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657A -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 Google Patents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657A
KR20170018657A KR1020150112562A KR20150112562A KR20170018657A KR 20170018657 A KR20170018657 A KR 20170018657A KR 1020150112562 A KR1020150112562 A KR 1020150112562A KR 20150112562 A KR20150112562 A KR 20150112562A KR 20170018657 A KR20170018657 A KR 2017001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ld
fire
building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146B1 (ko
Inventor
임장호
이헌덕
Original Assignee
임장호
이헌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이헌덕 filed Critical 임장호
Priority to KR102015011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1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냉, 온수배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차열용 관재와 상기 차열용 관재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 상에 설치고정되어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냉, 온수용 배관이 방화구획된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냉동기의 작동을 인한 배관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를 통하여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와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라인을 벌려 상기 냉, 온수용 배관의 상기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길이에 대하여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타입으로 설치홈이 내향 함몰형성되는 차열용 관재 및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내측이 일정두께만큼 상기 차열용 관재의 설치홈 상에 삽입설치되며,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Fire proof cover for pip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 온수배관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차열용 관재와 상기 차열용 관재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 상에 설치고정되어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냉, 온수용 배관이 방화구획된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냉동기의 작동을 인한 배관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를 통하여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와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열효율이 높고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에 중앙에서 냉방, 난방, 위생 및 소화 시설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중앙통제시스템에서는 통상 건물의 지하 기계실에 설치되는 냉동기 및 난방기 등으로부터 냉, 온수를 건물의 구획된 다수의 실내 측으로 배관을 통하여 분기 안내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관계통을 통해 냉, 난방 배관으로 공급된 급수는 건물의 배관덕트를 거쳐, 구획된 다수의 실내 측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관 중 냉수배관은 상기 냉동기로부터 연장되어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되는데, 내부에 냉수가 흐르게 되므로 냉수배관 외부의 따뜻한 공기가 외면에 접촉되어 온도 차에 의해 냉수배관 주위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주위가 항상 습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냉수배관 주위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주위가 항상 습하게 됨에 따라, 곰팡이가 생기거나 습한 조건에 의해 세균들이 서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물의 배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배관의 설치예시에 의하면, 건물에 구비되는 냉동기 및 난방기(10)로부터 건물에 설치되는 냉, 난방 유닛(20)과 연결되는 배관(30)은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50)를 관통토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벽 및 슬래브(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배관(30)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벽 및 슬래브(50) 상에 관통된 관통공(51) 내면에 밀착 시공되는 배관슬리브(53) 내부를 관통하도록 냉, 온수용 배관(30)이 배치되며, 이때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의 내부로 냉수 통과시 외면에 결로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의 외면이 감싸지게 단열재(4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4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리팅처리되어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의 외면을 감싸지게 고정되며, 이러한 단열재(40)가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을 감싼 상태에서 단열재(4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열재(40)의 길이방향으로 케이블 타이 등 기타고정수단을 통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냉, 온수용 배관(30)을 벽 및 슬래브(50)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외면에 단열재(40)가 감싸지도록 하여 냉, 온수용 배관(30)의 외면을 감싸되, 특히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의 경우에 단열재(40)로 외면을 감싸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 온수용 배관(30)의 벽 및 슬래브(50)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외면에 단열재(40)가 감싸지도록 한 경우에는 냉, 온수용 배관(30)의 외면에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을 감싸는 단열재(40)의 외면이 벽 및 슬래브(50)의 관통공(51)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53) 내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벽 및 슬래브(50)의 관통공(51)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53) 내면과 단열재(40)의 외면이 일정거리 떨어지게 됨에 따라 그 틈새로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냉, 온수용 배관이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를 통하여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벽체 및 슬래브에 냉, 온수용 배관을 관통토록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5051호 2009.05.27.