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145A -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145A
KR20170017145A KR1020150110616A KR20150110616A KR20170017145A KR 20170017145 A KR20170017145 A KR 20170017145A KR 1020150110616 A KR1020150110616 A KR 1020150110616A KR 20150110616 A KR20150110616 A KR 20150110616A KR 20170017145 A KR20170017145 A KR 2017001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account
accounts
deposited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민유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145A/ko
Priority to US15/042,199 priority patent/US9786132B2/en
Publication of KR2017001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계좌 선택부, 선택된 상기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입력받는 금액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될 금액의 총합에서 상기 선택된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금액 표시부를 포함하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DEPOSITING IN PLURAL ACCOUNTS}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다계좌로의 이체를 지원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한 다계좌로의 입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는 사용자의 금융 계좌에 대한 각종 트랜잭션, 예컨대 입금 트랜잭션이나 출금 트랜잭션 또는 이체 트랜잭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트랜잭션 과정 중에 금융 자동화 기기를 통해 금액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계좌(또는 복수의 계좌)에 금액을 나누어서 입금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를 선택하고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입력한다. 이를 위해, 금융 자동화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다계좌를 표시하고, 금액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아울러 입금할 전체 금액에서 각각의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계좌를 선택하는 단계나 금액을 입력하는 단계 또는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단순히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2015-0061484, 공개일자 2015년 06월 04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다계좌에 금액을 나누어서 입금하는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종래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다계좌에 금액을 나누어서 입금하는 절차에 있어서, 입금할 전체 금액에서 각각의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계좌 선택부; 선택된 상기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입력받는 금액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될 금액의 총합에서 상기 선택된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금액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좌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계좌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상기 잔액으로 지정하는 잔액 지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액 표시부는 상기 총합에서 상기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 지정된 도형에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의한 다계좌 입금 방법은 (a) 복수의 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될 금액의 총합에서 상기 입력받은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d)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계좌 표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상기 잔액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총합에서 상기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 지정된 도형에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다계좌에 금액을 나누어서 입금하는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미지를 이용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금할 전체 금액에서 각각의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입금할 금액으로 잔액을 지정함에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트랜잭션이라는 용어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금융 계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각종 업무, 예컨대 입금, 출금, 이체, 잔고 조회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한 일련의 금융 거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금융 전산망과 연동하여 현금 입출금에 관한 거래를 처리하는 장치로, 일 실시에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계좌(또는 복수의 계좌)로 현금을 입금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일반적인 현금 입출금기, 현금 인출이 가능한 현금 지급기(Cash Dispenser) 또는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자동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공과금 수납이나 티켓 발권 또는 포인트 적립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단말기(KIOSK)와 같은 일련의 무인 자동화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해석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현금 입출금부(12), 통장부(13), 카드 리더기(14) 또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도 1에 도시된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현금 입출금부(12)는 지폐를 수납, 반출, 계수 또는 보관한다. 통장부(13)는 통장을 판독하고 통장 정리 업무를 수행한다.
카드 리더기(14)는 사용자의 금융 거래 카드입력에 따른 카드를 판독하고 카드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카드 리더기(14)에서는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와 같은 금융 거래용 카드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업무를 위한 적립 카드 또는 신분증 등을 판독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금융 자동화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부, 금융 자동화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장이나 명세표에 인쇄를 위한 인쇄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금융 서비스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0)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방식, 버튼 방식,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과 버튼 방식이 조합된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계좌 선택부(110), 금액 입력부(130) 또는 금액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외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00)는 잔액 지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이다.
계좌 선택부(11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며,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계좌 선택부(110)는 다계좌 각각에 대응되는 계좌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계좌 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를 선택할 수 있다. 계좌 표시부는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 예를 들면 계좌번호나 계좌의 현재 잔액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금액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며, 계좌(계좌 선택부(110)에 의하여 선택된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금액 입력부(130)는 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숫자로 구성된 키패드 또는 기 지정된 금액(1달러, 5달러, 10달러, 100달러, 1만원, 5만원, 10만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금액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입금할 금액의 총합 그리고 이러한 금액의 총합에서 금액 입력부(130)를 통해 이미 입력받은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한다.
이 때, 금액 표시부(150)는 총합과 잔액을 기 지정된 도형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액의 총합은 직사각형과 같은 도형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고, 잔액은 이러한 도형의 전체 넓이 중에서 일부분이 식별되도록 하는 방식(채색이나 빗금 등에 의하여)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도형의 전체 넓이 중에서 식별되도록 표시된 일부분의 넓이는, 총합에서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형이 직사각형인 것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형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도형일 수 있다.
