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406A -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406A
KR20170016406A KR1020170010273A KR20170010273A KR20170016406A KR 20170016406 A KR20170016406 A KR 20170016406A KR 1020170010273 A KR1020170010273 A KR 1020170010273A KR 20170010273 A KR20170010273 A KR 20170010273A KR 20170016406 A KR20170016406 A KR 20170016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vehicle
control device
battery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백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1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406A/ko
Publication of KR2017001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네비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각종 자동차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네비게이션 장치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맵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안내에 따라 목적지까지 운행하게 된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단순히 네비게이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DMB 수신 기능,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 제조시에 설치되는 매립형 네비게이션이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네비게이션 앱을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스마트폰 자체를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3665호 참조)를 살펴보면, 매립형 네비게이션의 경우 네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SD 카드를 통해 수동 업데이트하거나 방문 업데이트 등을 해야하는 바 네비게이션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전화나 문자 알림 메시지가 떠서 안전 운전을 방해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화면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고 화면 사이즈의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에 불폄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하는 자동 테더링 기능과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부 및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점검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점검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50), 스마트폰(10) 및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후술할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네비 정보를 제공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네비 정보를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길안내를 할 수 있고, 또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다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면 그러한 정보를 운전자 내지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차 내부에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종류로는 차량 제조 당시에 기설치된 순정 모니터(53)일 수 있다(도 2(a) 참조). 이러한 순정 모니터(53)는 영상 입력 포트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순정 모니터(53)의 영상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 카메라가 연결되어 D1, VGA, HD 및 Full HD 를 포함하는 다양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로는 개인용 스마트폰 내지 테블릿의 표시 장치와 같은 개별 모니터(55)일 수도 있는바(도 2(b) 참조), 네비게이션 장치의 화면으로 사용할 디스플레이 장치(50)가 없는 차량의 경우에도 개인용 스마트폰과 같은 표시 장치가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운영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후술할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10)에는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테더링 앱(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는 스마트폰(10)의 화면을 통해 네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10)은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네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스마트폰(10)을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활용하는바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오면 그에 대한 알람으로 인해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가려진다거나 화면이 전화 모드로 전환되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과는 별개인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네비 정보를 제공하는 바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네비 정보를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
자동 테더링 기능 활성화 과정을 보면, 우선 차량과 스마트폰(10)은 블루투스 등의 방식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폰(10)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자동 테더링 수행을 위한 승인 비밀 번호도 이미 설정되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아니면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자동 테더링 앱(2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 스마트폰(10)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되고 자동 테더링 앱(20)은 자동 테더링 기능(핫스팟)을 실행하면서 비밀번호 확인과 같은 핫스팟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이 허용된 후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테더링 앱(2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10)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된 후,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스마트폰(10)에 자동 테더링 앱(20) 실행을 요청하고 그러한 요청에 따라 자동 테더링 앱(20)은 자동 테더링 기능(핫스팟)을 실행하면서 비밀번호 확인과 같은 핫스팟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이 허용된 후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테더링 기능을 사용할 때,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와 스마트폰(10)에는 단독 ID가 부여되어 서로에 대해서만 Tx(송신부) 및 Rx(수신부)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연결 시에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와 스마트폰(10)은 다른 외부 기기를 검색하지 않고 바로 서로 연결되고, 그 결과 상호 간에 접속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마트폰(10)은 핸드폰 형태의 장비뿐만 아니라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비이면 그 종류 및 형태에 제한이 없다.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체제 하에서 운영되는 전자 장비로서, 네비 정보를 포함한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여 차량 내에 인포테인먼트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통신부(33), 앱 관리부(35), 데이터 출력부(43), 상태 점검부(45)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3)는 차량, 스마트폰(10) 및 외부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우선, 스마트폰(10)의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 될 경우 통신부(33)는 스마트폰(10)과 통신 연결되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33)가 스마트폰(10)과 통신 연결되는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USB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연결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3)를 통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함에 따라 맵 데이터와 같은 네비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SD 카드를 사용하는 수동 업데이트, 방문 업데이트 및 인터넷을 통한 직접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네비 정보 업데이트에 드는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를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가 자동으로 반영되어 운전자에게 보다 나은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는 차량과 블루투스 연결 내지 AUX IN 연결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차량 오디오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33)는 별도의 외부 기기와도 블루투스 연결 내지 AUX IN 연결이 가능하다.
앱 관리부(35)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 내에 앱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앱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체(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 4.4.2 킷캣)와 같은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앱 관리부(35)는 전술한 스마트폰(10)의 자동 테더링 기능이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 인터넷 통신을 통해 앱을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되는 앱으로는 네비게이션 앱, 검색 앱 및 각종 컨텐츠 앱을 포함하여 그 제한이 없는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스마트폰 내지 테블릿 PC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앱으로는 시중에 나와있는 모든 앱(예를 들어, T맵, 아틀란 3D, 카카오 네비 등)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이중에서 원하는 앱을 사용하여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될 때 최소한의 데이터 용량만이 설치되는바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데이터 소모량이 많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는 앱 관리부(35)에 네비게이션 앱의 데이터 전체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실시간 교통 정보만 다운받으면 되어 데이터 소모량이 크지 않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소모량이 작으므로 전력 소모가 크지 않게 되어 차량 배터리와 스마트폰 배터리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앱 관리부(35)에 네비게이션 앱의 데이터 전체가 설치되는바 설치 후에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받을 수 없을 뿐이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의 네비게이션 앱을 이용하여 길안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주소 내지 목적지를 음성을 통해 검색 내지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43)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운전자 내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네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및 음성 정보를 받아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에는 다양한 컨텐츠 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앱을 실행하여 앱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앱이 활성화될 경우 네비 정보를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점검부(45)는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를 점검하는 모듈이다.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상시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태 점검부(45)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배터리 전압은 소정분만큼 떨어지게 되는데, 이 떨어지는 전압량이 정상치보다 크면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여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을 켜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배터리 전압은 소정분만큼 상승하게 되는데, 이 상승하는 전압량이 정상치보다 낮으면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여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를 통해 살펴보면, 도 5(a)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강하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상 상태(A)인 경우 12.5V의 전압이 시동을 끄면 12.3V로 하강하게 되나, 비정상 상태(B)인 경우에는 12.0V까지 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태 점검부(45)는 배터리 전압이 정상치보다 많이 떨어진 점을 인지하고 배터리 점검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5(b)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 배터링 상승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상 상태(C)인 경우 12.3V의 전압이 시동을 켜면 12.5V로 상승하게 되나, 비정상 상태(D)인 경우에는 12.4V까지만 상승할 수 있으며, 상태 점검부(45)는 배터리 전압이 정상치보다 덜 상승한 점을 인지하고 제너레이터 점검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그래프의 형태 및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얼마든지 다양한 그래프 형태 및 수치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상태 점검부(45)가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점을 파악한 후에, 상태 점검부(45)는 후술할 제어부(40)에 이러한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40)는 데이터 출력부(43)에게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 점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상태 점검부(45)는 직접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가 점검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 알림 메시지는 문자 형태일 수 있고, 또한 경고 음성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전반적인 운영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특히,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슬립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립 모드를 제어부(40)가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슬립 모드 하에 운영되는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 바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부팅되어 사용자는 부팅까지 긴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한편, 슬립 모드 하에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의 부팅 시간은 3초 이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시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40)는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는 상시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슬립 모드 시에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예를 들어, 승용차의 경우 11.8V)로 내려가게 되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40)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전압 차단 기능이 작동할 시에 제어부(40)는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저전압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압 차단 기능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영상을 보는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고, 차량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S10),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S20) 및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S10)는, 차량 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50),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 및 스마트폰(10)이 설치 내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켠다. 또한, 차량과 스마트폰(10)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 네비게이션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는바 차량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네비게이션 장치의 부팅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S20)는, 우선 스마트폰(10)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스마트폰(10)과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자동 테더링 수행을 위한 승인 비밀 번호도 이미 설정되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아니면 자동 입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에는 스마트폰(10)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실행되어 스마트폰(10)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30)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된 후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은 활성화되고,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는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하여 운전자가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30)가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은, 차량의 시동을 끈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을 켠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마트폰 20: 자동 테더링 앱
30: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33: 통신부
35: 앱 관리부 40: 제어부
43: 데이터 출력부 45: 상태 점검부
50: 디스플레이 장치 53: 순정 모니터
55: 개별 모니터

