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063A -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063A
KR20170017063A KR1020150110408A KR20150110408A KR20170017063A KR 20170017063 A KR20170017063 A KR 20170017063A KR 1020150110408 A KR1020150110408 A KR 1020150110408A KR 20150110408 A KR20150110408 A KR 20150110408A KR 20170017063 A KR20170017063 A KR 2017001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otary
magnetic member
rim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527B1 (ko
Inventor
최찬목
Original Assignee
최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찬목 filed Critical 최찬목
Priority to KR102015011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30Arrangement of components
    • F05B2250/32Arrangeme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력인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의 중심과 외주를 왕복 이동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제1자성부재, 상기 제1자성부재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시켜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제2자성부재 및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에 의하여 자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가속력 및 회전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발전장치에 공급되는 자연력에 대한 발전부재의 발전효율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력 및 저항력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Generation apparatus using magnetic substance}
본 발명은 자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력인 외부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의 중심과 외주를 왕복 이동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제1자성부재, 상기 제1자성부재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시켜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속시키는 제2자성부재 및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는 원자력, 수력, 조력, 풍력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나 자연파괴에 의한 환경적인 문제, 특정한 장소에 건립해야 하고 막대한 설립비용이 투자되는 문제 등으로 고심을 하고 있다.
또한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발전소를 건설하여야 하는데 에너지원이 무엇이냐에 따라 설비의 과정과 엄청난 비용이 투입되기도 하며 환경오염의 문제도 동시에 발생한다.
특히,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화력발전의 경우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각종 황오염 물질이 발생하여 오존층 파괴를 유발하고 있으며, 상기 화석연료의 매장량은 유한하기 때문에 이러한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 재생에너지원과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발전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5154호는 편심 회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축이 편심 낙차로 인한 원심력으로 회전되도록 테두리 일측으로 무게가 편심된 형태의 회전차가 상기 메인축을 중심으로 편심부위가 상호 일정각도차를 갖도록 축결합되어 편심낙차로 인한 원심력으로 메인축을 회전시키고 메인축에 발전기를 연결하는 구성을 하였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은 기계적인 편심구조를 갖음으로써 주변여건에 관계없이 전력을 수득할 수 있으며 수득된 전력의 일부로 회전가속을 위한 구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력수득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자연력인 원동력에 대하여 부가되는 에너지원이 없어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151호(2010.10.01.)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4157호(2012.11.13.)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954호(2010.06.11.)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5154호(2004.06.01.)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발전장치는 자연력에 의하여 취득된 회전력을 발전기에 직접 전달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이 다소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발전효율을 증가시킨 일부 발전기는 구성이 복잡하여, 복잡한 구성 때문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저항력에 의하여 에너지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앙에 구비하고, 외주에 테두리를 구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과 테두리 사이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과 테두리 사이를 이동하는 복수의 제1자성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테두리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제2자성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는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에 의하여 자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가속력 및 회전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발전장치에 공급되는 자연력에 대한 발전부재의 발전효율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력 및 저항력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제2자성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크랭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자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3)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회전축(13)을 중앙에 구비하고, 외주에 테두리(11)를 구비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이동하는 복수의 제1자성부재(20); 상기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제2자성부재(30) 및; 상기 회전부재(10)와 연결되어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풍력, 수력, 조력 또는 자유낙하력 등과 같은 자연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킨 외부동력을 원동력으로 하여 작동한다. 