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478A -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 Google Patents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478A
KR20170013478A KR1020150106030A KR20150106030A KR20170013478A KR 20170013478 A KR20170013478 A KR 20170013478A KR 1020150106030 A KR1020150106030 A KR 1020150106030A KR 20150106030 A KR20150106030 A KR 20150106030A KR 20170013478 A KR20170013478 A KR 2017001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haft
magnet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695B1 (ko
Inventor
권기태
이은지
한창수
Original Assignee
세인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인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6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9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pulse code
    • G01D5/2497Absolute enco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고해상도 및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장착부를 갖춘 바디(10); 상기 바디(10)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와 일체 또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드럼(30); 상기 드럼(30)의 둘레에 형성되며 N극과 S극이 서로 번갈아 착자된 다극자석(40); 상기 다극자석(40)의 둘레에 인접배치되게 바디(10)의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기신호를 검출하는 MR센서(50); 상기 드럼(30)의 하부에 배치되게 샤프트(20)에 끼워져 바디(10)에 고정되며, MR센서(5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60); 상기 바디(10)에 결합되어 드럼(30), 다극자석(40), MR센서(50) 및 신호처리부(60)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극(200극) 착자된 다극자석과 다극자석의 피치(0.5㎜)와 일치하는 MR센서를 적용해 엔코더를 구성해 줌으로서 해상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Magnetic encoder device}
본 발명은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식 엔코더는 모터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회전체 단부에 별도로 검출용 자석이 조립되어 있고, 검출용 자석의 자속벡터 방향이 회전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용 IC가 PCB기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PCB기판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검출용 자석의 자속벡터가 회전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절대위치를 측정하여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기식 엔코더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63750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표면에 자성체 분말을 N·S가 반복되게 미세한 간격으로 착자한 초다극 마그네트를 로터리 케이스의 둘레면(외주연)에 형성하고, 초다극 마그네트의 일측에 자기센서(MR Sensor)를 설치하여 1상, 또는 2상 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자기식 엔코더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조립을 통해 생산되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조립구조물을 최소화하면서 자체적인 부품의 분리를 막기 위한 기술 개발, 그리고 초다극 마그네트가 수평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점점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45558호(자기식 주파수 발생장치의 초다극 착자 구조/1998.09.15)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8439호(자체 체결 강화 구조를 갖는 자기식 엔코더/2014.12.24)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5845호(자기식 엔코더장치/2005.10.26)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고해상도 및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장착부를 갖춘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일체 또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둘레에 형성되며 N극과 S극이 서로 번갈아 착자된 다극자석;
상기 다극자석의 둘레에 인접배치되게 바디의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기신호를 검출하는 MR센서;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게 샤프트에 끼워져 바디에 고정되며, MR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드럼, 다극자석, MR센서 및 신호처리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중앙에는 샤프트의 선단부가 인입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는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경사부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호 맞대어지는 가이드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의 경사부에 길이보다 드럼의 가이드부에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 이들 사이에는 틈이 생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에는 하단부 둘레면에 외향으로 연장되어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드럼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에는 자석고정구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자석고정구는,
상기 드럼과 함께 샤프트에 고정되어 다극자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과;
상기 다극자석의 일면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다극자석의 진동흡수 및 다극자석의 슬립을 방지토록 하는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극(200극) 착자된 다극자석과 다극자석의 피치(0.5㎜)와 일치하는 MR센서를 적용해 엔코더를 구성해 줌으로서 해상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샤프트에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드럼에는 가이드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호 조립시 자연스럽게 직각을 이룰 수 있고, 이에 의해 다극자석이 평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감지(센싱)위치가 변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R센서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샤프트와 드럼이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엔코더 구동시 샤프트와 드럼이 상하로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샤프트의 스토퍼돌기와 드럼의 지지부가 이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의 현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극자석 역시 현위치에 놓여 있게 되므로 MR센서로부터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엔코더는, 바디(10)와 샤프트(20), 드럼(30), 다극자석(40), MR센서(50), 신호처리부(60) 및 케이스(7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다극자석(40)의 피치와 일치하는 MR센서(50)를 사용하여 해상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디(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형태의 블록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관통공(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부로 돌출된 3개의 제1장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3개의 제1장착부(12) 중 2개의 제1장착부(12)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장착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에는 복수의 베어링(B)이 압입고정되고, 이 베어링(B)에는 샤프트(20)가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장착부(12)에는 신호처리부(60)가 안착되고, 안착된 신호처리부(60)는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제1장착부(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13)에는 MR센서(50)가 안착되고, 안착된 MR센서(50)는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제2장착부(13)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둘레면 하단에는 외향으로 돌출되어 케이스(7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된 안착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둘레면 중간부에는 링삽입홈(15)이 형성되고, 이 링삽입홈(15)에는 고무링(80)이 결합되며, 여기서 고무링(80)은 케이스(70)와의 결합시 기밀유지 및 진동을 흡수해 소음을 저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샤프트(20)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0)의 관통공(11)에 고정된 베어링(B)에 관통되게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21)에는 드럼(4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예:나사)이 결합된다.
