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947A -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947A
KR20170012947A KR1020150105630A KR20150105630A KR20170012947A KR 20170012947 A KR20170012947 A KR 20170012947A KR 1020150105630 A KR1020150105630 A KR 1020150105630A KR 20150105630 A KR20150105630 A KR 20150105630A KR 20170012947 A KR20170012947 A KR 2017001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shell
fastening portion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2947A/ko
Publication of KR2017001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터미널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를 둘러싸고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인슐레이터와 결합되는 차폐쉘; 및 차폐쉘에 연결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체결부는 차폐쉘 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기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공정으로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과정의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ELECTRICAL CONNECTOR FOR RELIABLE MOU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공정으로 기판에 대한 보다 견고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자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며, 양 커넥터의 터미널 부재 혹은 핀들이 서로 도통되었을 때,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는 다량의 신호를 빠른 시간 내에 교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터미널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터미널 부재를 인접한 다른 터미널 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인슐레이터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부재를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등의 재질로 차폐하는 구조, 예를 들면 쉘(shell)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조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한 전자 부품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기 커넥터의 크기 역시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C타입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와 같이 소형 전기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큰 기존의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의 일부에 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체결부를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었지만, 소형 커넥터의 경우 그 협소한 크기로 인해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커넥터의 일부에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고정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으면 이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커넥터가 빨리 분리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할 때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별도의 체결 부재(90)를 이용하였다.
도 1의 구성에서는 차폐쉘(10)을 에워싸도록 구성된 별도의 체결 부재(90)가 차폐쉘(10)과 용접된 후, 체결 부재(90)가 볼트(미도시)에 의해 기판(8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경우 별도의 체결 부재(90)를 준비하는 비용이 소용될 뿐만 아니라 체결 부재(90)와 차폐쉘(10)을 서로 용접하는 비용이 소요된다. 더 나아가, 매우 정교하게 제작된 전기 커넥터를 용접 작업에 노출시켜야 하므로, 용접을 위한 높은 온도에 의해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단순한 공정으로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과정의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터미널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를 둘러싸고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인슐레이터와 결합되는 차폐쉘; 및 차폐쉘에 연결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체결부는 차폐쉘 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기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챔버는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데, 체결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에서 차폐쉘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 및 차폐쉘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 하나의 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는 차폐쉘의 삼면(三面)을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와 차폐쉘 각각은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일단 또는 양단에 기판에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에는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체결부가 체결되는 기판을 더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에는 차폐쉘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차폐쉘, 차폐쉘에 절곡가능하게 연결된 체결부, 및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터미널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체결부를 차폐쉘 상으로 절곡하는 단계; 및 챔버 내로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삽입되도록 차폐쉘과 인슐레이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공정으로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과정의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전기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차폐쉘 및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등의 기판(800)에 장착되는 커넥터이며,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플러그형 커넥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크게 차폐쉘(100), 체결부(190), 인슐레이터(200) 및 터미널 부재(360)를 포함한다.
인슐레이터(200)에는 복수의 터미널 부재(360)들이 결합되어 있는데, 인슐레이터(200)는 터미널 부재(360)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부재(360)의 접촉부가 대응 커넥터(미도시)의 접촉 핀들이 접촉할 수 있도록, 인슐레이터(200)에는 텅플레이트(tongue-plate)(230)가 형성되고 텅플레이트(230)에는 터미널 부재(360)들의 접촉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는 USB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의 소형화 추세와 터미널 부재의 고밀도 배열에 대한 요구로 인해, 터미널 부재(360)들이 일반적으로 상하 두 개의 접촉평면에 존재하는 접촉부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하 두 개의 접촉평면에 존재하는 터미널 부재(360)는 인슐레이터(200)의 텅플레이트(230)에 의해 고정되어 대응 커넥터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접촉부는 대응 커넥터의 상부 접촉자 및 하부 접촉자와 접촉하게 된다.
인슐레이터(200)는 터미널 부재(360)들을 절연시키기 위해 절연성(부도체) 재료로 제작되지만, 전술한 상하 두 개의 접촉평면에 존재하는 터미널 부재(360)들 사이의 전자기적 간섭을 차폐하기 위해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차폐면을 텅플레이트(230) 내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인슐레이터(200)의 일부로서 텅플레이트(23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텅플레이트(230)의 상면과 하면에는 터미널 부재(360)들이 배치될 수 있고, 텅플레이트(230)의 내부에는 접지와 연결된 전도성 재료의 차폐면이 터미널 부재(360)들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0)에서 터미널 부재(360)의 반대측 단부, 즉 리드부(380)는 전기 커넥터의 후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리드부(380)는 예를 들어 기판(800)에 형성된 회로에 연결되어 커넥터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 받을 수 있다.