Claims (15)

  1.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기능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기능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이 켜진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슬립 모드 기능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에 기설치된 순정 모니터 또는 개별 모니터인 네비게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순정 모니터는 영상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 카메라가 연결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상기 순정 모니터가 D1, VGA, HD 및 Full HD 를 포함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에는 컨텐츠 앱 및 검색 앱을 포함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는 자동 업데이트 되는 네비게이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을 사용할 때, 통신 연결되는 상기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와 스마트폰에는 단독 ID가 부여되어 서로에 대해서만 Tx(송신부) 및 Rx(수신부)로 설정되는 네비게이션 장치.
  11. 차량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하는 자동 테더링 기능과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이 켜진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13. 제 1 항에 기재된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으로서,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 및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가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은, 차량의 시동을 끈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을 켠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인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KR1020170010273A 2017-01-23 2017-01-23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KR20170016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73A KR20170016406A (ko) 2017-01-23 2017-01-23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73A KR20170016406A (ko) 2017-01-23 2017-01-23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406A true KR20170016406A (ko) 2017-02-13

Family

ID=5815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273A KR20170016406A (ko) 2017-01-23 2017-01-23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935B2 (en) On-board update device and on-board update system
EP30163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KR101792046B1 (ko)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8953B1 (ko) 차량용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CN106484749B (zh) 用于管理车辆联锁应用程序的方法、装置和系统
US9392105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1501618B1 (ko)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KR102589468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1032438B (zh) 控制设备、控制方法和计算机程序
US11340891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21128362A (ja)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CN108417214B (zh) 智能车载语音辅助方法、智能语音设备、终端及存储介质
WO2014185045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70016406A (ko)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운영 방법
TW202126053A (zh) 具自動切換主控身分功能的車載多媒體裝置及其控制方法
US1128423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2102281B1 (ko)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프로세싱 장치
KR101801375B1 (ko)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WO2022163317A1 (ja) 車両用装置
WO2022163316A1 (ja) 車両用装置
WO2022163318A1 (ja) 車両用装置
WO2022163315A1 (ja) 車両用装置
WO2022163314A1 (ja) 車両用装置
US20180020183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and/or video or holographic data
KR20210043153A (ko) Ota 업데이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