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278A -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278A
KR20170014278A KR1020150107336A KR20150107336A KR20170014278A KR 20170014278 A KR20170014278 A KR 20170014278A KR 1020150107336 A KR1020150107336 A KR 1020150107336A KR 20150107336 A KR20150107336 A KR 20150107336A KR 20170014278 A KR20170014278 A KR 2017001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ncrete
welded wire
floor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0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278A/ko
Publication of KR2017001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선이 격자로 결합된 용접철망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에서, 스페이서는 각각 '┼'형 단면으로 구성된 상부의 머리부와 하부의 받침부가 막대 형상의 연결부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되, 연결부는 양단의 외주면이 소정 길이만큼 나사산 처리되고, 머리부는 중앙에 연결부의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홈이 형성된 저판부 및, 저판부 위로 결합되고 용접철망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종횡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상판부로 구성되며, 받침부는 중앙에 연결부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Spacer for wire mesh and concrete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시 설치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근콘크리트 타설 시 시방서의 기준에 맞게 용접철망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바람직하게 이용하여 타설용작업대와 함께 콘크리트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메시(Wire Mesh, 용접철망)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시방서의 기준인 무근콘크리트 두께의 2/3 높이 상부에 용접철망을 설치하여야 하지만, 대부분의 건설 현장에서는 용접철망을 바닥에 깔아둔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들어올리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자가 용접철망을 밟게 되어 그 위치가 어긋나게 되거나, 건설감독자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용접철망의 설치위치를 확인치 못하여 시방서에서 요구하는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용접철망을 시공하는 방법이 몇 가지 있었는데, 우선 용접철망을 바닥에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은 용접철망이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그 구조적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용접철망을 바닥에 깔아둔 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들어올리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용접철망을 상부로 들어올리더라도 그 높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올린 용접철망을 작업자가 밟게 됨으로써 그 위치가 다시 하부로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용접철망을 그 위에 얹어 매입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는 용접철망 간의 이음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그 높이도 시방서의 기준에 따라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용접철망을 대체하여 철근을 설치하거나 섬유보강재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타설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철근을 용접철망 대신에 이용할 경우 공사비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섬유보강재를 이용하는 것은 섬유의 형상, 치수, 혼입율, 콘크리트의 품질 등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시방서의 기준에 따라 용접철망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설치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설치된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훼손하지 않도록 작업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는 타설용작업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선이 격자로 결합된 용접철망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에서, 스페이서는 각각 '┼'형 단면으로 구성된 상부의 머리부와 하부의 받침부가 막대 형상의 연결부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되, 연결부는 양단의 외주면이 소정 길이만큼 나사산 처리되고, 머리부는 중앙에 연결부의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홈이 형성된 저판부 및, 저판부 위로 결합되고 용접철망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종횡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상판부로 구성되며, 받침부는 중앙에 연결부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바닥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용접철망을 스페이서의 머리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서 고정 설치한 후, 용접철망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용접철망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 타설용작업대 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타설용작업대는,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발판부재;와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으로 구성되고, 발판부재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부재; 및, 막대 형상으로서 결합부재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도록 상단 일부가 나사산 처리되고 발판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간단한 조립으로 완성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시방서 기준에 맞게 용접철망의 높이를 준수시킴으로써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구성요소가 나사결합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용접철망이 스페이서의 머리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간단히 끼워지는 방법으로 설치됨으로써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시에도 용접철망의 높이가 변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방서의 기준을 지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콘크리트 타설 전이라도 용접철망의 설치상태를 검측할 수 있기에 품질관리에 용이하다.
