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040A -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040A
KR20170016040A KR1020150109290A KR20150109290A KR20170016040A KR 20170016040 A KR20170016040 A KR 20170016040A KR 1020150109290 A KR1020150109290 A KR 1020150109290A KR 20150109290 A KR20150109290 A KR 20150109290A KR 20170016040 A KR20170016040 A KR 2017001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shaft
stirring
motor shaf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이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학 filed Critical 이재학
Priority to KR102015010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040A/ko
Publication of KR201700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교반축과 모터축의 착탈작업이 한손으로도 원터치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뜨거운 열기에 의한 화상 염려 없이 안전하게 교반날개의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교반날개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밀착하는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켜 조리용기 바닥에 눌어붙은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는, 조리용기 상부에서 전동모터의 모터축과 교반날개의 교반축을 착탈함에 있어,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삽입 가능한 결합구멍을 가지고, 상기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교반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과 교반축의 착탈위치에서 상기 결합구멍이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와 모터축으로부터 빠지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교반축과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항상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은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상호 전달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Stirrers for Cook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 내에 투입된 음식물, 예를 들면 죽을 가열함과 동시에, 조리용기 내에 위치한 교반날개를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는,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조리용기와,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조리용기 내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있어서, 조리용기의 상부가 개방되고, 교반날개의 교반축이 상기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타입에서는, 전동모터가 조리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부에서 전동모터의 모터축과 교반날개의 교반축을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리가 끝나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배출할 때에는, 조리용기를 경사지게 기울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터축으로부터 교반축을 분리하여 교반날개를 조리용기 내에서 빼내야 한다.
이와 같이 전동모터가 조리용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리용기 상부에서 모터축과 교반축을 착탈하도록 된 타입의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는 조리시마다 교반날개의 교반축과 전동모터의 모터축을 결합하고 분리해야 하므로, 그 착탈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터축과 교반축의 결합구조가, 모터축에 교반축을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교반축과 모터축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조리용기의 상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만큼, 상승하는 뜨거운 열기에 의해 교반날개의 결합 및 분리작업이 용이치 않은 것은 물론, 작업시간이 길어지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도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모터축과 교반축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가 제안된 것이 있다. 즉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7077호에 의하면, 교반축 상단에는 연결돌기를 형성하고, 모터축 하단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수평한 방향으로 끼워지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된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축에 연결캡을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연결돌기와 연결홈의 결합 부위를 복개하거나 노출시키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축에 교반축을 결합할 때에는 한 손으로 연결캡을 위방향으로 상승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교반축의 연결돌기를 모터축의 연결홈에 일치시킨 후, 상승 위치에 있는 연결캡을 하강시켜 연결돌기와 연결홈의 결합 부위를 복개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모터축으로부터 교반축을 분리할 때는 결합시의 반대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손으로 연결캡을 하강위치에서 상승시켜 결합부위를 노출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교반축을 잡고 연결돌기를 연결홈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터축과 교반축의 결합구조는,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연결돌기를 연결홈에 끼우거나 빼내는 작업과, 연결캡을 승,하강시키는 2단계의 연결 동작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나사 고정식에 비하여 착탈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뜨거운 열기가 올라오는 조리용기 상부에서 작업하는 만큼, 짧은 시간에도 화상의 염려가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의 착탈 작업을 더욱 단축시켜 화상의 염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모터축과 교반축의 결합구조는, 모터축의 연결홈에 교반축의 연결돌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교반날개는 자체 하중과 교반축의 하중에 의해 조리 용기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교반날개의 회전으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눌어붙은 음식물을 긁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아주 딱딱하게 눌어붙은 경우에는, 교반날개의 자중에 의한 밀착력만으로 효과적으로 긁어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교반축과 모터축의 착탈작업이 한손으로도 원터치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뜨거운 열기에 의한 화상 염려 없이 안전하게 교반날개의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교반날개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밀착하는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켜 조리용기 바닥에 눌어붙은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의 가열매체를 이용한 간접 열에 의해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의 가열매체가 과열되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용기 내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모터는 조리용기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용기 상부에서 전동모터의 모터축과 교반날개의 교반축을 착탈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삽입 가능한 결합구멍을 가지고, 상기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교반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과 교반축의 착탈위치에서 상기 결합구멍이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와 모터축으로부터 빠지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교반축과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항상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은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상호 