상기 드럼(30)은 드럼본체(31)와 플런지부(3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샤프트(20)의 상단부에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고정되어 샤프트(20)와 다극자석(40)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드럼본체(3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서,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수용부(31a)가 구비되되, 수용부(31a)는 샤프트(20)의 선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의 구멍보다 하단부의 구멍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지부(32)는 드럼본체(31)의 하단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드럼본체(31)의 둘레로 끼워지는 다극자석(40)을 떠받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0)와 드럼(30)은 상호 일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각각 분할형성되어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와 드럼(30)이 직각으로 조립되지 않게 되면, 드럼(30)에 결합되는 다극자석(40)이 평형을 이룰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다극자석(40)의 감지(센싱)위치가 변함에 따라 MR센서(50)로부터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와 드럼(30)의 수용부(31a)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30)의 수용부(31a)에는 경사부(22)와 상호 대응되게 맞대어지는 가이드부(31a-1)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20)에는 경사부(22)를 형성하고, 드럼(30)에는 가이드부(31a-1)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호 조립시 자연스럽게 직각을 이룰 수 있고, 이에 의해 다극자석(40)이 평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감지(센싱)위치가 변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R센서(50)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의 경사부(22)에 길이(L)보다 드럼(30)의 가이드부(31a-1)에 깊이(D)를 더 깊게 형성하여 틈(T)이 생기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샤프트(20)와 드럼(30)이 상호 조립될 때 샤프트(20)의 상면과 드럼(30)의 수용부(31a) 상면이 먼저 맞대어지면, 샤프트(20)의 경사부(22)와 드럼(30)의 가이드부(31a-1) 간에 이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샤프트(20)와 드럼(30) 간에 틈(T)이 생기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고정해 주면 체결수단(예: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20)와 드럼(30)을 상호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엔코더 구동시 드럼(30)이 현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샤프트(20)에는 스토퍼돌기(23)를, 드럼(30)에는 지지부(3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와 우려를 말끔하게 해소하였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샤프트(2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외향으로 연장된 스토퍼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스토퍼돌기(23)는 샤프트(2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에는 수용부(31a)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관 형상의 지지부(33)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지지부(33)는 샤프트(20)를 내측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드럼(3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20)와 드럼(30)이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엔코더 구동시 샤프트(20)와 드럼(30)이 상하로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샤프트(20)의 스토퍼돌기(23)와 드럼(30)의 지지부(33)가 이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30)의 현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극자석(40) 역시 현위치에 놓여 있게 되므로 MR센서(50)로부터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는 이점이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샤프트(20)와 드럼(30)에 각각 스토퍼돌기(23)와 지지부(33)를 통해 제한하고 있는 것을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베어링(B)을 기준으로 샤프트(20)의 둘레에 스냅링(snap ring)을 설치할 경우 상기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밖에 공지의 다양한 실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는 바디(10)에 고정된 베어링(B)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샤프트(20)와 베어링(B) 간에는 어느 정도 유격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유격으로 인해 샤프트(20)가 흔들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드럼(30) 및 드럼(30)에 고정된 다극자석(40) 역시 함께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샤프트(20)의 둘레면에 링삽입홈(24) 및 고무링(80')을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링삽입홈(24)은 샤프트(20)의 하단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좀 더 명확하게는 스토퍼돌기(23)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이 링삽입홈(24)에는 고무링(80')이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고무링(80')은 베어링(B)과 샤프트(20) 사이에 개입되어 유격을 줄여 줌으로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샤프트(20)의 둘레면에 링삽입홈(24)을 형성하고, 이 링삽입홈(24)에 고무링(80')을 결합시켜 줌으로서 베어링(B)과 샤프트(2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다극자석(40)은 둘레면을 따라 N극과 S극이 서로 번갈아 착자된 초다극자석으로서, 드럼(30)에 끼워져 접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일 예로서, 상기 다극자석(40)은 200극으로 다극 착자된 부품으로, 정밀하게 착자될수록 엔코더의 정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다극자석(40)은 회전시마다 자계 변화를 일으키며, 이와 같은 자기신호(자계변화)를 MR센서(50)가 감지(센싱)하여 검출하게 된다.
