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035A -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035A
KR20170014035A KR1020150106361A KR20150106361A KR20170014035A KR 20170014035 A KR20170014035 A KR 20170014035A KR 1020150106361 A KR1020150106361 A KR 1020150106361A KR 20150106361 A KR20150106361 A KR 20150106361A KR 20170014035 A KR20170014035 A KR 20170014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idth
forming
length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혜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035A/ko
Publication of KR2017001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미감이 우수한 자수 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은 가로 폭 (W1) 이 세로 길이 (D1) 보다 길고 (W1>D1), 각각의 변의 길이가 L1 인 마름모꼴 형상이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1 패턴과, 제1 패턴의 가로 폭(W1) 보다 작은 가로 폭 (W2)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 간격 (D2)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2 패턴과, 제2 패턴의 가로 폭 (W2) 보다 작은 간격 (W3)으로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복수 줄 형성되는 제3 패턴과, 각각의 변의 길이가 L2이며 사이각 (θ)이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V" 형상의 제4 패턴이 동일한 중심 축선을 따라 중첩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Embroidary Pattern and Method to produce the Pattern}
본 발명은 천연 피혁, 인조 피혁 또는 직물지 등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수 패턴 및 이러한 패턴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의류, 가방, 기타 생활용품 등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제품의 실용성과 더불어 아름다움, 즉 미감을 함께 창출하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미감을 창출하기 위하여 천연피혁, 인조 피혁 또는 직물지등의 원단 재료 자체에 모양 또는 무늬를 직접 넣어 제작하기도 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의 장식을 원단 재료에 첨가하기도 한다. 장식을 첨가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소재를 원단 재료에 덛붙여 봉재하는 방법과 원단 재료상에 자수로 모양 또는 무늬를 자수하는 방법 등이 있다. 자수 방식으로 원단 재료상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기도 하고 수작업으로 자수 패턴을 형성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원단 재료 상에 자수로 심미감이 우수한 자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자수 패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 재료 상에 제 1 내지 제 4 패턴을 동일한 중심 축선을 따라 중첩되게 형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제 1 패턴은, 도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폭 (W1) 이 세로 길이 (D1) 보다 크고 (W1>D1), 각각의 변의 길이 (L1)을 가지는 마름모꼴 형상이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패턴이다.
제 1 패턴의 각각의 변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구역 (L11) 과 제2 구역 (L12)으로 이루어 진다.
제2 구역 (L12)을 형성하는 실은 제1구역 (L11)을 형성하는 실과 굵기가 같거나 굵을 수 있다. 제1 패턴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다른 굵기로 형성함에 있어, 이를 수작업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굵기의 실을 사용하여 각각의 구역을 한번에 형성하여도 되고, 또는 같은 굵기의 실을 2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회 반복 자수하여 제2 구역을 형성된다.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다른 굵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구역을 반복하여 자수함으로써 형성한다.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도7(a)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마름모꼴 형상의 오른쪽 부위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왼쪽 부위를 다시 지그재그 모양으로 좌측 부위와 대칭되게 형성하여 마름모꼴 형상의 제1 패턴을 만들 수도 있고, 또는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소망하는 마름모꼴 형상의 변의 길이의 두배 (2L1)에 해당하는 길이와 소망하는 사이각을 갖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1차 패턴을 자수하고 이어서 역 방향으로 같은 길이와 사이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2차 패턴을 자수하여 제1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패턴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턴의 가로 폭(W1) 보다 작은 가로 폭 (W2)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 간격 (D2)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패턴이다.
제2패턴의 폭(W2)은 제1 패턴의 폭 (W)의 1/3 내지 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패턴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실을 원단 재료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체 자수 패턴의 심미감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형성된다. 제3 패턴은 제1 패턴 및 제2 패턴과는 달리 세로 방향으로 직진하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개의 직선으로 형성된다. 제3 패턴의 맨 왼쪽 직선 패턴과 맨 오른쪽 직선 패턴의 간격 (W3)은 제2 패턴의 가로 폭 (W2) 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형성되는 제4 패턴은 각각의 변의 길이 (L2)를 가지며 사이각 (θ)이 0°보다 크고 180 °보다 작은 "V" 형상의 선 형태로 형성된다.
사이각 θ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0° 이다.
