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695A -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 Google Patents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695A
KR20170013695A KR1020150106727A KR20150106727A KR20170013695A KR 20170013695 A KR20170013695 A KR 20170013695A KR 1020150106727 A KR1020150106727 A KR 1020150106727A KR 20150106727 A KR20150106727 A KR 20150106727A KR 20170013695 A KR20170013695 A KR 2017001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tether
vent hole
airbag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203B1 (ko
Inventor
장동현
박현교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5010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2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5758 priority patent/WO2017018652A1/ko
Publication of KR2017001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차량용 에어백이 제공된다. 에어백은 차량의 윈드 실드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승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팽창 유체를 배출하도록 에어백 쿠션에 형성되고,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윈드 실드와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벤트홀; 및 에어백 쿠션의 만개 시, 인장에 의해 벤트홀을 차폐하는 테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AIRBAG WITH VARIBABLE VETNING}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승객의 사이에서 전개되는 차량용 전면 착좌 승객을 보호하는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이 장착된다.
에어백의 에어백 쿠션은 차량 충돌 시 인플레이터로부터 그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한다.
통상의 에어백 쿠션의 내부 체적은 일반적인 성인을 보호할 수 있는 전개압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승객이 일반적인 성인이라 하더라도, 비정상착좌(Out of Position, 이하 “OPP”라 칭함) 상태,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과 승객과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울 경우, 예를 들면 승객이 시트를 당겨서 앉았거나 시트의 전방에 치우쳐서 앉았을 경우에 승객은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초기 전개압에 의해 오히려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차량의 조건, 예를 들면 차량 속도, 승객의 조건, 예컨대 승객의 체격, 승객의 착좌 위치 등, 또는 차량 및 승객의 두 조건에 따라 어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조절하는 전개압 조절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접촉할 경우, 승객을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에어백 쿠션 상에 벤트홀을 제공하고, 벤트홀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부터 에어백의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에어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연방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A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는 여성더미(AF05더미)와 남성더미(AM50더미), 6세 이하의 어린이 더미 등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 또는 다양한 착좌 상태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벤트홀이 복수개로 구비된 에어백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상시 개방된 벤트홀 (이하 “노멀 벤트홀”이라 칭함) 및 에어백 전개 상태에 따라 벤트홀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벤트홀(이하 “안전 벤트홀”이라 칭함)등이 에어백 쿠션에 구비된 것이 알려져 있다.
US 8,070,183 US 2012/0306187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쿠션의 노멀 벤트홀 및 안전 벤트홀의 기능을 통합하면서, 차량 및/또는 승객의 상태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차량의 윈드 실드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승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팽창 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상기 윈드 실드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벤트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 시, 인장에 의해 상기 벤트홀을 차폐하는 테더를 포함하는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이 제공된다.
상기 벤트홀은 상기 윈드 실드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이루는 각을 2등분 하는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선으로부터 +45° ~ -45°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홀은 일자형, 타원형, 또는 8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홀은 6세 이하의 어린이가 상기 초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충돌 시, 상기 6세 이하의 어린이의 머리 앞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트홀의 전방측에 상기 테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테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벤트홀의 전방으로 가이드 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은 테더홀 또는 테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벤트홀의 전방측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는 상기 테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테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벤트홀의 후방으로 가이드 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을 향하여 절곡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은 테더홀 또는 테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에 따라 이동하는 테더 및 테더의 인장에 의해 에어백 쿠션에 형성된 벤트홀을 차폐하는 벤트 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및/또는 승객의 조건에 따라 벤트홀을 차폐하는 것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노멀 벤트홀 및 안전 벤트홀을 통합하여 벤트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벤트홀을 에어백 쿠션의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하는 경우 벤트홀의 개방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인장되는 테더에 의해 벤트홀을 구속함에 있어 테더의 루트를 다양하게 하여 벤트홀 차폐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차랑용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만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만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만개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만개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벤트홀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선 ⅩⅤ-ⅩⅤ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ⅩⅦ-ⅩⅦ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승객을 향하는 방향을 “F”, 에어백 쿠션이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측을 향하는 방향을 “R”, 에어백 쿠션의 내측을 “I”, 에어백 쿠션의 외측을 “O”로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객(O)을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1)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1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에어백(100)은 차량의 승객측 좌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승객 전면 에어백이다.