이때, 다양한 길이의 연결부가 이용됨으로써 용접철망의 높이를 바닥 상황에 맞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경사진 바닥에도 양측 스페이서에 길이가 다른 연결부를 적용시킴으로써 평활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셋째, 간편한 조립으로 완성되는 타설용작업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자가 용접철망을 훼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타설용작업대는 분리가 가능하기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따로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의 받침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가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설용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의 받침부(160)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가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용접철망(W)의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00)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철선이 격자로 결합된 용접철망(W)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100)에서, 상기 스페이서(100)는 각각 '┼'형 단면으로 구성된 상부의 머리부(120)와 하부의 받침부(160)가 막대 형상의 연결부(140)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140)는 양단의 외주면이 소정 길이만큼 나사산 처리되고, 상기 머리부(120)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140)의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홈(122)이 형성된 저판부(120a) 및, 상기 저판부(120a) 위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철망(W)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종횡방향으로 끼움홈(124)이 형성된 상판부(120b)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60)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140)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홈(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크게 머리부(120), 연결부(140), 받침부(160)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머리부(120)와 받침부(160)가 연결부(140)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머리부(120)는 '┼'형 단면으로 구성된 판 상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철망(W)이 끼워지는 상판부(120b)와 연결부(140)가 체결될 저판부(120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머리부(120)는 상판부(120b)와 저판부(120a)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소정의 두께를 이루며 일체로 성형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부(120b)에는 용접철망(W)을 종·횡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키는 끼움홈(124)이 구성된다. 이러한 끼움홈(124)은 용접철망(W)을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될 바닥 위에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된 채 다수 개 설치되는데, 각 스페이서(100)의 상판부(120b)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용접철망(W)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시방서의 기준에 대응되게 일정 높이를 유지한 채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홈(124)은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접철망(W)의 단일철선이 매끄럽게 끼워질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24)의 깊이가 용접철망(W)을 이루는 단일철선의 두께보다 더 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용접철망(W)은 단일철선들이 격자를 이루며 서로 용접 결합되는데, 이러한 용접철망(W)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에 안착 끼움될 때 스페이서(100)의 중앙부분에는 종·횡으로 지나가는 단일철선이 서로 중복되어 끼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끼움홈(124)은 용접철망(W)의 단일철선 두께의 2배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홈(124)에 용접철망(W)이 끼워진 후에는 별도의 철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고정시키면 된다.
저판부(120a)는 상판부(120b)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결합되는 부재로, 중앙 하부에 소정 단면으로 관통된 제1체결홈(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체결홈(122)은 후술할 연결부(140)의 상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로 구성된다.
연결부(140)는 머리부(120)와 받침부(160)를 연결하는 부재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의 일정 길이가 나사산처리된다. 이때 상단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머리부(120)의 제1체결홈(122)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후술할 받침부(160)의 제2체결홈(162)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부(14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평활하지 않은 바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바닥의 높이에 대응되게 연결부(1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페이서(100) 상단의 높이를 맞춤으로써 설치될 용접철망(W)이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이 경사질 경우에도 양측의 스페이서(100)에 적용되는 연결부(140)의 길이를 상이하게 적용시킴으로써 스페이서(100)의 머리부(12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용접철망(W)은 바닥의 고저나 경사에 상관없이 시방서의 기준에 맞게 계획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받침부(160)는 스페이서(100)의 자립을 위하여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 스페이서(100)를 안정적으로 자립시키기 위해 '┼'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부(160)는 중앙에 연결부(140) 하단과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홈(162)이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타 부분에 비하여 일정 높이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연결부(140)와 좀 더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60)는 현장의 바닥에 맞닿아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바닥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4방향으로 펼쳐진 부분 중 2군데 이상의 단부에 볼트 체결시킬 수 있는 관통공(16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4)을 통과한 볼트가 바닥에 체결됨으로써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받침부(160)는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하단에 접착제 등을 붙임으로 바닥에 고정될 수 있는데, 가령 하부에 방수재 등이 설치되어 철물로 결합이 불가능한 조건에 적용될 수 있다. 어느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받침부(160)는 용접철망(W)이 작업 도중에 이동되지 않도록 바닥에 견고히 고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머리부(120), 연결부(140), 받침부(160)가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재질로 성형제작될 수 있다. 이때 구성요소들이 각각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하여 이용될 수 있지만, 소형의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좀 더 쉽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는 용접철망(W)이 아닌 일반 철근을 받치는 기능으로도 이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연결대를 이용하여 높이가 조절되기에 이를 응용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설용작업대(2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바닥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스페이서(100)를 설치하고 용접철망(W)을 상기 스페이서(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끼워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용접철망(W)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용접철망(W)을 스페이서(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끼워서 고정 설치한 후에는 별도의 철선을 이용하여 스페이서(100)와 용접철망(W)을 결속하여 이탈을 방지해야 하며, 이와 같이 용접철망(W)이 설치된 후에는 현장감독자가 상기 용접철망(W)의 높이 및 규격 등을 검측하여 시방서의 기준에 맞는지 확인함으로써 시공품질의 확보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용접철망(W)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 타설용작업대(2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타설용작업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발판부재(220);와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재(220)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부재(240); 및,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40)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홈(242)에 나사결합되도록 상단 일부가 나사산 처리되고 상기 발판부재(22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260)로 구성될 수 있다.