제4 패턴을 형성하는 실의 굵기는 제1 내지 제3 패턴을 형성하는 실 보다 굵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패턴을 수작업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굵기를 가진 굵은 실을 사용하여 한번의 자수로 형성하거나 같은 굵기의 실을 복수회 자수함으로써 형성한다.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제4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패턴을 형성하는 실과 같은 굵기의 실을 복수회, 바람직 하게는 2 내지 10회 반복 자수함으로써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 패턴은 세로 방향으로 동일한 중심 축선을 따라 중첩되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패턴은 제1, 제2, 제3 그리고 제4 패턴 순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제2, 제3, 제1 그리고 제4 패턴 순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미감이 우수한 장식용 자수 패턴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의 전체 개략 평면도,
도2a 와 도2b는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을 구성하는 제1 패턴의 개략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을 구성하는 제2 패턴의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을 구성하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이 중첩된 상태를 보여 주는 개략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을 구성하는 제3 패턴이 제1 패턴과 제2 패턴 상에 중첩 형성된 상태를 보여 주는 개략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자수 패턴을 구성하는 제4 패턴이 제1 패턴, 제2 패턴 및 제3 패턴상에 중첩 형성된 상태를 보여 주는 개략 평면도,
도7은 제 1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미싱 자수 순서도이다.
[실시예 1]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천연피혁 원단상에 120 데니어 굵기의 100% 폴리에스테르 재봉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장식용 자수 패턴을 형성하였다.
[제 1 패턴 형성 - 스티치 공정]
프로그램밍된 자수용 미싱을 사용하여 원단상에 한 변의 길이가 6mm이고 좌우측 내각이 40°인 마름모꼴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였다. 각 변은 동일한 길이 (3mm)인 제1 구역과 제2구역으로 구분하여 자수하되 제1구역은 한 땀 미싱 (1회 자수), 제2 구역은 3 땀 미싱 (3회 자수)하여 형성하였다. 3 땀 미싱이란 자수용 미싱이 같은 부위을 3번 반복하여 자수하는 것을 의미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마름모꼴 형상의 오른쪽 부위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왼쪽 부위역시 지그재그 모양으로 좌측 부위와 대칭되게 형성하여 마름모꼴 형상의 제1 패턴을 완성하였다.
[제 2 패턴 형성 - 사틴 공정]
제1 패턴이 형성된 원단상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W2) 7mm, 그리고 간격 (D2) 1mm인 제2 패턴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자수하여 형성하였다. 이 때, 지그재그 모양의 제2 패턴의 사이각은 6°이었다.
[제3 패턴 형성 - 런닝 공정]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형성된 원단 재료 상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인 제3 패턴을 3.5mm 간격을 두고 2줄로 형성하였다.제3 패턴은 한 땀이 2.5mm 인 한 땀 미싱 자수로 형성하였다. 제2 패턴 상에 제3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자수실이 원단 재료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동시에 전체 자수 패턴의 심미감도 높아졌다.
[제4 패턴 형성 - 체인 공정]
마지막으로 제1, 제2 및 제3 패턴이 형성된 원단 재료상에 한 변의 길이 (L2)가 6mm이고 사이각(θ)이 55°인 제4 패턴을 6 땀 미싱으로 자수하여 형성하였다. 6 땀 미싱이란 자수용 미싱이 같은 부위를 6번 반복 자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하여 원단 재료 상에 본 발명의 장식용 자수 패턴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원단 재료상에, 제일 먼저 제2 패턴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3 패턴을 형성한 후 제1 패턴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제4 패턴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장식용 자수 패턴을 형성하였다.
