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756A -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 Google Patents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756A
KR20170018756A KR1020160012571A KR20160012571A KR20170018756A KR 20170018756 A KR20170018756 A KR 20170018756A KR 1020160012571 A KR1020160012571 A KR 1020160012571A KR 20160012571 A KR20160012571 A KR 20160012571A KR 20170018756 A KR20170018756 A KR 2017001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support frame
cultiva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길
Original Assignee
박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길 filed Critical 박노길
Publication of KR2017001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환봉을 절곡 성형하여 하부 중앙에는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형의 삽입부(11)가, 그리고 상부 양측에 재배용기 등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파이프(3)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 장착부를 형성하여서 된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에 있어서, 받침프레임(1)의 상단 양측부분을 계단식으로 2단 절곡하여 바깥쪽 상단(12)에는 관수호스(4)를 안착시킬 수 있는 관수호스 안착부(12')를 형성하고, 안쪽 단(13)에는 재배용기 받침파이프(3)를 안착시킬 수 있는 파이프안착부(13')가 일체로 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점적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관수호스(4)와, 재배용기를 받치는 받침파이프(3)를 별도의 조립용 부품이나 자재 없이 신속 간편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설재배 시설에 따른 시간과 인력절감은 물론 각종 자재 또한 절감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A supporter for cultivating at high position}
본 발명은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나 환봉 또는 밴드형태의 금속부재로 절곡 성형하되, 합성수지 또는 스치로폼으로 된 재배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게 한 받침파이프가 신속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고, 점적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수호스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고설재배 시설을 할 때 시공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시키며, 이에 따라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딸기, 토마토 등을 비롯하여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토양에 이랑을 만들고 그 위에 육묘를 이식하여 재배하는 토양재배와, 상토 및 양액 배지를 재배용기에 담아서 규격의 선반 위에 설치하고, 재배용기의 상토 및 양액 배지에 육묘를 이식하여 재배하는 고설 재배와,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회전축에 로프를 감고, 로프 타 측은 천장의 횡주에 묶어서 고정하며, 상기 로프에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의 행인 고리에 육묘가 식재된 재배용기를 메달고, 상기 재배용기를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일조량과 기온을 조절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행인 거터 재배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토양재배에 비하여 고설재배는 작물의 식재 밀도가 1.2~1.5배 정도이고, 행인거터 재배는 1.5~2배 정도로 높아 수확량이 늘어나게 되지만 고설재배와 행인거터 재배는 시설비가 많이 드는 결점을 피할 수 없다.
또 상기 고설재배와 행인거터 재배의 경우 상토와 양액 배지를 수납하고 작물을 식재하는 재배용기를 규격화하게 되면 양액 등 용수공급 관로와 배수관로, 이동 수단 등이 재배용기마다 구비되어야 하므로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개별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다.
한편 고설재배에 있어서 시공원가를 줄일 수 있게 하려면, 재료나 자재가 적게 들어가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야 함은 물론 조립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인력이 적게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종래에는 7~9mm 환봉을 절곡하여 받침프레임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받침프레임은 하부에 지주파이프 상단에 탄성에 의해 삽입장착 되도록 V형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은 ㄷ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횡파이프 안착부를 형성한 다음 횡파이프를 클립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베드 받침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즉, 베드받침프레임의 형상 및 구성은 간단하기 때문에 이를 제작하는 데는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관수를 위한 호스설치나 재배용기를 안착 지지하는 받침파이프를 설치할 때는 받침프레임과 받침파이프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클립을 사용해야만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수로 따라야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시설에 따른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드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는 것이다.