즉, 자연력이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3) 또는 원동력부재(91)는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축(13)은 회전부재(10)의 회전중심에 일체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회전부재(10)의 회전중심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회전축(13)은 상기 회전축홀에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회전축(13)과 회전축홀은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어링, 기어 또는 조인트 등과 같은 각종의 연결부재는 마찰력이 작게 작용하는 것을 이용하여 연결부재에 의하여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체결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의 연결관계에 관한 사항은 하우징(100)의 일정부분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제1자성부재(20)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과 회전축(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원심력, 중력 및 제2자성부재(30)에 의한 자기력을 받고,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에 따라 ⅰ)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회전축(13)의 상부에 해당하는 일정구간에서는 회전축(13) 쪽에 위치되어 있다가 회전축(13)의 하부에 해당하는 다른 일정구간에서는 테두리(11) 쪽에 위치되 것을 반복하고, ⅱ)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항상 테두리(11)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ⅰ)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와 상기 ⅱ)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를 서로 다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이하는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때의 제1자성부재(2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10)의 원심력보다는 중력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회전축(13)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부재(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자성부재(20)는 원심력과 중력이 더해져 테두리(1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회전축(13)을 중앙에 구비하고, 외주에 테두리(1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차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회전부재(10)는 회전축(13)이 구비된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 또는 회전부재(10)와 직접 연결된 원동력부재(91)에 의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하 원동력부재(91)에 의한 회전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동력부재(91)에 의하여 회전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원동력부재(91)는 회전축(13)과 직접 연결되어 회전부재(1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부재(10)는 바퀴 형태와 같은 회전차로 구성되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주를 형성하는 부분은 원형의 테두리(11)가 형성되며, 회전축(13)이 구비된 중심과 테두리(11) 사이에는 하기의 제1자성부재(2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이동하는 복수의 구성으로서, 회전부재(10)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도 3과 같이 회전축(13)이 수평하게 놓이고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0)의 회전시에, 중력에 의하여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회전부재(10)에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20) 중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자성부재(20)는 중력에 의하여 회전축(13)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회전부재(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자성부재(20)는 중력에 의하여 테두리(1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과 같은 상태에서 회전부재(1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10)의 중심을 기준하여 회전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가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1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동하면, 제1자성부재(20)는 회전축(13)에 인접된 부분에서 테두리(11) 쪽으로 이동되고, 이때 제1자성부재(20)의 위치이동에 의하여 가해지는 제1자성부재(20)의 무게에 의한 회전부재(10)의 토크의 증가로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2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시에 회전부재(10)의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회전축(13)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방사형으로 회전부재(10)에 구비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회전부재(10)는 회전축(13)과 테두리(11)를 연결하는 중공의 회전살(12)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살(12) 중공에 제1자성부재(20)가 회전살(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재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회전살(12)은 회전부재(10)의 중앙에 구성된 회전축(13)과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의 중공에 제1자성부재(20)를 내재시켜 제1자성부재(20)가 회전부재(10)에서 이탈하지 않으며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살(12)의 외측에 해당하는 일측 말단은 도 3과 같이 테두리(11)의 내측을 관통한 후 외측까지 내입되어 길이연장됨으로써, 보다 긴 길이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동거리가 증가된 제1자성부재(20)는 회전부재(10)에 대한 보다 큰 토크를 생성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내부에는 도 4과 같이 납과 같은 중량물이 채워져 회전되는 회전부재(10)의 회전관성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서, 회전부재(10)에 구비되는 제1자성부재(20)의 위치(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의 위치)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을 제1자성부재(20)에 가하여, 제1자성부재(20)의 위치변화를 더욱 가속시키거나 이동력을 증가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하우징(100)의 일정 부분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를 당기어 테두리(11) 쪽으로 가속이동시키거나,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를 밀어 회전축(13) 쪽으로 가속이동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임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하부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는 자극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은 도 3과 같이, 회전부재(10)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13)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있던 회전부재(10)의 일정부분이 회전축(13)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위치변경되는 부분으로서, 도 3에서는 회전축(13)과 수평한 위치에 놓이는 (A)부분에 해당된다. 