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894A -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894A
KR20170014894A KR1020150108911A KR20150108911A KR20170014894A KR 20170014894 A KR20170014894 A KR 20170014894A KR 1020150108911 A KR1020150108911 A KR 1020150108911A KR 20150108911 A KR20150108911 A KR 20150108911A KR 20170014894 A KR20170014894 A KR 2017001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uggage
baggage
opening
hyd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금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이노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894A/ko
Publication of KR2017001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6Check-in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탑승 시 부피가 크고 중량을 초과하여 기내 반입이 어려운 수화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수화물을 위탁 처리하는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공 수화물을 위탁하는 승객의 짐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수화물을 투입하는 입구를 셔터 장치로 차단하고, 항공 수화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OPEN/CLOSE 되는 새로운 수화물 위탁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하여 수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수속은 물론 경비 절감 및 혼잡도 완화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Self bag drop apparatus for bagage automatic handling system in airport}
본 발명은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 탑승 시 부피가 크고 중량을 초과하여 기내 반입이 어려운 수화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수화물을 위탁 처리하는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를 탑승하려는 경우 공항 체크 카운터에서 항공기 탑승 예약을 승인받은 사람이 항공권을 발권한 다음, 기내 반입이 어려운 부피가 크거나 중량을 초과하는 항공 수화물은 위탁 처리하여 항공기로 붙이게 된다.
이러한 항공 수화물은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보안 관리 및 안전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수화물 위탁 시 항공 안전 규정에 따라야 한다.
보통 수하물 자동 처리 시스템은 공항을 이용하는 출발, 도착, 환승 승객들이 기내로 휴대하지 않고 위탁하는 수하물을 공항 터미널 내에서 해당 승객이 탑승한 항공기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운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은 승객에 의하여 체크인 카운터에 출발 수화물이 올려지면, 무게를 측정한 후 출발 수화물을 수집용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수집용 컨베이어에 이송된 수화물에 대하여 보안 검색을 수행한 다음에 항공기에 탑재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검색을 통과한 수하물을 트레이(Tray)에 적재하여 승객이 탑승하는 항공기 이륙 장소까지 이송한 후에 항공기에 탑재하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하역 후 도착 투입대에서 수취대로 보내지면 수취대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있는 수화물을 확인하고 이용자가 자신의 수화물을 찾게 된다.
하지만, 항공기에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은 체크인 카운터에서 신분 확인 및 좌석 배정을 마친 후 수화물을 위탁하게 되는데, 최근 승객 수요의 급증으로 인하여 탑승 수속을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렇게 승객의 탑승 수속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수화물이 항공기 이륙 장소에 도착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항공기 출발 시간까지 지연되는 등 공항 능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최근에는 공항 체크 카운터에서 수화물을 항공기에 붙이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방식을 기계가 사람을 대신하는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승객의 탑승권을 인식한 뒤 짐을 넣으면 짐표(수화물 테그)를 발급해 옮기는 자동화 시스템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공항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수화물 처리 시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셀프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13-0041980호, 한국공개특허 10-2013-0123385호, 한국공개특허 10-2014-0088292호, 한국공개특허 10-1997-0020894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항공 수화물을 위탁하는 승객의 짐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수화물을 투입하는 입구를 셔터 장치로 차단하고, 항공 수화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OPEN/CLOSE 되는 새로운 수화물 위탁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하여 수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수속은 물론 경비 절감 및 혼잡도 완화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와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가 확보되어 있는 셔터 장치 본체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의 수화물 투입구와 수화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면서 셔터를 움직여주는 셔터 구동부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면서 수화물을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상기 셔터는 수화물 위탁 시 뒷쪽으로 이동 위치된 상태에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를 열어줌과 동시에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를 닫아주고, 위탁 수화물 이송 시 앞쪽으로 이동 위치된 상태에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를 닫아줌과 동시에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를 열어주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탑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하는 수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항공 수화물을 위탁하는 승객의 짐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수화물 위탁 시 수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자동 안내 시스템으로서 여권 또는 