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013A -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013A
KR20170019013A KR1020150112553A KR20150112553A KR20170019013A KR 20170019013 A KR20170019013 A KR 20170019013A KR 1020150112553 A KR1020150112553 A KR 1020150112553A KR 20150112553 A KR20150112553 A KR 20150112553A KR 20170019013 A KR20170019013 A KR 2017001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vehicle information
beam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신
강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소
Priority to KR102015011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013A/ko
Publication of KR2017001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에 있어서, 차량 내의 일 단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방사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VEHICLE INFORMATION TERMINAL CONTROLLING MICRO BEAM PROJECTOR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MULTIMEDIA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민 생활수준이 점차 향상되면서 각 가구별 차량 보유 대수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차량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주행 중 운전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 운행 관련 정보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예컨대, 차량 내에 네비게이션 또는 DMB 장치 들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은 차량 내 좁은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 등으로 화면의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다소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한계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화면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차량 전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됨으로 인해 함께 탑승한 동승자는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며,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도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443921(발명의 명칭 : 네비게이션 장치, 등록일 : 2004년07월3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정보 터미널을 통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함으로써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유익한 차량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차량 내에서 자동차극장,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정보 터미널에 있어서, 차량 내의 일 단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방사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HUD(head up display) 모드에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인터넷, 게임, 음악, TV, 영화, 쇼핑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수신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의 일 단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방사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과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HUD(head up display) 모드에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정보 터미널을 통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함으로써 주행중인 운전자에게는 유익한 차량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주행 중인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 정보, 도로정보, 각종 경고 등을 HUD(Head Up Display)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앱 및 웹서비스를 통해 차량 운행 정보, 고장 정보, 소모품 교체주기, 안전운행지수, 에코 드라이빙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탑승자는 차량 내에서 자동차극장,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 등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빔 프로젝터는 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초소형 빔으로서 탈착시 차량 외부(야외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유사 시 보조 조명으로 활용하고, 또한 일상생활, 비즈니스 및 여가 활동으로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 간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 간의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차량 내에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차량용 정보 터미널을 통해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함으로써 주행중인 운전자에게는 유익한 차량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차량 내에서 자동차극장,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차량용 정보 터미널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를 "초소형 빔 프로젝터"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비록 본 발명에서는 "초소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크기가 특정 크기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식 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구현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 차량(120), 사용자 단말(130), 정보 관리 서버(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하나의 장치 내에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을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와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고, 서로 유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블루투스)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차량(12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차량(120)에서 분리되어 차량 외부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사용자 단말(130)과 다양한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해 정보 관리 서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차량(120) 내에서 설치될 때, 차량(120) 내에 구비된 MCU(micro control unit)(121), OBD(on board diagonatics)(122), DTG(Digital Tachograph)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각종 차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의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은 상기 OBD(122) 또는 DTG(123)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은 상기 차량(120) 내의 각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를 제어하거나,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 또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각종 디스플레이할 콘텐츠 정보 등을 제공받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상기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30)(예컨대, 스마트폰)은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을 통해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운전 스타일 정보 등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해 정보 관리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 사용자 단말(130), 정보 관리 서버(150) 등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140)에 의해 서로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네트워크(14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4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 및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은 OBD 단말 또는 DTG 단말로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2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은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와 유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 또는 해상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차량(120)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차량(120)에서 탈착하여 차량 외부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에 의해 출력된 빔은 차량(120) 앞 유리에 HUD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차량 내 천정 또는 전면에 자동차 극장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에 의해 출력된 빔은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뒷면에 방사되어 각종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20)과 다양한 유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WiFi, HDMI 등)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3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관리 서버(150)와 통신하고, 차량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운전 스타일 정보 등을 정보 관리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예컨대, 안드로이드TM OS)를 탑재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충전용 배터리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블루투스, WiFi 등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며, 무선 마우스, 무선 키보드, 무선 이어폰 등과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게임, 사무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를 이용하여 제2 TV로 활용하거나, 교육(학습, 어학 등), 비즈니스(PT 등), 여가 활동(캠핑, 취미활동 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차량(12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은 OBD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와 블루투스 등의 통신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30)과 WiFi, HDMI 등의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111)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20) 내에서 HUD 화면을 통해 각종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112)는 자동차 극장 또는 엔터테인먼트 등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3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을 동일하게 미러링(mirroring)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30)은 3G/4G,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정보 관리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 서버(15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정보를 분석 또는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 서버(150)는상기 분석 또는 가공된 차량 정보에 각종 부가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30)(예컨대, PC)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 간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20)에서 시동을 ON 시키면,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은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서는 차량(120) 내의 연결 단자로 차량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120) 내의 연결 단자를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구동되고, 차량 내에 설치된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서 AP 검색을 요청하고 단말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인증 요청 정보가 전송되고, 차량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가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보 관리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정보, 가입 차량 정보, 고객 정보 등을 입력하여 회원 가입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 각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로부터 제공된 차량 관련 정보 등이 분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 간의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을 차량(120)에 장착하고,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에서 정보 관리 서버(15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관리 서버(150)의 차량 정보 수집 서버에서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 대한 시리얼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서버에서는 해당 고객의 정보를 확인한 후 설정 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 전송한다. 상기 설정 값을 수신하여 인증된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에서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 관리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생략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동작이 상기 동작들 사이에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 및 도 5의 동작들은 도시된 순서로 처리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한 실행 순서가 다른 동작의 실행 순서와 변경되어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전자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 내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동작들은 서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자동차 인터페이스(613)를 통해 OBD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배터리(621) 등으로부터 12V 전원(611)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LDO(low-dropout voltage) 레귤레이터(612)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차량 내의 OBD 단말 등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수집된 정보를 EEPROM(614) 또는 플레시 메모리(619)에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의 OBD 단자에 연결하여 차량 정보 또는 운행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인터페이스(613)를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는 프로세서(618)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18)는 G 센서(615), GPS(616), T-플레쉬(617)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18)는 HDMI 단자(620)를 구비하여 외부 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18)는 수집된 정보를 플래쉬 메모리(619)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18)는 USB(622) 단자를 구비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LED(623)로 제어 정보를 제공하여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618)는 오디오 모듈(624)을 통해 소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618)는 각종 통신 모듈(예컨대, WiFi 모듈(625), 블루투스 모듈(626) 등) 등과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618)는 빔 엔진(627)으로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빔 엔진(627)은 영상 데이터를 빔 형태로 방사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로 차량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된 차량 관련 정보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속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오일 온도, 냉각수 온도, 배터리 전압 등과 같은 차량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00)는,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버스(830), 입출력 인터페이스(840), 디스플레이(850), 통신 인터페이스(860), 차량 관리 모듈(8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80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스(83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810 내지 87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8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8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82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824), 미들웨어(8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822),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8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824), 미들웨어(823), 또는 API(822)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824)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823), API(822),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21))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830), 프로세서(810), 또는 메모리(8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824)은 상기 미들웨어(823), 상기 API(8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21)에서 상기 전자 장치(8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823)는, 예를 들면, 상기 API(8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21)이 상기 커널(824)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82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21)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21)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13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830), 프로세서(810), 또는 메모리(8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822)는,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821)이 상기 커널(824) 또는 상기 미들웨어(82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8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40)는 상기 전자 장치(8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800)와 외부 장치(메시지 서버(17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예: 메시지 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는,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또는 모듈)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터미널의 차량 내 설치 및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의 유리의 측면에 HUD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차량의 전면 또는 시트 뒷면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인터넷, 게임, 음악, TV, 영화, 쇼핑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HUD 모드로서 도로 정보, 턴바이턴 네비게이션, 속도계, 각종 경고 아이콘, 안전운행/에코드라이빙 지수,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사고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엔터테인먼트 정보로서 차량 내 오디오 시스템과 연계하여 영화, 음악, 게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내부의 천정에 빔을 방사함으로써 자동차 극장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뒷면에 빔을 방사하여 인터넷 등을 제공하거나, 스마트폰 화면을 미러링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 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차량용 정보 터미널 111 :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112 : 초소형 빔 프로젝터 120 : 차량
121 : MCU 122 : OBD
123 : DTG 130 : 사용자 단말
140 : 통신 네트워크 150 : 정보 관리 서버

