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115A -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 Google Patents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115A
KR20170012115A KR1020160092867A KR20160092867A KR20170012115A KR 20170012115 A KR20170012115 A KR 20170012115A KR 1020160092867 A KR1020160092867 A KR 1020160092867A KR 20160092867 A KR20160092867 A KR 20160092867A KR 20170012115 A KR20170012115 A KR 2017001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indolizino
quinoline
nmr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607B1 (ko
Inventor
이지연
김익연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6/0080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14601A1/ko
Publication of KR2017001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115A/ko
Priority to US15/877,872 priority patent/US107874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01N21/6458Fluorescence mic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07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단백질/세포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하면, 환경-민감성, 형광강도, 광안정성, 핵산/단백질 결합, 세포내 투과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핵산/단백질 동역학, 약물-단백질 상호작용, 세포 내 단백질 이미징 등 다양한 단백질/세포의 기능 연구 및 이미징 기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Indolizino[3,2-c]quinolines based fluorescence probe}
본 발명은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단백질/세포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소분자 약물 개발시 타겟이 되는 분자로서 인돌리진과 퀴놀린계 화합물이 대표적이다. 이들 화합물은 방향고리에 결합된 치환기 패턴에 따라 약리적인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항곰팡이제, 항말라리아제, 아폽토시스 유도제, EGFG 키나아제 억제제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새로운 화학적 스캐폴드를 고안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상기 인돌리진 화합물과 퀴놀린 화합물을 결합한 혼성구조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3-아실인돌리진과 2-아릴퀴놀린은 항암 활성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3-아실인돌리진과 2-아릴퀴놀린의 혼성구조로서의 신규 헤테로방향족 화합물은 항암 활성 이외에도 형광 센서로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헤테로사이클 시스템은 생화학적 연구에 있어서 타겟 분자와의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분자 프로브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고유의 광물리적 특성을 갖는 새로운 형광단 (fluorophor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리간드와 타겟의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서, 분자를 둘러싸는 환경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광학특성이 달라지는 환경-민감성 형광단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유기형광체 개발은 세포 이미징 및 단백질 기능연구에 필수적인 기술이며, 특정 파장의 빛에 형광을 발하면서 세포 내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 수용액에서 적용 가능한 형광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유기형광체의 문제점은 수용액에서 용해도가 좋지 않아 화합물 자체가 응집하거나 단백질의 응집 (aggregation)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즉, 기존 형광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용액 및 버퍼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단백질의 응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밝기가 좋은 형광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많이 사용되는 Alexa 488이나 fluorescein과 같은 형광물질의 경우에는, 여기 (excitation) 파장과 형광을 나타내는 파장이 너무 근접하여 자체적으로 소광 (quenching)되는 단점이 있으며, RNAselect나 Lysotracker 또한, 세포 염색시 광안정성이 낮은 단점이 있는 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광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9390호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다 향상된 특성을 갖는 형광 프로브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몇몇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화합물이 바람직한 광학특성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수용액시스템과 바이오 친화적인, 유용한 형광체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민감성, 형광강도, 광안정성, 핵산/단백질 결합, 세포내 투과성 등이 우수한 화합물들을 고안, 이들을 이용하여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의 영상화(이미징)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 6알킬, C1- 6알콕시, COOR8, 아릴, 헤테로아릴,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및 C1- 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는 C1- 6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또는 3이고,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 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C1- 6알킬 및 C1- 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CF3, COO-, C1- 6알킬 및 C1- 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바이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딜, 피리미딜, 티오페닐, 피롤릴, 퓨라닐 및 트리아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OOR8이고, R6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2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검출 시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22]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22에서,
R1은 수소, COOEt,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및 C1-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또는 2 이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 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만, R1이 수소 또는 COOEt이고, n이 0일 때, R2
Figure pat00020
인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에 이용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은 헤테로 고리에 붙은 관능기의 성질과 위치에 따라 형광의 특성과 활용 범위가 크게 달라지는 수용성 형광 화합물로서, 기존의 유기형광체의 단점이 개선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를 핵산, 단백질에 결합시켜 이들의 움직임, 약물-단백질 상호작용 등 다양한 핵산/단백질의 기능 연구 및 이미징 기술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는 여기 파장과 형광 파장의 차이가 커서 (Stoke shift) 자기 소광(self-quenching)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는 치환기에 따라 형광의 파장대가 달라지고 주변환경에 대한 민감도가 달라지므로, 유기용매에서 형광을 극대화시키고 수용액에서 형광이 잘 나타나게 조절할 수 있다(solvatochromic).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는 물이나 버퍼에서도 형광이 잘 나타나며 용해도가 좋고 단백질을 응집시키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는 세포 내 투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포 또는 조직내 이미징 기술, 세포내 효소 활성 분석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 수용액에서 형광강도가 높은 화합물 5종의 화학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 수용액에서 형광강도가 높은 화합물 5종에 대하여 수중에서 측정된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R6 치환기가 페닐기일 경우, 여기에 결합하는 치환기의 종류와 수용액에서의 형광 양자수율(fluorescence Quantum Yield; QY)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 수용액에서 형광강도가 높은 화합물 5종에 대하여 다양한 용매 중 (DW(distilled water), DMSO(dimethyl sulfoxide), DMF(dimetyl formamide), EtOH(ethanol), EtOH:CHCl3=1:5, MC(methylene chloride))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수용액 또는 에탄올 중에서의 형광수율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 형광광도가 높은 화합물 11종에 대하여 에탄올 용매 중에서의 양자수율 경향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다양한 용매 중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수용액(6a) 또는 에탄올(6b) 중에서의 광안정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수용액 중에서 청색광을 2 시간 조사한 경우(6c)의 광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DNA와의 결합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형광의 세기가 변하면서 최대 방출 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는 화합물 그룹(7a), 형광의 세기가 변하면서 최대 방출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화합물 그룹(7b), 형광의 세기만 변하는 화합물 그룹 및 아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화합물 그룹(7c)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HSA 단백질과의 결합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HSA와 결합 시 형광이 증가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화합물이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1:1 결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Job's Plot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HSA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한 형광 세기 증가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HSA 단백질과의 결합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PDEδ 단백질과의 결합하는지를 FRET 현상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PDEδ 단백질과의 결합하는지와 더불어 결합력의 세기 (kd)를 형광편광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PDEδ 단백질과의 결합하는지를 델타라신과의 경쟁적 결합 실험을 형광편광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PDEδ 단백질과의 결합하는지를 전기영동 및 형광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 투과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도 17 내지 19는 live HeLa cell에서, 도 20은 MCF7 및 NIH-3T3 cell에서, 도 21은 Sf21 cell에서의 세포 투과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 투과성을 기존 염색 시약인 DAPI와의 costaining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 투과성을 기존 염색 시약인 DAPI 및 Mitotracker와의 colocalizaion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3b는 빛이 가해질수록 형광이 증가하는 화합물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형광 안정성을 기존 염색 시약인 Syto RNAselect 또는 Mitotracker와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 독성을 MTT 분석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 6알킬, C1- 6알콕시, COOR8, 아릴, 헤테로아릴,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및 C1- 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는 C1-6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또는 3이고,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C1-6알킬 및 C1-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CF3, COO-, C1- 6알킬 및 C1-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와 연결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3알킬, C1- 3알콕시, COOR8,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및 C1- 3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3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CF3, COO-, C1- 3알킬 및 C1-3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은 F, Cl, Br 및 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바이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딜, 피리미딜, 티오페닐, 피롤릴, 퓨라닐 및 트리아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OOR8이고, R6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1- 6알킬”은 직쇄상 또는 분쇄상 알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노말프로필, 이소프로필, 노말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노말프로필, 이소프로필, 노말헥실 및 이소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1- 6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로브, 이중쇄 DNA (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적당한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이미징 프로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2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22]
Figure pat00040
상기 화학식 22에서,
R1은 수소, COOEt,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및 C1-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또는 2 이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 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만, R1이 수소 또는 COOEt이고, n이 0일 때, R2
Figure pat00047
인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또는 기타 문제점 또는 합병증 없이 이득/위험 비가 합리적이어서 대상체 (예: 인간)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이내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하에서 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A]
Figure pat00048
상기 화학식 A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FeCl3, AlCl3, BiCl3, InCl3, PTSA (p-Toluenesulfonic acid) 및 PPTS (Pyridinium p-Toluenesulfonic aci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특히, FeCl3인 것이 부반응물의 생성이 없으면서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매는 0.1 내지 0.3 당량으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는데, 촉매의 함량이 0.1 당량 미만이면 촉매량이 너무 적어 반응성이 나쁘며, 촉매의 함량이 0.3 당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반응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반응은 메틸렌클로라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하의 20 ℃ 내지 8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 용매 하의 40 ℃ 내지 8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반응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는 C1- 6알킬알데히드, 아릴알데히드 및 헤테로아릴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데히드의 구체적인 예로,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3-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4-클로로벤즈알데히드, 3-클로로벤즈알데히드, 4-니트로벤즈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3-메톡시벤즈알데히드, 4-메틸벤즈알데히드, 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3,4-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1-나프틸알데히드, 2-나프틸알데히드, 피콜린알데히드, 5-브로모티오펜-2-카발데히드, 5-클로로티오펜-2-카발데히드, 퓨란-2-카발데히드 또는 1H-피롤-2-카발데히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검출 시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에 의해 표지되는 물질로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항체, 효소, 호르몬, 리셉터, 항원, 핵산, 천연 약물, 바이러스 입자, 박테리아 입자, 세포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핵산, 항체, 효소, 호르몬, 리셉터와 같은 단백질이거나, 혈액세포, 조직세포,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광 프로브는 검체에 형광 프로브를 처리한 후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이미징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와 같은 극성 유기용매에 녹인 것을 완충액에 더하여 이것을 검체에 처리하고 인큐베이팅하여, 형광을 측정할 수 있다. 극성 유기용매 중의 프로브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2 μM이다.
또한, 인큐베이션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검체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5분 내지 1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인큐베이션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각 검체에 적합한 온도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0 ℃ 내지 40 ℃이며, 검체가 세포 또는 조직인 경우에는, 그 배양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면, 인간 유래의 세포 또는 조직이면 3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광의 측정은 시판되는 형광계를 이용해 수행할 수도 있고, 세포 내 효소의 위치나 성질을 조사한 경우에는, 형광 현미경이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형광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검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중에 포함되는 효소 활성을 측정하려고 하는 어느 것 일 수 있고, 바람직한 예로서 각종 세포나 조직을 들 수 있다. 검체가 세포 또는 조직이 경우에는, 세포 또는 조직의 배양액을, 상기한 형광 프로브 용액으로 치환한 후 상기와 같이 인큐베이트를 실시하여 형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실험방법
1-1.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는 용리액으로서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여 실리카겔로 수행하였으며, 모든 반응액은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0.25 mm 실리카 플레이트; F-254)로 모니터링하고 UV로 시각화하였다. 1H and 13C NMR 스펙트럼은 400 MHz NMR 스펙트로미터로 기록하고, HRMS는 ESI (electrospray ionization) 및 Q-TOF 매스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1-2. 광학특성 분석
형광방출 스펙트럼은 JASCO FP-6500 분광형광계 (spectrofluorometer)를 사용하여 20 ℃에서 얻었으며, DMSO에 녹인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10 mM 원액 (stock solution)을 용매에 희석하였다. 형광양자수율 (fluorescence quantum yield)은 스탠다드 (Φ= 0.86 in water)로서 로다민 6G를 이용하여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결정하였으며, 형광측정에 사용된 슬릿 폭은 excitation 3 nm, emission 5 nm로 하였다. 흡수 스펙트럼은 실온에서 Perkin Elmer Lamda 20 UV/VIS 스펙트로미터로 기록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 합성
2-1. (IQ 1) 6- (4-Bromophen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0.14 mmol,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0.17 mmol (1.2 당량) 및 FeCl3 0.028 mmol (0.2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4 ml에 용해시켜 60 ℃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세척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3 ml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3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5.5-205.8 ℃ (43.4 mg, 83%); IR (ATR) ν = 2921, 2852, 1630, 1480, 135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 J = 7.6 Hz, 1H), 8.23 (d, J = 8.0 Hz, 1H), 7.89 (d, J = 6.8 Hz, 1H), 7.76 (d, J = 8.0 Hz, 2H), 7.73-7.68 (m, 1H), 7.69-7.62 (m, 2H), 7.58 (d, J = 8.0 Hz, 2H), 7.31 (s, 1H), 7.07 (t, J = 7.6 Hz, 1H), 6.48 (d, J = 6.8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7.4, 143.1, 139.1, 138.9, 132.6, 131.9, 130.6, 129.7, 127.8, 126.8, 126.0, 123.7, 123.6, 122.5, 121.0, 119.5, 110.1, 92.4; HRMS (ESI) calcd for C21H14BrN2 373.0335 ([M+H]+), found 373.0336.
