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436A -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436A
KR20170018436A KR1020177001136A KR20177001136A KR20170018436A KR 20170018436 A KR20170018436 A KR 20170018436A KR 1020177001136 A KR1020177001136 A KR 1020177001136A KR 20177001136 A KR20177001136 A KR 20177001136A KR 20170018436 A KR20170018436 A KR 2017001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transmission
cancell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307B1 (ko
Inventor
후안 시에
샤오민 져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34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pulse shaping
    • H04L25/03847Shaping by selective switching of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2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송신기는 피드백 상쇄 모듈, 제1 디지털 전치보상기(digital predistorter, DPD)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송신기의 피드백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PA 및 상기 제1 DPD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DPD는,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A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기 및 간섭 제거 방법{TRANSMITTER AND INTERFERENCE ELIMINA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링크의 전송 성능 및 통신 시스템의 수율을 제고하기 위해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약칭 MIMO) 기술이 무선 통신 분야의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상기 MIMO 기술이 최근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상기 MIMO 기술이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더 넓게 적용될 것이다.
상기 MIMO 기술에서, 사용되는 송신기는 통상 복수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채널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기 내의 송신 채널이 공동(cavity) 격리 또는 물리적 거리 증가와 같은 거리 차폐 방식으로 격리된다. 그러나, 상기 송신 채널의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로 누설, 즉 상기 송신 채널의 신호가 상기 피드백 채널과 간섭될 수 있고, 상기 피드백 채널 상의 간섭 신호가 상기 송신 채널과 간섭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송신 신호의 왜곡을 초래한다.
송신 신호의 왜곡이 쉽게 발생되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상쇄 모듈, 제1 디지털 전치보상기(digital predistorter, DPD)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DPD 및 상기 PA가 상기 송신기의 제1 송신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가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송신기의 피드백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PA 및 상기 제1 DPD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1 DPD는,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A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송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측면에 따라, 상기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기는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제어 스위치를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상기 P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PA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floa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유휴 상태에 있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floa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유휴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DPD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여,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상기 제1 DPD가 송신하는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 내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는 송신 상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을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는 제2 DP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DPD는 상기 송신기의 제2 송신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DPD는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송신하는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2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 내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 상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DPD를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송신한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송신기 내의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다.
제2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기 내의 피드백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제1 송신 채널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측면에 따라, 상기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이다.
상기 제2 측면 내지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유휴 상태는 부동(floating) 또는 접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 내지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다.
상기 제2 측면 내지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의해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 따라,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상기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에서, 제1 DPD가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피드백 상쇄 모듈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므로, 상기 제1 송신 채널에서 상기 피드백 채널로 누설되는 간섭 신호가 상쇄되고, 그로 인해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가 상기 제1 송신 채널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고,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송신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내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기 내용은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히, 하기 설명 내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또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또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 내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내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분명히,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고 전부는 아니다.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네트워크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의 송신기일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채널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채널의 입력단 및 출력단 간의 유선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전송 채널일 수 있고, 상기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송신기(100)는 피드백 상쇄 모듈(101), 제1 디지털 전치보상기(Digital Predistorter, 약칭 DPD)(102)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약칭 PA)(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DPD(102) 및 상기 PA(103)는 상기 송신기(100)의 제1 송신 채널(TX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102)는 상기 PA(103)에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송신기(100)의 피드백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는 상기 PA(103) 및 상기 제1 DPD(102)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제1 DPD(102)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1 DPD(102)가,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PA(103)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 내의 각각의 송신 채널에 대한 처리 원리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한 간섭 상쇄만이 아래에 설명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전력이 대응하는 신호 전력 값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PA(103)에 의해 증폭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호에 대한 전력 증폭은 통상 상기 PA(103)의 비선형 영역에서 수행된다. 상기 비선형 영역의 비선형성은 진폭 왜곡 및 위상 왜곡에 의해 발생하는 조화 왜곡,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등 같은 왜곡물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송신 채널 내의 전력 증폭에 의해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PA(103)에 의한 신호 출력이 통상 상기 제1 DPD(102)에 피드백되고, 상기 제1 DPD(102)는 전치보상 기술을 사용하여 선형 보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A(103)가 전력 증폭을 수행한 신호가 큰 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커플러가 상기 PA(1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피드백 채널에 커플링하고,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의 신호 처리 강도를 감소시키고 처리 속도를 제고한다.
