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449A -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449A
KR20170014449A KR1020150107839A KR20150107839A KR20170014449A KR 20170014449 A KR20170014449 A KR 20170014449A KR 1020150107839 A KR1020150107839 A KR 1020150107839A KR 20150107839 A KR20150107839 A KR 20150107839A KR 20170014449 A KR20170014449 A KR 2017001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quality analysis
pg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최현준
정원식
최호룡
신덕현
신익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0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449A/ko
Publication of KR2017001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품질 분석을 위해서 별도의 DPI 장비나 모니터링 장비를 배제하고, PGW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분석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기반의 트래픽 품질을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은, (a)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QoS analysis and control in LTE System}
본 발명은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분석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기반의 트래픽 품질을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의 EPC망은 크게 PDN-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Serving-GW(Serving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 3개의 논리적인 엔터티로 분리된다.
PDN-GW(또는 PGW라 약칭함)는 3GPP 액세스 기술과 비 3GPP 액세스 기술(CDMA2000, WiMAX 또는 WIFI 등) 간의 이동성을 위한 글로벌 이동성 앵커 및 외부 네트워크로의 게이트웨이로서,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레인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Serving-GW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tunneling)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Serving-GW(또는 SGW라 약칭함)는 3GPP 액세스(E-UTRAN, UTRAN, GERAN) 간의 이동성을 위한 이동성 앵커이다. Serving-GW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 및 사용자 플레인 노드로서 eNodeB와 S1-U 인터페이스(Interface)로 연동하며, Inter LTE/3GPP 핸드오프(handoff)를 지원한다.
MME는 상이한 EUTRAN eNodeB 사이에서 이동하는 단말 장치(User Element: UE)의 이동성 관리를 담당하고, 세션 관리도 담당하는 제어 플레인 엔터티이다.
LTE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규칙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책 및 과금 규칙에 따라 단말기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정책 및 과금 규칙 함수(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는 어플리케이션 함수(Application Function: AF) 또는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소(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SPR)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거나 혹은 PCRF 자체 설정 값을 이용하여 정책 및 과금 제어 규칙(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 PCC 규칙)을 생성한다. 그리고 PCRF는 생성된 PCC 규칙을 정책 및 과금 시행 함수(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PCEF)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PCEF(또는 PGW라 칭함)는 PCC 규칙에 기반하여 단말기에게 서비스 플로우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LTE 시스템은 3GPP 규격의 위치 기반 PCC(Policy & Charging Control, 과금 및 정책 제어) 제어 방식에 따라 PDN-GW에서 정책 및 과금 룰을 관리하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모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고 있다.
또한, 특정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의 QoS와 과금 정책(PCC)은 해당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를 정의하는 필터(filter) 및 DPI(Deep Packet Inspection)에 의해서 정의되는데, 필터는 기본적으로 Source IP, Source Port, Destination IP, Destination Port, 및 Protocol을 포함하는 5 투플(tuple)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고 DPI(Deep Packet Inspection)의 경우에는 서버의 URL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분류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에는 PCC 정책에 따른 QoS 제어를 위한 트래픽 품질 분석을 위해서 별도의 DPI 장비나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분석을 수행했고, 또한 분석된 트래픽 품질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입자별 QoS 제어를 위해서 망 전체의 품질 감시 장비가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품질 분석을 위해서 별도의 DPI 장비나 모니터링 장비를 배제하고, PGW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분석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기반의 트래픽 품질을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는, 분석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 상기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부; 및 상기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여 PCRF가 상기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은, (a)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PCRF가 상기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ULI 정보는 MME로부터 SGW를 통해 PGW에 수신된 MBR(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정보는 PGW로부터 과금 서버로 전송되는 과금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기반의 트래픽 품질을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품질 분석을 위한 별도의 DPI 장비나 모니터링 장비를 배제하여 장비에 대한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입자별 QCI(QoS Class Identifier) 기반의 실시간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VoLTE 트래픽은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과도하게 전송되는 인터넷 트래픽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여 안정적인 Vo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별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 등급별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User Equipment: UE)(1), eNB(eNode B)(2), MME(Mobile Management Entity)(3), SGW(Serving Gateway)(4),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6), 및 분석 서버(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UE)(1)은 가입자 단말 장치로서, LTE 네트워크의 eNB(2)의 무선 통신 중계를 받아 데이터 호 발신을 교환 수단인 MME(3)로 전달한다. 이동 단말(UE)(1)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바일 단말 장치들은 이동 단말(UE)(1)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 장치가 이동 단말(UE)(1)에 포함될 수 있다.
