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944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944A
KR20170014944A KR1020150109024A KR20150109024A KR20170014944A KR 20170014944 A KR20170014944 A KR 20170014944A KR 1020150109024 A KR1020150109024 A KR 1020150109024A KR 20150109024 A KR20150109024 A KR 20150109024A KR 20170014944 A KR20170014944 A KR 2017001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ousing
position adjustment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580B1 (ko
Inventor
최용복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5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04N5/2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렌즈를 갖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렌즈를 갖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2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 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휴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사물의 형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화상 휴대폰 기능에 이르기까지 카메라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이미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영상 합성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의 헤어스타일을 합성하는 등의 다양한 영상 합성 애플리케이션이 소개되고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카메라가 휴대 단말에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 단말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주영상을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고, 다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부영상을 주영상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두 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화면을 조합해 역광을 선명하게 표현하거나 줌 촬영을 좀 더 선명하게 하기 위해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 단말을 개발 중이다.
두 개의 카메라를 한 개의 모듈에 나란히 조립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카메라의 기울기 정도가 영상의 퀄러티를 좌우하게 되는데, 듀얼 카메라 모듈에 두 개의 카메라를 장착한 뒤에 두 개의 카메라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정하여 맞춰주기 위한 얼라이먼트(alignment) 공정에 한계가 있다.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를 맞춰주기 위한 정밀하고 정확한 얼라이먼트(alignment)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는 제1 렌즈를 갖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렌즈를 갖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2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위치 조정홀은 제1 관통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제2 관통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 중간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은 성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간격 조절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타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술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는 제1 렌즈를 갖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렌즈를 갖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1-1 하부 조정홀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양측면이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이웃한 제1 개구부를 상기 제1 기판이 관통하여 지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과 이웃한 제2 개구부를 상기 제2 기판이 관통하여 지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내부 상부면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단면이 맞닿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의 하단면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는 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술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를 맞춰주기 위해 정밀하고 정확하게 얼라이먼트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의 퀄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에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상태에서 얼라이먼트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 조립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B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B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A)은 제1 카메라 모듈(100), 제2 카메라 모듈(200),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삽입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몸체(120)와 제1 기판(130)을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200)은 제2 몸체(220)와 제2 기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제1 몸체(120)와 제2 카메라 모듈(200)의 제2 몸체(22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110, 210)를 포함하는 렌즈배럴(미도시), 렌즈(110, 210)를 통과한 입사광에서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IR(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 각각은 렌즈를 통해 입사되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기판(130)과 제2 기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130)과 제2 기판(230)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각종 소자들과 이미지 센서 등이 실장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00)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310)과 제2 수용 공간(320)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3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1 렌즈(110)와 제2 카메라 모듈(200)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2 렌즈(210)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311)과 제2 관통공(3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 공간(310)은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몸체(120)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 공간(320)은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2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2 몸체(220)를 수용할 수 있다.
카메라의 용도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은 서로 해상도, 화각, 센서의 종류 등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줌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로써 화각이 서로 다른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의 화각보다 제2 카메라 모듈의 화각이 작은 카메라 모듈로써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렌즈보다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렌즈의 높이가 높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하우징에 조립시킬 때, 하우징(300)에 삽입되어 수용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에 따라 영상의 퀄러티(quality)가 좌우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후,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얼라이먼트(alignment)가 중요하다.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얼라이먼트(alignment)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 각각의 상면, 측면,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외부에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 조정홀이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300)은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2),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340-1),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340-2),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관통공(311)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300)의 상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상면에서 제1 렌즈(110) 둘레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2 관통공(321)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300)의 상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에서 제2 렌즈(210) 둘레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관통홀(311)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2)은 제2 관통홀(321)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관통공(311)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2)은 제2 관통공(321)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카메라 모듈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2)은 제2 카메라 모듈의 모서리부에 위치하여 제1 상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상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Y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상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 상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상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340-1)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제1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340-2)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340-1)과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340-2)은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340-1) 사이의 중간 지점은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2개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340-2) 사이의 중간 지점은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 중간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Z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와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는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 사이의 중간 지점은 제1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2개의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 사이의 중간 지점은 제2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은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은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X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300)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 제2 상부 위치 조정홀(330-2),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340-1),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340-2),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나 크기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하우징에 삽입시킨 뒤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1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1 기판(130)은 하우징의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체결홈(370-1)에 체결되고,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2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 기판(230)은 하우징의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2 체결홈(370-2)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홈(370-1)의 두께와 너비는 제1 기판(130)의 두께와 너비에 대응되고, 제2 체결홈(370-2)의 두께와 너비는 제2 기판(230)의 두께와 너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제1 체결홈(370-1)과 제2 체결홈(370-2) 각각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간격 조절 홀(360-1, 36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조절 홀(360-1, 360-2)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 간의 거리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이 형성된 하우징(300)의 타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120)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220) 일측면 사이에 탄성부재(500-1, 500-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1, 500-2)는 코일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어떤 물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타측면 사이에 탄성부재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00)의 제1 수용 공간(310)과 제2 수용 공간(320)에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삽입되었을 때,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의 내벽과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외곽 간에는 에폭시 등의 가경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우선, 하우징의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면, 하우징의 내벽과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 간에 생기는 공간에 에폭시 등을 채워 1차적으로 가경화시킨다.
