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07B1 -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07B1
KR102277007B1 KR1020130101193A KR20130101193A KR102277007B1 KR 102277007 B1 KR102277007 B1 KR 102277007B1 KR 1020130101193 A KR1020130101193 A KR 1020130101193A KR 20130101193 A KR20130101193 A KR 20130101193A KR 102277007 B1 KR102277007 B1 KR 10227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nge event
message
location informat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126A (ko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단말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에 의거하여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의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와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분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 정책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3GPP 릴리스(Release) 8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망 아키텍처(Network Architecture)인 EPC(Evolved Packet Core)를 기술하고 있다. EPC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진화시켜, 진화된 무선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호칭할 수도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EPC는 크게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 3개의 논리적인 엔티티(entity)로 분리된다.
이 중에서 MME는 기지국의 역할을 하는 eNodeB와 SGW간의 신호 제어를 담당하며,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송신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을 결정한다. 이러한 MME는 eNodeB로의 페이징 메시지 분산, NAS(Non Access Spectrum) 시그널링, 망내 핸드오버 제어,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 MME는 SGW와 PGW의 선택, 핸드오버를 위한 MME의 선택 및 변경, 단말 인증 등을 수행한다.
SGW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eNodeB와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3GPP 내부에서의 핸드오버(handover)를 지원하고, PGW와 EPS 베어러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PGW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패킷 서비스를 위해 SGW 및 외부망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개의 LTE 대역을 주파수 집성(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고 함)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대역처럼 사용하게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LTE-A(LTE Advanced)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다. 이러한 LTE-A 서비스는 주파수 집성 기술로 인하여 늘어난 대역폭만큼 빠른 통신 속도를 지원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LTE-A 모뎀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LTE-A 모뎀이 탑재되어 CA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해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을 통해 관리하며,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LTE-A 모뎀이 탑재된 것으로 확인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게만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LTE-A 모뎀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보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CA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증가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입장에서는 서비스 용량 중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자원에 대한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운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33982, 공개일자 2012년 12월 1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도록 한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하는 이벤트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기 때문에 이를 수신한 노드에서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와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분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분별하여 서비스 정책이 초기화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LTE-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도 2의 도면부호 200)는 도 1에 도시된 PGW(160)에 탑재되거나, 별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PGW(160)와 연동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이동통신 시스템은, eNodeB(10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40), SGW(Serving Gateway)(15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160), PCRF(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170), HSS(Home Subscriber Server)(180), DPI(Deep Packet Inspection)(190)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도면부호 120은 eNodeB(100)의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131 내지 134는 서비스 영역(120)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셀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셀(131 내지 134)에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가 위치하여 음성 통신 서비스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도 1에 나타낸 서비스 영역(120) 내의 셀(131 내지 134)과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는 eNodeB(100)의 서비스 영역(120)에 존재하는 복수의 셀(131 내지 134) 중에서 어느 한 셀에 위치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eNodeB(10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와 통신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eNodeB(100)는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한다. 또,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SGW(150)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등을 수행한다.
MME(140)는 eNodeB(100)와 SGW(150)간의 신호 제어를 담당하며,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송신 데이터에 대한 라우팅을 결정한다. 이러한 MME(140)는 eNodeB(100)로의 페이징 메시지 분산, NAS(Non Access Spectrum) 시그널링, 망내 핸드오버 제어,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 등을 수행한다. 또, MME(140)는 SGW(150)와 PGW(160)의 선택, 핸드오버를 위한 MME(140)의 선택 및 변경, 단말 인증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MME(14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PGW(160) 또는 SGW(150)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하며, HSS(180)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서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W(150)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eNodeB(100)와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3GPP 내부에서의 핸드오프(handoff)를 지원하고, PGW(150)와 EPS 베어러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이러한 SGW(150)는 가입자 프로파일(profile)을 기반으로 PGW(160)를 선택하며, 인바운드 로밍 호인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의 PGW와의 상호 정산을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특히, SGW(15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아이들(idle) 상태에서 액티브(active) 상태로 변경되는 등과 같이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PGW(160)에게 베어러 수정 요청(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며, PGW(160)로부터 베어러 수정 응답(modify bearer Answer)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PGW(160)로부터 PCRF(170)에서 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eNodeB(100)까지 전달하여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PGW(16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비 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플레인 노드이다. 패킷 서비스를 위해 SGW(150) 및 외부망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GW(150)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이러한 PGW(160)는 로컬 호인 경우에는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PGW(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도 2의 도면부호 200)를 탑재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단말 정보 전송 장치(도 2의 도면부호 200)와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PGW(16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하고, 판별의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PCRF(170)에게 송신할 수 있다.