2-2. (IQ 2) 6- (4-Nitrophen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니트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Orange solid, mp 246.3-246.5 ℃ (26.1 mg, 55%); IR (ATR) ν = 2921, 2850, 1632, 1596, 1505, 1434, 1343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7 (d, J = 8.5 Hz, 2H), 8.39 (d, J = 7.6 Hz, 1H), 8.22 (d, J = 8.0 Hz, 1H), 7.89 (d, J = 8.5 Hz, 2H), 7.77 (d, J = 6.8 Hz, 1H), 7.72 (t, J = 7.6 Hz, 1H), 7.69-7.62 (m, 2H), 7.31 (s, 1H), 7.08 (dd, J = 7.2, 8.4 Hz, 1H), 6.48 (t, J = 6.8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8.4, 146.4, 145.9, 143.0, 139.2, 132.0, 130.2, 129.7, 128.0, 126.5, 126.4, 124.6, 123.8, 123.7, 122.6, 120.6, 119.7, 110.4, 92.7; HRMS (ESI) calcd for C21H14N3O2 340.1081 ([M+H]+), found 340.1080.
2-3. (IQ 3) 6- (p-Tol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85.3-86.0 ℃ (22.9 mg, 53%); IR (ATR) ν = 2980, 1631, 1492, 1435, 1372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7 (d, J = 8.4 Hz, 1H), 8.25 (d, J = 8.4 Hz, 1H), 7.89 (d, J = 7.2 Hz, 1H), 7.68 (t, J = 7.6 Hz, 1H), 7.62 (d, J = 8.4 Hz, 2H), 7.56 (d, J = 7.2 Hz, 2H), 7.41 (d, J = 7.6 Hz, 2H), 7.27 (s, 1H), 7.02 (t, J = 8.8 Hz, 1H), 6.40 (t, J = 6.8 Hz, 1H), 2.5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8.9, 143.2, 139.1, 138.9, 137.0, 131.6, 130.0, 129.7, 128.7, 127.5, 127.0, 125.7, 123.6, 123.4, 122.5, 121.3, 119.3, 109.7, 92.2, 21.7; HRMS (ESI) calcd for C22H17N2 309.1386 ([M+H]+), found 309.1388.
2-4. (IQ 4) 6- 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41.9-142.8 ℃ (25.5 mg, 62%); IR (ATR) ν = 3046, 2941, 1631, 1487, 1353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6 (d, J = 8.0 Hz, 1H), 8.26 (d, J = 8.4 Hz, 1H), 7.78 (d, J = 7.2 Hz, 1H), 7.70 (d, J = 6.8 Hz, 1H), 7.66 (dd, J = 1.2, 8.0 Hz, 2H), 7.45-7.53 (m, 5H), 7.26 (s, 1H), 7.01 (dd, J = 7.2, 8.8 Hz, 1H), 6.38 (t, J = 6.4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8.8, 143.2, 140.0, 139.0, 131.7, 129.7, 129.4, 129.3, 128.8, 127.6, 126.9, 125.8, 123.6, 123.5, 122.5, 121.2, 119.3, 109.8, 92.2; HRMS (ESI) calcd for C21H15N2 295.1230 ([M+H]+), found 295.1225.
2-5. (IQ 5) 6- (Pyridin-2-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피콜린알데히드 (picolinaldehy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77.9-178.3 ℃ (11.6 mg, 28%); IR (ATR) ν = 3006, 2922, 2852, 1629, 1560, 1434, 1355, 74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84 (d, J = 4.4 Hz, 1H), 8.40 (d, J = 8.0 Hz, 1H), 8.25 (d, J = 8.0 Hz, 1H), 8.12 (d, J = 7.2 Hz, 1H), 8.07 (d, J = 7.2 Hz, 1H), 8.02 (t, J = 7.2 Hz, 1H), 7.70 (t, J = 7.6 Hz, 1H), 7.67-7.60 (m, 2H), 7.52 (t, J = 6.0 Hz, 1H), 7.31 (s, 1H), 7.07 (t, J = 7.6 Hz, 1H), 6.49 (t, J = 6.8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58.5, 149.2, 147.0, 143.0, 139.2, 137.9, 132.4, 129.7, 128.1, 127.6, 126.2, 125.3, 124.2, 123.72, 123.66, 122.9, 121.1, 119.2, 109.7, 92.4; HRMS (ESI) calcd for C20H14N3 296.1182 ([M+H]+), found 296.1182.
2-6. (IQ 6) 6- (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64.3-164.7 ℃ (29.5 mg, 65%); IR (ATR) ν = 3055, 2998, 1606, 1494, 1440, 1374, 1355, 102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8 (d, J = 7.6 Hz, 1H), 8.24 (d, J = 8.0 Hz, 1H), 7.94 (d, J = 7.2 Hz, 1H), 7.69 (t, J = 7.2 Hz, 1H), 7.66-7.56 (m, 4H), 7.28 (s, 1H), 7.14 (d, J = 8.4 Hz, 2H), 7.04 (t, J = 7.2 Hz, 1H), 6.43 (t, J = 6.4 Hz, 1H), 3.9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4, 148.5, 143.2, 138.9, 132.3, 131.6, 130.1, 129.6, 127.5, 126.9, 125.6, 123.6, 123.4, 122.4, 121.4, 119.3, 114.8, 109.7, 92.1, 55.6; HRMS (ESI) calcd for C22H17N2O 325.1335 ([M+H]+), found 325.1338.
2-7. (IQ 7) 6- (3,5-Di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39.7-140.4 ℃ (35.2 mg, 71%); IR (ATR) ν = 3062, 2838, 1592, 1452, 1353, 1149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 J = 7.6 Hz, 1H), 8.26 (d, J = 8.4 Hz, 1H), 7.88 (d, J = 7.2 Hz, 1H), 7.70 (t, J = 7.2 Hz, 1H), 7.67-7.60 (m, 2H), 7.30 (s, 1H), 7.06 (dd, J = 6.4, 8.8 Hz, 1H), 6.79 (d, J = 2.0 Hz, 2H), 6.69-6.64 (m, 1H), 6.47 (t, J = 6.8 Hz, 1H), 3.85 (s, 6H); 13C NMR (100 MHz, CDCl3) δ 161.7, 148.5, 143.0, 141.7, 139.0, 131.6, 129.7, 127.6, 127.1, 125.8, 123.6, 123.6, 122.6, 120.9, 119.2, 110.0, 106.3, 101.9, 92.1, 55.7; HRMS (ESI) calcd for C23H19N2O2 355.1441 ([M+H]+), found 355.1431.
2-8. (IQ 8) 6- (3,4-Di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4-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91.3-92.0 ℃ (33.7 mg, 68%); IR (ATR) ν = 3053, 2933, 1602, 1493, 1450, 1352, 1135, 1022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8 (d, J = 8.0 Hz, 1H), 8.25 (d, J = 8.4 Hz, 1H), 7.90 (d, J = 7.2 Hz, 1H), 7.69 (t, J = 7.6 Hz, 1H), 7.66-7.57 (m, 2H), 7.28 (s, 1H), 7.22 (dd, J = 1.6, 8.4 Hz, 1H), 7.19 (s, 1H), 7.09 (d, J = 8.4 Hz, 1H), 7.05 (t, J = 6.8 Hz, 1H), 6.44 (t, J = 6.8 Hz, 1H), 4.01 (s, 3H), 3.9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9.8, 149.7, 148.5, 143.1, 139.0, 132.4, 131.7, 129.6, 127.6, 127.1, 125.7, 123.6, 123.5, 122.5, 121.30, 121.23, 119.3, 111.9, 111.7, 109.8, 92.2, 56.24, 56.17; HRMS (ESI) calcd for C23H19N2O2 355.1441 ([M+H]+), found 355.1448.
2-9. (IQ 9) 6- (Naphthalen-1-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나프탈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5.6-206.3 ℃ (40.0 mg, 83 %); IR (ATR) ν = 3051, 2929, 1631, 1493, 760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5 (d, J = 7.6 Hz, 1H), 8.30 (d, J = 8.0 Hz, 1H), 8.08 (d, J = 7.2 Hz, 1H), 7.98 (d, J = 8.4 Hz, 1H), 7.76- 7.65 (m, 4H), 7.63(d, J = 9.0 Hz, 1H), 7.49 (t, J = 7.6 Hz, 1H), 7.40 (d, J = 8.4 Hz, 1H), 7.33 (s, 1H), 7.31-7.22 (m, 1H), 7.17 (d, J = 7.2 Hz, 1H), 6.94 (t, J = 7.6 Hz, 1H), 6.14 (t, J = 6.8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7.4, 143.4, 139.0, 137.0, 134.0, 131.6, 131.4, 129.8, 129.6, 128.6, 127.7, 127.3, 126.9, 126.6, 126.5, 126.1, 125.9, 125.3, 123.7, 123.5, 122.7, 122.3, 119.1, 110.0, 92.1; HRMS (ESI) calcd for C25H17N2 345.1386 ([M+H]+), found 345.1383.
2-10. (IQ 10) 6- (Naphthalen-2-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2-나프탈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5.6-206.2 ℃ (22.7 mg, 47%); IR (ATR) ν = 3047, 2920, 1632, 1496, 1352, 745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1 (d, J = 7.6 Hz, 1H), 8.28 (d, J = 8.0 Hz, 1H), 8.21 (s, 1H), 8.08 (d, J = 8.4 Hz, 1H), 7.99 (d, J = 7.6 Hz, 1H), 7.95 (d, J = 7.2 Hz, 1H), 7.84 (d, J = 7.6 Hz, 1H), 7.75 (d, J = 8.4 Hz, 1H), 7.71 (t, J = 7.2 Hz, 1H), 7.67-7.59 (m, 3H), 7.59-7.54 (m, 1H), 7.31(s, 1H), 7.01 (t, J = 7.2 Hz, 1H), 6.32 (t, J = 7.2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3.3, 139.0, 137.4, 133.8, 133.6, 131.8, 129.7, 129.2, 128.7, 128.3, 128.1, 127.7, 127.0, 126.9, 126.8, 126.3, 125.9, 123.7, 123.5, 122.6, 121.4, 119.3, 109.9, 92.3; HRMS (ESI) calcd for C25H17N2 345.1386 ([M+H]+), found 345.1387.
2-11. (IQ 11) 6- (5-Chlorothiophen-2-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5-클로로티오펜-2카발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61.4-161.7 ℃ (36.6 mg, 78%); IR (ATR) ν = 3041, 2937, 1632, 1561, 1493, 1352, 751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4 (d, J = 8.0 Hz, 2H), 8.21 (d, J = 8.0 Hz, 1H), 7.69 (td, J = 1.2, 6.8 Hz, 1H), 7.66-7.59 (m 2H), 7.26 (s, 1H), 7.19 (d, J = 4.0 Hz, 1H), 7.11-7.04 (m, 2H), 6.57 (td, J = 1.2, 6.4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2.9, 140.5, 139.8, 139.2, 132.7, 132.1, 129.7, 127.8, 127.4, 126.82, 126.75, 126.3, 123.8, 123.6, 122.6, 121.2, 119.5, 110.2, 92.5; HRMS (ESI) calcd for C19H12ClN2S 335.0404 ([M+H]+), found 335.0402.