아울러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하부는 도 3에서 (A)와 (B)의 연장선상 또는 연장선상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도 3의 (A)와 (B)의 연장선상 또는 연장선상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어, 회전축(13)에 인접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가하여 테두리(11) 쪽으로 당기거나, 테두리(11)에 인접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가하여 회전축(13) 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0)의 회전방향 및 제1자성부재(20)의 자극에 따른 제2자성부재(30)의 자극 및 하우징(100)에 대한 제2자성부재(30)의 구성위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서는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임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하부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는 자극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2자성부재(30)는 도 3의 (A)부분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구비되고, 회전축(13)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가 도 3의 (A)부분을 통과할 때, 회전축(13) 쪽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작용하여 제1자성부재(20)를 테두리(11) 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원래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하여 (A)부분을 통과하면서 테두리(11) 쪽으로 이동하지만, 제2자성부재(30)에 의한 인력이 더 가해져 더욱 빠르게 테두리(11) 쪽으로 이동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임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상부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1자성부재(20)를 척력으로 밀어내는 자극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2자성부재(30)는 도 3의 (B)부분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구비되고, 회전축(13)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가 도 3의 (B)부분을 통과할 때, 테두리(11) 쪽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작용하여 제1자성부재(20)를 회전축(13)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원래 중력에 의하여 (B)부분을 통과하면서 회전축(13) 쪽으로 이동하지만, 제2자성부재(30)에 의한 척력이 더 가해져 더욱 빠르게 회전축(13) 쪽으로 이동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도 3과 같이 바(Bar)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회전부재(10)의 외주연과 상접되는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어 회전부재(10)에 구비된 제1자성부재(20)에 최대한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 타입의 제2자성부재(30)는 제2자성부재(30)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기 때문에, 제2자성부재(30)의 어느 한쪽 자극 부분만이 회전부재(10)의 제1자성부재(20)와 인접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체결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일정의 무게를 가져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고, 제2자성부재(30)와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자성부재(30)가 인접되는 부분에 영구자석(21)이 구비되고, 제2자성부재(30)의 반대쪽 부분에 영구자석(21)보다 비중이 큰 중량체(22)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제2자성부재(30)와 인접되는 부분에 영구자석(21)이 구비되어 제2자성부재(30)와 자력을 더욱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제2자성부재(30)의 반대쪽 부분에는 영구자석(21)보다 비중이 더 큰 납과 같은 중량체(22)가 구비되어 제1자성부재(2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의 제1자성부재(20)는 단순한 자성체와 비교하여 무게가 증가되기 때문에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전부재(40)는 상기 회전부재(10)와 연결되어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구성으로서, 회전부재(10)의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발전부재(40)는 일반적인 발전기를 이용하여 구성가능하고,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 또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와 밸트 또는 기어와 같은 구동전달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축(13) 또는 회전부재(10)와 발전부재(40)의 회전축(13)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재(40)에서 생상된 전력은 축전지에 축전되거나, 전력공급사에 판매되거나, 전기용품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발전부재(40)에서 생산된 전력은 컨버터를 통하여 AC로 변환된 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10)는 테두리(11)에 복수 개의 제3자성부재(50)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부재(10) 하부임과 동시에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3자성부재(50)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제4자성부재(6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0)에 구비되는 제3자성부재(50)와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제4자성부재(60)는 회전부재(10)가 회전하면서 상호 인력 또는 척력으로 작용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3자성부재(50)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회전부재(1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4자성부재(60)는 하우징(100)에 구비된 상태에서 제3자성부재(50)가 제4자성부재(60)에 인접될 경우 제3자성부재(5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3자성부재(50)의 일측 말단은 도 4과 같이 테두리(11)의 외주연과 대응하도록 테이퍼지거나 라운딩 처리되도록 구성되어, 최대한 제4자성부재(60)와 제3자성부재(50)의 일측 말단이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3자성부재(50)는 제4자성부재(60) 인접되는 부분에 영구자석(50a)이 구비되고, 제3자성부재(50)의 반대쪽 부분에 영구자석(50a)보다 비중이 큰 중량체(50b)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 대한 제4자성부재(60)의 체결위치는 도 3 또는 5와 같이, 회전부재(10) 하부임과 동시에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의 일정부분인데, 상기 회전부재(10) 하부라 함은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을 기준으로 한 수평선의 하부에 해당하고, 테두리(11)의 외측이라 함은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된 부분에 해당한다.