그리고,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조정홀을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핀들이 구비된 얼라이먼트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 측면을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수평을 이루도록 얼라이먼트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얼라이먼트가 완료되면 하우징과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 간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2차 경화시킨 뒤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위치 조정홀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하우징의 내면과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사이에 에폭시와 같은 물질을 채워 1차적으로 가경화시키는 과정을 생략하고 얼라이먼트 공정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하부에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구조는 제1 카메라 모듈의 기판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기판이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에 각각 끼워지므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하우징의 바닥면을 대신 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를 가장 얇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B)은 제1 카메라 모듈(100), 제2 카메라 모듈(200),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삽입되는 하우징(300), 하우징(300)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400)를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300)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310)과 제2 수용 공간(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수용 공간(310)에 수용되는 제1 몸체(120)와, 제1 카메라 모듈(100)이 제1 수용 공간(310)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몸체(1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제1 기판(130)을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200)은 제2 수용 공간(320)에 수용되는 제2 몸체(220)와,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제2 수용 공간(320)에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제2 기판(23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수용 공간(310)은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몸체(120)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 공간(320)은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2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2 몸체(220)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덮개(400)는 하우징(300)의 상단에 배치되는데, 제1 카메라 모듈(100)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1 렌즈(110)와 제2 카메라 모듈(200)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2 렌즈(210)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410)과 제2 관통공(42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340-1),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340-2),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은 하우징(300)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는 하우징(300)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와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은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바닥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의 중심은 제1 카메라 모듈의 몸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바닥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의 중심은 제2 카메라 모듈의 몸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340-1)은 제1-1 하부 조정홀(330-1)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340-2)은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340-1)과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340-2)은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과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340-1)과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340-2)은 각각 제1 카메라 모듈의 몸체 바닥면과 제2 카메라 모듈의 몸체 바닥면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여 각 위치 조정홀(330-1, 330-2, 340-1,340-2)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330-1)과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330-2),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340-1)과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340-2)이 배치되는 위치와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은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양측면에 배치되고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양측면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은 2개씩 구비되고,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 높이의 중간 지점에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이 각각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은 각각 제1 카메라 모듈의 몸체 측면과 제2 카메라 모듈의 몸체 측면에 위치하여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5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50-2)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X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수용 공간(310)과 이웃한 제1 개구부(310-1)를 제1 기판(130)이 관통하여 지나고, 제2 수용 공간(320)과 이웃한 제2 개구부(320-1)를 제2 기판(230)이 관통하여 지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구부(310-1)와 제2 개구부(320-1)의 너비는 각각 제1 기판(130)과 제2 기판(230)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덮개(400)의 내부 상부면이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단면이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0)의 상단면과 덮개(400)의 하단면 사이에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벽과 하우징의 내벽과 마주하는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측면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어 얼라이먼트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상부에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구조는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하우징에 삽입된 후에 하우징의 상단에 덮개가 배치되어 덮개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100), 제2 카메라 모듈(200),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삽입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3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카메라 모듈(200)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310)과 제2 수용 공간(320)을 포함하며, 제1 수용 공간(310)은 제1 카메라 모듈(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카메라 모듈(100)을 수용하고, 제2 수용 공간(320)은 제2 카메라 모듈(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제1 카메라 모듈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1 렌즈(110)와 제2 카메라 모듈이 갖는 최상측에 배치된 제2 렌즈(210)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310)과 제2 관통공(32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통공(321)은 일측이 개방될 수 있는데, 제1 렌즈(110)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렌즈(210)가 제2 관통공(321)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300)은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40-1),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40-2), 제1 하부 위치 조정홀(350-1), 제2 하부 위치 조정홀(350-2)을 포함한다.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관통공(310)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300)의 상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1 카메라 모듈(100)의 상면에서 제1 렌즈(110) 둘레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관통홀(311)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 관통공(311)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위치 조정홀(330-1)은 제1 카메라 모듈의 모서리부에 위치하여 제1 상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Y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 상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40-1)은 하우징(300)의 양측면에 제1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복수 개가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40-2)은 하우징(300)의 양측면에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복수 개가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40-1)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40-2)은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제1 측부 위치 조정홀(340-1)은 제1 카메라 모듈의 측면 높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제2 측부 위치 조정홀(340-1)은 제2 카메라 모듈의 측면 높이의 중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X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위치 조정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위치 조정홀(350-1)은 하우징(300)의 하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고, 제2 하부 위치 조정홀(350-2)은 하우징(300)의 하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위치 조종홀(350-1)은 제1 카메라 모듈의 가장자리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4개가 