전달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의 입구부에 상기 모터축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원추형 유도구멍을 형성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슬라이딩부재에 형성한 단턱에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하단은 교반축에 구비한 받침부재에 지지되며, 슬라이딩부재의 하단에는 모터축의 받침부재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가 교반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에는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이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의 상단이 접촉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교반날개가 조리용기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조리용기 하부에 구비되어 액상의 가열매체가 수용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구비된 전기히터와, 상기 가열실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가열실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가열매체의 팽창시 넘치는 가열매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수용하는 감압실과, 상기 감압실에 구비된 안전밸브로 이루어진 조리용 교반기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축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를 하강시켜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을 모터축 하부에 위치시키는 아주 간단한 동작만으로 교반축을 모터축에 결합할 수 있고, 또한 모터축에 교반축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를 하강시키는 아주 간단한 동작만으로 교반축을 모터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교반축과 모터축의 착탈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조리용기의 뜨거운 열기에 의한 화상 염려를 최대한 줄여 안전한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착탈작업이 한 손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착탈작업이 매우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의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반발력을 이용하여 교반날개를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음에 따라, 교반날개와 조리용기 바닥면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자중에 의존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조리용기 바닥에 눌어붙은 음식물을 더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으며, 하나의 탄성부재로 슬라이딩부재의 이동과 교반날개의 밀착력을 위한 탄성력 제공 기능을 겸하게 되므로, 부품수 감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함에 있어, 조리용기 하부의 가열실에 수용된 액상의 가열매체를 이용한 간접 열로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과정에서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감압실이 가열실 상부에 위치되어 연결됨에 따라 액상의 가열매체가 과열로 팽창할 때 가열매체의 일부가 감압실로 이동함으로써 과열에 의한 폭발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교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교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교반기에서 가열수단의 가열실과 감압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4의 (a) 및 (b)와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교반기에서 교반축과 모터축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서 교반축과 모터축을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서 조리용기를 기울이기 위한 레버조작부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의 측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서 조리용기의 기울기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죽 등의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10)를 구비한다.
조리용기(10)는 양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리용기(10)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11)이 지지프레임(20)에 회전지지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조리용기(10)를 회전지지하는 수직지지부(21)와, 바닥을 지탱하는 수평지지부(22)로 이루어지고, 수평지지부(22)에는 교반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바퀴(23)와, 교반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지지부(22)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받침구(24)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용기(10) 하부에는 조리용기(10)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가열수단은, 조리용기(10) 하부에 구비되어 액상의 가열매체(31), 예를 들면 물 또는 기름을 수용하는 가열실(32)을 구비하고, 가열실(32) 내에는 전기히터(33)가 구비되어 가열매체(31)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실(32)보다 높은 위치에는 감압실(35)이 구비되어 연결관(34)으로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감압실(35)에는 안전밸브(36)를 구비하여 감압실(35) 내에 과도한 압력발생시 안전밸브(36)의 뚜껑(37)이 개방되어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뜨거운 복사열이 방출되는 조리용기(10)의 하부와 가열실(32)의 외측에는 단열부재(38)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조리용기(10)와 가열실(32)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0) 내에는 교반날개(40)가 배치되어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교반날개(40)는 전동모터(50)의 회전동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하도록 된 것으로, 교반날개(40)의 교반축(41)과 전동모터(50)의 모터축(51)은 슬라이딩부재(60)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교반날개(40)의 교반축(41)은 조리용기(10)의 개방된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전동모터(50)는 조리용기(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조리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서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50)는 조리용기(10) 상부에 위치한 콘크롤박스(70) 내에 설치되며, 콘트롤박스(70)는 지지프레임(20)의 양쪽 수직지지부(21) 사이에 고정설치된다.
콘트롤박스(70)에는 제어부(71), 스위치(72) 및 계기판(73)들이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71)는 전기히터(33)와 전동모터(50), 그 외의 교반기 구동에 필요한 온도센서, 타이머 등을 제어하여 음식물 조리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의 (a) 및 (b)와 도 5의 (a) 및 (b)는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착탈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이딩부재(60)는,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이 함께 삽입 가능한 결합구멍(6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60)는 교반축(4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교반축(4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모터축(51)과 교반축(41)의 착탈위치에서 상기 결합구멍(61)이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도 5의 (a) 참조)와, 모터축(51)으로부터 빠지는 분리위치(도 4의 (b)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반축(41)과 슬라이딩부재(60) 사이에는 탄성부재(80),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80)는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이 항상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탄성부재(80)의 상단은 슬라이딩부재(60)에 형성한 단턱(63)에 지지되고, 탄성부재(80)의 하단은 교반축(41)에 구비한 받침부재(42)에 지지된다.