PCRF(170)는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에 따른 동적(dynamic) QoS(Quality of Service) 및 과금 규칙(rule)을 제공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신 정책 및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PCRF(170)는 PGW(16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DPI(190)로부터 데이터 패킷의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 PCRF(17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 종류별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eNodeB(100)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HSS(180)는 LTE 이동통신망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이며,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DPI(190)는 통신망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트래픽을 관리한다. 이러한 DPI(190)는 데이터 패킷을 모두 열어서 서비스의 종류를 판별하며, 판별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PCRF(170)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m-VoIP(모바일 음성통화)를 비롯하여 어떤 응용프로그램(앱)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PGW(160)에 탑재되거나, 별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PGW(160)와 연동할 수 있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는 메시지 수신부(210), 이벤트 판별부(220), 메시지 생성부(230), 메시지 송신부(24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21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벤트 판별부(220)는 수신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한다.
메시지 생성부(230)는 이벤트 판별부(220)에 의한 판별의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 생성부(230)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와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한 변경 이벤트가 판별된 경우에 특정 필드를 서비스 정책 요청 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메시지 송신부(240)는 메시지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방법은,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01 내지 S3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를 판별하는 단계(S307)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변경 이벤트의 판별의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S309)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호 처리 경로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S311, S313)를 더 포함하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를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노드들 간에 단말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먼저, PGW(160)에는 QCI(QoS Class Identifier)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준이 되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기 설정되어 있다(S301).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되는 등과 같이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S303)하면 SGW(150)는 베어러 수정 요청(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PGW(160)에게 송신한다(S305). 이러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 변경과 상태정보 변경이 구분되어 있다.
그러면,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의 메시지 수신부(21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SGW(150)로부터 수신한다.
아울러,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의 이벤트 판별부(220)는 수신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를 판별한다(S307).
이어서,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의 메시지 생성부(230)는 이벤트 판별부(220)에 의한 판별의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단말 정보 전송 장치(200)의 메시지 송신부(240)는 메시지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한다(S309).
예컨대, 메시지 생성부(230)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책 요청 메시지로서 CCR-U(Credit Control Request-Update)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CCR-U 메시지를 메시지 송신부(240)가 PCRF(170)에게 송신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PGW(160)는 SGW(150)로부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CCR-U 메시지를 PCRF(170)에게 송신하였다. 하지만, CCR-U 메시지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의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PCRF(17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가 변경된 것인지 아니면 상태가 변경된 것인지를 분별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 의한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가 CCR-U 메시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PCRF(170)는 이러한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가 변경된 것인지 아니면 상태가 변경된 것인지를 분별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생성부(230)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만 CCR-U 메시지에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필드를 삽입하고,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CCR-U 메시지에 이벤트 트리거 필드를 삽입하지 않아서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와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분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PCRF(170)는 PGW(16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의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즉 CCR-U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DPI(190)로부터 데이터 패킷의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PCRF(17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서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분별할 수 있다. 또, PCRF(170)는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 종류별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PGW(160)에게 전송한다(S311). 예컨대, PCRF(170)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책 응답 메시지로서 CCA-U(Credit Control Answer-Update) 메시지를 PGW(16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CCA-U 메시지에 포함되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에는 QCI 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PCRF(170)는 QCI 값을 구분하여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해서는 서비스 정책이 초기화 되도록 할 수 있고,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해서는 마지막으로 할당한 정책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PGW(160)는 호 처리 경로를 통해 PCRF(17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재설정한다(S313). 또, 단계 S305에서 수신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modify bearer Answer)를 SGW(150)에게 송신한다(S315).