선택적으로, 통상의 경우에, 상기 PA(103)는 아날로그 신호 상에서 전력 증폭의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DPD(102)는 디지털 신호 상에 선형 최적화 처리를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송신기(100)에서 상기 피드백 채널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약칭 A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DPD(102) 및 상기 PA(103)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C)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ADC는 3개의 상이한 형태로 상기 피드백 채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형태에서, 상기 ADC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내에 통합될 수 있고; 제2 형태에서, 상기 ADC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과 독립적이고 상기 PA(103) 및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간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형태에서, 상기 ADC는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과 독립적이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제1 DPD(102) 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형태의 ADC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은 상기 PA(103)에 의한 신호 출력 상에 수행되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디지털 신호에 대해 간섭 상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형태의 ADC는 상기 ADC의 구체적인 위치만 상이하다.
상기 제3 형태의 ADC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은,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피드백 간섭 상쇄를 수행한 신호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처리 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의 처리 및 전송에 대해, 이차적 간섭 신호가 쉽게 생성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디지털 신호에 대해, 즉, 상기 피드백 채널 상에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는 구체적으로 상기 ADC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되는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는 다양한 신호를 포함하는 혼합 신호이다.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전력 증폭기에 의해 출력되고, 상기 피드백 채널로 피드백되는 신호,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채널에 커플링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만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가 상기 피드백 채널 상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피드백 채널 상의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외한 간섭 신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된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는 것은, 상기 피드백 채널을 상기 송신 채널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또는 상기 피드백 채널을 접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직접적으로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의 역위상 신호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따라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가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이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PA(103)에 연결되면, 신호 분해가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수행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가 감산되어,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가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의 역위상 신호이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가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에 가산된다. 상기 제1 혼합 신호는 적어도,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전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기능을 통합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기 송신기에서, 제1 DPD가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피드백 상쇄 모듈이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피드백 채널에 대한 간섭이 성공적으로 상쇄되고, 그로 인해 간섭 신호가 상기 피드백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송신 신호의 왜곡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 전송 및 레이더 같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한 간섭 상쇄 해결방안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만 설명되었지만, 상기 송신기 내의 다른 송신 채널에 대한 간섭 상쇄 해결방안은 전술한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송신기가 적어도 2개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포함하면, 상기 피드백 채널은 하나의 피드백 상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피드백 상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례들이 설명을 위해 아래에 주어진다.
송신기의 피드백 채널이 하나의 피드백 상쇄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전술한 피드백 상쇄 모듈과 유사한 하나의 피드백 상쇄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피드백 상쇄 모듈도 다른 송신 채널 상의 DPD 및 PA에 연결된다. 상기 하나의 피드백 상쇄 모듈은 각각의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각 송신 채널의 상기 피드백 채널에 대한 간섭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송신기의 피드백 채널이 적어도 2개의 피드백 상쇄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드백 상쇄 모듈은 하나의 송신 채널에 개별적으로 대응되고, 임의의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대응하는 송신 채널의 DPD 및 PA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피드백 상쇄 모듈은 전술한 피드백 상쇄 모듈과 동일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기(100)는 제어 스위치(2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제어 스위치(201)를 통해 상기 PA(103)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가 상기 PA(10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스위치(201)가 상기 PA(103)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DPD(102)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floa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유휴 상태에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스위치(201)는 단극 다상태(단극 multi-상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 간의 연결이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단극을 상태 1로 스위칭함으로써 구현되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접지 또는 부동은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단극을 상태 2로 스위칭함으로써 구현되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만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이고,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제외하면 간섭 신호, 즉,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즉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는,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의해 수집되는 간섭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DPD(102)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고,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201)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상기 제1 DPD(102)가 송신하는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는 어떤 송신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송신 채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피드백 채널이 2개 이상의 송신 채널에 대응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다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뿐 아니라, 상기 피드백 채널이 다른 송신 신호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 모두가 동일한 데이터 패킷 또는 유사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므로, 상기 신호들은 서로 매우 유사하고 상관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제1 DPD(1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일 때,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제1 DPD(102)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이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로 분해하고,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대적 계수, 즉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이 경우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는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를 곱합으로써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 상의 조작 및 상기 피드백 채널 상의 간섭 상쇄 모두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는 현재 주기의 이전 주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기저대역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는 이전 주기에 상기 제1 DPD(102)에 의해 생성된 전치보상 신호이다. 즉, the 전술한 제2 전치보상 신호는 이전 주기에 상기 제1 DPD(102)에 의해 생성된 전치보상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기에서, 제어 스위치가 부동 또는 접지로 변경되었을 때 획득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가 더 정확하여, 그로 인해 피드백 상쇄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간섭 상쇄가 더 철저하고 정확하다는 것을 더 잘 보장하고, 신호의 선형성을 향상하고,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다른 송신기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실례로서, 송신 상쇄 모듈 및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송신기를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기(100)는 송신 상쇄 모듈(30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은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102)가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을 통해 상기 PA(103)에 연결된다.