타설용작업대(200)는 용접철망(W)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자에 의해 용접철망(W)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부재(220), 결합부재(240), 다리부재(260)로 구성된다.
발판부재(220)는 판 상의 부재로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측면에 다수 개 결합된 결합부재(240)를 이용하여 다리부재(260)가 결합됨으로써 발판부재(22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워지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40)의 하부플랜지에 나사홈(24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다리부재(260)의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타설용작업대(200)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판부재(220)가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결합부재(240)의 상부플랜지에도 홈이 형성되어 임시로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타설용작업대(200)는 작업자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용이한 간격(약 2m 폭)에 맞추는 동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또는 B 방향으로의 이동을 고려하여 배치하면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는 작업의 마감순서에 따라 타설용작업대(200)를 순차적으로 철거하면 된다. 또한 타설용작업대(200)는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으로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현장의 작업공간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W: 용접철망
100: 스페이서
120: 머리부
120a: 저판부
120b: 상판부
122: 제1체결홈
124: 끼움홈
140: 연결부
160: 받침부
162: 제2체결홈
164: 관통공
200: 타설용작업대
220: 발판부재
240: 결합부재
242: 나사홈
260: 다리부재

Claims (7)

  1. 철선이 격자로 결합된 용접철망(W)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100)에서,
    상기 스페이서(100)는 각각 '┼'형 단면으로 구성된 상부의 머리부(120)와 하부의 받침부(160)가 막대 형상의 연결부(140)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140)는 양단의 외주면이 소정 길이만큼 나사산 처리되고,
    상기 머리부(120)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140)의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홈(122)이 형성된 저판부(120a) 및, 상기 저판부(120a) 위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철망(W)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종횡방향으로 끼움홈(124)이 형성된 상판부(120b)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60)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140)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홈(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2. 제1항에서,
    상기 머리부(120)의 상판부(120b)는 상기 끼움홈(124)의 깊이가 용접철망(W)을 이루는 단일철선의 두께보다 더 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3. 제1항에서,
    상기 받침부(160)는 중앙을 기준으로 4방향으로 펼쳐진 부분 중 2군데 이상의 단부에 볼트 체결시킬 수 있는 관통공(16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4)을 통과한 볼트가 바닥에 체결됨으로써 스페이서(100)가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4. 제3항에서,
    상기 받침부(160)는 중앙이 타 부분에 비하여 일정 높이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접철망용 스페이서(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바닥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스페이서(100)를 설치하고 용접철망(W)을 상기 스페이서(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끼움홈(124)에 끼워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용접철망(W)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용접철망(W)이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 타설용작업대(200) 위에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타설용작업대(200)는,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발판부재(220);와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재(220)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부재(240); 및,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40)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홈(242)에 나사결합되도록 상단 일부가 나사산 처리되고 상기 발판부재(22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스페이서(100)는 조립 전 다양한 길이의 연결부(140)가 구비되되,
    바닥의 경사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140)를 선택하여 상기 스페이서(100)의 머리부(12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용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1020150107336A 2015-07-29 2015-07-29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2017001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36A KR20170014278A (ko) 2015-07-29 2015-07-29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36A KR20170014278A (ko) 2015-07-29 2015-07-29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278A true KR20170014278A (ko) 2017-02-08

Family

ID=5815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36A KR20170014278A (ko) 2015-07-29 2015-07-29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2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267A (zh) * 2021-07-28 2021-10-29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混凝土的板间厚度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267A (zh) * 2021-07-28 2021-10-29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混凝土的板间厚度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US11035114B2 (en) Pillar fixing metal fitting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671894B1 (ko) 노후 rc 보-기둥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pc 벽패널 보강체의 스터드-앵커 접합 공법
KR101152339B1 (ko) 패스트 기둥폼
KR20170014278A (ko)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JP5591727B2 (ja) ウッドデッキ
KR20160025961A (ko) 조립식 앵커
JP2015229840A (ja) 組立式足場
KR101098878B1 (ko) 강관파일용 밴드 압착식 두부보강장치
KR20110019188A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JP6425670B2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JP6181000B2 (ja) 鉄骨土台を備えた建築物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430483B2 (ja) 連結金具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JP5771467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方法ならびにユニットガイドの設置方法
JP5669209B2 (ja) 連結具
KR101875008B1 (ko) 핀 타입 서포트 높이조절 부재
JP4295705B2 (ja) 二重床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KR102126309B1 (ko)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및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시공방법
KR20170117951A (ko) 수직부재에 설치하는 가변식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