아울러 도 3을 기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4자성부재(6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 최하부(C) 및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을 아우르는 구간에 동일한 자극이 제3자성부재(50)에 가해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일실시예로서 회전부재(1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3자성부재(50)를 기준하여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제3자성부재(50)가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 이하로 위치할 때에는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에 인접된 어느 하나의 제4자성부재(60)의 자성에 의하여 제3자성부재(50)가 인력으로 당겨져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이 증가되고;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최하부(C)에 어느 하나의 제3자성부재(50)가 이동되면 최하부(C)에 인접된 다른 하나의 제4자성부재(60)의 자성에 의하여 제3자성부재(50)가 인력으로 당겨져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이 증가되며;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에 어느 하나의 제3자성부재(50)가 이동되면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에에 인접된 또 다른 하나의 제4자성부재(60)의 자성에 의하여 제3자성부재(50)가 인력으로 당겨져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제4자성부재(60)가 제3자성부재(50)를 척력으로 밀어내는 경우에는 회전부재(10)에 의하여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자성부재(50)가 하우징(100)에 고정체결된 제4자성부재(60)를 통과한 후 밀어내는 방식으로 자력을 가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4자성부재(60)와 제3자성부재(50)가 인력으로 작용하는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이때,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4자성부재(6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시에 제4자자성부재로 접근하는 제3자성부재(50)에 대하여 최대한의 인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경사각을 가지며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자성부재(50)는 회전부재(10)의 회전방향에 전단이 향하도록 테두리(11)에 기울어져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자성부재(60)는 상기 제3자성부재(50)와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하우징(10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인력작용의 경우,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4자성부재(60)가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구비된 제3자성부재(50)가 제4자성부재(60)를 통과할 때 자극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우징(100)에 체결되면, 제3자성부재(50)가 제4자성부재(60)에 인접될 때에는 인력을 작용하여 회전부재(10)를 가속회전시키지만, 제3자성부재(50)가 제4자성부재(60)를 통과한 이후에도 인력을 계속적으로 작용시켜 회전부재(10)의 가속회전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자성부재(50)와 제4자성부재(60) 간의 자성에 의한 작용력이 제공되는 이외의 자극은 서로 멀어진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제3자성부재(50)와 제4자성부재(60)가 기울어진 상태로 테두리(11) 및 하우징(100)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척력작용의 경우도 상기와 같은 원리이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구체적으로, 제3자성부재(50)가 도 3과 같이 회전부재(10)의 회전방향에 제3자성부재(50)의 전단(어느 한쪽의 자극이 위치됨.)이 향하도록 테두리(11)에 기울어져 체결되고, 제4자성부재(60)의 전단이 제3자성부재(50)와 인접되게 하우징(100)에 기울어져 체결되면, 제3자성부재(50)의 후단(다른 한쪽의 자극이 위치됨.)은 테두리(11)의 안쪽으로 위치되고 제4자성부재(60)의 후단은 회전부재(10)와 먼쪽에 위치되어, 제3자성부재(50)가 제4자성부재(60)를 통과할 때 제3자성부재(50)의 후단에 위치된 자극과 제4자성부재(60)의 후단에 위치된 자극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과 회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13)에는 제5자성부재(72)가 일측 말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71)가 체결되는 크랭크(70)가 하나 이상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5자성부재(72)는 하우징(100)에 일측이 체결되고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전자석(73)이 내재되는 실린더(74)의 내부공간에 내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랭크(70)는 회전축(13)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크랭크(70)에 체결된 커넥팅 로드(71)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제5자성부재(72)는 제5자성부재(72)를 내재하는 실린더(74)의 내부공간에 내재된 전자석(73)에 의하여 수직이동하며 크랭크(70)를 주기적으로 가압하여 회전축(13)을 가속회전시킨다.
즉, 상기 실린더(74)는 일측이 하우징(100)에 고정체결되고,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5자성부재(72)가 말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71)를 내입시킨다. 이때,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전자석(73)이 내재되어 제5자성부재(72)가 전자석(73)에 인접되면 전자석(73)이 작동하여 제5자성부재(72)를 척력으로 밀어내고, 척력을 받은 제5자성부재(72)는 커넥팅 로드(71)를 밀어 크랭크(70)를 가압함으로써, 크랭크(70)와 연결된 회전축(13)을 더욱 가속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전자석(73)은 작동방법 및 작동시점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13)에는 하나 이상의 캠(80, Cam)이 구비되고, 상기 캠(80)에는 리미트 스위치(81, limit switch)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리미트 스위치(81)에 의한 작동신호는 상기 전자석(73)을 온ㆍ오프시키도록 구성가능하다.
즉, 상기 캠(80, Cam)은 회전축(13)에 체결되어 회전하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 부분 이상의 외주가 회전축(13)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81, limit switch)는 캠(80)의 돌출 부분과 접하면 작동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리미트 스위치(81)는 캠(80)과 인접된 하우징(100)의 일정부분에 체결되고, 리미트 스위치(81)의 작동신호는 전자석(73)으로 전달되어 전자석(73)을 온ㆍ오프시킨다.