상기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DPD(102)가 생성하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PA(103)에 상기 송신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직접적으로 송신 간섭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송신 간섭 신호의 반위상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이면,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신호 분해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감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의 반위상 신호이면,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고, 이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 상쇄 모듈은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전치보상 신호 상에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의 간섭이 성공적으로 상쇄되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한 간섭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송신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킨다.
나아가, 상기 송신기(100)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100)는 제2 DPD(3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DPD(302)는 상기 송신기(100)의 제2 송신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100)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2 DPD(302)는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에 상기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다.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송신하는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2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DPD(302)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
구체적으로, 상기 PA(103)가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송신 신호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즉, 상기 송신 간섭 신호가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PA(103)를 통해 상기 송신기의 상기 피드백 채널에 송신되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 후 생성되는 상기 제1 혼합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송신 신호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이므로, 상기 송신기 내의 다른 송신 채널의 전치보상 신호, 즉, 상기 제2 DPD(3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 패킷의 신호들은 적은 차이를 가지므로, 즉, 신호들이 고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상기 제2 DPD(3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제1 혼합 신호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상기 제2 DPD(3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송신 간섭 신호 간의 상대적 계수, 즉, 상기 제2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이 경우에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송신 상쇄 모듈(301)은 상기 제2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DPD(203)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를 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1 송신 상쇄 신호가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송신 상쇄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간섭 상쇄가 더 철저하고 정확하다는 것을 더 잘 보장하고, 신호의 선형성을 향상하고,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해결수단에서, 실시예 2에서와 유사한 제어 스위치가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 간에 배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피드백 채널의 유휴 상태는 상기 제어 스위치를 접지화 또는 부동화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 간의 연결이 상기 제어 스위치 및 상기 PA(103) 간의 연결로써 구현되었고, 이는 여기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다른 송신기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실례로서, 송신 상쇄 모듈 및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송신기를 사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기(100)는 송신 상쇄 모듈(40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DPD(102)를 통해 상기 PA(103)에 연결된다.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DPD(102)에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3의 해결수단에서의 그것과 다른 위치를 가지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이한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전술한 실시예 3의 해결수단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1 DPD에 의해 생성된 전치보상 신호, 즉,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예비-상쇄를 수행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DPD가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예비-상쇄를 수행한다.
나아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해결수단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더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은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송신한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송신기 내의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PA(103)가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송신 신호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 즉, 상기 송신 간섭 신호가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PA(103)를 통해 상기 송신기의 상기 피드백 채널에 송신되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이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 후 생성되는 상기 제1 혼합 신호가 상기 송신 간섭 신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송신 신호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이므로, 상기 송신기 내의 다른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 즉,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가 상기 제1 혼합 신호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데이터 패킷의 신호들은 적은 차이를 가지므로, 즉, 신호들이 고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상기 송신 간섭 신호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제1 혼합 신호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상기 송신 간섭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간의 상대적 계수, 즉, 상기 제3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이 경우에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401)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를 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기 송신기에서, 제1 DPD가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기 전에, 송신 상쇄 모듈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다른 송신 신호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대한 간섭을 상쇄하여, 그로 인해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송신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상기 송신 신호의 선형성을 보장한다. 추가적으로,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더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이 사용되고, 그로 인해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간섭 상쇄가 더 철저하고 정확하다는 것을 더 잘 보장하고, 신호의 선형성을 향상하고,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해결수단에서, 실시예 2에서의 것과 유사한 제어 스위치가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 간에도 배치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피드백 채널의 유휴 상태는 상기 제어 스위치를 접지화 또는 부동화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101) 및 상기 PA(103) 간의 연결이 상기 제어 스위치 및 상기 PA(103) 간의 연결로써 구현되었고, 이는 여기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간섭 상쇄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모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송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방법이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단계 501: 송신기 내의 피드백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제1 송신 채널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502: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상기 유휴 상태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내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 503: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504: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송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 및 유리한 효과, 및 구체적 사항은 여기에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나아가, 이 실시예의 단계 502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502a: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 502b: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502에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위에 설명된 해결수단에서, 상기 유휴 상태는 부동(floating) 또는 접지를 포함한다.