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 외면을 감싸는 차열용 관재와 상기 차열용 관재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 상에 설치고정되어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냉, 온수용 배관이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배관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를 통하여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라인을 벌려 상기 냉, 온수용 배관의 상기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길이에 대하여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타입으로 설치홈이 내향 함몰형성되는 차열용 관재 및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내측이 일정두께만큼 상기 차열용 관재의 설치홈 상에 삽입설치되며,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어 화재 발생시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발포 팽창하여 상기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포성 방화 띠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며, 100~300℃ 범위에서 반응되어 발포 팽창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차열용 관재는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화재 발생시 상기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다중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차열용 관재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이 복수 개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발포성 방화 띠는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어, 상기 차열용 관재의 각 설치홈 상에 복수 개로 삽입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성 방화 띠는 외면이 상기 배관슬리브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외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주름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포성 방화 띠는 상기 발포성 방화 띠의 절개라인에 대하여 상기 차열용 관재의 절개라인과 상호 일정각도 엇갈리는 상태로, 내측 일정두께만큼이 상기 차열용 관재의 설치홈 상에 삽입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의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 외면을 감싸는 차열용 관재와 상기 차열용 관재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 상에 설치고정되어 외면이 배관슬리브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냉, 온수용 배관의 벽 및 슬래브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냉수 공급시 배관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로 방화 띠가 선택적으로 발포되어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냉, 온수용 배관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의 관통공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 사이로 방화 띠가 선택적으로 발포되어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물의 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벽 및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벽 및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벽 및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는 냉동기 및 난방기(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500)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510)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300)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은 건물에 구비되는 냉동기 및 난방기(100)로부터 건물에 설치되는 냉, 난방 유닛(200)과 연결되도록, 방화 구획된 벽 및 슬래브(500)를 관통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는 차열용 관재(410) 및 발포성 방화 띠(450)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열용 관재(410)는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라인(411)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라인(411)을 벌려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길이에 대하여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타입으로 설치홈(415)이 내향 함몰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열용 관재(410)는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라인(451)이 형성되어 내측이 일정두께만큼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설치홈(415) 상에 삽입설치되며, 외면이 배관슬리브(530)의 내면과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포성 방화 띠(450)는 특히,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어 화재 발생시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발포 팽창하여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며, 100~300℃ 범위에서 반응되어 발포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에서, 상기 설치홈(415) 상에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 일정길이에 대하여 감싸는 차열용 관재(410)는 상단과 하단에 단열재(400')가 밀착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외면을 제외한 나머지의 외면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단열재(400')가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외면을 제외한 나머지의 외면에 대하여 감싸도록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에 대하여 따뜻한 공기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외면 부분은 상기 차열용 관재(410)에 의해 결로현상 발생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에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외면이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주름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의 절개라인(451)에 대하여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절개라인(411)과 상호 일정각도 엇갈리는 상태로, 내측 일정두께만큼이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설치홈(415) 상에 삽입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의 벽 및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의 사용상태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의 다른 실시예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설치홈(415)과 발포성 방화 띠(450)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는 화재 발생시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다중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400)에서, 상기 차열용 관재(410)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415)이 복수 개로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상기 설치홈(415)과 대응되어,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각 설치홈(415) 상에 복수 개로 삽입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홈(415)과 발포성 방화 띠(450)가 복수 개로 제공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다중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냉동기 및 난방기(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벽 및 슬래브(500)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510)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300) 외면을 감싸는 차열용 관재(410)와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415) 상에 설치고정되어 외면이 배관슬리브(530)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4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냉, 온수용 배관(300)의 벽 및 슬래브(500)를 관통토록 설치시에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500)의 관통공(510)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530) 사이를 통하여 벽 및 슬래브(500)의 상측 실내공간 측으로 화재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벽 및 슬래브(500)의 관통공(510) 상에 일체로 시공된 배관슬리브(530) 사이로 방화 띠(450)가 선택적으로 발포되어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나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냉동기 및 난방기 200: 냉, 난방 유닛