2-12. (IQ 12) 6-(4- Bromophenyl )-11- 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26.5-226.8 ℃ (45.0 mg, 83%); IR (ATR) ν = 3042, 2919, 1588, 1498, 1356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2 (d, J = 7.6 Hz, 1H), 8.23 (d, J = 8.4 Hz, 1H), 7.80-7.72 (m, 3H), 7.70 (t, J = 6.8 Hz, 1H), 7.64 (t, J = 7.2 Hz, 1H), 7.57 (d, J = 8.0 Hz, 2H), 7.29 (s, 1H), 6.89 (d, J = 6.0 Hz, 1H), 6.43 (t, J = 6.8 Hz, 1H), 2.6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7.4, 143.1, 140.1, 138.9, 132.5, 131.6, 130.7, 129.6, 128.3, 127.6, 125.9, 124.6, 123.58, 123.56, 122.6, 122.4, 110.2, 90.8, 18.8; HRMS (ESI) calcd for C22H16BrN2 387.0491 ([M+H]+), found 387.0490.
2-13. (IQ 13) 11-Methyl-6- (4-nitrophen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니트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59.7-260.4 ℃ (35.1 mg, 71%); IR (ATR) ν = 3026, 2920, 1631, 1595, 1441, 1341, 1381, 1102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8 (d, J = 6.8 Hz, 2H), 8.43 (d, J = 7.6 Hz, 1H), 8.23 (d, J = 8.0 Hz, 1H), 7.90 (d, J = 6.8 Hz, 2H), 7.75-7.61 (m, 3H), 7.31 (s, 1H), 6.91 (d, J = 6.4 Hz, 1H), 6.44 (t, J = 6.8 Hz, 1H), 2.62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8.4, 146.4, 146.1, 143.0, 140.3, 131.8, 130.3, 129.7, 128.7, 127.9, 126.4, 124.5, 124.3, 123.7, 122.69, 122.67, 121.2, 110.6, 91.2, 18.8; HRMS (ESI) calcd for C22H16N3O2 354.1237 ([M+H]+), found 354.1235.
2-14. 6-(3- Fluorophenyl )-11- 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62.5-163.1 ℃ (35.7 mg, 79%); IR (ATR) ν = 3013, 2918, 1626, 1491, 1435, 1349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0 (d, J = 8.0 Hz, 1H), 8.25 (d, J = 8.4 Hz, 1H), 7.79 (d, J = 7.2 Hz, 1H), 7.68 (t, J = 8.4 Hz, 1H), 7.62 (t, J = 7.2 Hz, 1H), 7.55 (d, J = 8.0 Hz, 2H), 7.40 (d, J = 8.0 Hz, 2H), 6.87-6.81 (m, 1H), 6.36 (t, J = 7.2 Hz, 1H), 2.59 (s, 3H), 2.5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9.1, 143.2, 140.0, 139.0, 137.1, 131.4, 130.0, 129.7, 128.7, 128.1, 127.4, 125.6, 124.9, 123.5, 122.6, 122.2, 121.8, 109.8, 90.6, 21.7, 18.8; HRMS (ESI) calcd for C23H19N2 323.1543 ([M+H]+), found 323.1542.
2-15. (IQ 15) 11-Methyl-6- (p-tolyl)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76.1-176.5 ℃ (36.6 mg, 80%); IR (ATR) ν = 3042, 2903, 1561, 1496, 1364, 1110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 J = 8.0 Hz, 1H), 8.24 (d, J = 8.0 Hz, 1H), 7.73-7.66 (m, 2H), 7.62 (t, J = 7.2 Hz, 1H), 7.60-7.53 (m, 1H), 7.43 (d, J = 8.8 Hz, 1H), 7.40 (d, J = 8.8 Hz, 1H), 7.28 (dd, J = 1.6, 8.4 Hz, 1H), 7.25 (s, 1H), 6.85 (d, J = 6.8 Hz, 1H), 6.38 (t, J = 7.2 Hz, 1H), 2.58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3.3 (d, JC,F = 247.0 Hz), 147.2, 142.5 (d, JC,F = 287.0 Hz), 142.0 (d, JC,F = 8.0 Hz), 131.6, 131.02 (d, JC,F = 8.0 Hz), 129.6, 128.3, 127.6, 126.0, 124.7, 124.6, 124.5, 123.6, 122.6, 122.5, 121.4, 116.3 (d, JC,F = 6.0 Hz), 116.1 (d, JC,F = 7.0 Hz), 110.2, 90.8, 18.8 ; HRMS (ESI) calcd for C22H16FN2 327.1292 ([M+H]+), found 327.1292.
2-16. (IQ 16) 6-(3,5-Dimethoxyphenyl)-11-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85.8-186.4 ℃ (39.7 mg, 77%); IR (ATR) ν = 2933, 2836, 1596, 1495, 1453, 1365, 1193, 1149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0 (d, J = 7.6 Hz, 1H), 8.26 (d, J = 8.4 Hz, 1H), 7.77 (d, J = 6.8 Hz, 1H), 7.69 (t, J = 6.8 Hz, 1H), 7.62 (t, J = 8.0 Hz, 1H),7.62 (s, 1H), 6.86 (d, J = 5.2 Hz, 1H), 6.78 (s, 2H), 6.66 (s, 1H), 6.41 (t, J = 7.2 Hz, 1H), 3.83 (s, 6H), 2.58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1.6, 148.6, 143.0, 141.7, 140.0, 131.4, 129.7, 128.0, 127.5, 125.8, 125.0, 123.6, 122.6, 122.4, 121.4, 110.1, 106.4, 101.9, 90.6, 55.7, 18.8; HRMS (ESI) calcd for C24H21N2O2 369.1598 ([M+H]+), found 369.1595.
2-17. (IQ 17) 6-(3,4-Dimethoxyphenyl)-11-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4-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62.8-163.3 ℃ (35.1 mg, 68%); IR (ATR) ν = 2919, 2845, 1602, 1492, 1411, 1365, 1138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40 (d, J = 7.6 Hz, 1H), 8.25 (d, J = 8.0 Hz, 1H), 7.79 (d, J = 7.2 Hz, 1H), 7.69 (t, J = 7.2 Hz, 1H), 7.62 (t, J = 7.6 Hz, 1H), 7.27 (s, 1H), 7.22 (d, J = 8.0 Hz, 1H), 7.19 (s, 1H), 7.09 (d, J = 8.0 Hz, 1H), 6.86 (d, J = 6.4 Hz, 1H), 6.39 (d, J = 7.2 Hz, 1H), 4.01 (s, 3H), 3.90 (s, 3H), 2.59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9.8, 149.6, 148.6, 143.1, 140.0, 132.4, 131.4, 129.6, 128.1, 127.5, 125.7, 124.9, 123.5, 122.6, 122.3, 121.8, 121.3, 111.9, 111.8, 109.9, 90.7, 56.2, 56.1, 18.8; HRMS (ESI) calcd for C24H21N2O2 369.1598 ([M+H]+), found 369.1595.
2-18. (IQ 18) 6-(Furan-2-yl)-11-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퓨란-2-카발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12.4-113.2 ℃ (33.0 mg, 79%); IR (ATR) ν = 3096, 2922, 1611, 1481, 1438, 1365, 1013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6.4 Hz, 1H), 8.25 (d, J = 8.4 Hz, 1H), 7.84 (d, J = 6.8 Hz, 1H), 7.72 (s, 1H), 7.68 (t, J = 6.8 Hz, 1H), 7.61 (t, J = 7.2 Hz, 1H), 7.24-7.17 (m, 1H), 7.03 (d, J = 3.2 Hz, 1H), 6.87 (s, 1H), 6.72 (s, 1H), 6.54-6.46 (m, 1H), 2.56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51.7, 143.2, 143.1, 140.1, 138.5, 131.7, 129.8, 128.0, 127.6, 126.2, 125.0, 123.6, 122.9, 122.5, 122.0, 112.3, 111.5, 110.2, 90.8, 18.8; HRMS (ESI) calcd for C20H15N2O 299.1179 ([M+H]+), found 299.1178.
2-19. (IQ 19) Methyl 6-(3,5-di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5.9-206.3 ℃ (53.7 mg, 93%); IR (ATR) ν = 2936, 2839, 1690, 1598, 1492, 1352, 113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8 (d, J = 8.0 Hz, 1H), 8.46 (d, J = 9.2 Hz, 1H), 8.26 (d, J = 8.0 Hz, 1H), 7.96 (d, J = 7.2 Hz, 1H), 7.74 (t, J = 7.2 Hz, 1H), 7.66 (t, J = 8.0 Hz, 1H), 7.34 (t, J = 7.6 Hz, 1H), 6.74 (s, 2H), 6.70-6.60 (m, 2H), 4.10 (s, 3H), 3.84 (s, 6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9, 161.9, 147.9, 144.5, 141.6, 141.4, 131.0, 129.8, 128.5, 127.7, 127.64, 127.57, 126.0, 122.4, 121.9, 120.5, 112.3, 106.2, 102.0, 99.4, 55.8, 51.6; HRMS (ESI) calcd for C25H21N2O4 413.1496 ([M+H]+), found 413.1506.
2-20. (IQ 20) Methyl 6-(naphthalen-1-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나프탈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45.8-246.2 ℃ (55.8 mg, 99%); IR (ATR) ν = 3048, 2985, 1697, 1490, 1437, 1350, 1133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76 (d, J = 8.0 Hz, 1H), 8.43 (d, J = 9.2 Hz, 1H), 8.30 (d, J = 8.0 Hz, 1H), 7.59 (dd, J = 2.8, 6.8 Hz, 1H), 7.98 (d, J = 8.4 Hz, 1H), 7.77 (t, J = 7.2 Hz, 1H), 7.74-7.66 (m, 3H), 7.49 (t, J = 6.8 Hz, 1H), 7.34 (d, J = 7.2 Hz, 1H), 7.31 (d, J = 8.4 Hz, 1H), 7.26 (dd, J = 6.8, 7.2 Hz, 1H), 7.22 (dd, J = 6.8, 9.2 Hz, 1H), 6.32(t, J = 6.8 Hz, 1H), 4.1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6.0, 146.8, 145.0, 141.5, 136.7, 134.0, 131.4, 130.8, 129.9, 129.8, 128.6, 128.5, 127.7, 127.5, 127.4, 126.94, 126.87, 126.8, 126.2, 126.1, 124.9, 123.2, 122.5, 120.4, 112.4, 99.3, 51.6; HRMS (ESI) calcd for C27H19N2O2 403.1441 ([M+H]+), found 403.1437.
2-21. (IQ 21) Methyl 6-(1H-pyrrol-2-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메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H-피롤-2-카발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30.8-231.4 ℃ (42.1 mg, 88 %); IR (ATR) ν = 3323, 3108, 2944, 1690, 1588, 1494, 1439, 1350, 122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10.06 (s, 1H), 9.46 (d, J = 8.0 Hz, 1H), 8.65-8.53 (m, 1H), 8.35 (d, J = 9.2 Hz, 1H), 7.98 (d, J = 8.0 Hz, 1H), 7.54-7.40 (m, 2H), 7.32 (t, J = 6.8 Hz, 1H), 7.08 (s, 1H), 6.70 (t, J = 6.8 Hz, 1H), 6.60 (s, 1H), 6.41 (s, 1H), 4.09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9, 144.3, 141.5, 140.4, 131.3, 128.7, 128.5, 128.3, 127.8, 127.6, 127.5, 125.4, 121.9, 121.8, 120.5, 120.3, 111.8, 110.9, 110.0, 99.2, 51.6; HRMS (ESI) calcd for C21H16N3O2 342.1237 ([M+H]+), found 342.1229.
2-22. (IQ 22) 9-Bromo-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6-브로모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퓨란-2-카발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29.5-230.0 ℃ (50.2 mg, 89%); IR (ATR) ν = 3057, 3003, 1606, 1489, 1435, 1381, 1242, 1173, 669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3 (d, J = 7.6 Hz, 1H), 8.24 (d, J = 8.4 Hz, 1H), 8.05 (s, 1H), 7.69 (t, J = 7.6 Hz, 1H), 7.64-7.57 (m, 3H), 7.51 (d, J = 9.2 Hz, 1H), 7.28 (s, 1H), 7.16 (d, J = 8.4 Hz, 2H), 7.06 (d, J = 9.6 Hz, 1H), 3.9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8, 148.5, 143.2, 136.7, 131.7, 131.5, 130.1, 129.7, 127.8, 127.0, 126.5, 126.0, 123.6, 122.3, 121.4, 119.9, 114.9, 104.2, 93.4, 55.7; HRMS (ESI) calcd for C22H16BrN2O 403.0441 ([M+H]+), found 403.0437.