Claims (10)

  1.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에 있어서,
    차량 내의 일 단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방사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HUD(head up display) 모드에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인터넷, 게임, 음악, TV, 영화, 쇼핑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수신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8.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의 일 단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정보 처리 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방사하는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과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정보 터미널은
    HUD(head up display) 모드에서 상기 수집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초소형 빔 프로젝터로 제공하는,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50112553A 2015-08-10 2015-08-10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70019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53A KR20170019013A (ko) 2015-08-10 2015-08-10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53A KR20170019013A (ko) 2015-08-10 2015-08-10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13A true KR20170019013A (ko) 2017-02-21

Family

ID=5831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53A KR20170019013A (ko) 2015-08-10 2015-08-10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0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46A (ko) 2019-08-30 2021-03-1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빔프로젝터
CN113709706A (zh) * 2021-08-17 2021-11-26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座舱的显示控制方法、装置、系统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21B1 (ko) 1996-09-30 2004-09-18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내비게이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21B1 (ko) 1996-09-30 2004-09-18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내비게이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46A (ko) 2019-08-30 2021-03-1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빔프로젝터
CN113709706A (zh) * 2021-08-17 2021-11-26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座舱的显示控制方法、装置、系统及终端
CN113709706B (zh) * 2021-08-17 2024-03-26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座舱的显示控制方法、装置、系统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7918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2248474B1 (ko) 음성 명령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3081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011557A1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356435B1 (en) Multiple application authentication
US20190378475A1 (en) Vehicle device, display method in vehic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 electronic device
CN108986806A (zh) 基于声源方向的语音控制方法及系统
CN112861638A (zh) 一种投屏方法及装置
US11176389B2 (en) Non-intrusive intra-vehicular user location detection
US11341529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thereof
KR102280545B1 (ko)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2804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Application Portability Over Multiple Environments
US8989919B2 (en) Server,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02969A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48919B1 (ko) 위치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CN108228811A (zh) 信息推荐方法及系统
CN106412799B (zh) 车载电子设备和其控制方法
CN106200894A (zh) 事件通知方法及其设备
JP6564845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起動加速
KR10265657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825051B2 (en) Dynamic billboard advertisement for vehicular traffic
KR20170019013A (ko) 초소형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통합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210334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applications in a display-limited environment
US96911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display restriction in a headset computer
EP436918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