항공권 인식, 수화물 위탁 여부 및 주의사항 체크, 수화물 바코드 태그 발행, 셔터 OPEN/CLOSE, 컨베이어 구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오스크(Kios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의 경우, 셔터 장치 본체의 전면, 상면 및 후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느 한 쪽을 OPEN 시키면 상대적으로 다른 한 쪽을 CLOSE 시키는 방식으로 수화물 투입구와 수화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하부에는 수화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드셀 방식의 수화물 계량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수화물 계량기는 컨베이어 장치 하부의 4곳의 지지점에 설치된 로드셀에서 계측된 무게값을 연산하여 수화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는 닫힌 상태에서도 셔터 장치 본체 내부에 놓여진 수화물이 보이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서 다수 개의 라운드 바를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다른 예로서 비닐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투명판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중공관 형태의 바를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의 투명판 형태 및 중공관 형태의 바로 이루어지는 셔터의 경우 좌우 폭 가장자리 부분에 셔터 구동부측에 의해 견인되는 체인이 어댑터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셔터의 후단측 끝 부분에는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셔터 장치 본체의 후면부 상단과 하단에는 카운터 웨이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부 센서와 하부 센서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하부 센서의 검출작용에 의해 셔터의 개폐 위치가 제어부측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셔터 구동부의 경우에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은 입력측과 동력을 구동 샤프트로 동력을 내보내는 출력측을 가지는 기어 장치와, 한 쪽을 통해 기어 장치의 출력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양편에 있는 스프로킷을 통해 셔터의 라운드 바를 걸어서 당겨주는 구동 샤프트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수화물을 항공기에 붙일 때, 수작업으로 수화물을 위탁하던 방식을 대신하여 탑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 처리하는 수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수화물 처리에 따른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등 신속한 수속이 가능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항공사와 공항의 입장에서는 무인화에 따른 경비 절감 및 혼잡도 완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셔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셔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수화물 위탁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신속하고 안전한 수속을 위하여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탑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하는 수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항공 수화물을 위탁하는 승객의 짐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셔터 장치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는 앞쪽으로 수화물을 집어넣을 수 있는 수화물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고, 뒷쪽으로는 수화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수화물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셔터 장치 본체(12)의 수화물 투입구(10)와 수화물 배출구(11)는 후술하는 셔터(1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셔터 장치 본체(12)는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 일측의 적당한 위치에 옮겨져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에는 셔터(13)의 이동 시 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바 형태의 가이드 레일(17)이 구비되며, 이때의 가이드 레일(17)은 셔터 장치 본체(12)의 전면, 상면 및 후면으로 이어지는 궤적을 가지면서 본체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7)은 본체 프레임 좌우 폭방향 양편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셔터(13)는 양쪽 단부, 즉 라운드 바(16)의 양쪽 단부를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전면, 상면 및 후면의 가이드 레일(17)이 조성하고 있는 궤적을 따라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에는 셔터(13)의 이동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2쌍 정도의 아이들 스프로킷(27)이 구비되며, 이때의 각 쌍의 아이들 스프로킷(27)은 셔터 장치 본체(12)의 상단부 전후측 위치, 예를 들면 전면와 상면이 만나는 경계부위와 상면과 후면이 만나는 경계부위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수화물 위탁 시 수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자동 안내 시스템으로 키오스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는 공항이나 철도역 같은 곳에 설치되어 각종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인근지역에 대한 관광정보 등을 제공하는 무인정보단말기로서,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접촉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쉽게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셔터 장치 본체(12)의 한 쪽 옆에 설치되면서 셔터 장치 본체(12)측의 각종 기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키오스크는 센서 신호 등을 받거나 모터 구동 신호 등을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여권 또는 항공권 인식, 수화물 위탁 여부 및 주의사항 체크, 수화물 바코드 태그 발행, 셔터 OPEN/CLOSE, 컨베이어 구동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를 구현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셔터(1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13)는 앞뒤로 오가면서 셔터 장치 본체(12)의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와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셔터 장치 본체(12)의 전면과 상면, 또는 상면과 후면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13)는 셔터 장치 본체(12)의 전면, 상면 및 