2-23. (IQ 23) 9-Bromo-6-(p-tol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6-브로모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30.8-231.2 ℃ (23.9 mg, 44%); IR (ATR) ν = 2921, 2852, 1610, 1487, 1435, 667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3 (d, J = 7.6 Hz, 1H), 8.25 (d, J = 8.4 Hz, 1H), 7.96 (s, 1H), 7.69 (t, J = 7.2 Hz, 1H), 7.61 (t, J = 7.2 Hz, 1H), 7.55 (d, J = 7.6 Hz, 2H), 7.50 (d, J = 9.6 Hz, 1H), 7.44 (d, J = 8.0 Hz, 2H), 7.27 (s, 1H), 7.05 (d, J = 9.6 Hz, 1H), 2.52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48.9, 143.2, 139.6, 136.7, 136.2, 131.6, 130.1, 129.8, 128.5, 127.8, 127.0, 126.5, 126.0, 123.6, 122.3, 121.3, 119.8, 104.2, 93.4, 21.7; HRMS (ESI) calcd for C22H16BrN2 387.0491 ([M+H]+), found 387.0490.
2-24. (IQ 24) 9-Bromo-6-(3,4-di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6-브로모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브로모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Green solid, mp 188.5-189.0℃ (45.5 mg, 75%); IR (ATR) ν = 3103, 3000, 1600, 1490, [0292] 1460, 1372, 1132, 667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4 (d, J = 8.0 Hz, 1H), 8.27 (d, J = 8.0 Hz, 1H), 8.10 (s, 1H), 7.70 (t, J = 7.2 Hz, 1H), 7.63 (t, J = 7.2 Hz, 1H), 7.54 (d, J = 9.6 Hz, 1H), 7.31 (s, 1H), 7.26-7.19 (m, 2H), 7.12 (d, J = 8.0 Hz, 1H), 7.09 (d, J = 9.6 Hz, 1H), 4.02 (s, 3H), 3.92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50.3, 149.9, 148.3, 143.0, 136.9, 131.8, 131.4, 129.5, 128.0, 127.1, 126.7, 126.1, 123.6, 122.3, 121.4, 121.2, 119.9, 111.9, 111.8, 104.3, 93.5, 56.4, 56.3; HRMS (ESI) calcd for C23H18BrN2O2 433.0546 ([M+H]+), found 433.0543.
2-25. (IQ 25) 9-Bromo-6-(furan-2-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6-브로모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퓨란-2-카발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93.3-193.6 ℃ (47.3 mg, 93%); IR (ATR) ν = 3065, 3013, 1599, 1480, 1313, 668 cm-1; 1H NMR (400 MHz, CDCl3) δ 8.30 (d, J = 7.6 Hz, 1H), 8.25 (d, J = 8.4 Hz, 1H), 8.09 (s, 1H), 7.78 (s, 1H), 7.70 (t, J = 7.6 Hz, 1H), 7.63 (t, J = 7.2 Hz, 1H), 7.52 (d, J = 9.2 Hz, 1H), 7.26 (s, 1H), 7.15-7.06 (m, 2H), 6.78 (s,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3.4, 142.9, 138.2, 137.0, 132.1, 129.8, 128.0, 127.6, 126.9, 126.6, 123.6, 122.6, 121.4, 119.8, 112.7, 112.2, 104.8, 93.6; HRMS (ESI) calcd for C19H12BrN2O 363.0128 ([M+H]+), found 363.0126.
2-26. (IQ 26) Ethyl 6-(4-nitro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니트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45.8-246.1 ℃ (43.2 mg, 75%); IR (ATR) ν = 3112, 2985, 1689, 1597, 1560, 1436, 1349, 1215, 1137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8 (d, J = 8.4 Hz, 1H), 8.51 (d, J = 9.6 Hz, 1H), 8.48 (d, J = 8.8 Hz, 2H), 8.21 (d, J = 8.0 Hz, 1H), 7.90-7.82 (m, 3H), 7.75 (t, J = 7.2 Hz, 1H), 7.68 (t, J = 7.2 Hz, 1H), 7.37 (dd, J = 6.8, 8.8 Hz, 1H), 6.67 (t, J = 6.4 Hz, 1H), 4.60 (q, J = 7.2 Hz, 2H), 1.57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3, 148.5, 146.1, 145.4, 144.5, 141.6, 131.3, 130.2, 129.8, 128.8, 127.8, 127.7, 126.8, 126.5, 124.7, 122.4, 121.4, 121.0, 112.5, 100.1, 60.8, 14.8; HRMS (ESI) calcd for C24H18N3O4 412.1292 ([M+H]+), found 412.1286.
2-27. (IQ 27) Ethyl 6-(3-chloro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클로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14.3-214.5 ℃ (53.3 mg, 95%); IR (ATR) ν = 3111, 2961, 1679, 1631, 1489, 1435, 1386, 1218, 1174, 1026, 741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8 (d, J = 8.4 Hz, 1H), 8.49 (d, J = 8.8 Hz, 1H), 8.23 (d, J = 8.0 Hz, 1H), 7.92 (d, J = 6.4 Hz, 1H), 7.75 (t, J = 7.2 Hz, 1H), 7.72-7.62 (m, 2H), 7.61-7.51 (m, 2H), 7.51-7.45 (m, 1H), 7.34 (t, J = 7.2 Hz, 1H), 6.65 (t, J = 6.8 Hz, 1H), 4.59 (q, J = 7.2 Hz, 2H), 1.5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4, 146.4, 144.5, 141.6, 141.5, 135.7, 131.2, 130.9, 129.8, 129.7, 129.0, 128.6, 127.8, 127.5, 127.2, 126.9, 126.1, 122.4, 121.7, 120.8, 112.3, 99.9, 60.7, 14.8; HRMS (ESI) calcd for C24H18ClN2O2 401.1051 ([M+H]+), found 401.1048.
2-28. (IQ 28) Ethyl 6-(3-fluoro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2.1-202.4 ℃ (53.8 mg, 100 %); IR (ATR) ν = 3055, 3033, 2980, 1676, 1613, 1490, 1434, 1372, 1135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8 (d, J = 8.4 Hz, 1H), 8.49 (d, J = 8.8 Hz, 1H), 8.24 (d, J = 8.0 Hz, 1H), 7.89 (d, J = 6.4 Hz, 1H), 7.75 (t, J = 6.8 Hz, 1H), 7.67 (t, J = 7.6 Hz, 1H), 7.63-7.54 (m, 1H), 7.44-7.25 (m, 4H), 6.68 -6.54 (m, 1H), 4.59 (q, J = 7.2 Hz, 2H), 1.5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5, 163.4 (d, JC,F = 247.9 Hz), 146.6, 143.0 (d, JC,F = 295.8 Hz), 141.8 (d, JC,F = 7.5 Hz), 131.4 (d, JC,F = 33.2 Hz), 131.2, 129.8, 128.6, 127.6 (d, JC,F = 24.0 Hz), 127.2, 126.1, 124.6, 124.5, 122.4, 121.7, 120.7, 116.6 (d, JC,F = 20.9 Hz), 116.2, 116.0, 112.3, 99.8, 60.7, 14.8; HRMS (ESI) calcd for C24H18FN2O2 385.1347 ([M+H]+), found 385.1345.
2-29. (IQ 29) Ethyl 6-(3-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73.4-173.8 ℃ (51.6 mg, 93%); IR (ATR) ν = 3031, 2957, 1675, 1588, 1488, 1434, 1350, 1109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9 (d, J = 8.4 Hz, 1H), 8.49 (d, J = 9.2 Hz, 1H), 8.27 (d, J = 8.0 Hz, 1H), 7.92 (d, J = 7.2 Hz, 1H), 7.75 (t, J = 7.2 Hz, 1H), 7.66 (t, J = 6.8 Hz, 1H), 7.52 (t, J = 8.0 Hz, 1H), 7.33 (t, J = 6.8 Hz, 1H), 7.20-7.08 (m, 3H), 6.62 (t, J = 6.8 Hz, 1H), 4.60 (q, J = 7.2 Hz, 2H), 3.87 (s, 3H), 1.5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6, 160.6, 148.0, 144.6, 141.6, 140.9, 131.0, 130.9, 129.8, 128.5, 127.7, 127.54, 127.46, 125.9, 122.4, 122.0, 120.8, 120.6, 115.8, 113.5, 112.1, 99.7, 60.6, 55.6, 14.8; HRMS (ESI) calcd for C25H21N2O3 397.1547 ([M+H]+), found 397.1542.
2-30. (IQ 30) Ethyl 6-(3,4-di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3,4-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195.5-195.8 ℃ (58.5 mg, 98 %); IR (ATR) ν = 3074, 2969, 1681, 1600, 1497, 1435, 1350, 1132, 1024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68 (d, J = 8.4 Hz, 1H), 8.49 (d, J = 9.2 Hz, 1H), 8.25 (d, J = 8.0 Hz, 1H), 7.98 (d, J = 7.2 Hz, 1H), 7.73 (t, J = 6.8 Hz, 1H), 7.65 (t, J = 6.8 Hz, 1H), 7.33 (t, J = 7.6 Hz, 1H), 7.20-7.12 (m, 2H), 7.09 (d, J = 8.0 Hz, 1H), 6.64 (t, J = 7.2 Hz, 1H), 4.59 (q, J = 7.2 Hz, 2H), 4.01 (s, 3H), 3.91 (s, 3H), 1.5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5, 150.0, 149.9, 147.9, 144.6, 141.5, 132.1, 131.0, 129.6, 128.4, 127.7, 127.5, 127.4, 125.7, 122.3, 122.13, 122.14, 120.5, 112.1, 112.0, 111.5, 99.6, 60.6, 56.2, 56.2, 14.7; HRMS (ESI) calcd for C26H22N2O4 427.1652 ([M+H]+), found 427.1660.
2-31. (IQ 31) Ethyl 6-(naphthalen-2-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2-나프탈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10.3-210.7 ℃ (58.3 mg, 100%); IR (ATR) ν = 3125, 2973, 1679, 1599, 1492, 1434, 1377, 1215, 1105, 1030 cm-1; 1H NMR (400 MHz, CDCl3) δ 9.71 (d, J = 8.4 Hz, 1H), 8.49 (d, J = 9.2 Hz, 1H), 8.28 (d, J = 8.0 Hz, 1H), 8.18 (s, 1H), 8.07 (d, J = 8.4 Hz, 1H), 7.98 (d, J = 7.6 Hz, 1H), 7.96-7.90 (m, 2H), 7.75 (t, J = 7.2 Hz, 1H), 7.70-7.64 (m, 2H), 7.64-7.54 (m, 2H), 7.29 (dd, J = 6.8, 9.2 Hz, 1H), 6.49 (t, J = 6.8 Hz, 1H), 4.61 (q, J = 7.2 Hz, 2H), 1.57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6, 148.0, 144.7, 141.6, 137.0, 133.8, 133.6, 131.1, 129.8, 129.5, 128.7, 128.5, 128.2, 128.1, 127.8, 127.46, 127.44, 127.1, 127.0, 126.0, 125.9, 122.4, 122.2, 120.6, 112.1, 99.7, 60.6, 14.8; HRMS (ESI) calcd for C28H21N2O2 417.1598 ([M+H]+), found 417.1598.
2-32. (IQ 32) Ethyl 6-(naphthalen-1-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나프탈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2-33. (IQ 33) 11-Methyl-6-(naphthalen-1-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16 mg, 0.072 mmol) 및 1-나프탈데히드 (0.09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07 mmol, 0.1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2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74%, 19 mg).
Yellow solid; 1H NMR (400 MHz, CDCl3) δ 8.50 (d, J = 8.0 Hz, 1H), 8.30 (d, J = 7.6 Hz, 1H), 8.09 (d, J = 8.8 Hz, 1H), 7.99 (d, J = 8.0 Hz, 1H), 7.78-7.66 (m, 4H), 7.50 (t, J = 7.2 Hz, 1H), 7.39 (d, J = 8.4 Hz, 1H), 7.33 (s, 1H), 7.29 (d, J = 7.6 Hz, 1H), 7.09 (d, J = 7.2 Hz, 1H), 6.78 (d, J = 6.8 Hz, 1H), 6.12 (t, J = 6.8 Hz, 1H), 2.59 (s, 3H).