W1 : 제 1 패턴의 가로 폭
W2 : 제 2 패턴의 가로 폭
W3 : 제 3 패턴의 간격
D1 : 제 1 패턴의 세로 길이
D2 : 제 2 패턴의 세로 방향 간격
L1 : 제 1 패턴의 각 변의 길이
L11 : 제 1 패턴의 각 변의 제 1 구역의 길이
L12 : 제 1 패턴의 각 변의 제 2 구역의 길이
L2 : 제 4 패턴의 각 변의 길이
θ : V 자 형상의 제 4 패턴의 양 변의 사이 각

Claims (10)

  1. 가로 폭 (W1) 이 세로 길이 (D1) 보다 길고 (W1>D1), 각각의 변의 길이가 L1 인 마름모꼴 형상이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의 가로 폭(W1) 보다 작은 가로 폭 (W2)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 간격 (D2)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2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 보다 작은 간격 (W3)으로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복수 줄 형성되는 제3 패턴과,
    각각의 변의 길이가 L2이며 사이각 (θ)이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V" 형상의 제4 패턴이 동일한 중심 축선을 따라 중첩되어 형성되는 자수 패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각각의 변 (L1)은 제1 구역 (L11)과 제2 구역 (L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구역 (L12)의 실 두께는 상기 제1구역 (L11)의 실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은 상기 제1 패턴의 가로 폭 (W1)과 1/3 W1 < W2 < 2/3 W1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의 가로 폭 (W3)은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와 1/3 W2 < W3 < 2/3 W2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은 2 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을 형성하는 실의 굵기는 제3 패턴을 형성하는 실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7. 가로 폭 (W1) 이 세로 길이 (D1) 보다 길고 (W1>D1), 각각의 변의 길이가
    L1 인 마름모꼴 형상의 제1 패턴을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가로 폭(W1) 보다 작은 가로 폭 (W2)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 간격 (D2)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2 패턴을 상기 제1 패턴과 중첩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 보다 작은 폭 (W3)으로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제3 패턴을 복수 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 각각의 변의 길이 (L2)를 가지며 사이각 (θ)이 0° 보다 크고 180 °보다 작은 "V" 형상의 제4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수 패턴 형성 방법.
  8. 가로 폭 (W2)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 간격 (D2)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복 형성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 보다 작은 폭 (W3)으로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제3 패턴을 복수 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가로 폭 (W1) 이 세로 길이 (D1) 보다 길고 (W1>D1), 상기 가로폭 (W1)은 상기 제2 패턴의 가로 폭 (W2)보다 크며, 각각의 변의 길이 (L1)을 가지는 마름모꼴 형상의 제1 패턴을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상기 제2 패턴 및 제3 패턴에 중첩되게 반복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턴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따라, 각각의 변의 길이 (L2)를 가지며 사이각 (θ)이 0° 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V" 형상의 제4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수 패턴 형성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각각의 변 (L1)은 제1 구역 (L11)과 제2 구역 (L12)로 나누어 형성하며, 상기 제2 구역 (L12)의 실 두께는 상기 제1구역 (L11)의 실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형성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턴을 형성하는 실의 굵기는 제3 패턴을 형성하는 실 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 패턴 형성 방법.
KR1020150106361A 2015-07-28 2015-07-28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KR20170014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61A KR20170014035A (ko) 2015-07-28 2015-07-28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61A KR20170014035A (ko) 2015-07-28 2015-07-28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035A true KR20170014035A (ko) 2017-02-08

Family

ID=5815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61A KR20170014035A (ko) 2015-07-28 2015-07-28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0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5775B2 (ja) ダブルジャカード筬を用いたメッシュ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の製法及び該製法により製造された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
JP2004524452A (ja) 直交的に曖昧なカーペットタイル
CA3110755A1 (en) Knitting method
US20160010247A1 (en) Three Dimensional Weave Fabric
US6526783B2 (en) Double-faced reversible color effect weft knit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9670604B2 (en) Three dimensional weave fabric for producing a woven item
US5172570A (en) Patterned fabric, process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1519116B2 (en) Puckering stretchable fabric
KR20170014035A (ko) 자수 패턴 및 자수 패턴 형성 방법
EP3020606B1 (en) Vehicule interior component comprising stitching pattern
KR101506459B1 (ko) 침구용 장식띠 제조방법
RU204682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из кожи и изделие из кожи
CN105113114A (zh) 经编无缝无底提花菱形网的织造方法
US4516609A (en) Cross stitch ribbon
JP3104121U (ja) 生地素材
JPS624237Y2 (ko)
ES282107U (es) Disposicion de dibujos de costura para su produccion en una maquina de coser en zig-zag.
US410428A (en) Trimming for the edges of fabrics
JPS625480B2 (ko)
US1100507A (en) Ornamental seam for sewed articles.
RU2378425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облегченного двойного жаккардового трикотажа с многоцветными односторонними узорными эффектами
JPS6221899B2 (ko)
US1148694A (en) Ornamented fabric.
RU2241083C1 (ru) Двойной двухцветный кулирный трикотаж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36671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стороннего объемного бесшовного полотна изделия из кожи и/или ме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