환기설비가 설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공동주택의 에너지소비량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국토해양부, 2009)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주택의 기밀성능 및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고효율 시스템 및 열교환 기술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도적 환경 속에서, 한옥이 사회적·문화적 아이콘으로 급부상하면서 우리 사회가 당면한 주거문제와 관련해서 검토되기 시작했으며, 한옥의 낭만적 정취와 정서적 포근함은 아파트 중심의 갑갑하고 획일적인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한옥은 주재료가 목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물에 비해 친환경적이다.
이로 인해, 국토교통부는 2009년부터 전통 주거에 대한 높은 관심을 정부시책에 반영하여, 친환경 건축물로 주목받고 있는 한옥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한옥기술개발연구단을 창립하고, 연구용역비 360억원을 투여하여 제1차 신한옥에 대한 R&D를 완료하였으며, 지금은 제2차 한옥공공건축에 대한 R&D를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정부는 국가 한옥 정책과 산업, 교육, 정보 등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국가한옥센터를 개소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민간에서는 아파트와 공동 주택에 한옥을 접목하기 위하여 한옥식 아파트를 시도하게 되었고, 그 외에 한옥식 아파트로 시공되지 않았더라도 도시 생활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이 리모델링 등 인테리어적인 방법으로 한옥의 개념을 아파트 내부에 도입하려는 수요가 확산되면서 한옥 인테리어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한옥식 아파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식 문화를 기반으로 한 인테리어적인 구성은 갖추고 있으나, 기존 한옥의 고유 특성인 "숨쉬는 공간" 개념이 반영되지 못하여 아파트라는 밀폐되고 획일화된 공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존 한옥의 고유 특성인 "숨쉬는 공간" 개념을 가장 살리기 적합한 실내 공간은 발코니라 할 수 있다. 발코니는 아파트의 구조상 외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가장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의 아파트는 내실별로 발코니를 갖추도록 설계와 건축이 이루어진 곳이 많기 때문에 발코니는 부분적인 인테리어가 가능한 공간이며, 한옥식 아파트로 건축된 곳이 아니더라도 한옥식 인테리어를 가장 적은 비용으로 리노베이션(Renovation)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공간은 한옥에 없는 구조이며, 서양식 건축물에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옥식 구성을 위한 기술은 부재한 상태이고, 발코니 창의 외관적인 디자인으로만 한옥풍의 느낌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종래의 발코니 공간에 있어서, 환기는 창을 열었을 때에만 가능했기 때문에 하절기와 동절기에 환기가 어렵고, 방범상의 문제로 창을 열어 놓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 아파트의 한옥식 리노베이션 형태로 공급 가능한 한옥식 발코니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아파트의 주거 문화 개선과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자연 순환 방식으로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옥식 발코니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아파트의 한옥식 리노베이션 형태로 공급 가능한 한옥식 발코니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아파트의 주거 문화 개선과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자연 순환 방식으로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옥식 발코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는, 건물의 실내와 발코니를 구획하는 벽체부와, 상기 발코니의 외벽과 상기 벽체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의 천장에 구비된 단열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부 공간층을 형성하며, 복수의 서까래가 상기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지붕부와, 상기 발코니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부 공간층과 좌식 공간층을 구획하는 마루부와, 상기 상부 공간층과 상기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며, 타측은 상기 벽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기에 노출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가 타측을 통해 상기 실내로 배출되게 하는 급기 덕트부와, 상기 상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실내 공기가 일측을 통해 상기 발코니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벽체부는,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창호지가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창호부와, 상기 창호부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한지가 일면에 부착되는 통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기 덕트부 및 상기 배기 덕트부는 각각, 상기 통풍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통풍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한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덕트부와,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발코니의 외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를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제3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덕트부 및 상기 제2 덕트부는 "ㄱ"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기존 아파트의 한옥식 리노베이션 형태로 공급 가능한 한옥식 발코니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아파트의 주거 문화 개선과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밀폐된 아파트에 한식 휴식 공간을 제공하여 고령화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발코니의 상하측에 급배기 덕트부를 설치함으로써,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환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에 대하여 방범 대응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에너지가 필요한 강제 환기 장치가 없어도 실내 공기의 환기가 가능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자연 순환 방식으로 신선한 자연 공기는 실내로 유입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는 배출시킴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급기 덕트부가 여러 지점에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차거나 더운 공기가 실내에 유입될 때 적절한 온도로 조절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배기 덕트부가 여러 지점에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역류되어 내부로 직접 들어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주재료가 목재로 이루어지는 한옥식 발코니를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물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목재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한식 시스템 창호을 설치함으로써, 전통 한옥의 멋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환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벽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옥식 발코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환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1)는 실내(10)와 발코니(20)를 포함하는 건물에 설치되고, 벽체부(100), 지붕부(200), 마루부(300) 및 환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벽체부(100)는 건물의 실내(10)와 발코니(20)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벽체부(100)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지붕부(200)는 발코니(20)의 천장에 구비된 