2-34. (IQ 34) 6-(Naphthalen-1-yl)pyrido[2',1':2,3]imidazo[4,5-c]quinoline 합성
2-(이미다조[1,2-a]피리딘-2-일)아닐린 (11 mg, 0.05 mmol) 및 1-나프탈데히드 (0.06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05 mmol, 0.1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5: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92%, 15.9 mg).
Yellow solid; 1H NMR (400 MHz, CDCl3) δ 8.88 (d, J = 7.6 Hz, 1H), 8.36 (d, J = 8.0 Hz, 1H), 8.13 (d, J = 8.0 Hz, 1H), 8.02 (d, J = 8.4 Hz, 1H), 7.91 (d, J = 9.2 Hz, 1H),7.89-7.69 (m, 4H), 7.54 (t, J = 7.6 Hz, 1H), 7.44 (d, J = 7.2 Hz, 1H), 7.50-7.40 (m, 2H), 7.33 (t, J = 7.2 Hz, 1H), 7.29-7.22 (m, 1H), 6.53 (t, J = 6.8 Hz, 1H).
2-35. (IQ 35) 9-methyl-6-(naphthalen-1-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6-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16 mg, 0.072 mmol) 및 1-나프탈데히드 (0.20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17 mmol, 0.1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3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34%, 20.4 mg).
Yellow solid; 1H NMR (400 MHz, CDCl3) δ 8.44 (d, J = 8.0 Hz, 1H), 8.28 (d, J = 8.0 Hz, 1H), 8.14-8.06 (m, 1H), 8.00 (d, J = 8.4 Hz, 1H), 7.77-7.63 (m, 4H), 7.59-7.46 (m, 2H), 7.42 (d, J = 8.4 Hz, 1H), 7.34-7.36 (m, 2H), 6.90 (s, 1H), 6.83 (d, J = 9.2 Hz, 1H), 1.78 (s, 3H)
2-36. (IQ 36) 4-(Indolizino[3,2-c]quinolin-6-yl)-N,N-dimethylani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20 mg, 0.096 mmol) 및 4-(다이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0.106 mmol, 1.1 당량)를 dry CH2Cl2 0.5 ml에 용해시키고, 2% TFA in CH2Cl2 0.5 ml를 드롭 방식 (dropwise)으로 첨가한 후 상온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포화 NaHCO3로 work up 한 뒤,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31%, 10 mg).
Yellow solid, mp: 173.8-175.0 °C; 1H 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7.2 Hz, 1H), 8.25 (d, J = 8.0 Hz, 1H), 8.13 (d, J = 7.2 Hz, 1H), 7.66 (dd, J = 1.2, 8.4 Hz, 1H), 7.63-7.57 (m, 2H), 7.55 (d, J = 8.8 Hz, 2H), 7.25 (s, 1H), 7.02 (dd, J = 6.4, 8.4 Hz, 1H), 6.91 (d, J = 8.4 Hz, 2H), 6.46-6.39 (m, J = 6.8 Hz, 1H), 3.07 (s, 6H); 13C NMR (100 MHz, CDCl3) δ 151.2, 149.3, 143.2, 138.9, 131.7, 129.8, 129.4, 127.5, 127.3, 125.4, 123.6, 123.3, 122.3, 121.6, 119.2, 112.8, 109.6, 92.1, 40.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3H20N3 338.1652, found 338.1652.
2-37. (IQ 37) N,N-Diethyl-4-(indolizino[3,2-c]quinolin-6-yl)aniline 합성
4-(다이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다이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6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31%, 11 mg).
Yellow solid, mp: 77.2-78.6 °C; 1H 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7.6 Hz, 1H), 8.26 (t, J = 6.0 Hz, 2H), 7.72-7.56 (m, 3H), 7.53 (t, J = 8.4 Hz, 2H), 7.26 (s, 1H), 7.04 (t, J = 7.2 Hz, 1H), 6.86 (d, J = 8.4 Hz, 2H), 6.45 (t, J = 6.8 Hz, 1H), 3.47 (q, J = 7.2 Hz, 4H), 1.24 (t, J = 7.2 Hz, 6H); 13C NMR (100 MHz, CDCl3) δ 149.5, 148.5, 143.5, 138.7, 131.6, 130.0, 129.6, 127.4, 127.3, 126.4, 125.2, 123.5, 122.3, 121.6, 119.1, 112.2, 109.4, 92.0, 44.6, 12.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5H24N3 366.1965, found 366.1966.
2-38. (IQ 38) 6-(4-Methoxyphenyl)-12-nitro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린 (9 mg, 0.028 mmol)을 CH3CN 1 ml에 용해시키고 NBS (0.028 mmol, 1 당량), AgNO3 (0.028 mmol, 1 당량)와 섞은 후 120 °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감압증류하고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42%, 4.3mg).
Orange solid, mp: 265.4-266.9 °C; 1H NMR (400 MHz, CDCl3) δ 9.51 (d, J = 8.4 Hz, 1H), 8.80 (d, J = 8.8 Hz, 1H), 8.26 (d, J = 8.4 Hz, 1H), 8.18 (d, J = 6.8 Hz, 1H), 7.81 (t, J = 7.2 Hz, 1H), 7.70 (t, J = 7.6 Hz, 1H), 7.65 (dd, J = 7.2, 8.4 Hz, 1H), 7.57 (d, J = 8.4 Hz, 2H), 7.16 (d, J = 8.4 Hz, 2H), 6.87 (t, J = 6.8 Hz, 1H), 3.9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9, 147.7, 145.6, 138.0, 131.7, 131.2, 130.10, 130.06, 129.7, 128.0, 127.6, 126.6, 125.5, 120.9, 120.3, 120.0, 115.3, 114.6, 55.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2H16N3O3 370.1186, found 370.1188.
2-39. (IQ 39) 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nitrile 합성
12-브로모-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린 (20 mg, 0.05 mmol)을 DMF 0.5 ml에 용해시키고 CuCN (0.40 mmol, 8 당량) 및 NaI (0.1 mmol, 2 당량)와 섞은 후 150 °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H2O로 work up하고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2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24%, 4.1 mg).
Yellow solid, mp: 268.0-268.8 °C; 1H NMR (400 MHz, CDCl3) δ 8.98 (d, J = 8.4 Hz, 1H), 8.27 (d, J = 8.0 Hz, 1H), 8.08 (d, J = 7.2 Hz, 1H), 7.92 (d, J = 8.8 Hz, 1H), 7.79 (t, J = 7.2 Hz, 1H), 7.72 (t, J = 7.6 Hz, 1H), 7.59 (d, J = 8.4 Hz, 2H), 7.42 (t, J = 7.6 Hz, 1H), 7.15 (d, J = 8.4 Hz, 2H), 6.74 (t, J = 6.8 Hz, 1H), 3.9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8, 148.2, 144.0, 143.1, 131.3, 131.1, 130.1, 129.9, 129.2, 128.0, 126.9, 123.6, 121.4, 121.3, 118.0, 117.1, 115.1, 112.9, 55.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3H16N3O 350.1288, found 350.1286.
2-40. (IQ 40) 12-Chloro-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린 (20 mg, 0.062 mmol)을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NCS (0.062 mmol, 1 당량)와 섞은 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감압증류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71%, 15.7 mg).
Yellow solid, mp: 215.1-216.4 °C; 1H NMR (400 MHz, CDCl3) δ 9.17 (d, J = 8.0 Hz, 1H), 8.26 (d, J = 8.0 Hz, 1H), 7.89 (d, J = 7.2 Hz, 1H), 7.77-7.62 (m, 3H), 7.58(d, J = 8.4 Hz, 2H), 7.18-7.08 (m, 1H), 7.13 (d, , J = 8.4 Hz, 2H), 6.49 (t, J = 6.4 Hz, 1H), 3.9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6, 148.3, 143.6, 134.7, 132.0, 130.1, 129.5, 127.9, 126.7, 125.9, 125.8, 124.0, 123.9, 121.9, 119.8, 116.7, 115.0, 110.6, 96.8, 55.6;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2H16ClN¬2O 359.0946, found 359.0945.
2-42. (IQ 42) 12-Chloro-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30 mg, 0.144 mmol) 및 2-싸이오펜카복살데히드 (2-thiophenecarboxaldehyde)(0.173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43 mmol, 0.3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50%, 21.6 mg).
Yellow solid, mp: 171.1-178.9 °C; 1H 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7.6 Hz, 1H), 8.25 (d, J = 8.4 Hz, 1H), 8.03 (d, J = 7.2 Hz, 1H), 7.69 (t, J = 8.0 Hz, 1H), 7.65-7.56 (m, 3H), 7.40 (d, J = 3.2 Hz, 1H), 7.27 (dd, J = 4.0, 4.8 Hz, 1H), 7.25 (s, 1H), 7.04 (dd, J = 6.4, 8.8 Hz, 1H), 6.48 (t, J = 7.2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43.1 141.8 140.8, 139.1, 131.8, 129.7, 128.0, 127.83, 127.77, 127.7, 126.9, 126.1, 123.7, 123.6, 122.6, 121.7, 119.3, 110.0, 92.3;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19H13N2S 301.0794, found 301.0793.
2-43. (IQ 43) Methyl 6-(pyridin-2-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메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30 mg, 0.113 mmol) 및 2-피리딘카복살데히드 (2-pyridinecarboxaldehyde)(0.135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43 mmol, 0.3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1:1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54%, 21.4 mg).
Yellow solid, mp: 206.7-207.2 °C; 1H NMR (400 MHz, CDCl3) δ 9.71 (d, J = 8.4 Hz, 1H), 8.81 (d, J = 4.8 Hz, 1H), 8.49 (d, J = 9.2 Hz, 1H), 8.26 (d, J = 8.0 Hz, 1H), 8.05 (d, J = 4.0 Hz, 2H), 8.01 (d, J = 7.2 Hz, 1H), 7.76 (t, J = 7.2 Hz, 1H), 7.70 (t, J = 6.8 Hz, 1H), 7.54 (q, J = 4.4 Hz, 1H), 7.37 (m, 1H), 6.67 (t, J = 6.8 Hz, 1H), 4.12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6.0, 158.1, 149.5, 146.5, 144.6, 141.7, 138.1, 131.7, 129.9, 128.5, 128.2, 127.7, 127.6, 126.4, 125.2, 124.4, 122.8, 122.1, 120.6, 111.9, 51.9;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2H16N3O2 354.1237, found 354.1236.
2-44. (IQ 44) Methyl 6-(thiophen-2-yl)indolizino[3,2-c]quinoline-12-carboxylate 합성
메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30 mg, 0.113 mmol) 및 2-싸이오펜카복살데히드 (2-thiophenecarboxaldehyde)(0.135 mmol, 1.2 당량)를 dry CH2Cl2 1 ml에 용해시키고, FeCl3 (0.043 mmol, 0.3 당량)를 섞은 후 60 °C에서 19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H2O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work up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80%, 32.3 mg).
Yellow solid, mp: 196.6-197.0 °C; 1H NMR (400 MHz, CDCl3) δ 9.66 (d, J = 8.4 Hz, 1H), 8.46 (d, J = 9.6 Hz, 1H), 8.25 (d, J = 8.4 Hz, 1H), 8.07 (d, J = 7.2 Hz, 1H), 7.75 (t, J = 8.0 Hz, 1H), 7.67 (t, J = 8.0 Hz, 1H), 7.62 (d, J = 4.4 Hz, 1H), 7.40-7.31 (m, 2H), 7.30-7.26 (m, 1H), 6.69 (t, J = 6.8 Hz, 1H), 4.11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5.9, 144.6, 141.7, 141.3, 140.3, 131.2, 129.9, 128.6, 128.23, 128.17, 128.1, 127.7, 127.6, 127.4, 126.4, 122.7, 122.5, 120.6, 112.3, 51.6;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1H15N2O2S 359.0849, found 359.0851.