배치되고, 제2 하부 위치 조정홀(350-2)은 제2 카메라 모듈의 가장자리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위치 조종홀과 제2 하부 위치 조정홀을 관통하는 핀을 구비한 얼라이먼트 장치로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하여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회전이동시켜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부 위치 조종홀과 제2 하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되는 위치와 제1 하부 위치 조종홀과 제2 하부 위치 조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1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벽과 하우징의 내벽과 마주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측면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100)이 삽입되는 제1 수용 공간(310)이 배치된 하우징(300) 내부에는 제1 카메라 모듈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제1 체결 플랜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2 수용 공간(320)이 배치된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2 카메라 모듈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제2 체결 플랜지(360-2)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어 얼라이먼트하는 과정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양측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는 구조는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양측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된 후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의 각각 일측면을 제외한 부분이 하우징에 수용되므로 하우징과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을 본딩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 조정홀을 통해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 측면, 하면을 서로 다른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이 수평을 이루도록 얼라이먼트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0)의 전면에는 케이스(1100)의 상부면에 디스플레이(1200)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용 기기(10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기판이 배치되고, 기판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0)는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0)에 인접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영렌즈(1300)와 근접센서(140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1400)에는 적외선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신부가 구비된다.한편, 휴대용 기기(1000)의 후면에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카메라 모듈(1500)과 제2 카메라 모듈(16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휴대용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구비되어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대해 소정의 거리까지 근접하고 있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사용 상태로 하고, 근접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대해 소정의 거리까지 근접하고 있음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비사용 상태로 제어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C : 듀얼 카메라 모듈 100 : 제1 카메라 모듈
110 : 제1 렌즈 120 : 제1 몸체
130 : 제1 기판 200 : 제2 카메라 모듈
210 : 제2 렌즈 220 : 제2 몸체
230 : 제2 기판 300 : 하우징
310 : 제1 수용 공간 311, 410 : 제1 관통공
321, 420 : 제2 관통공 320 : 제2 수용 공간
400 : 덮개 500-1, 500-2 : 탄성부재

Claims (15)

  1. 제1 렌즈를 갖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렌즈를 갖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2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상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을 노출시키는 카메라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위치 조정홀은 제1 관통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위치 조정홀은 상기 제2 관통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일측면 중간 높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 사이의 중간 지점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타측면의 폭의 중앙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은 성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간격 조절 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1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타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2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의 반대쪽 측면의 내벽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0. 제1 렌즈를 갖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렌즈를 갖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1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1-1 하부 조정홀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2 하부 위치 조정홀;
    상기 제2-1 하부 위치 조정홀이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2 하부 위치 조정홀;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양측면이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이웃한 제1 개구부를 상기 제1 기판이 관통하여 지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과 이웃한 제2 개구부를 상기 제2 기판이 관통하여 지나는 카메라 모듈.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부 상부면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단면이 맞닿는 카메라 모듈.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의 하단면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위치 조정홀과 상기 제2 측부 위치 조정홀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제2 몸체 측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10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KR1020150109024A 2015-07-31 2015-07-3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KR10239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24A KR102392580B1 (ko) 2015-07-31 2015-07-3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24A KR102392580B1 (ko) 2015-07-31 2015-07-3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44A true KR20170014944A (ko) 2017-02-08
KR102392580B1 KR102392580B1 (ko) 2022-05-02

Family

ID=5815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24A KR102392580B1 (ko) 2015-07-31 2015-07-3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32B1 (ko) * 2018-09-12 2019-11-13 주식회사 엠씨넥스 Pcb의 선택적 교체가 가능한 멀티 카메라
WO2021012805A1 (en) * 2019-07-23 2021-01-28 Realme Chongqing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bracket,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595A (ja) * 2003-07-18 2005-02-10 Yasushi Haruta ステレオ写真撮影装置
KR20120021083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장치
KR20120045611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KR20120053829A (ko) * 2010-11-18 2012-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09697A (ko) * 2013-07-17 2015-01-27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595A (ja) * 2003-07-18 2005-02-10 Yasushi Haruta ステレオ写真撮影装置
KR20120021083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장치
KR20120045611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KR20120053829A (ko) * 2010-11-18 2012-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09697A (ko) * 2013-07-17 2015-01-27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32B1 (ko) * 2018-09-12 2019-11-13 주식회사 엠씨넥스 Pcb의 선택적 교체가 가능한 멀티 카메라
WO2021012805A1 (en) * 2019-07-23 2021-01-28 Realme Chongqing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bracket,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580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712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US9019428B2 (en)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with alignment structures
US20050271375A1 (en) Imaging apparatus
EP4064665A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9683430B (zh) 光学驱动机构及其组装方法
US11650430B2 (en) Method of adjusting optical system
US12003657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78362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2032967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10784636B (zh) 电子设备
KR20160069714A (ko) 카메라 모듈
EP405415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3259887A (zh) 在电子设备中用于防止摄像机失真的窗
KR2017001494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CN105282403B (zh) 一种控制摄像模组解像力均匀性的方法及摄像模组
US8514337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8366248A (zh) 一种3d显示装置以及3d校准装置与方法
CN210429124U (zh) 电子设备
CN110365891A (zh) 一种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11629138B (zh) 摄像模组及其制作方法和电子设备
US2022028654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2028654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9387951U (zh) 镜头模组
CN217508811U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