단열재(21)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부 공간층(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붕부(200)는 복수의 서까래(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까래(210)는 발코니(20)의 외벽(22)과 벽체부(100)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발코니(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까래(210)의 상부는 회반죽(211)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수의 서까래(210)의 마감재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200)는 기둥부(220), 보부재(230), 도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둥부(220)는 발코니(2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진 바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부재(230)는 일단이 기둥부(2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리부(240)는 보부재(230)의 상부에서 보부재(2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리부(24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보부재(2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까래(210)는 도리부(240)의 상부에서 경사지게 결합되고, 발코니(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리부(240)는 복수의 서까래(210)의 하중을 기둥부(220)로 전이시켜 복수의 서까래(210)의 하중으로 인한 파손이나 붕괴를 막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부(300)는 격벽(310)에 의해 발코니(20)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부 공간층(S2)과 좌식 공간층(S3)을 구획할 수 있다. 좌식 공간층(S3)은 한옥의 대청 마루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세대 구성원이 앉아서 쉴 수 있는 좌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공간층(S2)의 일측은 발코니(20)의 내부 공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통풍구(H1)가 형성되고, 타측은 실내(10)의 공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통풍구(H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풍부(H1) 및 제2 통풍구(H2)는 후술할 한지(121)가 부착되어 공기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공간층(S2)은 제1 통풍구(H1)와 제2 통풍구(H2)를 통해 발코니(20)의 내부 공기 및 실내(10)의 공기와 서로 연통하기 때문에, 발코니(20)의 창문(23)을 통해 들어온 외부 공기가 제1 통풍구(H1)를 통해 하부 공간층(S2)으로 유입되어 하부 공간층(S2)을 통과하는 동안 마루부(300) 및 발코니(20)의 바닥면과 자연스럽게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부 공간층(S2)의 일측에 온수부(미도시) 또는 전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온돌 방식으로 난방이 이루어질 경우, 겨울철에 하부 공간층(S2)을 통과하는 공기가 난방에 의해 데워지면서 제2 통풍구(H2)를 통해 실내(10)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여름철에 실내(10)의 공기보다 더운 외부 공기가 제1 통풍구(H1)에 유입될 경우, 더운 외부 공기는 하부 공간층(S2)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상태로 제2 통풍구(H2)를 통해 실내(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밤공기는 실내(10)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하부 공간층(S2)을 통과하여 실내(10)로 유입될 경우 실내(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하부 공간층(S2)은 마루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을 제1 통풍구(H1) 및 제2 통풍구(H2)를 통해 분산시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기부(400)는 상부 공간층(S1)과 하부 공간층(S2)에 설치되고, 일측은 발코니(20)의 외벽(22)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며, 타측은 벽체부(100)에 설치되어 실내(10)의 공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부(400)는 급기 덕트부(410) 및 배기 덕트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급기 덕트부(410)는 하부 공간층(S2)에 설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타측을 통해 실내(10)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 덕트부(410)가 설치될 경우, 창호의 개방 또는 강제 환기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실내(10)로 신선한 외부의 찬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난방에 의해 하부 공간층(S2)을 통과하는 공기가 데워질 경우, 급기 덕트부(410)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 또한 타측을 향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10)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난방부하(暖房負荷)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 덕트부(410)의 일측은 필터링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 먼지, 유해 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기 덕트부(420)는 상부 공간층(S1)에 설치되고, 대류에 의해 상승하여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실내(10)의 공기가 일측을 통해 발코니(2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여름철에 실내(10)의 공기가 가열되는 경우, 배기 덕트부(420)의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실내(10)의 공기가 배기 덕트부(420)의 일측을 통해 발코니(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 냉방부하(冷房負荷)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실내(10)의 공기가 오염된 공기일 경우, 배기 덕트부(420)의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실내(10)의 공기가 배기 덕트부(420)의 일측을 통해 발코니(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실내(10)의 환경이 좀 더 쾌적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 덕트부(410) 및 배기 덕트부(420)가 발코니(20)의 하부 공간층(S2) 및 상부 공간층(S1)에 설치될 경우, 별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가 없더라도 대류에 의한 자연 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환기부(400)에 구비된 급기 덕트부(410) 및 배기 덕트부(420)는 각각, 제1 덕트부(401), 제2 덕트부(402) 및 제3 덕트부(4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덕트부(401)는 후술할 벽체부(100)의 통풍부(120)에 인접한 위치에서 통풍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후술할 한지(121)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401A)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 덕트부(402)는 발코니(20)의 외벽(22)에 인접한 위치에서 발코니(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발코니(20)의 외벽(22)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402A)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덕트부(401) 및 제2 덕트부(402)는 "ㄱ"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덕트부(403)는 제1 덕트부(401)와 제2 덕트부(402)를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 덕트부(410) 및 배기 덕트부(420)는 각각, 제1 덕트부(401)와 제2 덕트부(402)가 각각 "ㄱ"자형을 이루며 제3 덕트부(403)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ㄹ"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급기 덕트부(410)가 여러 지점에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공간층(S2)에서 장시간 체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외부의 차거나 더운 공기가 실내(10)에 유입될 때 적절한 온도로 조절되어 실내(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기 덕트부(420)가 여러 지점에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공간층(S1)에서 장시간 체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역류되어 내부로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벽체부(100)는 창호부(110) 및 통풍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벽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부(110)는 벽체부(1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00A)에 설치되고, 일면에 창호지(111)가 부착되어 개구부(100A)를 개폐할 수 있다. 