2-45. (IQ 45) 12-(4-Fluorophenyl)-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12-브로모-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린 (20 mg, 0.05 mmol), 아릴보론산 (0.1 mmol, 2 당량), Pd(PPh3)4 (0.0025 mmol, 0.05 당량) 및 K2CO3 (0.15 mmol, 3 당량)을 톨루엔:메탄올:H2O=2:2:1 용매 2.5 ml에 용해시킨 후 100 °C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제거하고 에탄올 및 H2O로 work up한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20: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mp: 202.3-203.2 °C; 1H NMR (400 MHz, CDCl3) δ 8.24 (d, J = 8.4 Hz, 1H), 8.02 (d, J = 8.4 Hz, 2H), 7.95 (d, J = 7.2 Hz, 1H), 7.68-7.61 (m, 1H), 7.64 (d, J = 8.8 Hz, 2H), 7.61-7.53 (m, 2H), 7.41 (d, J = 9.2 Hz, 1H), 7.35 (t, J = 7.2 Hz, 1H), 7.28 (d, J = 8.8 Hz, 2H), 7.16 (d, J = 8.8 Hz, 2H), 7.01 (t, J = 6.8 Hz, 1H), 6.46 (t, J = 6.8 Hz, 1H), 3.9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3.8, 161.3, 160.5, 148.6, 133.1, 133.0, 131.0, 130.2, 129.9, 128.3, 127.4, 126.8, 125.3, 124.0, 123.7, 122.7, 120.8, 117.7, 116.2, 116.0, 114.9, 110.3, 108.5, 55.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8H20FN2O 419.1554, found 419.1555.
2-46. (IQ 46) 12-(4-Chlorophenyl)-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Yellow solid, mp: 211.6-212.3 °C; 1H NMR (400 MHz, CDCl3) δ 8.24 (d, J = 8.0 Hz, 1H), 8.05 (d, J = 8.0 Hz, 1H), 7.95 (d, J = 6.8 Hz, 1H), 7.69-7.59 (m, 3H), 7.56 (s, 4H), 7.43 (d, J = 8.8 Hz, 1H),7.37 (t, J = 7.6Hz, 1H), 7.15 (d, J = 7.6 Hz, 2H), 7.02 (t, J = 6.8 Hz, 1H), 6.47 (t, J = 6.4 Hz, 1H), 3.9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5, 148.6, 143.8, 137.0, 133.7, 133.6, 132.8, 130.2, 129.9, 129.3, 128.1, 127.5, 126.8, 125.4, 124.0, 123.8, 122.6, 120.9, 117.6, 114.9, 110.4, 108.2, 55.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8H20ClN2O 435.1259, found 435.1259.
2-47. (IQ 47) 6-(4-Methoxyphenyl)-12-(4-(trifluoromethyl)phenyl)indolizino[3,2-c]quinoline
Yellow solid, mp: 233.3-233.5 °C; 1H NMR (400 MHz, CDCl3) δ 8.25 (d, J = 8.4 Hz, 1H), 8.02 (d, J = 8.0 Hz, 1H), 7.97 (d, J = 7.6 Hz, 1H), 7.85 (d, J = 8.0 Hz, 2H), 7.77 (d, J = 8.0 Hz, 2H), 7.68-7.59 (m, 3H), 7.45 (d, J = 8.8 Hz, 1H), 7.37 (t, J = 7.2 Hz, 1H), 7.16 (d, J = 8.4 Hz, 2H), 7.04 (t, J = 6.8 Hz, 1H), 6.49 (t, J = 6.8 Hz, 1H), 3.9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6, 148.7, 143.9, 139.4, 137.0, 132.2, 131.8, 130.1, 130.0, 128.0, 127.6, 126.9, 126.0 (q, JC,F = 3.9 Hz), 125.5, 124.2, 123.9, 122.5, 121.1, 117.4, 115.0, 110.6, 108.0, 55.7;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9H20F3N2O 469.1522, found 469.1520.
2-48. (IQ 48) 1-(4-(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12-yl)phenyl)ethanone
Yellow solid, mp: 256.7-258.3 °C; 1H NMR (400 MHz, CDCl3) δ 8.25 (d, J = 8.0 Hz, 1H), 8.18 (d, J = 8.0 Hz, 2H), 8.07 (d, J = 8.4 Hz, 1H), 7.97 (d, J = 7.2 Hz, 1H), 7.76 (d, J = 8.4 Hz, 2H), 7.64 (d, J = 8.0 Hz, 2H), 7.63-7.60 (m, 1H), 7.48 (d, J = 8.0 Hz, 1H), 7.35 (t, J = 7.2 Hz, 1H), 7.16 (d, J = 8.4 Hz, 2H), 7.05 (dd, J = 6.8, 8.4 Hz, 1H), 6.49 (t, J = 6.8 Hz, 1H), 3.96 (s, 3H), 2.7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98.0, 160.5, 148.6, 143.9, 140.7, 136.9, 136.16, 131.6, 130.1, 130.0, 129.1, 128.0, 127.6, 126.9, 125.4, 124.2, 124.0, 122.5, 121.1, 117.5, 115.0, 110.6, 108.4, 55.7, 26.9;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30H23N2O2 443.1754, found 443.1753.
2-49. (IQ 49) 12-Bromo-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론 (50 mg, 0.154 mmol)을 CH3CN 5 ml에 용해시키고, NBS (0.154 mmol, 1 당량)와 섞은 후, 0 °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감압증류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5: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96%, 59.8 mg).
Yellow solid, mp: 215.4-216.9 °C; 1H NMR (400 MHz, CDCl3) δ 9.35 (d, J = 8.0 Hz, 1H), 8.25 (d, J = 8.4 Hz, 1H), 7.89 (d, J = 7.2 Hz, 1H), 7.79-7.62 (m, 3H), 7.57 (d, J = 8.0 Hz, 2H), 7.20-7.07 (m, 3H), 6.49 (t, J = 6.8 Hz, 1H), 3.93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6, 148.2, 143.8, 136.0, 132.1, 130.1, 129.7, 127.9, 127.1, 126.9, 125.5, 124.4, 123.4, 122.1, 120.8, 117.7, 115.0, 110.7, 81.7, 55.6;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2H16BrN2O 403.0411, found 403.0414.
2-50. (IQ 50) 12-Iodo-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6-(4-메톡시페닐)인돌리지노[3,2-c]퀴놀론 (12 mg, 0.036 mmol)을 CH3CN 1 ml에 용해시키고, NIS (0.036 mmol, 1 당량)와 섞은 후, 0 °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감압증류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5: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81%, 13.1 mg).
Yellow solid, mp: 213.7-214.9 °C; 1H NMR (400 MHz, CDCl3) δ 9.62 (d, J = 7.6 Hz, 1H), 8.26 (d, J = 8.0 Hz, 1H), 7.89 (d, J = 7.2 Hz, 1H), 7.79-7.65 (m, 3H), 7.57 (d, J = 8.0 Hz, 2H), 7.17 (d, J = 7.6 Hz, 1H), 7.13 (d, J = 8.4 Hz, 2H), 6.50 (t, J = 6.8 Hz, 1H), 3.9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4, 147.8, 143.6, 138.8, 131.8, 129.9, 129.6, 129.1, 127.8, 127.0, 125.0, 122.1, 119.6, 117.5, 114.8, 110.7, 105.2, 103.3, 55.5; HRMS (ESI-QTOF) m/z [M+H]+ calcd for C22H16IN2O 451.0302, found 451.0302.
2-51. (IQ 51) ethyl 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12- 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9.65 (d, J = 7.0 Hz, 1H), 8.49 (d, J = 9.3 Hz, 1H), 8.23 (d, J = 7.7 Hz, 1H), 8.03 (d, J = 7.1 Hz, 2H), 7.72 (td, J = 6.9, 1.5 Hz, 1H), 7.64 (td, J = 8.3, 1.5 Hz, 1H), 7.55 (d, J = 8.8 Hz, 2H), 7.33 (t, J = 7.7 Hz, 1H), 7.12 (d, J = 8.8 Hz, 2H), 6.62 (t, J = 7.1 Hz, 1H), 4.56 (q, J = 7.1 Hz, 2H), 3.93 (s, 1H), 1.55 (t, J = 7.1 Hz, 3H).
2-52. (IQ 52) 11-methyl-6-(thiophen-2-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사이오핀-2-칼브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35 (dd, J = 7.9, 1.4 Hz, 1H), 8.21 (d, J = 8.0 Hz, 1H), 7.9 (d, J = 7.1 Hz, 1H), 7.68-7.55 (m, 3H), 7.36 (dd, J = 3.5, 1.1 Hz, 1H), 7.23-7.21 (m, 2H), 6.83 (d, J = 6.6 1H), 6.40 (t, J = 6.9 Hz, 1H), 2.54 (s, 1H).
2-53. (IQ 53) 6-(5-chlorofuran-2-yl)-11-meth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2-(8-메틸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5-클로로퓨란-2-칼브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Orange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35 (dd, J = 7.7, 1.1 Hz, 1H), 8.22 (d, J = 7.9 Hz, 1H), 8.03 (d, J = 7.1 Hz, 1H), 7.70-7.58 (m, 2H), 7.22 (s, 1H), 7.02 (d, J = 3.3 Hz, 1H), 6.90 (d, J = 6.6 Hz, 1H), 6.57 (t, J = 6.9 Hz, 1H), 6.49 (d, J = 3.3 Hz, 1H), 2.57 (s, 1H).
2-54. (IQ 54) 6-(4- methoxyphenyl )-12-(( trimethylsilyl ) ethynyl ) indolizino [3,2-c] quinoline 합성
IQ 50 화합물 0.11 mmol, 트리메틸((트리부틸스테닐)에티닐)실란 0.13 mmol (1.2 당량) 및 Pd(PPh3)4, CuI 0.01 mmol (0.1 당량)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용해시켜 80 ℃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세척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3 ml로 한 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3: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9.32 (dd, J = 8.1, 1.1 Hz, 1H), 8.23 (dd, J = 8.4, 1.3 Hz, 1H), 7.91 (dd, J = 8.8, 0.9 Hz, 1H), 7.86 (dt, J = 7.3, 1.1 Hz, 1H), 7.74-7.60 (m, 3H), 7.56 (d, J = 8.8 Hz, 2H), 7.19 (dd, J = 9.0, 6.6 Hz, 1H), 7.11 (d, J = 8.6 1H), 6.52 (td, J = 7.1, 1.5 Hz, 1H), 3.92 (s, 3H), 0.39 (s, 9H).
2-55. (IQ 55) 12-ethynyl-6-(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IQ 54 화합물 0.12 mmol 및 K2CO3 0.24 mmol (2 당량)을 메탄올 1 ml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세척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3 ml로 한 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3:1:2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9.29 (d, J = 8.0 Hz, 1H), 8.23 (d, J = 7.9 Hz, 1H), 7.93 (d, J = 7.3 Hz, 1H), 7.86 (d, J = 9.0 Hz, 1H), 7.74-7.61 (m, 2H), 7.57 (d, J = 8.6 Hz, 2H), 7.22-7.17 (m, 1H), 7.12 (d, J = 8.6 Hz, 2H), 6.54 (t, J = 6.9 Hz, 1H), 3.92 (s, 3H), 3.73 (s, 1H).
2-56. (IQ 56) 4-(5-(indolizino[3,2-c]quinolin-6-yl)-2-methoxybenzyl)morph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톡시-3-(몰폴리노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36 (d, J = 7.7 Hz, 1H), 8.22 (d, J = 8.3 Hz, 1H), 7.92 (d, J = 7.3 Hz, 1H), 7.70-7.55 (m, 5H), 7.27 (s, 1H), 7.09 (d, J = 8.4 Hz, 1H), 7.01 (dd, J = 9.1, 6.5 Hz, 1H), 6.37 (t, J = 6.9 Hz, 1H), 3.94 (s, 3H), 3.65-3.62 (m, 6H), 2.53-2.50 (m, 4H).