차폐쉘(100)은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160)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즉, 차폐쉘(100)의 상벽(110), 측벽(120), 하벽(131, 132) 및 후벽(140)이 정의하는 공간은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160)를 형성할 수 있다.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160)의 일측(정면)은 개방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정면도에서는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가 차폐쉘(100)의 챔버(160) 내에 위치한 구조를 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쉘(100)의 챔버(160)는 인슐레이터(200)의 텅플레이트(230) 및 텅플레이트(230)의 상부 및 하부에 노출된 터미널 부재(360)의 접촉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폐쉘(100)은 기판(8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인슐레이터(200)에 수용된 터미널 부재(360)들을 외부 전자기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체결부(190)는 차폐쉘(100)을 기판(800)에 체결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인데, 체결부(190)는 차폐쉘(100) 자체에 연결된 형태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입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와 같이 소형 전기 커넥터의 경우, 차폐쉘(100)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기판(800)에 장착하려면 커넥터를 고정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작은 면적에 힘이 집중되어 불량이 발생하거나, 전기 커넥터를 용접에 따른 높은 온도에 노출시키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체결 부재(90)를 이용하는 경우, 체결 부재(90)를 따로 제공하는 비용이 요구되고 체결 부재(90)를 차폐쉘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90)는 챔버(160)가 개방되는 방향에서 차폐쉘(100)의 일측에서 차폐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190)는 차폐쉘(100) 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기판(8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차폐쉘(100) 및 체결부(19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상으로 절곡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정면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b)는 후면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90)는 차폐쉘(100)의 정면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190)를 절곡하기 전의 상태에서 체결부(190)의 상면(접철된 상태에서는 체결부(190)의 하면)은 차폐쉘(100)의 상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폐쉘(100)과 체결부(190)에서 서로 접하는 부분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90)의 상면의 굴곡된 부분은 굴곡된 형태로 구현된 차폐쉘(100)의 측벽(120)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위로 절곡시키면 체결부(190)가 차폐쉘(100)과 밀착될 수 있다.
체결부(190)는 일단 또는 양단에 플랜지(19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92)는 체결부(190)가 충분한 면적으로 기판(8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각의 플랜지(192)에는 관통공(195)이 형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볼트(15)와 너트(20)에 의해 기판(80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90) 및 플랜지(192)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체결부(190)를 기판(800)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15)와 너트(20) 외의 다양한 다른 체결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195)을 형성하는 대신 접착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플랜지(192)를 기판(800)에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부(190)가 차폐쉘(100) 상으로 접철되면, 체결부(190)는 차폐쉘(100)의 삼면(三面), 즉 상벽(110)과 양측의 측벽(120)을 에워쌀 수 있다. 여기서 차폐쉘(100)의 삼면을 에워싼다 함은 차폐쉘(100)의 상벽(110), 두 개의 측벽(120), 하벽(131, 132) 및 후벽(140) 중 3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함을 의미한다.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은 삼면에서 고정함에 따라 체결부(190)는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차폐쉘(100)을 지탱할 수 있다. 물론,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의 정면에서 차폐쉘(1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체결부(190)는 정면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도 물리적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차폐쉘(100)에는 하나 이상의 정렬부(18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정렬부(180)는 기판(800)에 형성된 홈(미도시) 등에 삽입되어 차폐쉘(100)을 정렬시킬 수 있고, 전기 커넥터 전체를 고정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체결부(190)를 이용하여 차폐쉘(100)을 고정시킴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용접 과정 없이 기판(8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폐쉘(100)의 일부를 직접 기판(8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외력이 가해질 때 힘이 특정 부위에 집중될 수 있고 결합된 부분에 전단력을 증가시켜 커넥터가 분리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차폐쉘(100)을 지지하므로 외력을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체결 부재(90)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는 장점도 있다.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는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차폐쉘(100)은 하나의 부재에 소정의 절단 과정을 수행한 후 절곡 및 굴곡시켜 제작할 수 있다. 즉, 측벽(120)들은 설계된 형상에 따라 상벽(110)으로부터 굴곡되고, 양측의 측벽(120)으로부터 이어져 하벽(131, 132)을 이루는 부분들은 측벽(120)이 굴곡됨에 따라 서로 접하게 되어 챔버(16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측벽(120) 및 하벽(131, 132)에 수행된 절단 과정을 통해 측벽(120)의 굴곡시 정렬부(180)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벽(140)은 상벽(110)을부터 절곡되어 커넥터 후방의 리드부(380)를 차폐할 수 있다.