창호지(111)는 닥나무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를 위해 얇고, 주로 흰색이 사용된다. 창호지(111)는 직사광선이 투과한다 해도 확산광의 효과로 빛이 부드럽고, 조도가 어느 정도 일정하여 유리와 같은 극적인 대비를 이루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통풍부(120)는 창호부(11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한지(121)가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지(121)는 얇은 종이의 형태를 띠고 있음에도 통풍, 통습 및 방한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하측 통풍부(120)는 전통머름 모양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미서기 방식으로 개폐됨으로써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의 경우, 기존 아파트의 한옥식 리노베이션 형태로 공급 가능한 한옥식 발코니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아파트의 주거 문화 개선과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밀폐된 아파트에 한식 휴식 공간을 제공하여 고령화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식 발코니에 따르면, 발코니의 상하측에 급배기 덕트부를 설치함으로써, 창문을 개방하지 않아도 환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입 등에 대하여 방범 대응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한옥식 발코니
10: 실내 20: 발코니
100: 벽체부 110: 창호부
120: 통풍부 200: 지붕부
300: 마루부 400: 환기부
410: 급기 덕트부 420: 배기 덕트부

Claims (4)

  1. 건물의 실내와 발코니를 구획하는 벽체부;
    상기 발코니의 외벽과 상기 벽체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의 천장에 구비된 단열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부 공간층을 형성하며, 복수의 서까래가 상기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지붕부;
    상기 발코니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부 공간층과 좌식 공간층을 구획하는 마루부; 및
    상기 상부 공간층과 상기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되며, 타측은 상기 벽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기에 노출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하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가 타측을 통해 상기 실내로 배출되게 하는 급기 덕트부; 및
    상기 상부 공간층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실내 공기가 일측을 통해 상기 발코니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식 발코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창호지가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창호부; 및
    상기 창호부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의 투과가 가능한 한지가 일면에 부착되는 통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식 발코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부 및 상기 배기 덕트부는 각각,
    상기 통풍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통풍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한지와 연통하는 복수의 제1 관통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덕트부;
    상기 발코니의 외벽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발코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발코니의 외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관통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 덕트부; 및
    상기 제1 덕트부와 상기 제2 덕트부를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제3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식 발코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부 및 상기 제2 덕트부는 "ㄱ"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식 발코니.
KR1020150113544A 2015-08-12 2015-08-12 한옥식 발코니 KR10185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44A KR101859800B1 (ko) 2015-08-12 2015-08-12 한옥식 발코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544A KR101859800B1 (ko) 2015-08-12 2015-08-12 한옥식 발코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574A true KR20170019574A (ko) 2017-02-22
KR101859800B1 KR101859800B1 (ko) 2018-05-21

Family

ID=5831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544A KR101859800B1 (ko) 2015-08-12 2015-08-12 한옥식 발코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57B1 (ko) * 2019-09-16 2019-12-05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확장공간 단열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2B1 (ko) * 2005-07-07 2007-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바닥구조를 이용한 실내공간의 종합환경 개선시스템 및이를 적용한 공동주택
KR100698851B1 (ko) * 2005-11-03 2007-03-22 미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1452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800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rd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for the practising architect: a guide to help at the initial design stage
KR101859800B1 (ko) 한옥식 발코니
Jamaludin Energy performance of three residential college buildings in University of Malaya campus, Kuala Lumpur
JP2678840B2 (ja) 建築物
JP6716277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
JPH0932140A (ja) 建築物の通気構造
JP5946047B2 (ja) 建築物の局所断熱構造
Pollard Double Skin Façades–More is Less?
JP4701074B2 (ja) 建物
JP3123276U (ja) 住宅構造
JP2016056533A (ja) 建物
JP3972131B2 (ja) 住宅の通気工法
JP2000234388A (ja) 住宅と建物ユニット
Jakšić et al. Improvement of a common approach to the design of passive ventilated apartments
JP4248886B2 (ja) 微気候デザイン建物
US20090229199A1 (en) Building structure with having spaces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Uzun et al. Double skin facade in sustsinsble architecture
EP4350097A1 (en) Dynamic insulation wall assembly and respective control method
KR20110124428A (ko)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Simons et al. Comfort and acoustic monitoring in a large naturally ventilated technically advanced building
Sdei Thermal comfort in the traditional Japanese house
Krispin et al. Into the woods
JP2019178596A (ja) 建物
Salehi Natural Ventilation in Old Buildings: recommendations for its improvement
Conceição et al. Development of a Double Skin Facade System Applied in a Virtual Occupied Chamber. Inventions 2021, 6, 1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