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12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121A
KR20170014121A KR1020150106969A KR20150106969A KR20170014121A KR 20170014121 A KR20170014121 A KR 20170014121A KR 1020150106969 A KR1020150106969 A KR 1020150106969A KR 20150106969 A KR20150106969 A KR 20150106969A KR 20170014121 A KR20170014121 A KR 2017001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ens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892B1 (ko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8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는 제1케이싱;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 및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전방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별도의 결합기구 없이 각 부품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CCTV, 자동차 장착용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CCTV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원거리에서도 CCTV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CTV로 촬영되는 영상의 화질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 모듈은 여러 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장치이다. 따라서, 부품들을 조립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각 부품들 간 결합을 위해 별도의 결합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결합기구 예를 들어, 나사못, 볼트 결합핀 등을 사용하여 각 부품들을 결합하는 경우,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부품들이 소형화되어가는 추세에서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별도의 결합기구 없이 각 부품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는 제1케이싱;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 및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전방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조립장치에 구비되는 그리퍼(gripper)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3나사산과 제4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파지를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에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센서까지의 제1방향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패킹부의 전방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며, 후방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케이싱;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케이싱;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패킹부의 전방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전단과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면까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부, 제1케이싱, 인쇄회로기판 및 제2케이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결합기구, 예를 들어, 나사못, 볼트, 결합핀 등을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에는 결합기구를 삽입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홀 또는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 부품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120)부(100), 제1케이싱(200), 인쇄회로기판(300), 제2케이싱(400) 및 패킹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0)부(100)는 외부의 광이 입사하는 부위이고, 제1케이싱(200)에 결합하며, 배럴(110)과 렌즈(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110)은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200)에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렌즈(120)는 상기 배럴(110)에 장착되고, 상기 배럴(11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120)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카메라 모듈에 입사하는 광의 축방향으로 복수의 렌즈(120)들이 정렬되어 광학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케이싱(20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120)부(100)가 결합할 수 있다. 제1케이싱(200)은 렌즈(120)부(100)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케이싱(200)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에 상기 배럴(110)의 후방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싱(20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배럴(110)의 결합방식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1케이싱(200)의 중공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배럴(110)의 후방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배럴(110)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제1케이싱(200)의 중공의 내주면 및/또는 상기 배럴(11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방식으로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배럴(110)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싱(200)은 제1나사산(210) 및 제4나사산(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사산(210)은 제1케이싱(200)의 후방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나사산(210)은 상기 제2케이싱(400)의 전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410)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4나사산(220)은 상기 제1케이싱(200)의 후방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320)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1케이싱(200)에 수용 및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렌즈(120)부(100)의 후방에 상기 렌즈(120)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200)에 수용되며, 상기 렌즈(120)부(100)의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120)부(100)와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에는 복수의 회로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소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 소자는 인쇄회로기판(300)에 구비되어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정류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기타 이미지센서(310)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30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이미지센서(310), 제3나사산(320) 및 관통홀(330)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330)은 하기에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먼저 상기 이미지센서(310)와 제3나사산(320)을 설명한다.
이미지센서(310)는 인쇄회로기판(300)에서 상기 렌즈(120)부(100)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렌즈(120)부(100)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120)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310)는 인쇄회로기판(300)이 상기 렌즈(120)부(100)와 대향하는 면인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120)부(1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에 관한 신호는 상기 이미지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나사산(320)은 상기 제1케이싱(200)의 후방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220)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조립장치에 구비되는 그리퍼(gripper, 미도시)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회전시켜 상기 제3나사산(320)과 제4나사산(220)이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파지하여 회전시켜 인쇄회로기판(300)을 제1케이싱(200)에 수용 및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를 움직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이 제1케이싱(200)에 수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케이싱(200)에서의 위치는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 광축의 일치, 이미지센서(310)의 제1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각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는 상기 렌즈(120)부(100)로부터 상기 이미지센서(310)까지의 제1방향 거리를 조절하여 설계된 기준치에 맞출 수 있다.
광축의 일치란, 렌즈(120)의 광축이 이미지센서(310)의 설계된 지점과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렌즈(120)의 기하학적 중심이 광축이 될 수 있고, 상기 광축이 상기 이미지센서(310)의 설계된 지점과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광축의 일치를 이룰 수 있다.
이미지센서(310)의 제1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각도의 조절은,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촬영되는 피사체의 상하 및 좌우방향이 수직 및 수평방향과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케이싱(400)은 상기 제1케이싱(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200)의 후방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싱(400)과 상기 제1케이싱(200)은 서로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케이싱(400)에는 제2나사산(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나사산(410)은 상기 제2케이싱(400)의 전방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나사산(410)은 상기 제1케이싱(200)의 후방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210)과 서로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나사산(210)과 제2나사산(410)이 서로 나사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제2케이싱(400)은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패킹부재(500)는 상기 제1패킹부의 전방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렌즈(120)부(100)와 상기 제1케이싱(200)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50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부재(500)는 상기 렌즈(120)부(100)와 상기 제1케이싱(200)의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그 유입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제2케이싱(400) 사이에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제2케이싱(400)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킷(gasket)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킷은 상기 제1케이싱(200)과 상기 제2케이싱(400)의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그 유입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20)부(100)와 제1케이싱(200)은 나사결합,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210)과 제2케이싱(4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410)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제1케이싱(200)과 제2케이싱(400)은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320)과 제1케이싱(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220)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상기 제1케이싱(200)의 내부에 수용 및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렌즈(120)부(100), 제1케이싱(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제2케이싱(400)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결합기구, 예를 들어, 나사못, 볼트, 결합핀 등을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들에는 결합기구를 삽입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홀 또는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카메라 모듈 부품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는 상기 렌즈(120)부(100)로부터 상기 이미지센서(310)까지의 제1방향 거리를 조절하여 설계된 기준치에 맞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상도는 상기 렌즈(120)부(100)의 전단과 상기 이미지센서(310)의 전면까지의 이격거리(L)를 조절하여 설계된 기준치에 맞출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L)는 인쇄회로기판(300)을 상기 제1케이싱(200)에 장착하는 작업에서 조절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300)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310)는 인쇄회로기판(300)이 지면(paper)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므로, 인쇄회로기판(300)을 상기 그리퍼로 회전시켜 상기 이격거리(L)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30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00)에는 관통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파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그리퍼가 상기 관통홀(330)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30)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은 그리퍼의 기능, 형상, 작동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인쇄회로기판(300)을 파지하고 광축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을 상기 제1케이싱(200)에 수용 및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는 상기 렌즈(120)부(100)의 전단과 상기 이미지센서(310)의 전면까지의 이격거리(L)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부
110: 배럴
120: 렌즈
200: 제1케이싱
210: 제1나사산
220: 제4나사산
300: 인쇄회로기판
310: 이미지센서
320: 제3나사산
330: 관통홀
400: 제2케이싱
410: 제2나사산
500: 패킹부재