나아가, 전술한 해결수단의 단계 504에서, 상기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504a: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다.
나아가, 위에서 설명된 해결수단의 단계 504a에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504b: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 504c: 상기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내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하고, 상세 사항은 여기에 제공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이 실시예 간섭 상쇄 방법을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해결수단의 단계 503에서,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601: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의해 획득되는 신호이다.
나아가, 단계 601에서,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601a: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 601b: 상기 제2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내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하고, 상세 사항은 여기에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송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 및 유리한 효과, 및 구체적 사항은 여기에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가 2개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포함하는 사례를 사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7에 도시된 송신기(700)는 제1 송신 채널(TX1), 제2 송신 채널(TX2) 및 피드백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 채널(TX1)의 기저대역 신호가 제1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제2 송신 채널(TX2)의 기저대역 신호가 제2 기저대역 신호이다. 상기 송신기(700)는 제1 DPD(701), 제1 송신 상쇄 모듈(702) 및 제1 PA(7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DPD(701),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702) 및 상기 제1 PA(703)는 상기 제1 송신 채널(TX1) 상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신기(700)는 제2 DPD(704), 제2 송신 상쇄 모듈(705) 및 제2 PA(7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DPD(704),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705) 및 상기 제2 PA(706)는 상기 제2 송신 채널(TX2) 상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신기(700)의 상기 피드백 채널은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 및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700)는 제어 스위치(7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은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702) 및 상기 제1 DPD(7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705) 및 상기 제2 DPD(704)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702)은 상기 제2 DPD(704)에도 연결된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705)은 상기 제1 DPD(701)에도 연결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709)는 단극 3-상태 스위치이다, 즉, 상기 스위치는 3개의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709)의 상태가 상태 1이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이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통해 상기 제1 PA(703)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709)의 상태가 상태 2이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 및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은 모두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사용하여 접지 또는 부동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피드백 채널은 유휴 상태에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709)의 상태가 상태 3이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이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통해 상기 제2 PA(706)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방법 도 7에 도시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채널의 상태 절환은 제어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01: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상태 2로 변경하고,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은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획득된 제1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은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2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획득된 제2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은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7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DPD(701)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DPD(701)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은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7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이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7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 즉,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이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7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 즉,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2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802: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상태 1로 변경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707)이 상기 제1 PA(7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PA(7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 상에서 피드백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803: 상기 제1 DPD(701)가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804: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702)이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출력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출력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는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DPD(704)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일 수 있다.