①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 1999-6568호(공개일자 : 1999.01.25.) ② 국내 특허등록 제1197333호(공고일자 : 2012.11.05.) ③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2-100233호(공개일자 : 2012.09.12.) ④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3-11219호(공개일자 : 2013.01.30.) 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3-29892호(공개일자 : 2013.03.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환봉 또는 폭이 좁은 띠 형상의 금속편을 절곡 성형하여 하부에 V형 삽입부가 구비된 고설재배용 베드 받침프레임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받침파이프를 안착시킬 수 있는 파이프안착부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파이프를 안착시킨 뒤 천막지로 베드구성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단 양측부분을 계단식으로 2단 절곡하여 바깥쪽 상단에는 관수호스를 안착시킬 수 있는 관수호스 안착부를 형성하고, 안쪽 단에는 재배 용기 받침파이프를 안착시킬 수 있는 파이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고설재배시설시 시공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관수호스걸이나 파이프고정클립 등이 불필요하여 시설비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고설재배용 베드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파이프를 ∪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상부 양측의 파이프구멍에 받침파이프에 파이프지지구를 결합한 상태에서 삽입장착하고, 정면 양측 하부에 물받이 걸봉을 용접하여 비닐 또는 천막지 재질로 된 물받이를 설치하며, 하단 중앙부에 삽입부를 용접 설치함으로서, 더욱 견고하게 받침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받이로 소요되는 비닐 또는 천막지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고설재배용 베드 받침프레임을 제공하려는데도 목적이 있는 것이다.
환봉을 절곡 성형하여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1)을 구성하되, 상기 받침프레임(1)은 하부 중앙에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형의 삽입부(11)를, 그리고 상부 양측에 재배용기 등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파이프(3)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 안착부(13a)(13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은 받침파이프(3)를 바깥 쪽 측면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키거나 내측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바깥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b)(13b')나, 또는 안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c)(13c')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프레임(1)의 상단 양측부분을 계단식으로 2단 절곡하여 바깥쪽 상단(12)에는 관수호스(4)를 안착시킬 수 있는 관수호스안착부(12')를 형성하고, 안쪽 단(13)에는 재배용기 받침파이프(3)를 안착시킬 수 있는 파이프안착부(13')가 일체로 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를 절곡 성형하여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1)을 구성하되, 상기 받침프레임(1)은 하부 중앙에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되면서 파이프를 수직으로 용접 형성하여서 된 삽입부(11)를, 그리고 받침프레임(1) 양측 상단에는 받침파이프(3)에 끼워 지지하는 파이프지지구(13x)를 삽입 장착하며, 받침프레임(1) 양측에는 사선방향으로 물받이 걸봉(15)을 용접 고정시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삽입부(11)를 가진 받침프레임(1)의 상단 양측에 파이프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구조가 지극히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사용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비용이 저렴하게 들어 농가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삽입부(11)를 가진 받침프레임(1)에 관수호스안착부(12')와 파이프안착부(1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점적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관수호스(4)와, 재배용기를 받치는 받침파이프(3)를 별도의 조립용 부품이나 자재없이 신속 간편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설재배 시설에 따른 시간과 인력절감은 물론 각종 자재 또한 절감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프레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프레임의 정면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프레임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프레임의 정면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첨부도면 도1~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받침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받침프레임의 정면 예시도이며, 도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상기 도1~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봉재, 또는 폭이 좁은 철밴드를 절곡 성형하여서 된 것으로, 특히, 단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제조가 손쉽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 절감효과가 매우 크다.