체결부(190)는 상기 차폐쉘(100)을 형성하는 부재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정의 부재를 상기와 같이 절단, 절곡 및 굴곡시켜 차폐쉘(100)을 형성한 후, 차폐쉘(100)의 상벽(110)에 연결된 체결부(190)를 위쪽으로 절곡시켜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의 상벽(110)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두께를 가진 하나의 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시키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쉘(100) 및 그 일측에 연결된 체결부(190) 구조를 다른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체결부(190)가 차폐쉘(100) 상으로 접철된 구조를 다양한 금속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체결부(190)가 챔버(160)의 개방된 부분 상측에서 차폐쉘(1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나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의 상벽(110)의 다른 부분 또는 차폐쉘(100)의 측벽(120) 등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기판(800)을 더 포함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190)가 볼트(15)와 너트(20)에 의해 기판(800)에 체결되는 실시예에서는 볼트(15)와 너트(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기판(800)에도 체결부(190)에 형성된 관통공(195)에 대응하는 관통공(80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는 기판(800)에 수용홈(8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수용홈(810)에는 차폐쉘(1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차폐쉘(100)의 일부가 삽입되면 기판(800)의 어느 한쪽으로 차폐쉘(100)이 돌출하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기기 내부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판(800)에 수용홈(810)이 형성되어 차폐쉘(100)의 일부가 수용홈(810) 내에 수용되는 경우, 체결부(190)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용홈(810) 내에 삽입되지 않은 차폐쉘(100)의 나머지 일부를 모두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제작하는 단계(S61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를 제작하는 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제작하는 단계(S610)는 동일한 두께를 가진 하나의 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 차폐쉘(100) 및 이에 연결된 체결부(190)를 동시에 제작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를 제작하는 단계(S620)는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터미널 부재(360)들의 접촉부가 노출되고 반대편에서 리드부(380)가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가 결합된 구조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제작하는 단계(S610) 및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를 제작하는 단계(S620)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어느 단계가 먼저 수행되든 상관이 없다.
차폐쉘(100)과 체결부(190)가 제작된 후에는,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S6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쉘(100)과 체결부(190)가 하나의 부재로 제작된 경우를 가정하는 것이다.
물론,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S630)는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제작하는 단계(S610)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S630)가 인슐레이터(200)와 터미널 부재(360)를 제작하는 단계(S62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차폐쉘(100)과 인슐레이터(200)가 제공된 상태에서, 차폐쉘(100)은 인슐레이터(200)와 결합(S640)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차폐쉘(100)의 후방에서 챔버를 향하여 인슐레이터(200)를 삽입한 후 차폐쉘(100)의 후벽(140)을 인슐레이터(200) 뒤로 절곡시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차폐쉘(100)은 인슐레이터(200)와 결합하는 단계(S640)는 체결부(190)를 차폐쉘(100) 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S63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폐쉘(100), 체결부(190), 인슐레이터(200) 및 터미널 부재(360)가 조립된 전기 커넥터는 기판(800) 등에 결합될 수 있으며, 터미널 부재(360) 타단의 리드부(380)는 기판(800) 상의 회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폐쉘(100)에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는 체결부(190)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용접 과정 없이 기판(8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폐쉘(100)의 일부를 직접 기판(8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외력이 가해질 때 힘이 특정 부위에 집중될 수 있고 결합된 부분에 전단력을 증가시켜 커넥터가 분리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체결부(190)가 차폐쉘(1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차폐쉘(100)을 지지하므로 외력을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시킬 수 있다. 이는 전기 커넥터를 제조함에 있어 전기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불량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체결 부재(90)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체결 부재(90)를 별도로 제작하는 과정 및 이를 차폐쉘(100)에 용접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제조 공정을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차폐쉘(100)과 체결부(190)를 하나의 부재로 제작하여 이를 절곡 및 굴곡시켜 원하는 형상의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기판에 대한 장착의 신뢰도를 필요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차폐쉘 160: 챔버
180: 정렬부 190: 체결부
200: 인슐레이터 360: 터미널 부재
800: 기판 810: 홈

Claims (11)

  1.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터미널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기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를 둘러싸고 상기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는 차폐쉘; 및
    상기 차폐쉘에 연결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폐쉘 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기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에서 상기 차폐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차폐쉘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 하나의 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폐쉘의 삼면(三面)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차폐쉘 각각은 서로 접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기판에 체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상기 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판에는 상기 차폐쉘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차폐쉘, 상기 차폐쉘에 절곡가능하게 연결된 체결부, 및 상기 대응 커넥터와 접속하는 부분에서 복수의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터미널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체결부를 상기 차폐쉘 상으로 절곡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로 상기 터미널 부재의 접촉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폐쉘과 상기 인슐레이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대응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에서 상기 차폐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차폐쉘은 하나의 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시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KR1020150105630A 2015-07-27 2015-07-27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2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30A KR20170012947A (ko) 2015-07-27 2015-07-27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30A KR20170012947A (ko) 2015-07-27 2015-07-27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47A true KR20170012947A (ko) 2017-02-06

Family

ID=5810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30A KR20170012947A (ko) 2015-07-27 2015-07-27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29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607B1 (ko) 전기커넥터 및 그 조립체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TWI424638B (zh) 性能增強之接點模組總成
TWI523344B (zh) 電連接器組合
US7517254B2 (en)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base element
KR10135366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5906512A (en) Electronics box coaxial connection assembly
US9837769B2 (en) USB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US10243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4286885A (ja) 同軸コネクタモジュール
CN102570105A (zh) 电连接器系统
JP6299733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80366884A1 (en) Sign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terminal and ground piece together to form a grounding element
TW201324969A (zh) 交錯安裝的電連接器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20090130888A1 (en) Cable connector
TWI539682B (zh) 壓配式纜線連接器
JP3207512U (ja) コネクタ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CN102570211A (zh) 用于跨装式连接器的安装特征
JP2011192409A (ja) 電気コネクタ
TWI462401B (zh) 連接器及導電元件
JP5459195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100532561B1 (ko) 개선된 단자 구조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JP447766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