후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7)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어느 한 쪽을 OPEN 시키면 상대적으로 다른 한 쪽을 CLOSE 시키는 방식으로 수화물 투입구(10)와 수화물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13)가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면과 후면에 걸쳐 위치되면,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는 닫힌 상태가 되는 동시에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는 열린 상태가 되며, 이때 열려 있는 수화물 투입구(10)를 통해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로 수화물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13)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전면과 상면에 걸쳐 위치되면,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는 열린 상태가 되는 동시에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는 닫힌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열려 있는 수화물 배출구(11)를 통해 중량 계측 등 체크를 마친 수화물이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를 빠져나가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셔터(13)는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의 다수 개의 라운드 바를 나란하게 촘촘히 배치한 상태에서 마치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서, 라운드 바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반대쪽(셔터 장치 본체 내부)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셔터(13)는 수화물 위탁자가 잘 보이는 상태로 보내기 위하여 다수 개의 라운드 바(16)를 대나무 발 형태로 엮은 형태로서, 셔터(13)가 닫힌 상태에서도 내부의 수화물이 보이게 하면서 다른 여타의 수화물이 임의로 혼입되어 투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13)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라운드 바(16)를 바 직경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라운드 바(16)를 와이어나 로프 등의 끈(28)으로 묶어서 엮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끈(28)은 라운드 바 양편의 2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13)는 라운드 바와 라운드 바 간의 간격을 걸어서 당겨주는 셔터 구동부(14)의 스프로킷(25)에 의해 견인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13)의 다른 예로서, 적당한 강도 및 일정 두께를 가지는 비닐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투명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비닐 등의 셔터(13)에도 좌우 폭 가장자리 부분에 셔터 구동부측에 의해 견인되는 양쪽 2줄의 체인(미도시)이 어댑터(미도시)를 매개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비닐의 폭방향 양단부를 비닐 양편에서 비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줄의 각 체인에 있는 통상의 어댑터를 연결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14)의 스프로킷(25)으로 체인을 걸어서 당겨줌으로써, 셔터(13)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13)의 또 다른 예로서,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원형이나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다수 개의 중공관 형태의 바, 예를 들면 전면이 라운드 면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알루미늄 바를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중공관 형태의 바로 이루어지는 셔터(13)는 라운드 바와는 달리 끈 등으로 엮은 형태가 아닌, 바 양단부가 어댑터(미도시)를 통해 양편의 체인(미도시)측에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각각의 알루미늄 바가 양쪽 2줄의 체인과 일체식을 이루며 대나무 발 형태를 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13)의 좌우 폭 가장자리 부분, 즉 중공의 알루미늄 바의 양쪽 끝 부분에는 셔터 구동부측에 의해 견인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체인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13)는 양편의 체인을 이용하여 셔터 구동부(14)의 스프로킷(25)에 맞물리게 됨과 더불어 아이들 스프로킷(28)과도 맞물리게 되고, 결국 셔터 구동부(14)의 작동 시 체인을 견인하는 스프로킷(25)의 회전에 의해 셔터(13)는 앞뒤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과 스프로킷을 이용한 셔터 이동 방식 이외에도 셔터측에 벨트를 장착하고 스프로킷을 대신하여 풀리를 적용하는 방식으로도 셔터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셔터(13)의 개폐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13)의 후단측 끝 부분에는 카운터 웨이트(도 7a 및 도 7b의 도면부호 20)가 장착되고,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후면부 상단과 하단, 즉 수화물 배출구(11)의 상단쪽과 하단쪽에는 셔터(13)에 있는 카운터 웨이트(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부 센서(도 7a 및 도 7b의 도면부호 21)와 하부 센서(도 7a 및 도 7b의 도면부호 22)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13)가 수화물 투입구(10)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 구동부(14)의 작동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되어 수화물 투입구(10)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화물 배출구(11)를 닫게 되면, 이때의 셔터(13)에 있는 카운터 웨이트(20)를 하부 센서(22)가 검출하게 되고, 결국 상기 하부 센서(2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의 출력 제어에 의해 셔터 구동부(14)의 작동이 멈추면서 이때의 셔터(13)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13)가 셔터 구동부(14)의 작동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되어 수화물 배출구(11)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화물 투입구(11)를 닫게 되면, 이때의 셔터(13)에 있는 카운터 웨이트(20)를 상부 센서(21)가 검출하게 되고, 결국 상기 상부 센서(2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의 출력 제어에 의해 셔터 구동부(14)의 작동이 멈추면서 이때의 셔터(13)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센서(21)와 하부 센서(22)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광센서 등 통상의 센서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컨베이어 장치(15)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드셀 방식으로 수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수화물 계량기(도 6의 도면부호 18)를 포함한다.