특히, 본 발명은 지주파이프(2) 상단에 꽂았을 때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꽂아 설치할 수 있게끔 삽입부(11)가 ∨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11)는 자체적으로 탄성이 발휘되기 때문에 지주파이프(2)의 상단 구멍에 삽입시킬 때 강제적으로 오므러 들면서 삽입되게 되어 조립이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일단 삽입된 뒤에는 삽입부(11)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려고 작용하기 때문에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받침프레임(1)의 상부 양측에 파이프안착부(13a)(13a')를 형성함으로서 받침파이프(3)를 별도의 부품이나 자재 없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안착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천막지(6) 등을 이용하여 베드, 또는 물받이(7)를 구성할 때 인력과 시간, 그리고 자재비용 등을 크게 절감하면서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로서, 이는 받침프레임(1)의 상단에 형성되는 파이프 안착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받침파이프(3)를 바깥 쪽 측면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키거나 내측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바깥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b)(13b')나, 또는 안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c)(13c')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안착부(13b)(13b') 또는 파이프 안착부(13c)(13c')를 C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받침파이프(3)를 측 방향에서 밀어 끼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받침파이프(3)를 파이프 안착부(13b)(13b') 또는 파이프 안착부(13c)(13c')에 끼워 설치하는 순간 자연적으로 하 방향은 물론 상 방향으로도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특히, 파이프 안착부(13b)(13b') 또는 파이프 안착부(13c)(13c')가 자체탄성이 발휘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고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6~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6은 사시도이고, 도7은 정면예시도이며, 도8은 사용상태 사시도, 도9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6~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봉 또는 소정의 폭으로 된 금속밴드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서 이음부나 용접부분이 전혀 없다. 또, 본 발명은 지주파이프(2) 상단에 꽂았을 때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부(11)가 ∨형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삽입부(11)는 자체적으로 탄성이 발휘되기 때문에 지주파이프(2)의 상단 구멍에 삽입시킬 때 강제적으로 오므러 들면서 삽입되게 되어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일단 삽입된 뒤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지려고 작용하기 때문에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받침프레임(1)의 상부 양측에 2단으로 단차지도록 형성하여 바깥쪽 상단(12)에는 관수호스안착부(12')를 형성하고, 안쪽 단(13)에는 받침파이프(3)를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안착부(13')를 형성함으로서 관수호스(4)나 받침파이프(3)를 별도의 부품이나 자재 없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안착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고설재배시설을 할 때 인력과 시간, 그리고 자재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파이프 안착부(13')는 받침파이프(3)의 직경을 감안하여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받침파이프(3)의 외경보다 큰 공차로 되게 절곡 형성하여 단순하게 안착되게 하거나, 또는 받침파이프(3)의 외경보다 작은 공차로 형성하여 받침파이프(3)를 안착시킬 때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게끔 형성하여도 된다.
또 관수호스안착부(12')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관수호스(4)에는 점적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연결시켜 사용하면 된다.
도10~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파이프를 ∪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고설 재배용 받침프레임(1)을 구성하되, 상기 받침프레임(1)은 하부 중앙에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되면서 파이프를 수직으로 용접 형성하여서 된 삽입부(11)를, 그리고 받침프레임(1) 양측 상단에는 받침파이프(3)에 끼워 지지하는 파이프지지구(13x)를 삽입 장착하며, 받침프레임(1) 양측에는 사선방향으로 물받이 걸봉(15)을 용접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의 받침프레임(1)은 파이프를 만곡시켜 형성한 것이기에 매우 튼튼하여 고설재배시 베드 및 배지, 그리고 작물의 하중 등을 오랜 시간이 흐르더라도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받침파이프(3)를 받침프레임(1)에 고정 설치할 때, 받침파이프(3)에 파이프지지구(13x)를 감아 결합시킨 상태에서 받침프레임(1) 양측 상단 구멍에 끼우면 됨으로 받침파이프(3)의 설치가 매우 견고하면서도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받이 걸봉(15)이 받침프레임(1)의 정면 하부 양측에 용접되어 있어 비닐 또는 천막지로 된 물받이를 물받이 걸봉(15)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물받이가 베드에서 떨어지는 물을 안정적으로 받아 줄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만 설치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해 물받이로 사용되는 비닐이나 천막지의 양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1)은 상부 양측을 단차지게 절곡 형성하여, 바깥쪽 상단(12)에는 관수호스(4)을 안착시킬 수 있는 관수호스안착부(12')를 형성하고, 안쪽 단(13)에는 받침파이프(3)를 안착 지지하도록 파이프안착부(13')를 형성함으로써 받침프레임(1)에 관수호스안착부(12')와 파이프안착부(13')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절곡 형성한 것이 특징으로서 이음부나 용접부위가 전혀 없이 하나의 환봉이나 철밴드로 제작되기에 제조가 손쉽고 양산이 용이하여 제조원가 또한 저렴하게 드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발명의 사상과 목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받침프레임 2 : 지주파이프 3 : 받침파이프