상기 MR센서(50)는 다극자석(40)의 둘레에 인접배치되게 바디(10)의 제2장착부(13)에 설치되어 자기신호(자계변화)를 검출(센싱)하는 기능을 하며, 검출(센싱)된 신호는 신호처리부(60)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MR센서(50)의 경우 다극자석(40)의 둘레면 중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다극자석(40)의 피치(예:0.5㎜)와 일치하는 MR센서(50)를 사용하는 것이 해상도 및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상기 신호처리부(60)는 드럼(30)의 하부에 배치되게 샤프트(20)에 끼워져 바디(10)의 제1장착부(12)에 고정되며, MR센서(4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보정, 보간법(interpolation) 등의 작업을 진행하여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다극자석(40)과 MR센서(50) 및 신호처리부(60)의 경우 자기식 엔코더 분야에서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70)는 바디(10)의 둘레면 하단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안착부(14)의 상면에 얹혀져 체결수단(예:나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드럼(30), 다극자석(40), MR센서(50) 및 신호처리부(60)를 감싸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다극자석(40)은 드럼(30)에 끼워져 접착수단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다 보면 열원에 의해 접착부위가 회손될 소지가 있고, 이로 인해 접착력이 약해지게 되면서 다극자석(40)은 드럼(30) 상에서 슬립될 개연성이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다극자석(40)을 자석고정구(90)로 고정하여 슬립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자석고정구(90)는 가장자리가 상향으로 절곡된 가압판(91)과 절곡된 가압판(91)의 하면에 고정되는 패드(9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91)은 드럼(30)과 함께 체결수단(예:나사)를 매개로 샤프트(20)에 고정되어 다극자석(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92)는 다극자석(40)의 일(상)면과 가압판(91)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다극자석(40)의 진동흡수 및 다극자석의 슬립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패드(92)는 마찰력과 진동흡수 등의 전반적인 사항을 고려해 고무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접착제가 회손되어 다극자석(40)과 드럼(30) 간에 접착력이 약해지더라도 상기와 같이 다극자석(40)이 자석고정구(9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극자석(40)의 슬립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MR센서(50)는 다극자석(40)의 자기신호(자계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센싱)할 수 있어 유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샤프트(20)가 바디(10)에 고정된 베어링(B)을 매개로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0)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20)와 체결수단(예:나사)을 매개로 상호 고정된 드럼(30), 그리고 드럼(30)에 고정된 다극자석(4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극자석(40)의 둘레에 인접배치된 MR센서(40)가 다극자석(40)의 둘레면에 착자된 N·S극성에 따른 자기신호(자계변화)를 검출(센싱)하여 검출(센싱)된 신호를 신호처리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신호처리부(60)는 MR센서(4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보정, 보간법(interpolation) 등의 작업을 진행하여 라인 드라이버(Line Driver)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극(200극) 착자된 다극자석(40)과 다극자석(40)의 피치(0.5㎜)와 일치하는 MR센서(50)를 사용하여 엔코더를 구성해 줌으로서 해상도 뿐만 아니라 특정위치의 절대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바디 11: 관통공 12: 제1장착부
13: 제2장착부 14: 케이스안착부 20: 샤프트
21: 체결부 22: 경사부 23: 스토퍼돌기
24: 링삽입홈 30: 드럼 31: 드럼본체
31a: 수용부 31a-1: 가이드부 32: 플런지부
33: 지지부 40: 다극자석 50: MR센서
60: 신호처리부 70: 케이스 80,80': 고무링
90: 자석고정구 91: 가압판 92: 패드
B: 베어링 L: 경사부 길이 D: 가이드부 깊이
T: 틈새

Claims (5)

  1. 일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장착부를 갖춘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일체 또는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둘레에 형성되며 N극과 S극이 서로 번갈아 착자된 다극자석;