상기 수화물 계량기(18)는 셔터 장치 본체(12)측에 설치되는 빔형의 로드셀(도 6의 도면부호 18a)과 컨베이어 장치(15)의 프레임 저면에서 수직 연장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를 통해 빔형의 로드셀(18a)에 결합되는 로드셀 바(도 6의 도면부호 18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장치(15)에 수화물이 놓여지면, 컨베이어 장치(15) 및 그 위에 올려진 수화물의 중량이 로드셀 바(18b)를 통해 빔형의 로드셀(18a)에 전해지면서 로드셀(18a)에 의해 수화물의 중량(전체 중량에서 미리 알고 있는 컨베이어 장치의 중량을 제외한 나머지 중량)이 측정되고, 이때의 중량 측정값은 키오스크에 있는 제어부측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의 경우 인장형 또는 압축형 빔형 로드셀 등과 같은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화물 계량기(18)는 컨베이어 장치(15), 예를 들면 앞쪽과 뒷쪽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장치(15a,15b) 중에서 앞쪽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장치(15a)의 각 사각모서리 부분의 4곳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지지점에 설치된 로드셀(18a)에서 계측된 무게값을 합산하여 수화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면서 셔터(13)를 움직여주는 셔터 구동부(14)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장치 본체(12)의 프레임 상부에는 장치 폭 방향 양편에는 샤프트 브라켓(29)이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한쪽 측면에는 모터 브라켓(3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모터 브라켓(30)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이 가능한 모터(23) 및 이 모터(23)의 축에 입력측을 통해 연결되는 기어 장치(24)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편의 샤프트 브라켓(29)에는 구동 샤프트(26)가 양단부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때의 구동 샤프트(26)의 한쪽 단부는 기어 장치(24)의 출력측과 커플링(31)을 매개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구동 샤프트(26)에는 양편으로 스프로킷(25)이 각각 장착되며, 이때의 스프로킷(25)의 치(齒)는 셔터(13)의 라운드 바(16)와 라운드 바(16) 사이의 간격 내에 위치되어 셔터(13)를 뒷쪽 또는 앞쪽으로 당기거나 밀어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23)가 구동되면 기어 장치(24)를 통해 출력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 샤프트(26) 및 스프로킷(25)가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스프로킷(25)의 회전에 의해 셔터(13)가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되므로, 셔터(13)는 앞쪽 또는 뒷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라운드 바를 엮은 형태의 셔터 이외에, 비닐 등의 투명판 형태나 중공관을 엮은 형태로 이루어진 셔터의 경우에는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의 회전을 이용하여 셔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는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면서 수화물을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 장치(15)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장치(15)는 수화물 계측 및 이동을 위한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와 수화물 이송을 위한 뒷쪽의 컨베이어 장치(15b)로 구성되며,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는 셔터 장치 본체(12) 내에서 수화물 투입구(10)와 수화물 배출구(11) 사이에 수평 자세로 배치되는 동시에 뒷쪽의 컨베이어 장치(15b)는 수화물 배출구(11)의 뒷쪽으로 후단부가 위로 들린 경사진 자세로 배치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15)는 컨베이어 프레임(3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33)과, 상기 어느 한쪽의 구동축(33)을 회전시켜주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전후단의 구동축(33)과 다수의 아이들러(34)에 걸쳐져 지지되면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35)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32)에는 컨베이어 벨트(35)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력조절장치(36)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에는 저면 4곳에 로드셀 바(18b)가 수직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로드셀 바(18b)가 수화물 계량기(18)측에 연결되므로서,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 전체는 셔터 장치 본체(12)에 설치되는 4곳의 수화물 계량기(18)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에 수화물이 놓여지면 이곳에서 수화물에 대한 계량이 이루어지게 되고, 계량 후에는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의 구동 및 뒷쪽의 컨베이어 장치(15b)의 구동에 의해 수화물은 앞쪽 컨베이어 장치(15a)에서 뒷쪽의 컨베이어 장치(15b)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에서 수화물 위탁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 수화물은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보안 관리 및 안전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수화물 자동위탁 시 항공안전 규정에 따라야 한다.