2-57. (IQ 57) ethyl 6-(4- methoxy -3-( morpholinomethyl )phenyl) indolizino[3,2-c]quinoline -12-carboxylate 합성
2-(인돌리진-2-일)아닐린 화합물 대신에 에틸 2-(2-아미노페닐)인돌리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고,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4-메톡시-3-(몰폴리노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500 MHz, CDCl3) δ 9.65 (d, J = 8.4 Hz, 1H), 8.47 (d, J = 9.3 Hz, 1H), 8.22 (d, J = 8.2 Hz, 1H), 8.06 (d, J = 7.2 Hz, 1H), 7.71 (t, J = 7.5 Hz, 1H), 7.63 (t, J = 7.6 Hz, 1H), 7.58 (d, J = 1.8 Hz, 1H), 7.53 (dd, J = 8.3, 2.0 Hz, 1H), 7.31 (t, J = 9.0 Hz, 1H), 7.08 (d, J = 8.4 Hz, 1H), 6.56 (d, J = 6.8 Hz, 1H), 4.58 (q, J = 7.1 Hz, 2H), 3.93 (s, 3H), 3.70-3.55 (m, 6H), 2.50 (s, 4H), 1.54 (t, J = 7.1 Hz, 3H).
2-58. (IQ 58) 6-(1H-indol-7-yl)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1H-인돌-7-칼브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3OD) δ 8.52 (dd, J = 7.0, 2.6 Hz, 1H), 8.13 (dd, J = 7.8, 2.8 Hz, 1H), 7.87 (dd, J = 7.1, 2.0 Hz, 1H), 7.75-7.66 (m, 3H), 7.46 (s, 1H), 7.41 (d, J = 6.2 Hz, 1H), 7.37-7.30 (m, 2H), 7.19 (d, J = 3.1 Hz, 1H), 7.08 (dd, J = 9.5, 7.0 Hz, 1H), 6.63 (d, J = 3.1 Hz, 1H), 6.31 (t, J = 7.0 Hz, 1H).
2-59. (IQ 6-T) 12-(1-butyl-1H-1,2,3- triazol -4- yl )-6-(4- methoxyphenyl ) indolizino[3,2-c]quinoline 합성
IQ 55 화합물 0.13 mmol, 뷰틸아지드 0.13 mmol (1 당량) 및 소듐아스코베이트 0.06 mmol (0.44 당량), CuSO4.5H2O 0.03 mmol (0.22 당량)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뷰탄올/물 3 ml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세척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3 ml로 한 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1:1:1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29 (d, J = 8.2 Hz, 1H), 7.97 (d, J = 7.1 Hz, 1H), 7.84 (s, 1H), 7.68-7.62 (m, 4H), 7.43 (t, J = 7.8 Hz, 1H), 7.15 (d, J = 8.6 Hz, 2H), 6.54 (t, J = 7.0 Hz, 1H), 4.57 (t, J = 7.2 Hz, 2H), 3.93 (s, 3H), 2.06 (quint, J = 7.3 Hz, 2H), 1.56-1.44 (m, 2H), 1.04 (t, J = 7.4 Hz, 3H).
2-60. (IQ 6-T-B) N-(2-(2-(2-(2-(4-(6-(4- methoxyphenyl ) indolizino [3,2 -c]quinolin-12-yl)-1H-1,2,3-triazol-1-yl)ethoxy)ethoxy)ethoxy)ethyl)-6-((3aS,6aR)-5-oxido-2-oxohexahydro-1H-thieno[3,4-d]imidazol-4-yl)hexanamide 합성
IQ 55 화합물 0.13 mmol, 바이오틴아지드 0.13 mmol (1 당량) 및 소듐아스코베이트 0.06 mmol (0.44 당량), CuSO4.5H2O 0.03 mmol (0.22 당량)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뷰탄올/물 3 ml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세척한 뒤, 물층을 디클로로메탄 3 ml로 한 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10:1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40 (d, J = 8.4 Hz, 1H), 8.35 (d, J = 8.0 Hz, 1H), 8.27 (s, 1H), 8.16 (d, J = 7.2 Hz, 1H), 7.84-7.75 (m, 5H), 7.56 (t, J = 7.4 Hz, 1H), 7.48 (t, J = 8.6 Hz, 1H), 6.84 (t, J = 6.4 Hz, 1H), 4.78 (t, J = 4.7 Hz, 2H), 4.55-4.48 (m, 2H), 4.03 (t, J = 4.8 Hz, 2H), 3.95 (s, 3H), 3.71-3.69 (m, 2H), 3.60-3.58 (m, 2H), 3.45 (t, J = 4.3 Hz, 2H), 3.40 (t, J = 2.9 Hz, 3H), 3.32 (t, J = 4.2 Hz, 2H), 3.23-3.18 (m, 4H), 3.08-3.05 (m, 1H), 2.98-2.91 (m, 2H).
2-61. (IQ 5-D) 2,6-bis(indolizino[3,2-c]quinolin-6-yl)pyridine 합성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대신에 피리딘-2,6-디칼브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Yellow solid, 1H NMR (300 MHz, CDCl3) δ 8.49 (d, J = 7.3 Hz, 2H), 8.38 (d, J = 7.3 Hz, 2H), 8.33-8.26 (m, 6H), 7.76-7.62 (m, 5H), 7.51 (d, J = 9.0 Hz, 2H), 6.92 (t, J = 9.7 Hz, 2H), 6.31 (t, J = 6.9 Hz, 2H).
2-62. (IQ6-S1-Me) 6-(4- methoxyphenyl )-5- methylindolizino[3,2-c]quinolin -5- ium methyl sulfate 합성
IQ 6 화합물 0.06 mmol 을 클로로포름 2 mL 에 용해시킨 후 다이메틸설페이트 0.06 mmol (1 당량) 첨가하고 60 ℃에서 3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2O) δ 8.14 (dd, J = 8.1, 1.2 Hz, 1H), 7.86 (d, J = 8.4 Hz, 1H), 7.68 (td, J = 6.9, 1.5 Hz, 1H), 7.59 (t, J = 6.9 Hz, 1H), 7.49 (d, J = 9.3 Hz, 1H), 7.41-7.34 (m, 4H), 7.33-7.29 (m, 1H), 7.06 (s, 1H), 6.97 (d, J = 7.2 Hz, 1H), 6.57 (dd, J = 7.2, 1.2 Hz, 1H), 3.96 (s, 3H), 3.84 (s, 3H).
2-63. (IQ6-S2- Cl) 5 -(2- chloroethyl )-6- (4-methoxyphenyl)indolizino[3,2-c]quinolin -5- 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합성
IQ 6 화합물 0.06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2 mL 에 용해시킨 후 2-클로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0.3 mmol (5 당량) 첨가하고 80 ℃에서 3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다이클로로메테인=1:20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4 (dd, J = 8.3, 1.5 Hz, 1H), 8.27 (d, J = 8.4 Hz, 1H), 7.96 (td, J = 7.2, 1.5 Hz, 1H), 7.90 (d, J = 9.0 Hz, 1H), 7.81 (t, J = 7.2 Hz, 1H), 7.62 (d, J = 8.7 Hz, 2H), 7.58-7.55 (m, 2H), 7.35 (d, J = 8.7 Hz, 2H), 7.16 (d, J = 7.5 Hz, 1H), 6.81 (td, J = 7.2, 1.2 Hz, 1H), 5.09 (t, J = 6.3 Hz, 2H), 4.02 (s, 3H), 3.97 (t, J = 6.3 Hz, 2H).
실시예 3: 형광 프로브의 후보 화합물 선정
생물학적 형광체로 이용하기 위한 화합물의 조건으로는, 수중에서 방출강도가 높아야 하고, 자기소광 (self-quenching)이 적어야 하며, 에너지의 호모트랜스퍼 (homotransfer)를 최소화하기 위한 스토크스 시프트 (stokes shift)이 커야한다. 또한, 의약화학 및 형광단 개발을 위하여는, 단백질과의 응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용해도가 우수해야 하고, 특히 이러한 특성은 단백질 표지 염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더욱 필요한 조건이다.
이러한 형광체로서의 조건을 갖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최대 흡수파장 (λmax ex), 최대 방출파장 (λmax em), 상대적인 형광강도 (Emission Intensitynorm) 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Entry # 최대 흡수파장
λmax ex(nm)
최대 방출파장
λmax em(nm)a
형광강도
Emission Intensityb
상대적 형광강도
Emission Intensitynorm c
1 400 522 32.7 0.14
2 371, 402 - - 0.00
3 380, 400 519 59.7 0.26
4 380, 400 519 55.0 0.24
5 400 532 4.7 0.02
6 430 514.5 231.3 0.99
7 399, 421 527.5 60.8 0.26
8 399, 421 513 171.3 0.74
9 399, 421 514 232.9 1.00
10 399, 421 532 39.6 0.17
11 407 536 7.5 0.03
12 395 531.5 11.8 0.05
13 375, 395 - - 0.00
14 375, 395 527.5 25.5 0.11
15 375, 395 535.5 9.4 0.04
16 373, 391 535 11.7 0.05
17 391 524.5 31.7 0.14
18 400 523.5 15.0 0.06
19 362, 383 478 80.5 0.35
20 362, 380 493 143.5 0.62
21 362, 383 432.5 226.5 0.97
22 386,406,430 512 89.5 0.38
23 386,406,430 518 82.4 0.35
24 386,406,430 513 75.1 0.32
25 391, 411 505.5 13.4 0.06
26 384 - - 0.00
27 362, 383 474 98.9 0.42
28 362, 383 476 211.7 0.91
29 362, 383 482 186.2 0.80
30 362, 383 480.5 210.7 0.90
31 362, 383 515 106.5 0.46
a Excited at the longest absorption maxima; b Fluorescence spectra recorded in H2O at 2 μM; c Normalized fluorescence intensity.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대략 380-430 nm 범위내에서 최대 흡수를 보이는데, 이는 가시광선의 여기 (excitation)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수용액 상태에서 대략 480-540 nm 범위 내에서 최대 방출을 보였다.
더욱이,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큰 스토크스 시프트 (90-110 nm)가 관찰된다는 점인데, 이는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 사이에 분명한 분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방출 스펙트럼은 Alexa Fluor 488 또는 Fluorescein와 유사한 범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여기 파장은 방출 파장과 꽤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형광체로 이용하기에 적합하고 특히 멀티-형광 기술을 이용한 세포 이미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4: 광학특성 분석
4-1. 치환기 의존적 특성
상기 실시예 3의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들 중에서, 방출강도가 가장 높은 화합물 IQ 6, 9, 21, 28 및 30을 선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각각 도 1에 화학식 2, 3, 4, 5, 6으로 나타내었으며, 이들 화합물의 수용액에서 측정된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을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학식 2의 화합물 (IQ 6)은 R6 위치에 p-메톡시페닐기가 결합된 구조로서 514 nm에서 최대 방출을 갖는 높은 형광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자가 부족한 퀴놀린 질소와 반대 위치에 전자 주게 메톡시기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para 위치에서의 메톡시기가 형광강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분자 여기 시에, 중요한 쌍극자 모멘트 (dipole moment)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로 이러한 전자적 효과는 다른 화합물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는데, 예를 들면 방향고리의 para 위치에 메톡시기가 아닌 브롬 또는 질소기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들 (IQ 2, 13 및 26)은 형광을 유도하지 않았다. 즉, 페닐기에 있는 R 위치의 치환기가 무엇인지에 따라 전자적 영향에 의해 형광 양자수율 (fluorescence Quantum Yield; QY)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상관관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화학식 3의 화합물 (IQ 9)은 R6 위치에 있는 나프탈렌 치환기가 강한 형광을 야기시켰다.
형광강도가 높은 화합물인 화학식 2 내지 6의 화합물 (IQ 6, 9, 21, 28 및 30)에 대하여, 스토크스 시프트 (stokes shifts)와 형광 양자수율 (Φ)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Entry # 흡광계수
(cm-1M-1)
흡수파장
λex(nm)
방출파장
λem(nm)
스토크스 시프트
(cm-1)
형광양자수율
(Φ)a
6 6547 430 515 38383 0.121
9 11656 405 515 52739 0.053
21 9012 383 433 30150 0.033
28 10780 369 476 60919 0.061
30 10580 369 481 63103 0.084
a 양자수율 (Quantumyields)은 로다민 (Rhodamine) 6G를 표준으로 하여 측정하였음 (Φ = 0.86 in water); 로다민 (Rhodamine) 6G의 여기/방출 (excitation/emission) 파장은 425-575/505-750 nm임.