단계 805: 제1 송신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702)은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송신할 신호가 상기 제1 PA(703)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806: 상기 제어 스위치(709)를 상태 3으로 변경한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708)이 상기 제2 PA(706)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PA(706)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 상에서 피드백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807: 상기 제2 DPD(704)가 상기 제2 혼합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808: 제4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705)이 상기 제1 DPD(701)에 의해 출력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1 DPD(701)에 의해 출력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4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809: 제2 송신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705)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신호가 상기 제2 PA(706)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제2 송신할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례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로 인한 유리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고, 구체적 사항은 여기에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송신기가 2개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가지는 사례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인 경우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적응적으로 수정하는 것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다른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을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가 2개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포함하는 사례를 사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또 다른 한 송신기의 도식적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도시된 송신기(900)는 제1 송신 채널(TX1), 제2 송신 채널(TX2) 및 피드백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 채널(TX1)의 기저대역 신호는 제1 기저대역 신호 및 제3 기저대역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TX2)의 기저대역 신호는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제4 기저대역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900)는 제1 송신 상쇄 모듈(901), 제1 DPD(902) 및 제1 PA(9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 상기 제1 DPD(902) 및 상기 제1 PA(903)는 상기 제1 송신 채널(TX1) 상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신기(900)는 제2 송신 상쇄 모듈(904), 제2 DPD(905) 및 제2 PA(9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 상기 제2 DPD(905) 및 상기 제2 PA(906)는 상기 제2 송신 채널(TX2) 상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신기(900)의 상기 피드백 채널은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 및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900) 제어 스위치(9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은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 및 상기 제1 DPD(90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 및 상기 제2 DPD(904)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에 의해 출력되는 제2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은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에 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에 의해 출력되는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에 더 연결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909)는 단극 3-상태 스위치이다, 즉, 상기 스위치는 3개의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909)의 상태가 상태 1이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이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통해 상기 제1 PA(903)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909)의 상태가 상태 2이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 및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은 모두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사용하여 접지 또는 부동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피드백 채널은 유휴 상태에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909)의 상태가 상태 3이면,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이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통해 상기 제2 PA(906)에 연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또 다른 한 간섭 상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실행되고,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01: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상태 2로 변경하고,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은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획득된 제1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은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제2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획득된 제2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은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9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DPD(9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DPD(902)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은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9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DPD(905)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DPD(905)에 의해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3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는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이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9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1 송신 채널의 제1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1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 다음과 같이 획득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이 먼저 상기 제어 스위치(909)가 상태 2에 있을 때,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제2 피드백 간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1002: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상태 1로 변경한다;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모듈(907)이 상기 제1 PA(9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PA(90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 상에서 피드백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1003: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1004: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신 상쇄 모듈(901)이 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1005: 상기 제1 DPD(902)가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송신할 신호로서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사용하며, 상기 제1 송신할 신호가 상기 제1 PA(903)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1006: 상기 제어 스위치(909)를 상태 3으로 변경한다;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모듈(908)이 상기 제2 PA(906)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2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PA(906)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 상에서 피드백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1007: 제4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이 상기 제2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4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1008: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신 상쇄 모듈(904)는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4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한다.
단계 1009: 상기 제2 DPD(905)는 상기 제2 혼합 신호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송신할 신호로서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사용하며, 상기 제2 송신할 신호가 상기 제2 PA(906)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례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로 인한 유리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고, 구체적 사항은 여기에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송신기가 2개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을 가지는 사례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송신 채널 및 하나의 피드백 채널인 경우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적응적으로 수정하는 것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 및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대응하는 기능을 집성하는 집적 회로 또는 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 및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 및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고 실행되기 위해, 상기 메모리는 대응하는 모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이 프로그램 명령 관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상기 전술한 저장 매체는, ROM, RAM, 또는 광 디스크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끝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되었을 뿐이고,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해 의도되지 않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들이 여전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수정을 가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기술적 특징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균등한 치환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6)

  1. 송신기로서,
    피드백 상쇄 모듈, 제1 디지털 전치보상기(digital predistorter, DPD)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DPD 및 상기 PA가 상기 송신기의 제1 송신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가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송신기의 피드백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PA 및 상기 제1 DPD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1 DPD는,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A는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제어 스위치를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상기 PA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상기 PA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floa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유휴 상태에 있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송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는 접지 또는 부동(float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은 상기 유휴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DPD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여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제어 스위치의 상태가 접지 또는 부동일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상기 제1 DPD가 송신하는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송신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 상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DPD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을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송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기는 제2 DP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DPD는 상기 송신기의 제2 송신 채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DPD는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전치보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송신하는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2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DPD가 생성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상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송신 채널에 위치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DPD를 통해 상기 PA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DPD에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송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이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은 상기 송신 상쇄 모듈에 상기 제1 혼합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신 상쇄 모듈은, 상기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기 전에, 제2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상쇄 모듈이 송신한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3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상기 송신기 내의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이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인, 송신기.