에어백(100)은 인플레이터(3) 및 하우징(5)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의 일 부분 일 수 있다. 에어백(100)은 하우징(5)에 절첩 상태로 수용된다. 에어백 모듈(10)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7)에 장착된다.
에어백(10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7) 및 승객(O)의 사이에서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3)는 에어백 쿠션(110)이 팽창 상태로 전개되도록 에어백 쿠션(110)에 팽창 유체(이하 “가스”라 칭함)를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인플레이터(3)는 축적된 가스, 고체 추진제(solid propellant), 증폭제(augment), 또는 혼합물 등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에어백 장치(1)는 차량 충돌 또는 차량 충돌 직전과 같이 에어백 쿠션(110) 팽창을 위한 경우를 감지하는 센서(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3)는 센서(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어백 쿠션(110)은 모든 적절한 재료, 예컨대 나일론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모든 적절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110)은 하나 이상의 패널 또는 조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각 또는 패널이 사용된 경우, 재봉, 초음파 웰딩, 열접착 또는 접착제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에어백 쿠션(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각 또는 패널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10)은 가스 기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은 가스 불침투성 우레탄, 또는 가스 불침투성 필름과 같은 재질로 적층된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차량 충돌과 같이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을 요구하는 경우가 일어남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9)는 인플레이터(3)에 신호를 전달한다. 센서(9)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 인플레이터(3)는 작동하여 에어백 쿠션(110)으로 가스를 제공한다. 팽창하는 에어백 쿠션(110)은 하우징(5) 내에 절첩된 상태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 상태로 팽창한다.
에어백 쿠션(110)은 차량의 부품,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7) 또는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함께 충격으로부터 승객(O)을 보호한다.
에어백 쿠션(110)은 승객 보호가 요구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전개된 경우, 승객에 의해 에어백 쿠션(11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승객(O)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면, 에어백(100)은 차량의 상태, 승객의 상태, 차량 및 승객의 두 상태에 따라 응답하여 에어백 쿠션의 압력(pressurization), 전개, 팽창 조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차량 및 승객의 상태에 응답하여 수동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발명을 따르면, 에어백(100)은 벤트 장치(V)를 포함한다. 벤트 장치(V)는 에어백 쿠션(110)의 일측에 형성된 벤트홀(111)과, 차량 및 승객의 상태에 따라 벤트홀(11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벤트 조절기(130, vent adjuster)를 포함한다. 벤트 조절기(130)는 일단이 벤트홀(111)의 주변에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112)에 구속되는 테더(131)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에어백 쿠션(110)이 완전히 전개된 경우(실선 표시 상태), 테더(133)는 인장되고, 테더(131)의 인장력에 의해 벤트홀(111)이 차폐된다.
한편,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 (점선 표시 상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테더(131)에 의해 벤트홀(111)은 구속되지 않는다.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 에어백 쿠션(110)은 윈드 실드(W)와 인스트루먼트 패널(7) 사이로 팽창 전개되고, 윈드 실드(W)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7)에 의해 가압되어 벤트홀(111)이 개방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에어백(100)은 테더(131), 벤트홀(111)의 형상, 벤트홀(111)의 위치의 조합에 의해 벤트홀(111)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에어백 쿠션(110)으로 충돌하는 승객에 따라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 전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차량 및/또는 승객의 상태, 예컨대, 승객 사이즈/무게, 승객의 시트벨트 체결 유무, 승객의 착좌 자세(전방/후방, 직립/또는 기울어짐), 차량의 속도에 따라 승객(O)에 접촉하는 에어백 쿠션(110)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벤트 장치의 구성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벤트홀(111)은 윈드 실드(W)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7)이 이루는 각(α°)을 2등분하는 선(D)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선(V)으로부터 +45°~-45° 범위의 각도로 형성된다.
벤트홀(111)은 일자형(도 1 참조), 타원형(서로 마주하는 호형 내주면을 포함하는 홀 형태, 도 3 참조), 8자형 (도 13 참조) 등 대략 세로로 긴 형상을 갖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 에어백 쿠션(110)이 윈드 실드(W)와 인스트루먼트 패널(7)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벤트홀(111)이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다(점선 표시 상태).