잔액 지정부(17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입금할 금액이 현재의 잔액 전체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의 잔액을 일일이 금액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하지 않고 잔액 지정부(170)를 선택함으로써 잔액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합이 $3000이고 잔액이 $253이면서 제1 계좌에 잔액인 $253이 입금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잔액 지정부(170)를 선택함으로써 제1 계좌에 입금되는 금액이 $253가 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을 수행하는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계좌 입금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110),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입력받는 단계(S130) 및 다계좌 각각에 입금할 금액의 총합에서 입력받은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S110 단계 이전에 다계좌 각각에 대응되며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다계좌 표시부를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은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잔액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 S150는 총합에서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 지정된 도형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10)에서 수행되는 다계좌 입금의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계좌 입금의 절차는 도 4부터 도 8까지의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이와 다른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절차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다계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계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111)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계좌 선택부(11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계좌 선택부(110)를 통해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계좌 선택부(110)는 다계좌 각각에 대응되는 계좌 표시부(112,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계좌 표시부(112,113)는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각각의 계좌에 입금되는 금액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계좌 표시부(112,113)를 선택함으로써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다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는 종래보다 직관적으로 계좌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와 관련된 계좌를 추가하는 계좌 추가부(114)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계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계좌 삭제부(115)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는 다계좌 입금을 위한 절차 자체를 취소하는 취소부(116),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하는 언어 변경부(117), 사용자에게 도움말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부(118) 또는 다계좌 입금을 위한 절차에서 다음 단계 또는 이전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절차 진행부(119a,119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선택된 계좌에 입금할 금액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2개의 계좌(다계좌) 중에서 계좌 표시부(112)에 대응되는 계좌를 선택하였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선택된 계좌에 입금할 금액을 입력하라는 메시지(131)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선택된 계좌로 입금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금액 입력부(130)를 표시한다. 금액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금액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키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금액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을 숫자로 표시(135)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할 금액의 총합을 숫자(132) 또는 도형(134)으로 표시하는 금액 표시부(150)를 표시한다. 금액 표시부(150)는 금액의 총합을 도형(134)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도형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다만 이러한 도형의 모양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금액 표시부(150)는 금액의 총합에서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잔액 표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이 입력되기 전이므로, 잔액 표시부(133)의 잔액은 금액의 총합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을 입력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금한 금액은 금액 표시부(130)에서 숫자(135)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선택된 계좌로 입금할 금액이 해당 계좌로 할당된 것과, 금액의 총합에서 이러한 금액이 차감된 잔액을 표시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계좌 표시부(112)에 대응되는 계좌로 입금할 금액($200)이 해당 계좌로 할당되어 있다.
금액 표시부(150)는 다계좌로 입금할 금액의 총합을 직사각형의 도형(134a,134b)으로 표시하고, 금액의 총합에서 계좌로 입금할 금액($200)을 차감한 잔액을 빗금친 부분(134b)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계좌로 입금할 금액의 총합에서 각각의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금액 표시부(150)는 잔액 지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액 지정부(170)를 이용하여 현재의 잔액 전체가 특정 계좌로 입금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의 잔액을 일일이 금액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하지 않고 잔액이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액의 총합이 $537.57이고 잔액이 $337.57이면서 어느 특정 계좌에 잔액인 $337.57이 입금되도록 해야할 경우, 사용자는 잔액 지정부(170)를 이용하여 현재의 잔액인 $337.57이 해당 계좌로 입금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금할 금액으로 잔액을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좌 입금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다계좌에 입금할 금액 전부가 각각의 계좌에 할당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계좌 선택부(110)의 제1 계좌(112)에는 $200가 할당되었고 제2 계좌(113)에는 $337.57이 할당되었다. 즉, 다계좌에 입금할 금액 전부가 각각의 계좌에 할당되었다. 따라서, 잔액 표시부(133)가 표시하는 잔액은 $0이며, 직사각형의 도형(134)에서 잔액을 나타내는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 또한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다계좌에 금액을 나누어서 입금하는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미지를 이용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금할 전체 금액에서 각각의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입금할 금액으로 잔액을 입력함에 있어 종래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금융 자동화 기기
100: 디스플레이부
110: 계좌 선택부 130: 금액 입력부
150: 금액 표시부 170: 잔액 지정부

Claims (8)

  1.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계좌 선택부;
    선택된 상기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입력받는 금액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될 금액의 총합에서 상기 선택된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금액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계좌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상기 잔액으로 지정하는 잔액 지정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표시부는,
    상기 총합에서 상기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 지정된 도형에서 표시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5.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의한 다계좌 입금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계좌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b) 선택된 상기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입금될 금액의 총합에서 상기 선택된 계좌마다 각각 입금될 금액을 차감한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계좌 입금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d) 상기 복수의 계좌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계좌를 식별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계좌 표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계좌 입금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계좌로 입금될 금액을 상기 잔액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계좌 입금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총합에서 상기 잔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 지정된 도형에서 표시하는
    다계좌 입금 방법.