더불어 리미트 스위치(81)에 의하여 작동신호가 생성되는 시점은 제5자성부재(72)가 전자석(73)에 인접된 위치에 놓일 때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또는 회전축(13)과 연결되어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는 시동모터(90, Start mot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0)는 자연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킨 외부동력을 원동력으로 회전하는데, 회전부재(10)의 최초 회전시에 외부동력에 의한 원동력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시동모터(90)는 회전부재(10)에 최초의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10) 또는 회전축(13, 이하, '회전축(13)'이라 함.)에 변속기를 장착하고, 상기 변속기는 회전축(13)과 외부동력 간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자연력이 약해져 외부동력에 의한 회전축(13)의 회전속도가 자성체들에 의하여 가속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10)의 회전속보보다 느려진 경우에는, 상기 변속기는 외부동력과 회전축(13) 간의 연결을 임시적으로 차단하거나 변속기의 기어를 고단으로 증가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이 외부동력에 의하여 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풍력, 수력, 조력 또는 자유낙하력 등과 같은 자연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킨 외부동력에 의한 회전속도가 느려 제1자성부재(20)가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와 회전축(13)의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서, 자연력이 다소 약한 경우의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시설에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먼저,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에는 회전부재(10)를 비롯하여 외부동력 전달축, 캠(80), 크랭크(70), 발전기와 연결된 밸트 풀리 및 시동모터(90)가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외부동력 전달축은 풍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재(10)는 복수 개의 회전살(12)과 테두리(11)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살(12) 중공 각각에는 제1자성부재(20)인 영구자석(테두리(11) 쪽이 S극)이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11)에는 제3자성부재(50)인 영구자석(회전방향에 위치되는 전단이 S극)이 테두리(11)의 외주연에 기울어지며 체결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3)을 지지하는 하우징(100)에는 회전부재(10)의 회전 반경의 외측에 대하는 부분에 제2자성부재(30, 테두리(11) 쪽이 모두 N극이지만,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테두리(11) 쪽이 S극임.) 및 제4자성부재(60, 테두리(11) 쪽이 N극)를 구비하고, 상기 제4자성부재(60)는 제3자성부재(50)와 대응하는 기울기로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우선, 회전축(13)과 연결된 시동모터(90)가 작동하여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회전축(13)과 연결된 외부동력 전달축이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부재(10)는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는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 상부 쪽에 위치된 제1자성부재(20)에 대한 원심력이 중력보다 작은 상태이다.
또한 회전축(13)을 기준하여 회전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는 회전축(13) 쪽에 위치되어 있다가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에 위치되면서부터 테두리(11)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2자성부재(30)는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긴다. 또한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다른 제2자성부재(30)는 척력으로 제1자성부재(20)를 밀어 제1자성부재(20)의 회전축(13) 쪽 이동을 가속시킨다.
아울러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구비된 제3자성부재(5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제4자성부재(60)와 주기적으로 인접되어 대응되고, 제4자성부재(60)와 인력이 작용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회전축(13)과 연결된 발전기에서는 계속적으로 전력이 생산되고, 생산된 전력은 축전지에 축전된다.
이하는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때의 제1자성부재(20)는 중력에 의한 영향보다는 회전부재(10)의 원심력에 의한 영향을 더욱 크게 받기 때문에, 회전축(13)을 중심하여 회전부재(10)에 구비된 전체 제1자성부재(20)가 테두리(1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동일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0)와 제1자성부재(20)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하나, 제1자성부재(20)와 대응되어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시키는 제2자성부재(30)는 도 4과 같이 회전부재(10)의 최하부(C)가 위치되는 하우징의 일정부분을 기준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과 최하부(C)의 구간(도 4의 AC구간, 이하 '진입구간'이라 칭함.)과 최하부(C)와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의 구간(도 4의 CA구간, 이하 '진출구간'이라 칭함.)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진입구간에 구비되는 제2자성부재(30AC)는 제1자성부재(20)와 척력이 작용하는 자극이 제1자성부재(20) 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진입구간을 통과하면서 테두리(11) 쪽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작용하여 제1자성부재(20)가 더욱 빠르게 진입구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밀어내어,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진출구간에 구비되는 제2자성부재(30CB)는 제1자성부재(20)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극이 제1자성부재(20) 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진출구간을 통과하면서 테두리(11) 쪽에 위치되어 있던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작용하여 제1자성부재(20)가 더욱 빠르게 진출구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잡아당겨,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수평한 