벤트홀(111)은 6세 이하의 어린이(O1)가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에 에어백 쿠션(110)에 충돌 시 6세 이하의 어린이(O1)의 두부(H)앞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벤트홀(111)은 에어백 쿠션(110) 내의 내압을 빠르게 증대시키도록 하면서, 에어백 초기 전개 시, 에어백 쿠션(110)에 승객이 충돌하는 경우 벤트홀(111)이 원활하게 개방되도록 하여 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벤트 조절기(130)를 구성하는 테더(131)의 일단(131a)은 재봉 라인(S1)을 통하여 벤트홀(111)의 후방측 외면에 연결된다.
테더(131)의 타단(131c)은 벤트홀(111)을 가로 질러 벤트홀(111)의 전방에 형성된 테더홀(114)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112, 도 1참조)에 구속된다. 테더(131)의 타단(131)는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에 직접 연결되거나,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112)을 경유하여 인플레이터(3)와 이웃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테더(131)는 재봉, 초음파 웰딩, 열접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에어백 쿠션(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 시, 테더(131)의 인장에 의해 테더홀(114)은 조여져 가스 누출을 방지한다. 즉, 테더(131)의 인장 시, 테더홀(114)의 전방 부분(A)이 후방(R)으로 이동되어 벤트홀(111)이 견고하게 폐쇄되어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에어백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충돌과 같이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을 요구하는 경우가 감지되면, 센서(9)는 인플레이터(3)에 신호를 전달한다. 센서(9)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 인플레이터(3)는 작동하여 에어백 쿠션(110)으로 가스를 제공한다.
이때, 테더(131)는 인장 없이 느슨한 상태에 있으므로, 벤트홀(111)은 테더(131)에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벤트홀(111)은 폐쇄되어 인플레이터(3)로 부터의 가스가 누출되는 것이 미약하여 상대적으로 에어백 쿠션(110)은 빠르게 팽창한다.
한편, 에어백 쿠션(110)내에 가스가 어느 정도 공급되어 에어백 쿠션(110)이 초기 팽창되면, 에어백 쿠션(110)은 윈드 실드(W)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고, 윈드 실드(W)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7)로부터 가압된다.
이때, 벤트홀(111)은 윈드 실드(W)과 인스트루먼트 패널(7)이 이루는 각도(α°)를 2등분 하는 선(D)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선(V)으로부터 +45°~ -45°범위에서 일 방향이 길게 형성되어, 윈드 실드(W)와 인스트루먼트 패널(7)의 가압력에 의해 원활하게 개방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에어백 쿠션(10)내의 가스가 원활하게 개방된 벤트홀(111)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OPP 승객, 어린이 또는 체구가 작은 성인 승객 등에 대하여 에어백 전개로 인한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 OPP 승객, 어린이 또는 체구가 작은 성인 승객 등이 에어백 쿠션(110)에 부딪힐 경우, 완전히 개방된 벤트홀(111)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 쿠션(110)의 강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10)의 초기 전개 시,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력에 의해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만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백 쿠션의 만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10)이 완전히 팽창 전개한 경우, 테더(131)은 완전히 인장된다. 이 경우, 테더(131)의 타단(131c)이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112)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벤트홀(111)의 전방측 부분(A)이 후측 방향(R)으로 이동되어 벤트홀(111)이 완전히 폐쇄된다(도 3,4 참조). 따라서, 에어백 쿠션(11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백 쿠션(110)은 적절한 내압을 유지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만개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만개된 에어백 쿠션에 승객이 충돌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에 승객(O)이 충돌함에 따라, 테더(131)가 이동되기 시작하여 느슨해 진다. 그 결과, 벤트홀(111)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10)내의 가스가 급속히 빠져나가면서, 벤트홀(111)을 가로 지르는 테더(131)의 일부분을 에어백 쿠션(110)의 외부로 밀린다. 그리하여, 벤트홀(111)은 완전히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10)내의 가스가 완전히 개방된 벤트홀(111)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러한 벤트 동작에 의하여, 팽창된 에어백 쿠션(110)에 승객(O)이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 쿠션(110) 내의 가스가 적절히 배출되어 전개된 에어백 쿠션(110)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승객(O)이 팽창하는 에어백 쿠션(110)에 의해 2차적으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술한 벤트 동작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110)에 충돌하는 승객(O)의 사이즈/무게에 따라 테더(131)가 이동하는 정도가 변경되므로, 별도의 전기적 제어 장치 없이도 승객(O)과의 접촉에 의해 벤트홀(111)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10)의 전면에 접촉하는 테더(131)의 위치는 다양한 위치로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객(O)으로부터 테더(131)에 적용되는 충격력이 가변적으로 적용되어 테더(131)의 느슨함이 조절되어 벤트홀(111)의 개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테더(231)의 결합 방식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위에서 언급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위에서 언급된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테더(231)의 연결 구조를 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테더(231)의 일단(231a)은 벤트홀(211)의 전방측에서 에어백 쿠션(210)의 외면에 재봉 라인(S2)을 통하여 연결된다.