eNB(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액세스 방식의 기지국 장비로서, 전송신호의 RF화 및 송수신,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MME(3)는 eNB(2)와 SGW(4) 간의 신호제어를 담당하는 EUTRAN 액세스 방식의 이동통신 교환국으로서, UE(1)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라우팅(routing)할 지를 결정하며, 가입자 정보 및 UE(1)의 이동성 관리,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SGW(4)는 eNB(1)와 제2의 eNB간의 UE(1)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GW(4)는 eNB(1)와 연동하며,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PGW(5)와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를 설정하며,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GW(5)는 UE(1)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인터넷 또는 IMS와 같은 PDN(Packet Data Network)과 연동하는 세션을 제어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SGW(4) 및 PDN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고,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며, SGW(4) 및 PDN으로 PDU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PGW(5)는 PCRF(6)와의 통신으로 수신된 PCC 규칙에 기반하여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수행하고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 서버로 제공하는데, 이러한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적어도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PGW(5)는 UE(1)의 네트워크 접속 시도 시 eNB(2) ■ MME(3) ■ SGW(4) ■ PGW(5)의 경로로 ULI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ULI 정보는 MME(3)로부터 SGW(4)를 통해 PGW(5)에 전송되는 MBR(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PGW(5)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ULI 정보에는 TAC ECGI(Enhanced Cell Global Identity) 정보가 포함되고 ECGI 정보를 통해 eNB의 아이디(ID)를 찾을 수 있다.
다른 예로, PGW(5)는 APN 정보, NSAPI 정보, NSAPI 별 TCP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과금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하여 과금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참조)
PCRF(6)는 과금 정책 룰 처리 장치로서,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 및 과금 규칙(Rule)을 제공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CRF(6)는 분석 서버(7)로부터 수신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5)로 전송할 수 있다.
분석 서버(7)는 PGW(5)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특정 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PCRF(6)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는 APN 정보, NSAPI 정보, NSAPI 별 TCP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분석 서버(7)의 세부 구성도이고, 수집부(21), 분석부(23), 및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21)는 PGW(5)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PGW(5)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분석부(23)는 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APN 정보와 NSAPI(QCI)를 기초로 인터넷 트래픽과 VoLTE 트래픽을 구분하고, NSAPI별 TCP 패킷 재전송량 정보를 기초로 인터넷 트래픽 품질을 분석하며, ULI 정보를 기초로 위치 기반 품질 분석을 수행하고,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쓰루풋(Throughput)을 측정/분석하며,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분석부(23)는 가입자별 ULI 기반으로 NSAPI별 TCP 재전송 분석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넷 품질 분석하는 기능, 가입자별 ULI 기반으로 가입자 수 산출하는 기능, 가입자별 ULI 기반으로 NSAPI별 트래픽 사용량을 사용 시간을 이용하여 Throughput을 구하는 기능,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분석부(23)를 통해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여 PCRF가 상기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PGW가 해당 PCC 규칙에 따라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장치에서 수행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분석 서버(7)는 PGW(5)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고(S301), 단계 S301에서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S303)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S305).
본 실시예에서 특정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ULI 정보는 MME(3)로부터 SGW(4)를 통해 PGW(5)에 수신된 MBR(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어, 분석 서버(7)는 단계 S305를 통해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6)로 제공하고(S307), PCRF(6)는 단계 S307에서 분석 서버(7)로부터 수신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S309) 그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S311) PGW로 전송한다(S313).