4 : 관수호스 5 : 지주침하방지구 6 : 천막지
7 : 물받이 8 : 천막지 고정클립 9 : 물받이 지지클립
11 : 삽입부 12 : 바깥쪽 상단 12': 관수호스 안착부
13 : 안쪽단 13',13a,13a',13b,13b',13c,13c': 파이프 안착부
15 : 물받이 걸봉

Claims (4)

  1. 환봉을 절곡 성형하여 하부 중앙에는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형의 삽입부(11)가, 그리고 상부 양측에 재배용기 등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파이프(3)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 장착부(13a)(13a')를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은 받침파이프(3)를 바깥 쪽 측면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키거나 내측에서 밀어 끼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바깥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b)(13b')나, 또는 안쪽 측면이 개방된 C형의 파이프 안착부(13c)(13c')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받침프레임(1)의 상단 양측부분을 계단식으로 2단 절곡하여 바깥쪽 상단(12)에는 관수호스(4)를 안착시킬 수 있는 관수호스안착부(12')를 형성하고, 안쪽 단(13)에는 재배용기 받침파이프(3)를 안착시킬 수 있는 파이프안착부(13')가 일체로 되게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하되, 받침프레임(1)의 하부 중앙에 지주파이프(2) 상단 구멍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를 수직으로 용접 형성하여서 된 삽입부(11)를, 그리고 받침프레임(1) 양측 상단 구멍에는 받침파이프(3)에 끼워 지지하는 파이프지지구(13x)를 삽입 장착하며, 받침프레임(1) 정면 하부 양측에는 사선방향으로 물받이 걸봉(15)을 용접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KR1020160012571A 2015-08-10 2016-01-29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KR20170018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3308 2015-08-10
KR1020150113308 2015-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56A true KR20170018756A (ko) 2017-02-20

Family

ID=5826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571A KR20170018756A (ko) 2015-08-10 2016-01-29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7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28U (ko) * 2017-06-26 2019-01-04 김영석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101974827B1 (ko) * 2018-12-26 2019-05-07 사단법인 한국온실작물연구소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KR20190001057U (ko) * 2017-10-25 2019-05-07 김영석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219A (ko) 2011-07-21 2013-01-30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20130029892A (ko) 2011-09-16 2013-03-26 김좌환 이동식 고설 베드 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219A (ko) 2011-07-21 2013-01-30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20130029892A (ko) 2011-09-16 2013-03-26 김좌환 이동식 고설 베드 재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2-100233호(공개일자 : 2012.09.12.)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 1999-6568호(공개일자 : 1999.01.25.)
국내 특허등록 제1197333호(공고일자 : 2012.11.0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28U (ko) * 2017-06-26 2019-01-04 김영석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20190001057U (ko) * 2017-10-25 2019-05-07 김영석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KR101974827B1 (ko) * 2018-12-26 2019-05-07 사단법인 한국온실작물연구소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MX2012008531A (es) Unidad colgante vertical en forma de bolsas para cultivo hidroponico de plantas y un panel de unidades colgantes verticales en forma de bolsas para cultivo hidroponico.
US20030024159A1 (en) Frame for elevated cultivation device
KR20170018756A (ko) 고설재배용 받침프레임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CN104115692A (zh) 蓄排水种植槽
KR20140105355A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514344B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의 횡주 걸이대
AU2013311431B2 (en)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JP2007306849A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JP3177622U (ja) 高設栽培用支持スタンド及び高設栽培装置
KR101890509B1 (ko) 조립식 저면관수용 베드
KR20150121811A (ko) 딸기용 고설 재배대
KR20190000028U (ko)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101248497B1 (ko) 수경재배시스템
JP2010029096A (ja) 多段容器式栽培装置
JPH08105245A (ja) フェンス
KR0129738Y1 (ko) 작물의 공중육묘 장치
KR100706019B1 (ko) 급수장치를 구비한 작물재배용 화분
CN205389643U (zh) 一种便于培养的花卉培养装置
CN204260399U (zh) 一种管道及管配件组成的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