아울러, PGW(160)는 PCRF(170)에 의해 결정된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SGW(150)로 송신하며, SGW(150)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를 eNodeB(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eNodeB(100)는 서비스 품질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장치(111 내지 116)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스케줄링을 조정하고,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 또는 상태정보 변경에 따른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기 때문에 이를 수신한 노드에서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와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분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분별하여 서비스 정책이 초기화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별로 CA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는 LTE-A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eNodeB 140 : MME
150 : SGW 160 : PGW
170 : PCRF 180 : HSS
190 : DPI 200 : 단말 정보 전송 장치
210 : 메시지 수신부 220 : 이벤트 판별부
230 : 메시지 생성부 240 : 메시지 송신부

Claims (6)

  1. 단말 정보 전송 장치가 수행하는 단말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상태정보가 전환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과 상태정보 변경이 구분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에 발생한 변경 이벤트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와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한 변경 이벤트인지 판별된 경우에 삽입되는 특정 필드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정책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는 상기 단말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 전송 방법.
  4.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상태정보가 전환되는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변경과 상태정보 변경이 구분된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것인지를 판별하는 이벤트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호 처리 경로에 따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단말장치에 발생한 변경 이벤트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의 변경 이벤트와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한 변경 이벤트인지 판별된 경우에 삽입되는 특정 필드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전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정책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 전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 이벤트는 상기 단말장치가 아이들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 전송 장치.
KR1020130101193A 2013-08-26 2013-08-26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7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193A KR102277007B1 (ko) 2013-08-26 2013-08-26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193A KR102277007B1 (ko) 2013-08-26 2013-08-26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26A KR20150024126A (ko) 2015-03-06
KR102277007B1 true KR102277007B1 (ko) 2021-07-13

Family

ID=5302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193A KR102277007B1 (ko) 2013-08-26 2013-08-26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4325A1 (en) * 2011-04-01 2012-1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vity to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07B1 (ko) 2011-05-31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78705B1 (ko) * 2011-08-04 2017-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pcc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위치 기반 pcc 제어를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4325A1 (en) * 2011-04-01 2012-1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vity to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26A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828B2 (en) Policy and billing services in a cloud-based access solution for enterprise deployments
CN107872876B (zh) 消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09155905B (zh) 一种业务消息发送方法、终端设备以及网络设备
US11070967B2 (en)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enabl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973989B2 (en) Co-location of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with access node and local gateway
EP3944665A1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device
US20200100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curity for cu-cp and cu-up sepa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02170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rvice rate control
US20180249479A1 (e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505714B (zh) 多链接通信方法、设备和终端
CN107431953B (zh) 业务流分流的方法和装置
WO2017209367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별로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035694A1 (en) Service guarantee method and apparatus
US11991663B2 (en) Paging priority and wireless access for non-high priority access users during wireless network congestion
US20220182872A1 (en) Temporary priority elevation for non-high priority access users
US9084136B2 (en) Single bearer network connection establishment
US2022011679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20150039510A (ko) 중요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77007B1 (ko) 단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32392B2 (en) Communicating via multiple communication layers provided by multiple wireless network devices
KR102158329B1 (ko) 서비스 품질 정보 갱신 방법
KR101954397B1 (ko)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차단 방법 및 패킷 차단 시스템
KR102130656B1 (ko) 서비스 품질 정보 갱신 방법
US20200153741A1 (en) Message type mapping for packet traffic prioritization
US1093210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re network nodes for policy and charg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