위치의 (A)부분과 (B)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의 일정부분에 원동력부재(91)가 구비되고, 상기 원동력부재(91)에 구비된 회전풀리와 회전부재(10)의 외주가 서로 마찰되어 회전부재(1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동력부재(91)의 회전풀리에 제1자성부재(20)와 인력이 작용하는 회전자성체(9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자성체(92a)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와 대응되는 위치임과 동시에 테두리(11)에 인접되어 회전하는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가 중력에 의하여 회전축(13)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와 같이 테두리(11)에 인접되어 회전하는 제1자성부재(20)는 제1자성부재(20)의 무게를 테두리(11)에 가중시켜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도 및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자성체(92a)는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롤러에 복수 개의 자성체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롤러 타입의 회전자성체(92a)는 회전자성체(92a)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기 때문에, 회전자성체(92a)의 어느 한쪽 자극 부분만이 회전부재(10)의 제1자성부재(20)와 인접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체결된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수평한 위치의 (A)부분과 (B)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원동력부재(91)에 구비된 회전자성체(92a)와 동일한 원리로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가하는 다른 회전저성체(92b)가 하나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먼저,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에는 회전부재(10)를 비롯하여 캠(80), 크랭크(70), 발전기와 연결된 밸트 풀리 및 시동모터(90)가 체결된 상태이다. 또한 원동력부재(91)는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수평한 위치의 (A)부분과 (B)부분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의 일정부분에 구비된 상태이고, 상기 원동력부재(91)의 말단에 구비된 회전풀리에는 회전자성체(92a)가 구비되며, 원동력부재(91)의 외부동력 전달축은 풍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재(10)는 복수 개의 회전살(12)과 테두리(11)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살(12) 중공 각각에는 제1자성부재(20)인 영구자석(테두리(11) 쪽이 N극)이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11)에는 제3자성부재(50)인 영구자석(회전방향에 위치되는 전단이 N극)이 테두리(11)의 외주연에 기울어지며 체결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3)을 지지하는 하우징(100)에는 회전부재(10)의 회전 반경의 외측에 대하는 부분에 제2자성부재 및 제4자성부재(60, 테두리(11) 쪽이 N극)가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진입구간(AC)에 구비된 제2자성부재(30AC)는 테두리(11) 쪽이 N극이고, 진출구간(AB)에 구비된 제2자성부재(30CB)는 S극이며, 제4자성부재(60)는 제3자성부재(50)의 진출방향을 기준하여 제3자성부재(50)와 대응하는 기울기로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우선, 회전축(13)과 연결된 시동모터(90)가 작동하여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회전축(13)과 연결된 외부동력 전달축이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부재(10)는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10)의 회전속도는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 상부 쪽에 위치된 제1자성부재(20)에 대한 원심력이 중력보다 큰 상태이고, 제1자성부재(20)는 테두리(11)와 쪽에 위치되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부재(10)의 진입구간(AC)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2자성부재(30)는 제1자성부재(20)를 통과한 이후 제1자성부재(20)에 척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를 밀어냄으로써 회전부재(10)를 가속회전시킨다. 또한 회전부재(10)의 진출구간(CA)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2자성부재(30)는 제1자성부재(20)가 접근하면 제1자성부재(20)에 인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을 당김으로써 회전부재(10)를 가속회전시킨다.
아울러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구비된 제3자성부재(50)는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제4자성부재(60)와 주기적으로 인접되어 대응되고, 제4자성부재(60)와 척력이 작용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가속력 및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원동력부재(91)의 회전풀리에 구비된 회전자성체(92a)와 상기 원동력부재(91)와 인접된 하우징의 일정부분에 구비된 다른 회전자성체(92b)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에 위치되며 회전되는 제1자성부재(20)에 지속적으로 인력을 가하여, 제1자성부재(20)가 회전축(13) 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더블어 회전축(13)과 연결된 발전기에서는 계속적으로 전력이 생산되고, 생산된 전력은 축전지에 축전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회전부재 11 : 테두리
12 : 회전살 13 : 회전축
20 : 제1자성부재 21 : 영구자석
22 : 중량체 30 : 제2자성부재
40 : 발전부재 50 : 제3자성부재
60 : 제4자성부재 70 : 크랭크
71 : 커넥팅 로드 72 : 제5자성부재
73 : 전자석 74 : 실린더
80 : 캠 81 : 리미트 스위치
90 : 시동모터 91 : 원동력부재
100 : 하우징

Claims (10)

  1.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회전축(13)을 중앙에 구비하고, 외주에 테두리(11)를 구비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회전축(13)과 테두리(11) 사이를 이동하는 복수의 제1자성부재(20);
    상기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제2자성부재(30) 및;
    상기 회전부재(10)와 연결되어 회전부재(10)의 회전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0)는,
    회전축(13)과 테두리(11)를 연결하는 중공의 회전살(12)을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살(12) 중공에 제1자성부재(20)가 회전살(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20)는,