  9. 간섭 상쇄 방법으로서,
    송신기 내의 피드백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제1 송신 채널에 연결될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제1 혼합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제1 전치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는, 상기 피드백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집되는 피드백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이고,
    상기 송신할 신호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또는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상쇄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채널의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드백 채널이 상기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드백 채널의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간섭 신호 및 제2 전치보상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1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피드백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치보상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에 선행하는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선형 전치보상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상태는 부동(floating) 또는 접지를 포함하는, 간섭 상쇄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송신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생성되는 간섭 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치보상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1 혼합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신 채널 내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치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인, 간섭 상쇄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1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선형 전치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채널이 상기 송신기 내의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송신 채널에 의해 간섭될 때 발생하는 간섭 신호에 의해 획득되는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채널 상의 제3 기저대역 신호 상에서 간섭 상쇄를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혼합 신호 및 제2 기저대역 신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송신 상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채널은 상기 송신기 내에서 상기 제1 송신 채널을 제외한 임의의 송신 채널이고,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는 제2 송신 채널의 기저대역 신호인, 간섭 상쇄 방법.
KR1020177001136A 2014-08-01 2014-08-01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 KR101882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3574 WO2016015342A1 (zh) 2014-08-01 2014-08-01 发射机及干扰消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436A true KR20170018436A (ko) 2017-02-17
KR101882307B1 KR101882307B1 (ko) 2018-07-25

Family

ID=5521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136A KR101882307B1 (ko) 2014-08-01 2014-08-01 송신기 및 간섭 상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94090B2 (ko)
EP (1) EP3145144B1 (ko)
JP (1) JP6475320B2 (ko)
KR (1) KR101882307B1 (ko)
CN (1) CN105493458B (ko)
CA (1) CA2953002C (ko)
WO (1) WO2016015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0052B2 (en) * 2015-07-30 2018-01-02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igital predistortion for full-duplex radio
WO2019048903A1 (en) * 2017-09-06 2019-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NETWORK CALIBRATION WITH INTERFERENCE REDUCTION
BR112020007693A2 (pt) * 2017-10-20 2020-10-13 Skywave Networks Llc sistema de gerenciamento de modem em canal de retorno por fibra
WO2019086931A1 (en) 2017-10-31 2019-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rthogonal training signals for transmission in an antenna ar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048A1 (en) * 2001-08-28 2004-12-09 Scott Leyonhjelm Calibration of an adaptive signal conditioning system
US20130094610A1 (en) * 2011-10-14 2013-04-18 Fadhel Ghannouchi Digital Multi-band Predistortion Linearizer with Nonlinear Subsampling Algorithm in the Feedback Loop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709B1 (en) * 1998-12-22 2001-12-04 General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interference and nonlinear distortions
JP2001352261A (ja) * 2000-06-07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及びそのアイソレーション調整方法
US20070142000A1 (en) * 2005-12-15 2007-06-21 Stefan Herzinger Hybrid pola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radio transmission system
WO2008102943A1 (en) * 2007-02-23 2008-08-28 Airpoint Repeating system and method for cancellation of feedback interference signal with pre-distortion function
KR100879335B1 (ko) * 2007-02-23 2009-01-19 (주)에어포인트 전치 왜곡 기능을 구비한 귀환간섭신호 제거 중계 시스템및 그 방법
CN100511976C (zh) * 2007-08-30 2009-07-08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数字预失真功率放大器及其实现方法
CN101534133B (zh) * 2008-03-10 2012-12-0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无线收发信机