본 발명에서 셔터 장치 역할은 항공 수화물을 위탁하는 승객의 짐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수화물을 투입하는 입구를 셔터 장치로 차단하고 있으며, 항공기 수화물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오픈(ON), 크로스(OFF) 관리하는 방식이다.
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만 수화물을 자동 위탁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인식장치(항공권, 여권 등)를 통하여 승객을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항공기 탑승객의 조작에 따라 셔터 장치가 작동된다.
이러한 수화물 자동 위탁 시스템 동작 순서는 자동인식 안내 시스템(키오스크)에 여권 또는 항공권 인식→수화물 위탁 여부 및 주의사항 확인 및 체크→셔터 오픈→수화물 투입→수화물 무게 자동측정→수화물 바코드 태그 발행→수화물 바코드 태그 부착 및 인식→셔터 크로스→수화물 자동 이송(벨트 컨베어)→수화물 자동위탁 완료의 순서로 진행된다.
여기서, 키오스크 조작 등을 이용한 셔터 오픈이나 클로스, 키오스크를 통한 수화물 바코드 테그 발행 등의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항공탑승권 발행을 먼저 수행하고, 본 발명의 셔터 장치에 부속된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수화물 위탁을 위한 항공권 바코드를 키오스크에 인식시킨다.
2) 키오스크의 안내 메시지에 따라 수화물 위탁시스템의 셔터(13)를 열고, 위탁 수화물(100)을 컨베이어 장치(15a) 위에 올려 놓는다.
3) 컨베이어 장치(15a) 상에서 수화물을 자동 계량하고, 수화물 태그를 출력 부착한다.
4) 수화물을 재인식하고 셔터(13)가 닫히고, 컨베이어 장치(15b)로 위탁 수화물을 이송한다.
즉, 수화물 위탁 시 셔터 구동부(14)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셔터(13)가 뒷쪽으로 이동하면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가 열리고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수화물 계량기에 의한 수화물 중량 체크가 끝나면, 수화물을 항공기로 보내기 위하여 컨베이어 장치(15a,15b)로 위탁 수화물을 이송시킨다.
이때, 셔터 구동부(1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셔터(13)가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는 닫히고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는 열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앞쪽의 컨베이어 장치(15a)에 있던 수화물은 뒷쪽의 컨베이어 장치(15b)로 이송된 후에 계속해서 수집용 컨베이어(미도시)에 이송된 수화물에 대하여 보안 검색을 수행한 다음에 항공기에 탑재되는 것으로 항공 수화물 위탁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항공 수화물 위탁 시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OPEN/CLOSE 되는 새로운 수화물 위탁 시스템의 셔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공항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승객 스스로가 자동으로 수화물을 위탁할 수 있어 신속한 수속은 물론 경비 절감 및 혼잡도를 완화할 수 있는 등 이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10 : 수화물 투입구
11 : 수화물 배출구
12 : 셔터 장치 본체
13 : 셔터
14 : 셔터 구동부
15 : 컨베이어 장치
16 : 라운드 바
17 : 가이드 레일
18 : 수화물 계량기
19 : 바퀴
20 : 카운터 웨이트
21 : 상부 센서
22 : 하부 센서
23 : 모터
24 : 기어 장치
25 : 스프로킷
26 : 구동 샤프트
27 : 아이들 스프로킷
28 : 끈
29 : 샤프트 브라켓
30 : 모터 브라켓
31 : 커플링
32 : 컨베이어 프레임
33 : 구동축
34 : 아이들러
35 : 컨베이어 벨트
36 : 장력조절장치

Claims (10)

  1.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와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가 확보되어 있는 셔터 장치 본체(12)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수화물 투입구(10)와 수화물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셔터(13)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면서 셔터(13)를 움직여주는 셔터 구동부(14)와,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면서 수화물을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 장치(15)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13)는 수화물 위탁 시 뒷쪽으로 이동 위치된 상태에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를 열어줌과 동시에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를 닫아주고, 위탁 수화물 이송 시 앞쪽으로 이동 위치된 상태에서 앞쪽의 수화물 투입구(10)를 닫아줌과 동시에 뒷쪽의 수화물 배출구(11)를 열어주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화물 위탁 시 수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자동 안내 시스템으로서 여권 또는 항공권 인식, 수화물 위탁 여부 및 주의사항 체크, 수화물 바코드 태그 발행, 셔터 OPEN/CLOSE, 컨베이어 구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오스크(Kios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13)는 셔터 장치 본체(12)의 전면, 상면 및 