    상기 다극자석의 둘레에 인접배치되게 바디의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기신호를 검출하는 MR센서;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게 샤프트에 끼워져 바디에 고정되며, MR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드럼, 다극자석, MR센서 및 신호처리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중앙에는 샤프트의 선단부가 인입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는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경사부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호 맞대어지는 가이드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경사부에 길이보다 드럼의 가이드부에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 이들 사이에는 틈이 생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하단부 둘레면에 외향으로 연장되어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는 수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드럼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자석고정구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자석고정구는,
    상기 드럼과 함께 샤프트에 고정되어 다극자석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과;
    상기 다극자석의 일면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다극자석의 진동흡수 및 다극자석의 슬립을 방지토록 하는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KR1020150106030A 2015-07-27 2015-07-27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KR10174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30A KR101740695B1 (ko) 2015-07-27 2015-07-27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30A KR101740695B1 (ko) 2015-07-27 2015-07-27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478A true KR20170013478A (ko) 2017-02-07
KR101740695B1 KR101740695B1 (ko) 2017-05-30

Family

ID=5810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030A KR101740695B1 (ko) 2015-07-27 2015-07-27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1493A (zh) * 2019-07-12 2019-11-05 北京航天光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通用式在线监测传感器自适应吸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603A (ko) 1998-10-28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젼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KR100525845B1 (ko) 1997-09-08 2005-11-02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자기식 엔코더장치
KR101478439B1 (ko) 2013-05-03 2015-01-06 김정임 자체 체결 강화 구조를 갖는 자기식 엔코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845B1 (ko) 1997-09-08 2005-11-02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자기식 엔코더장치
KR20000027603A (ko) 1998-10-28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젼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KR101478439B1 (ko) 2013-05-03 2015-01-06 김정임 자체 체결 강화 구조를 갖는 자기식 엔코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1493A (zh) * 2019-07-12 2019-11-05 北京航天光华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通用式在线监测传感器自适应吸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695B1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1537B2 (ja) 角度検出装置
US9929629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12112707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
US20150093271A1 (en) Brushless motor and fan using the motor
US20190086238A1 (en) Linear motion and rotation detector, linear motion and rotation detector unit, and linear motion and rotation drive device
US20140139078A1 (en) Brushless motor
JP2008128740A (ja) 回転センサ
KR102583066B1 (ko) 모터
JP2014121254A (ja) センシング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モータ
JP2007282403A (ja) 着磁方法及び着磁装置
KR101740695B1 (ko) 다극 착자 영구자석 엔코더
JP2008185561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
KR101775165B1 (ko) 트랙션 모터
JP2010160036A (ja) 回転角検出器
JP2006242915A (ja) ポテンショメータ
JP2006250580A (ja) 磁気検出装置
KR101172388B1 (ko) 차량용 휠 속도 감지장치
KR102057327B1 (ko) 변속 액츄에이터의 마그넷 홀더 장착 구조체
JP6282010B2 (ja) 位置検出装置
JP2011033387A (ja) 角度検出センサ
KR102534522B1 (ko) 센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JP2007010581A (ja) 非接触型ポテンショメータ
KR101755132B1 (ko) 회전각도 검출장치
KR20130010992A (ko) 트랙션 모터
JP4844917B2 (ja) 角度検出装置の収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