슬라이딩부재(60)의 하단에는 이탈방지부재(64)가 구비되어 있고, 이탈방지부재(64)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평상시에 교반축(41)의 받침부재(42)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60)가 교반축(4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모터축(51)에는 지지부재(52)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5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이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60)의 상단이 접촉함으로써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이 교반날개(40)로도 작용하게 한다. 따라서 교반날개(40)가 자중에 더하여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10)의 바닥에 더욱 밀착함으로써 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교반축(41) 및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은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상호 전달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41) 및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을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은 이와 일치하도록 사각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이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어이를 가지는 단면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60)는, 상기 모터축(51)이 삽입되는 결합구멍(61)의 입구부에 상기 모터축(51)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원추형 유도구멍(62)을 형성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과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60)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쉽게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음식물 배출을 위해 조리용기(10)를 기울이기 위한 레버조작부(90)를 나타낸 것으로, 레버조작부(90)는 조리용기(10)의 한쪽 회전축(11) 끝단에 연결된 레버(91)와, 상기 레버(91)의 회전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레버케이스(92)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11)은 조리용기(10)가 자중에 의해 도 8의 도면에서 시계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10)의 무게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고, 조리용기(10)와 수직지지부(21)에는 조리용기(10)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 멈춤부재(93,94)를 구비한다.
레버케이스(92)는 도 7에서와 같이 수직지지부(21)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조리용기(10)의 기울임 방향(도 8의 화살표 a 반대방향)으로 레버(91)가 회전하는 것을 안내하는 회전안내구멍(92a)을 구비하고, 회전안내구멍(92a)에는 제1 및 제2 회전각설정턱(92b,92c)이 레버(91) 안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레버(91)가 회전안내구멍(92a)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조리용기(10)가 조리위치, 즉 조리용기(1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위치에 있고, 레버(91)가 제1 회전각설정턱(92b)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0)를 대략 45도 기울인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레버(91)가 제2 회전각설정턱(92c)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0)를 대략 90도 이상 기울인 위치에서 정지시켜 조리된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0) 내에 음식물을 넣고 콘트롤박스(70)에 구비된 스위치(72)를 조작하여 음식물 조리시간 온도 등을 설정하면, 제어부(71)가 전기히터(33)와 전동모터(50)를 구동하여 조리를 개시한다.
이때, 조리용기(10) 내의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해 교반날개(40)의 교반축(41)을 모터축(51)에 결합할 때에는,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딩부재(60)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교반날개(40)를 조리용기(10)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6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부재(60)의 입구부를 모터축(51)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탄성부재(80)는 슬라이딩부재(60)의 단턱(63)과 교반축(41)의 받침부재(42)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킨 슬라이딩부재(60)를 놓게 되면, 도 5의 (a)에서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부재(60)는 상승하게 되고,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과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이 일치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이 모터축(51)에 끼워질 수 있어 바로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슬라이딩부재(60)의 상승시 상단이 모터축(51)의 지지부재(52)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60)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결합위치에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결합시 도 5의 (b)에서와 같이 결합구멍(61)과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결합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고,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부재(60)가 상승하면서 모터축(51)의 끝단이 원추형 유도구멍(62)에 밀착하게 되지만, 모터축(51)이 서서히 회전하는 것이므로, 자동적으로 결합구멍(61)과 모터축(51)의 바깥둘레면이 일치됨과 동시에,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부재(60)가 상승하여 결합구멍(61)이 모터축(51)에 끼워져 바로 결합된다.