300: 배관 400: 방화 커버
410: 차열용 관재 411: 절개라인
415: 설치홈 450: 발포성 방화 띠
451: 절개라인 400': 단열재
500: 벽 및 슬래브 510: 관통공
530: 배관슬리브

Claims (7)

  1. 건물의 벽 및 슬래브(500)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510) 내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냉, 온수용 배관(300)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화재실과 방화 구획된 인접실로의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능의 확보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라인(411)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라인(411)을 벌려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상기 배관슬리브(530) 내측에 배치되는 길이에 대하여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외면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타입으로 설치홈(415)이 내향 함몰형성되는 차열용 관재(410) 및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라인(451)이 형성되어 내측이 일정두께만큼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설치홈(415) 상에 삽입설치되며, 외면이 배관슬리브(530)의 내면과 밀착되는 발포성 방화 띠(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어 화재 발생시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발포 팽창하여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며, 100~300℃ 범위에서 반응되어 발포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용 관재(410)는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상기 냉, 온수용 배관(300)의 외면과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다중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차열용 관재(410)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설치홈(415)이 복수 개로 함몰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상기 설치홈(415)과 대응되어,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각 설치홈(415) 상에 복수 개로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외면이 상기 배관슬리브(5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외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주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는 상기 발포성 방화 띠(450)의 절개라인(451)에 대하여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절개라인(411)과 상호 일정각도 엇갈리는 상태로, 내측 일정두께만큼이 상기 차열용 관재(410)의 설치홈(415) 상에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KR1020150112562A 2015-08-10 2015-08-10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KR101841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62A KR101841146B1 (ko) 2015-08-10 2015-08-10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62A KR101841146B1 (ko) 2015-08-10 2015-08-10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57A true KR20170018657A (ko) 2017-02-20
KR101841146B1 KR101841146B1 (ko) 2018-03-22

Family

ID=5826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62A KR101841146B1 (ko) 2015-08-10 2015-08-10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923B1 (ko) * 2019-07-25 2021-05-04 김정운 스틸 격벽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051A (ko) 2006-03-28 2009-01-12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가정용 위생 박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446B2 (ja) * 1993-07-27 1999-10-04 三井金属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配管貫通部の防火処置工法および防火装置
JP4443521B2 (ja) * 2006-02-02 2010-03-3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部品
EP1837573B1 (en) * 2006-03-20 2012-09-12 Beele Engineering B.V.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 conduit sleeve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051A (ko) 2006-03-28 2009-01-12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가정용 위생 박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146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822B2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BRPI0721406B1 (pt) sistema e método para vedar, em um conduto, um espaço entre uma parede interna do conduto e pelo menos um tubo ou cabo que se estende através do conduto
US20230160500A1 (en) Fire protection sleeve
US4219173A (en) Insulated pipe supports
JP2013158382A (ja) 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841146B1 (ko) 건물의 냉, 온수 배관용 방화 커버
JP6431416B2 (ja) 冷媒配管系の防火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耐火キャップの脱落防止装置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KR20140089642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보온이 완료된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US10100948B2 (en) Faucet insulation apparatus
KR20180124620A (ko) 방화자켓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KR200411561Y1 (ko) 단열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단열 파이프 구조체
KR101262824B1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JP4712773B2 (ja) 高断熱型ツインチューブ
KR102037629B1 (ko) 배관을 통한 화염 전파 방지 장치
AU2018246334B2 (en) Fire-protection collar
AU2018246335B2 (en) Fire-protection collar
JP7426024B2 (ja) 配管の断熱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033246A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Fiberglass et al. SECTION 22 0719 DOMESTIC PLUMBING INSULATION PART 1 GENERAL 1.01 SECTION INCLUDES
EP1199086A1 (en) Safety arrangement against fires to retard, delay, control and extinguish a fire by means of humidification having water as basic extinguishing element
KR20220057720A (ko)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AU2017201616A1 (en) Improvements to dampers and spacers for dampers
PL69667Y1 (pl) Panel chlodz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