Claims (12)

  1. 렌즈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는 제1케이싱;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 및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전방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조립장치에 구비되는 그리퍼(gripper)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3나사산과 제4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그리퍼가 상기 인쇄회로기판 파지를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후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에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되는 배럴;
    상기 배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대향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센서까지의 제1방향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킹부의 전방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렌즈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에 상기 렌즈부가 결합하며, 후방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케이싱;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전방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케이싱;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패킹부의 전방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결합부위를 패킹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의 후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3나사산과 결합을 위한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전단과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면까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06969A 2015-07-29 2015-07-29 카메라 모듈 KR10239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9A KR102391892B1 (ko) 2015-07-29 2015-07-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9A KR102391892B1 (ko) 2015-07-29 2015-07-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21A true KR20170014121A (ko) 2017-02-08
KR102391892B1 KR102391892B1 (ko) 2022-04-28

Family

ID=5815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69A KR102391892B1 (ko) 2015-07-29 2015-07-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8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582A (ja) * 1995-09-08 1997-03-28 Copal Co Ltd レンズシャッタ付きカメラ用焦点位置調節機構
KR100726346B1 (ko) * 2005-07-21 2007-06-08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130056435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582A (ja) * 1995-09-08 1997-03-28 Copal Co Ltd レンズシャッタ付きカメラ用焦点位置調節機構
KR100726346B1 (ko) * 2005-07-21 2007-06-08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130056435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892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3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CN100549745C (zh) 不可调焦型相机模块
US20170126938A1 (en) Vehicle camera with single point imager fixation to lens holder
US20150326760A1 (en) Imag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an imaging system
KR102248086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JP201951406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回路基板固定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4021011A1 (ja) 車載画像処理装置
US11841604B2 (en) Vehicular camera with dual focusing feature
KR102372339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288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120094668A (ko)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61939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102400658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14121A (ko) 카메라 모듈
US10829062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3234888U (ja) 撮像装置
JP2006276129A (ja) 光学装置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10234027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102330673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CN216313220U (zh) 摄像模组
KR10233067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4419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8234B1 (ko) 카메라 모듈
EP4261612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