조리가 끝난 후, 교반날개(40)를 조리용기(10)로부터 빼낼 때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슬라이딩부재(60)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슬라이딩부재(60)의 결합구멍(61)이 모터축(51)으로부터 빠져 모터축(51)과 교반축(41)이 분리되므로 교반날개(40)를 신속하게 빼낼 수 있고, 도 4의 (a)에서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60)는 하단의 이탈방지부재(64)가 교반축(41)의 받침부재(42)에 걸림유지되어 교반축(41)으로부터 슬라이딩부재(60)가 빠져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반축(41)과 모터축(51)의 착탈 작업이 한 손 사용에 의한 원터치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착탈 작업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어 조리용기(10)로부터 뜨거운 열기가 올라오는 조리용기(10) 상부에서의 착탈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열기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41)과 모터축(51)이 슬라이딩부재(6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60)의 상단이 모터축(51)의 지지부재(52)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이 교반축(41)을 통해 교반날개(40)에도 전달되어 교반날개(4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리용기(10)의 바닥과 밀착하게 되므로, 교반날개(40)의 자중에 더하여 탄성부재(8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교반날개(40)의 밀착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써 조리용기(10) 바닥에 눌어붙은 음식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10) 하부에 구비된 가열실(32) 내에 액상의 가열매체(31)가 수용되고, 이 가열매체(31)를 전기히터(33)로 가열하여 조리용기(10) 내의 음식물을 간접 가열하는 것이므로,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열실(32)은 감압실(35)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매체(31)가 과열되어 팽창하는 경우, 가열매체(31)의 일부가 팽창압력에 의해 감압실(35)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열실(32) 내의 압력을 완화시켜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감압실(35)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는 경우, 감압실(35)에 구비된 안전밸브(36)를 통해 증기압 또는 가열매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실(32)의 폭발 위험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조리용기 11 : 회전축
20 : 지지프레임 31 : 가열매체
32 : 가열실 33 : 전기히터
35 : 감압실 36 : 안전밸브
40 : 교반날개 41 : 교반축
42 : 받침부재 50 : 전동모터
51 : 모터축 52 : 지지부재
60 : 슬라이딩부재 61 : 결합구멍
62 : 원추형 유도구멍 63 : 단턱
64 : 이탈방지부재 70 : 콘트롤박스
80 : 탄성부재 90 : 레버조작부
91 : 레버 92 : 레버케이스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용기 내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모터는 조리용기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용기 상부에서 전동모터의 모터축과 교반날개의 교반축을 착탈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삽입 가능한 결합구멍을 가지고, 상기 교반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져 교반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과 교반축의 착탈위치에서 상기 결합구멍이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와 모터축으로부터 빠지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교반축과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항상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축 및 교반축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은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상호 전달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모터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의 입구부에 상기 모터축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원추형 유도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슬라이딩부재에 형성한 단턱에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하단은 교반축에 구비한 받침부재에 지지되며, 슬라이딩부재의 하단에는 모터축의 받침부재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가 교반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에는 슬라이딩부재의 결합구멍이 모터축의 바깥둘레면에 끼워지는 결합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의 상단이 접촉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교반날개가 조리용기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조리용기 하부에 구비되어 액상의 가열매체가 수용된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 내에 구비된 전기히터와, 상기 가열실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가열실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가열매체의 팽창시 넘치는 가열매체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수용하는 감압실과, 상기 감압실에 구비된 안전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교반기.
KR1020150109290A 2015-08-03 2015-08-03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KR20170016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90A KR20170016040A (ko) 2015-08-03 2015-08-03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90A KR20170016040A (ko) 2015-08-03 2015-08-03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40A true KR20170016040A (ko) 2017-02-13

Family

ID=5815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290A KR20170016040A (ko) 2015-08-03 2015-08-03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06B1 (ko) 2018-01-11 2019-03-14 김원규 이동형 교반장치
KR20220001755U (ko) * 2021-01-07 2022-07-14 (주)주성하이텍 착탈식 동력전달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06B1 (ko) 2018-01-11 2019-03-14 김원규 이동형 교반장치
KR20220001755U (ko) * 2021-01-07 2022-07-14 (주)주성하이텍 착탈식 동력전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166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and baking assembly
US8931401B2 (en) Appliance for simultaneous cooking and stirring
US11684207B2 (en) Air fryer
TW201900087A (zh) 自動炒菜機
CN107361623B (zh) 烹饪器具
EP3406168A1 (en) Cooking and baking device with seamlessly-jointed griddle plates
KR20170016040A (ko) 음식물 조리용 교반기
KR910002940B1 (ko) 요리기구
JP2009026579A (ja) 加熱調理器
CN206044340U (zh) 烹饪器具
CA3068793A1 (en) Air fryer
EP4094644B1 (en) Air fryer having basket with detachable cover plate
KR200444687Y1 (ko) 가정용 전열 조리기
CN107773019B (zh) 烹饪器具
CN209474414U (zh) 烹饪器具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CN212037221U (zh) 烹饪器具
CN208640356U (zh) 烹饪器具
CN207940626U (zh) 一种多功能炒菜机
CN214549045U (zh) 料理机
CN218074485U (zh) 烹饪器具
CN212912754U (zh) 烹饪器具
CN218338248U (zh) 一种用于烘烤食物的烹饪器具
CN215191019U (zh) 电烤炉
CN216018780U (zh) 一种旋转披萨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