후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7)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느 한 쪽을 OPEN 시키면 상대적으로 다른 한 쪽을 CLOSE 시키는 방식으로 수화물 투입구(10)와 수화물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5)의 하부에는 수화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드셀 방식의 수화물 계량기(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화물 계량기(18)는 컨베이어 장치 하부의 4곳의 지지점에 설치된 로드셀에서 계측된 무게값을 연산하여 수화물의 중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13)는 닫힌 상태에서도 셔터 장치 본체 내부에 놓여진 수화물이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라운드 바(16)를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13)는 닫힌 상태에서도 셔터 장치 본체 내부에 놓여진 수화물이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투명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13)의 좌우 폭 가장자리 부분에는 셔터 구동부측에 의해 견인되는 체인이 어댑터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13)는 닫힌 상태에서도 셔터 장치 본체 내부에 놓여진 수화물이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중공관 형태의 바를 대나무 발 처럼 엮어서 만든 가리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셔터(13)의 좌우 폭 가장자리 부분에는 셔터 구동부측에 의해 견인되는 체인이 어댑터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13)의 후단측 끝 부분에는 카운터 웨이트(20)가 장착되고, 상기 셔터 장치 본체(12)의 후면부 상단과 하단에는 카운터 웨이트(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부 센서(21)와 하부 센서(22)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센서(21,22)의 검출작용에 의해 셔터(13)의 개폐 위치가 제어부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14)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모터(23)와, 상기 모터(23)로부터 동력을 받은 입력측과 동력을 구동 샤프트(26)로 동력을 내보내는 출력측을 가지는 기어 장치(24)와, 한 쪽을 통해 기어 장치(24)의 출력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양편에 있는 스프로킷(25)을 통해 셔터(13)의 라운드 바(16)를 걸어서 당겨주는 구동 샤프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KR1020150108911A 2015-07-31 2015-07-31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KR20170014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11A KR20170014894A (ko) 2015-07-31 2015-07-31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11A KR20170014894A (ko) 2015-07-31 2015-07-31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894A true KR20170014894A (ko) 2017-02-08

Family

ID=5815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11A KR20170014894A (ko) 2015-07-31 2015-07-31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15B1 (ko) * 2018-01-12 2018-07-13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912B1 (en) Equipment for inspecting persons and luggage for accessing restricted areas
CN111426704B (zh) 一种行李安检系统及方法
US8474595B2 (en) Baggage screening device
CN102765589B (zh) 一种运输盒自动循环使用的输送系统
CN101415625A (zh) 用于查验手提行李和其它随身携带物品的检查站
CN203842835U (zh) 一种危险品自动分类x 光射线安全检查设备
CN207057039U (zh) 炸药药卷外观自动检测系统
CN103167986A (zh) 自动化自助式行李装卸设备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CN107127158A (zh) 炸药药卷外观自动检测系统
KR101118059B1 (ko)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KR20170014894A (ko) 항공 수화물 자동 처리 시스템의 셔터 장치
CN109230342B (zh) 安检传送设备
CN102939187B (zh) 整备车
CN103293561A (zh) 一种用于车站的旅客及行李安检系统
CN218808302U (zh) 行李托运传送机构、设备及系统
JP6760312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装置
KR101432201B1 (ko) 보안검색용 수하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의 이송방법
JP7351560B2 (ja) 機内食事無人配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5463854A (zh) 一种乘客和物品同步分流的安检系统
CN111689167A (zh) 行李筐的回收装置及其控制方法
CN202897428U (zh) 一种运输盒自动循环使用的输送系统
EP1714916A1 (en) Device for recirculating containers at a baggage inspection apparatus
JP3094840B2 (ja) 仕分け設備
CN212402503U (zh) 行李筐的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