JP4866388B2 (ja) * 2008-05-22 2012-02-01 富士通株式会社 歪補償装置および歪補償方法
US8542768B2 (en) * 2009-12-21 2013-09-24 Dali Systems Co. Ltd. High efficiency, remotely reconfigurable remote radio head uni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699620B1 (en) * 2010-04-16 2014-04-15 Marvell International Ltd. Digital Predistortion for nonlinear RF power amplifiers
US8750410B2 (en) * 2010-09-22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band power amplifier digital predistortion system and method
CN102098247A (zh) * 2010-11-27 2011-06-15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高效率、高线性直放站系统及其高效率和高线性实现方法
CN102143108A (zh) * 2011-03-17 2011-08-03 电子科技大学 一种改进的自适应预失真技术
US9054759B2 (en) * 2011-05-30 2015-06-09 Nec Corporation VSWR measurement circuit,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VSWR measur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VSWR measurement program stored thereon
US9059786B2 (en) * 2011-07-07 2015-06-16 Vecima Networks Inc. Ingress suppression for communication systems
US8615204B2 (en) * 2011-08-26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transmitter distortion calibration in multi-antenna transmitters
CN102594749A (zh) * 2012-02-28 2012-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预失真处理方法及装置
EP2654210B1 (en) * 2012-04-16 2014-05-14 Alcatel Lucent Cross-talk cancellation in a multiband transceiver
CN103001900B (zh) 2012-12-11 2015-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射机的发射通道间干扰消除方法及装置
WO2014127534A1 (en) * 2013-02-22 2014-08-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ower amplifier capable of utilizing nonlinearity correction and a power amplifier system
US9385762B2 (en) * 2013-05-22 2016-07-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earization of intermodulation bands for concurrent dual-band power amplifiers
US8982995B1 (en) * 2013-11-05 2015-03-17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ultipath compensation for digital predistortion linearization
US8718178B1 (en) * 2013-11-08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non-linear interference cancelation (NLIC) in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048A1 (en) * 2001-08-28 2004-12-09 Scott Leyonhjelm Calibration of an adaptive signal conditioning system
US20130094610A1 (en) * 2011-10-14 2013-04-18 Fadhel Ghannouchi Digital Multi-band Predistortion Linearizer with Nonlinear Subsampling Algorithm in the Feedback Lo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4090B2 (en) 2017-10-17
EP3145144A4 (en) 2017-06-21
CN105493458B (zh) 2019-01-08
EP3145144A1 (en) 2017-03-22
JP2017527183A (ja) 2017-09-14
US20170118047A1 (en) 2017-04-27
JP6475320B2 (ja) 2019-02-27
EP3145144B1 (en) 2018-11-21
KR101882307B1 (ko) 2018-07-25
CA2953002C (en) 2019-01-22
CN105493458A (zh) 2016-04-13
WO2016015342A1 (zh) 2016-02-04
CA2953002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252B2 (en) Digital predistortion for advanced antenna system
KR101581470B1 (ko) 디지털적으로 구성가능한 적응 선형화를 갖는 최소 피드백 무선 구조
KR101584372B1 (ko) 다차원 볼테라 시리즈 송신기 선형화
US9762268B2 (en) Wireless transceiver
US20120328050A1 (en) Centralized adaptor architecture for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s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usmair et al. Modeling and linearization of multi-antenna transmitters using over-the-air measurements
CN102369664B (zh) 用于中继无线电信号的无线电系统和方法
CN104283580A (zh) 射频模块的无源互调pim干扰抵消方法及相关装置
CN109845118A (zh) 一种塔顶设备及无源互调消除方法
US9794090B2 (en) Transmitter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Suryasarman et al. Digital pre-distortion for multiple antenna transmitters
US20100008446A1 (en) Transceiver architecture with combined smart antenna calibration and digital predistortion
US9263994B2 (en) Amplifying device, distortion compensating device, and amplifying method
US11563408B2 (en) Active array antenna linearization
Anttila et al. Recursive learning-based joint digital predistorter for power amplifier and I/Q modulator impairments
WO2015176645A2 (en) Phase-modulated load apparatus and method
EP2752995B1 (en) Modeling transmitter and/or transmit observation receiver frequency response and utilization thereof
CN106330802A (zh) 一种移动通信系统的数字预失真处理装置及方法
KR102497217B1 (ko) 송신기의 비선형성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18130A (ko) 복수의 비선형 증폭기에 대하여 단일 피드백 회로를 사용하는 전치보상 장치 및 방법
CN113346930A (zh) 用于多天线系统中的面向波束的前馈架构系统及方法
Cabarkapa et al. Compensation of undesired effects in MIMO wireless transceivers
CN115642881A (zh) 信号处理方法和信号处理装置
KR101094202B1 (ko) 다중대역/다중모드 송신기를 위한 전치왜곡 장치 및 방법
KR20100080108A (ko) 디지털 전치 왜곡을 지원하는 스마트 안테나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