에어백 쿠션(210)의 벤트홀(211)의 후방측에는 테더홀(214)이 형성된다.
테더(231)의 타단(231c)은 테더홀(214)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에어백 쿠션(210)의 전면을 향하여 절곡된 후 에어백 쿠션(210)의 전면에 구속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210)의 팽창 시, 테더(231)의 인장에 의해 벤트홀(211)의 전방 부분(B), 즉, 테더(231)의 일단(231a)이 재봉 라인(S2)에 의해 연결된 부분(B)이 후방(R )으로 당겨진다.
에어백 쿠션(210)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완전히 인장된 테더(231)에 의해 후방 부분(B)은 전방(F)으로 더욱 세게 당겨져 벤트홀(211)은 견고하게 차폐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21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 쿠션(210)의 내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테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루트로 에어백 쿠션에 구속되어 벤트홀의 폐쇄를 다양하게 콘트롤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테더홀(114,214)의 주위는 테더(131,231)의 당김력 또는 에어백 쿠션(110,210)의 팽창력에 의해 테더홀(114,214)의 양 끝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재봉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따른 실시 예로, 테더홀(114,214)의 주위에 별도의 보강 부재를 중첩시키고, 보강 부재를 테더홀(114,214)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재봉 라인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10,21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테더홀(114,214)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벤트홀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벤트홀(311)은 두 개의 원형홀부(311a)와 원형홀부(311a)의 사이에 구비된 일자형의 슬릿홀부(311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벤트홀(311)은 대략 8자형으로 형성된다. 8자형의 벤트홀(311)은 개방 정도를 증대시키고 벤트량을 증대 시킬 수 있다. 1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선 ⅩⅤ-ⅩⅤ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벤트 조절기(430)를 구성하는 테더(431)의 일단(431a)은 재봉 라인(S3)을 통하여 벤트홀(411)의 후방측 외면에 연결된다.
테더(431)의 타단(431c)은 벤트홀(411)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4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벤트홀(411)의 전방에 구비된 테더 가이드 부재(414)와 에어백 쿠션(410)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에어백 쿠션(4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인출된 테더(431)의 타단(431c)는 에어백 쿠션(410)의 전면에 구속된다. 테더(431)의 타단(431c)은 에어백 쿠션(410)의 전면에 직접 연결되거나, 에어백 쿠션(410)의 전면을 경유하여 인플레이터와 이웃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테더 가이드 부재(414)는 띠형 조각편으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재봉 라인(S4)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410)의 내면에 결합된다. 테더(431)는 테더 가이드 부재(414)의 재봉라인(S4) 사이에 해당하는 테더 가이드 부재(414)의 부분 및 에어백 쿠션(410)의 내면 사이를 통과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410)의 팽창 시, 테더(431)의 인장에 의해 벤트홀(411)은 조여져 가스 누출을 방지한다. 즉, 테더(431)의 인장 시, 테더 가이드 부재(414)가 연결된 부분(C)이 후방(R)으로 이동되어 벤트홀(411)이 견고하게 폐쇄되어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선ⅩⅦ-ⅩⅦ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테더(531)의 일단(531a)은 벤트홀(511)의 전방측에서 에어백 쿠션(510)의 외면에 재봉 라인(S5)을 통하여 연결된다.
에어백 쿠션(510)의 벤트홀(511)의 후방측 내면에는 테더 가이드 부재(514)가 재봉라인(S6)을 통하여 연결된다. 테더 가이드 부재(514)는 띠형 조각편으로 구성되고 그 양단이 재봉 라인(S6)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510)의 내면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테더(531)는 에어백 쿠션(510)의 내면 및 테더 가이드 부재(514)의 재봉 라인(S6)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과의 사이를 통과한다.
테더(531)의 타단(531c)은 벤트홀(511)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5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테더 가이드 부재(514) 및 에어백 쿠션(510)의 내면 사이로 삽입되고 에어백 쿠션(510)의 전면으로 인출된다.