    제2자성부재(30)가 인접되는 부분에 영구자석(21)이 구비되고, 제2자성부재(30)의 반대쪽 부분에 영구자석(21)보다 비중이 큰 중량체(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입 부분(A)임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하부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1자성부재(20)를 인력으로 당기는 자극의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진출 부분(B)임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 테두리(11)의 중간부 또는 상부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1자성부재(20)를 척력으로 밀어내는 자극의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0)는,
    테두리(11)에 복수 개의 제3자성부재(50)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회전부재(10) 하부임과 동시에 테두리(11) 외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3자성부재(50)를 인력으로 당기거나 척력으로 밀어내는 제4자성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성부재(50)는 회전부재(10)의 회전방향에 전단이 향하도록 테두리(11)에 기울어져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자성부재(60)는 상기 제3자성부재(50)와 대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져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3)에는,
    제5자성부재(72)가 일측 말단에 구비된 커넥팅 로드(71)가 체결되는 크랭크(70)가 하나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5자성부재(72)는,
    하우징(100)에 일측이 체결되고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전자석(73)이 내재되는 실린더(74)의 내부공간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3)에는 하나 이상의 캠(80, Cam)이 구비되고, 상기 캠(80)에는 리미트 스위치(81, limit switch)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리미트 스위치(81)에 의한 작동신호는 상기 전자석(73)을 온ㆍ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회전부재(10)의 테두리(11) 또는 회전축(13)과 연결되어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는 시동모터(90, Start moter)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50110408A 2015-08-05 2015-08-05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74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08A KR101744527B1 (ko) 2015-08-05 2015-08-05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08A KR101744527B1 (ko) 2015-08-05 2015-08-05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63A true KR20170017063A (ko) 2017-02-15
KR101744527B1 KR101744527B1 (ko) 2017-06-08

Family

ID=5811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408A KR101744527B1 (ko) 2015-08-05 2015-08-05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840A1 (ko) * 2020-06-15 2021-12-23 김종인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154A (ko) 2002-11-22 2004-06-01 최찬목 편심 회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00005954U (ko) 2008-12-03 2010-06-11 남희정 자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0986151B1 (ko) 2010-04-01 2010-10-08 유영실 자기력 평형 전기발생장치
KR20120124157A (ko) 2011-05-03 2012-11-13 곽진준 자석을 이용한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081A (ja) * 2007-03-30 2008-10-16 Taketoshi Tezuka 偏重心回転体及びそ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154A (ko) 2002-11-22 2004-06-01 최찬목 편심 회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00005954U (ko) 2008-12-03 2010-06-11 남희정 자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0986151B1 (ko) 2010-04-01 2010-10-08 유영실 자기력 평형 전기발생장치
KR20120124157A (ko) 2011-05-03 2012-11-13 곽진준 자석을 이용한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840A1 (ko) * 2020-06-15 2021-12-23 김종인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27B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0094B2 (en) Energy 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magnetic pistons
KR101606829B1 (ko) 영구자석 응용 전동기
US10069363B2 (en) Rotary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ic generating apparatus
KR101829807B1 (ko) 자성체를 이용한 자기자력 중력발전장치
WO2014077322A1 (ja) マグネットモータ及び駆動機構
KR101744527B1 (ko) 자성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US10186930B2 (en) Rotary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ic generating apparatus
KR20100026594A (ko) 영구자석을 회전시켜 운동에너지를 얻는 방법
KR102256544B1 (ko) 자력을 이용한 구동력 증강 장치
JPS63136987A (ja) 永久磁石を用いた動力発生装置
DE50213117D1 (de) Vorrichtung zum Erzeugen elektrischer Energie aus der Drehbewegung einer Welle
CN105991065A (zh) 磁力发动机
KR20200094070A (ko) 자력을 이용한 동력보조장치
KR20150075124A (ko) 발전장치
KR10074056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력발생 장치 및 방법
US20100148599A1 (en) Magnet window
KR101335013B1 (ko) 동력발생장치
KR20180126884A (ko) 자극 배열을 이용한 회전 장치
KR20080085486A (ko) 자기 증폭 엔진
JP3170852U (ja) フライホイール付きの回転モーメント発電装置
JPH0919176A (ja) 発動装置
CN204578405U (zh) 两磁长度不对称的无连接传动装置
KR101655323B1 (ko) 동력전달장치
JP3171463U (ja) 発電装置
RU126538U1 (ru) Магнитный двиг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