마지막으로, PGW(5)는 단계 S313에서 PCRF(6)로부터 수신된 PCC 규칙에 따라 QoS 제어를 수행한다(S315).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User Equipment: UE)(1), eNB(eNode B)(2), MME(Mobile Management Entity)(3), SGW(Serving Gateway)(4),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6), 분석 서버(7), 및 과금 서버(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PGW(5)는 과금 서버(8)로 보내는 과금 데이터(메시지) 내에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분석 서버(7)는 PGW(5)로부터 과금 서버(8)로 전송하는 과금 데이터(메시지)를 탭핑(Tapping)하여 해당 과금 데이터(메시지) 내의 특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의 시스템은 도 1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분석 서버(7)가 PGW(5)로부터 과금 서버(8)로 보내는 과금 데이터(메시지)를 탭핑(Tapping)하여 해당 과금 데이터(메시지) 내의 특정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이 다르고,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모두 동일 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UE(User Equipment)
2: eNB(eNode B)
3: MME(Mobile Management Entity)
4: SGW(Serving Gateway)
5: PGW(PDN Gateway)
6: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7: 분석 서버
8: 과금 서버
21: 수집부
23: 분석부
25: 제어부

Claims (12)

  1. 분석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
    상기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부; 및
    상기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여 PCRF가 상기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LI 정보는 MME로부터 SGW를 통해 PGW에 수신된 MBR(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PGW로부터 과금 서버로 전송되는 과금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5. (a) PGW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각종 정보 중 위치 별 트래픽 품질 분석이 가능한 특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수집된 특정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PCRF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CRF가 상기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QoS 제어 대상(가입자 및 서비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QoS 제어 대상에 대한 PCC 규칙을 생성하여 PGW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정보, NSAPI 별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패킷 재전송량 정보, NSAPI 별 트래픽 사용량 정보, ULI(User Location Identifier) 정보, 및 해당 트래픽 사용 시간(Time Usag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LI 정보는 MME로부터 SGW를 통해 PGW에 수신된 MBR(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PGW로부터 과금 서버로 전송되는 과금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1.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2.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7839A 2015-07-30 2015-07-30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4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39A KR20170014449A (ko) 2015-07-30 2015-07-30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839A KR20170014449A (ko) 2015-07-30 2015-07-30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49A true KR20170014449A (ko) 2017-02-08

Family

ID=5815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839A KR20170014449A (ko) 2015-07-30 2015-07-30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4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002A (ko) 2011-10-21 2013-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플리케이션 인지와 트래픽 제어를 위한 라우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002A (ko) 2011-10-21 2013-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플리케이션 인지와 트래픽 제어를 위한 라우터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23.203 "Policy and charging control architecture"
3GPP TS 29.212 "Policy and Charging Control (PCC) over Gx reference point"
3GPP TS 29.213 "Policy and Charging Control signaling flows and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 mapping"
3GPP TS 29.214 "Policy and Charging Control over Rx reference p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034B2 (ja) 拡張型son(拡張型自己組織化ネットワーク)を有する分散型ポリシー・アーキテクチャを可能にすること
EP40169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sa-upf re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51321B1 (en) Method and nodes for handling a user equipment's access to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140344472A1 (en) Sharing resource reservation
US20130097305A1 (en) Bearer Management And Metrics Gateway
US20140341031A1 (en) Differentiation of traffic flows mapped to the same bearer
US20120250660A1 (en) Maximum allowed quality of service procedures using gn/gp
US201502374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ubscribers
CN107113247B (zh) 一种策略的确定方法及装置
US10630847B2 (en) Methods and nodes for enabling management of traffic steering policy
WO2014185987A1 (en) Congestion management for non-roaming and roaming subscribers
KR102206889B1 (ko) Lte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별 pcc 제어를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170014449A (ko) Lte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품질 분석 및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Taleb et al. Towards elastic application-oriented bearer management for enhancing QoE in LTE networks
WO2015048992A1 (en) Handling overload of a network node
KR101280819B1 (ko) 접속망에 따라 cp를 변경하는 패킷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2216058B1 (ko) 가입자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7507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트래픽 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기지국별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1823635B1 (ko) Wcdma망과 epc망 간 데이터 호 처리 방법
US9819644B2 (en) Making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available at base station
KR101783319B1 (ko) 동적 pcc 프로비저닝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277007B1 (ko)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30656B1 (ko) 서비스 품질 정보 갱신 방법
KR101512649B1 (ko) 서비스 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해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90801B1 (ko) 패킷 처리 노드에서의 과금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