KR1020150110616A 2015-08-05 2015-08-05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KR20170017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616A KR20170017145A (ko) 2015-08-05 2015-08-05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US15/042,199 US9786132B2 (en) 2015-08-05 2016-02-12 Display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depositing money in a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616A KR20170017145A (ko) 2015-08-05 2015-08-05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45A true KR20170017145A (ko) 2017-02-15

Family

ID=5805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616A KR20170017145A (ko) 2015-08-05 2015-08-05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6132B2 (ko)
KR (1) KR201700171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9201B2 (en) 2018-10-04 2021-07-20 The Toronto-Dominion Bank Automated device for exchange of data
US10984418B2 (en) 2018-10-04 2021-04-20 The Toronto-Dominion Bank Automated device for data transfer
US10866696B2 (en) 2018-10-04 2020-12-15 The Toronto-Dominion Bank Automated device for data transfer
US10996838B2 (en) 2019-04-24 2021-05-04 The Toronto-Dominion Bank Automated teller device having accessibility configur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484A (ko) 2013-11-27 2015-06-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액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1910B2 (en) * 1997-04-14 2003-12-09 Cummins-Allison Corp. Network for transporting and processing images in real time
JP2003067816A (ja) * 2001-08-28 2003-03-07 Hitachi Ltd 自動入出金機
US6811078B2 (en) * 2002-01-17 2004-11-02 Monica L. Workens Point-of-transaction machine with improved versatility and related method
US7610229B1 (en) * 2002-05-30 2009-10-27 Experian Information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simulating a credit-worthiness score
US8196812B2 (en) * 2006-12-08 2012-06-12 Ncr Corporation Conducting multiple financial transactions on a self-service terminal
US8866971B2 (en) * 2007-12-17 2014-10-21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um for apportioning video processing between a video source device and a video sink device
US8346640B1 (en) * 2008-04-09 2013-01-0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ulti-account cash recycling
JP5615208B2 (ja) * 2011-03-03 2014-10-29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複数口座入金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20310810A1 (en) * 2011-06-02 2012-12-06 Nirvana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of entering positions regarding securities
US10564815B2 (en) * 2013-04-12 2020-02-18 Nant Holdings Ip, Llc Virtual teller systems and methods
US9506962B2 (en) * 2013-05-08 2016-11-29 Litecontrol Corporation Resource control system with local real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484A (ko) 2013-11-27 2015-06-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액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6132B2 (en) 2017-10-10
US20170039818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113B (zh) 自动银行机
EP0680001B1 (en) Automated transaction apparatus
CN104036388B (zh) 组合操控式资金支付处理方法
US11263858B2 (en) Cash processing system, cash processing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cash processing machine
KR20170017145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계좌 입금 방법
KR20150061484A (ko) 금액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6022759A (zh) 支持多帐户的电子支付方法
JP2012108796A (ja) 自動取引システム、自動取引方法、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16026363A (ja) 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装置、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US10354241B2 (en) Storing transaction details for mobile telephone top ups via automatic teller machines
CN101739765B (zh) 自动交易装置和自动交易装置的转账处理方法
KR10101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출금방법
JP6503653B2 (ja) 取引装置
US10262360B2 (en) Deposit visualization
JP6308986B2 (ja) 現金払出制御システム、現金払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7344A (ko)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6330460B2 (ja) 制御装置、取引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JP2013171438A (ja) 現金類処理装置、現金類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8945A (ja) 取引装置、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プログラム
JP2005301726A (ja) サービス窓口案内装置、サービス窓口案内方法およびサービス窓口案内プログラム
KR101325315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화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15064843A (ja) 自動取引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1015450A (ja) 券売機
CN116862491A (zh) 批量转账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04088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거래화면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