에어백 쿠션(510)의 전면으로 인출된 테더(531)의 타단(531c)은 에어백 쿠션(510)의 전면에 구속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쿠션(510)의 팽창 시, 테더(531)의 인장에 의해 벤트홀(511)의 전방 부분, 즉, 테더(531)의 일단(531a)이 재봉 라인(S5)에 의해 연결된 부분(D)이 후방(R)으로 당겨진다.
에어백 쿠션(510)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완전히 인장된 테더(531)에 의해 D부분은 후방(R)으로 더욱 세게 당겨져 벤트홀(511)은 견고하게 차폐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510) 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 쿠션(510)의 내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테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테더 가이드 수단(예를 들면 상술한 테더홀 또는 테더 가이드 부재)을 통하여 다양한 루트로 에어백 쿠션에 구속되어 벤트홀의 폐쇄를 다양하게 콘트롤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200: 에어백 110,210: 에어백 쿠션
111,211 311,411,511: 벤트홀 130,430,530: 벤트 조절기
131,231,431,531: 테더 114,214: 테더홀
테더 가이드 부재: 414,514 W: 윈드 실드
7: 인스트루먼트 패널

Claims (8)

  1. 차량의 윈드 실드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승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팽창 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상기 윈드 실드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벤트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만개 시, 인장에 의해 상기 벤트홀을 차폐하는 테더를 포함하는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상기 윈드 실드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이루는 각을 2등분 하는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선으로부터 +45° ~ -45°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된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일자형, 타원형, 또는 8자형으로 형성된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6세 이하의 어린이가 상기 초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충돌 시, 상기 6세 이하의 어린이의 머리 앞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의 전방측에 상기 테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테더가이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벤트홀의 전방으로 인출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에 구속되도록 된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은 테더홀 또는 테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일단은 상기 벤트홀의 전방측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에는 상기 테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테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테더의 타단은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벤트홀의 후방측으로 가이드 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에 구속되도록 된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가이드 수단은 테더홀 또는 테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KR1020150106727A 2015-07-28 2015-07-28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KR10170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27A KR101708203B1 (ko) 2015-07-28 2015-07-28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PCT/KR2016/005758 WO2017018652A1 (ko) 2015-07-28 2016-05-31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27A KR101708203B1 (ko) 2015-07-28 2015-07-28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95A true KR20170013695A (ko) 2017-02-07
KR101708203B1 KR101708203B1 (ko) 2017-02-20

Family

ID=5788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727A KR101708203B1 (ko) 2015-07-28 2015-07-28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8203B1 (ko)
WO (1) WO2017018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02910A (ja) * 2020-06-23 2022-01-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KR102663181B1 (ko) 2022-09-14 202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와, 에어백쿠션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716A (ja) * 2006-08-22 2008-03-06 Daihatsu Moto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8544A (ja) * 2008-09-01 2010-03-18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10129723A (ko) * 2010-05-26 2011-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8070183B2 (en) 2008-08-06 2011-12-06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KR20120129473A (ko) * 2011-05-20 2012-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20120306187A1 (en) 2010-04-19 2012-12-0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496A (ko) * 2012-09-28 2014-04-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716A (ja) * 2006-08-22 2008-03-06 Daihatsu Moto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8070183B2 (en) 2008-08-06 2011-12-06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JP2010058544A (ja) * 2008-09-01 2010-03-18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120306187A1 (en) 2010-04-19 2012-12-0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KR20110129723A (ko) * 2010-05-26 2011-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20129473A (ko) * 2011-05-20 2012-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203B1 (ko) 2017-02-20
WO2017018652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761B1 (en)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7293828B2 (en) Child seat with deployable side airbags
JP622200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684407B2 (en) Air bag with height adaptive tether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US9493136B2 (en) Air bag with uninflated pocket
JP6781118B2 (ja) 車の搭乗者拘束装置用の順応型膝用エアバッグ
US9821751B2 (en) Airbag module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JP62174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398992B2 (en) Air bag
JP2019081535A (ja) 自動合致後方シート用エアバッグ
US11208070B1 (en) Airbag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415742B1 (en) Three-way gas guide
KR101708203B1 (ko)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KR20130038692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58312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20033590A1 (en) Air bag diffusion device
JP2007137240A (ja) 乗員拘束装置
KR2015002225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405381B1 (ko) 승객의 상해를 저감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080112001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2007216872A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