4-2. 용매 의존적 특성
형광 프로브에 응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서, 형광강도가 높은 상기 5 종류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IQ 6, 9, 21, 28 및 30)에 대하여, 다양한 용매 중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Entry # H2O
λem(nm)
DMSO
λem(nm)
DMF
λem(nm)
EtOH
λem(nm)
EtOH:CHCl3=1:5
λem(nm)
MC
λem(nm)
6 511 512 469 465 466 467
9 516 514 478 465.5 467.5 469
21 431 453 453 447.5 453.5 453.5
28 476 472.5 470 449.5 450 451.5
30 478.5 452.5 450 444 447.5 448
상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매의 극성에 따라 이들 물질의 방출 스펙트럼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화학식 2, 3, 5 및 6의 화합물 (IQ 6, 9, 28 및 30)은 수용액에서 최대 방출 (peak emission)의 장파장 쪽 옮김 (bathochromic shift)을 유도하여 용매화 발색효과 (solvatochromic effect)를 나타내었다.
특히,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 (IQ 6 및 9)의 경우, 최대 방출은 에탄올 용매 (EtOH)에서 각각 λmax= 511 nm, 516 nm이고, 수용매 (H2O)에서 각각 λmax= 465 nm, 465.5 nm로서, 에탄올에 비하여 수용매에서 현저한 적색 편이 (red-shift)를 보였으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의 양자 수율은 스탠다드로서 Coumarin 153을 이용하여 에탄올에서 측정하였을 때 각각 0.816 및 0.402로, 상당히 증가하였다. 즉, 이들 화합물은 여기 시에 높은 쌍극자 모먼트 변화를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하여,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 (IQ 21)의 경우, 수용매 (H2O)에서 λmax= 433 nm로서 청색 편이 (blue-shift)의 최대 방출을 보임으로써, 화합물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Figure pat00049
이에, 수용매 및 에탄올 용매의 양자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 (Entry# 1-50)에 대하여, 수용매 또는 에탄올 용매 중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5a/b에 나타내었다.
Entry # DW
(Φ)a
EtOH
(Φ)b
Entry # DW
(Φ)a
EtOH
(Φ)b
1 0.015 0.636 25 0.009 0.031
2 0.000 0.000 26 0.000 0.000
3 0.068 0.839 27 0.073 0.318
4 0.039 0.779 29 0.120 0.365
5 0.005 0.196 31 0.070 0.194
7 0.026 0.756 33 0.082 0.277
8 0.102 0.652 35 0.073 0.365
10 0.015 0.350 36 0.006 0.386
11 0.006 0.111 37 0.001 0.324
12 0.131 0.623 39 0.026 0.492
13 0.000 0.000 40 0.142 0.624
14 0.025 0.706 42 0.010 0.201
15 0.024 0.654 43 0.014 0.275
16 0.014 0.672 44 0.010 0.050
17 0.065 0.604 45 0.033 0.557
18 0.008 0.421 46 0.039 0.604
19 0.060 0.222 47 0.050 0.597
20 0.367 0.468 48 0.105 0.050
22 0.070 0.440 49 0.085 0.195
23 0.065 0.106 50 0.014 0.037
24 0.030 0.063
a 로다민 (Rhodamine) 6G (Φ = 0.816 in water); b 쿠마린 (Coumarin) 153 (Φ = 0.053 in EtOH).
상기 표 4 및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액보다 에탄올에서 형광수율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표 4), 총 41 종의 화합물 중 형광수율이 0.8 이상인 화합물이 15 종이었다(도 5a). 또한,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X과 같이 나타낼 때, E 고리를 같은 구조로 고정하고 A 고리나 B 고리에 치환된 그룹에 따른 에탄올에서의 양자 수율 경향성을 살펴보면 수소 (proton) 또는 메틸 (methyl) 그룹이 치환되어 있을 경우 양자 수율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브로모 (bromo) 그룹이나 에스터 (ester) 그룹이 치환되어 있을 경우는 양자 수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도 5b).
[화학식 X]
Figure pat00050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들 (Entry# 51-57 외)에 대하여, 다양한 용매 중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5 및 도 5c에 나타내었다.
Entry # λex(nm) λem(nm)
DW EtOH MC DMF
51 403 484.5 443.5 437 448.5
52 399 534.5 489 437 507.5
53 422 527 504.5 487.5 505.5
55 413 511 484 486 488.5
56 422 511 464.5 470.5 469.5
450 512.5 483.5 498 518.5
57 401 479 433.5 437 448
5-D 402 543 534 436 537
422 493 532.5 519 534
6-T 403 525 487 437 498.5
6-T-B 437 530.5 500 525 501.5
6-S1-Me 458 500 500 493 507.5
6-S2-Cl 464 503.5 503.5 498.5 507.5
상기 표 5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의 치환기에 따라 용매의존적 (즉 환경-민감성) 경향을 보이는 정도가 다르며, 특히 아세틸렌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6의 화합물 (IQ 55) 및 4차 암모늄염의 형태인 하기 화학식 20 및 21의 화합물 (IQ 6-S1-Me 및 6-S2-Cl)의 경우는 용매의 극성에 따라 최대 형광 파장 값이 변하는 환경-민감적 광학적 성질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화학식 19의 화합물 (IQ 5-D)은 최대형광을 나타내는 파장이 수용액에서 543 nm 까지 장파장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51
따라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이러한 용매-의존적인 광학특성은, 치환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환경 민감적 특성은 약물-표적 결합 또는 단백질 다이나믹스와 같은 생물학적 공정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한 형광 프로브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3. 수용액중에서의 광안정성
형광 프로브에 응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 수용액에서 형광의 세기가 높은 물질을 위주로 형광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용액 또는 에탄올 용매에서의 시간에 따른 광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큐벳을 이용하여 해당 물질의 형광을 측정한 후, 큐벳 샘플을 자연광 상태에서 최종 6~7시간까지 시간별로 형광을 재측정하여 형광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용액의 경우,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Q 3, 4, 6 및 8 화합물이 수용액에서 6시간까지 형광이 거의 변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에탄올 용매의 경우,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대부분이 형광의 세기가 높아, 보다 많은 물질을 스크리닝 할 수 있었으며, 수용액에서는 형광이 유지되지 않았던 전자 끌개기 (Electron withdrawing group, EWG)가 존재하는 물질들도 형광이 안정하게 유지 되었고, 형광의 세기도 6시간 동안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로부터, 수용액에서 6 시간 가량 형광이 안정하게 유지된 IQ 3, 4, 6 및 8 화합물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X과 같이 나타낼 때, A, B, C, D 고리에 치환기가 없는 물질 몇 가지를 선정하여 수용액상에서 청색광 (Blue light)을 조사 (irradiation)한 후 형광이 유지되는지 안정성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학식 X]
Figure pat00052
그 결과,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IQ 3, 4, 5 및 6번 물질이 청색광을 2 시간 조사해 준 조건에서도 형광의 세기가 여전히 안정하게 유지되어 형광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DNA와의 결합특성 분석
형광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DNA와 결합하는 성질을 확인하였다. 우선, 실험에 이용한 DNA 올리고머 (48bp)는 tetO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염기서열은 하기와 같다.
tetO1: 5'-CCTAATTTTTGTTGACACTCTATCATTGATAGAGTTATTTTACCACTC-3'
tetO2: 5'-GAGTGGTAAAATAACTCTATCAATGATAGAGTGTCAACAAAAATTAGG-3'
상기 각 올리고머를 같은 몰량으로 95 ℃에서 5분 동안 열을 주어 혼합하고, 2 시간동안 상온에서 냉각하여 혼성화시킨 후,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형광을 측정하고, 큐벳에 해당 당량의 DNA 올리고머를 첨가한 후에 1 분동안 빛을 차단하여 인큐베이션하여 다시 형광을 재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A 올리고머를 첨가하면 형광의 세기가 변하면서 최대 방출 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는 화합물 그룹(7a), 형광의 세기가 변하면서 최대 방출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화합물 그룹(7b), 형광의 세기만 변하는 화합물 그룹 및 아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화합물 그룹(7c)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Compound (IQ)
형광 세기 변화 & 최대 방출 파장 장파장으로 이동 6, 8, 14, 17, 36, 37
형광 세기 변화 & 최대 방출 파장 단파장으로 이동 18. 19. 42. 44
형광 세기 감소 3, 4
형광 세기 증가 10, 40
형광 세기 변화 없음 45, 46
특히,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DNA와 결합하여 형광이 점점 감소하고 장파장쪽으로 파장이 이동하였으며, 퓨란 (Furan)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 (IQ 18)은 DNA와 결합하여 형광이 점점 감소하고 단파장쪽으로 파장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7d).
[화학식 7] [화학식 8]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실시예 6: 단백질 결합특성 분석
형광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성질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중에서 Tris buffer (pH 7.5)에서 형광이 높은 화합물 13 종을 BSA (Bovine Serum Albumin)와 HSA(Human Serum Albumin)에 처리하여 형광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은, 화합물 자체가 280 nm에서 여기 시 500 nm 근처에서 방출을 보이고, HSA 자체는 280 nm에서 340 nm의 방출을 보이는데, HSA에 1당량의 화합물을 첨가하면 HSA 자체의 340 nm 방출의 세기가 감소하고 450 nm 근처에서의 방출도 관찰되어 HSA와 물질이 결합하여 형광공명에너지전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현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도 8 위), 화합물이 갖는 399 nm, 421 nm의 파장에서 여기 (excitation)를 주었을 때, HSA가 1당량 첨가되면 물질이 갖는 형광보다 HSA와의 결합으로 인해 형광의 세기가 더 증가하고 파장이 단파장쪽으로 이동되며 피크의 모양도 바뀜을 알 수 있었다(도 8 아래).
[화학식 9]
Figure pat00055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 (IQ 7)은, 화합물 단독 (첫번째 바이얼) 또는 HSA 단독 (두번째 바이얼)에 비하여 화합물+HSA (세번째 바이얼)에서, 즉 화합물 단독보다 HSA와의 결합 시, 형광의 세기가 더 증가하였음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의 양자수율 (QY)을 구해본 결과, 화합물 자체 보다 HSA와 결합하였을 때 QY가 0.43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도 9 위), Job's Plot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과 HSA가 1:1로 결합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적정 (titration)을 진행한 결과, KD Value는 1.89 μM임을 알 수 있었다(도 9 아래).
이에,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과 HSA와의 결합을 통한 형광 세기 증가를 플레이트 웰 (plate well)을 이용하여 시각화 (visualization)하여 도 10에 나타냈으며, 고속 대량 처리 (High throughput) 방식으로 HSA에 결합하는 화합물을 스크린하는 방법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9 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IQ 3, 4, 7, 8, 9, 10, 16, 17 및 40)이 HSA와 복합체 (complex)를 형성하여 형광의 세기가 증가함을 확인하고, 쿠마린 (Coumarin) 153 (Φ = 0.12 in water)을 기준 물질로 사용하여 형광 단백질의 양자수율 (QY)을 구해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IQ 17)은 자체의 QY보다 HSA와 결합하였을 때 QY가 0.4까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56
6-1. 형광공명에너지전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를 이용한 타겟 단백질 (PDE-δ6)의 확인
K-Ras 단백질은 인간의 암세포 내에서 20-30 % 돌연변이 된 형태가 발견되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지난 수 십 년 동안 항암 목표 단백질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K-Ras 단백질과 GTP사이의 친화도 (affinity)가 picomolar 수준으로 강한 결합을 하며 단백질 내 알려진 알로스테릭 자리 (allosteric site)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K-Ras 단백질을 직접 저해하는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못하였다. 최근, K-Ras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 및 암 유발 기전에 대한 연구에서 K-Ras 단백질의 세포 증식에 관련된 신호 전달을 막을 수 있는 타겟 단백질인 PDE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현재까지 델타라신 (deltarasin) 외에 PDEδ의 저해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상기 PDEδ 단백질은 280 nm 빛을 조사하였을 때 트립토판 잔기에 의해 340 nm에서 최대 방출 파장을 보이며, 리간드가 결합되었을 때 340 nm의 최대 방출 파장의 세기가 감소하거나 형광공명에너지전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현상에 의해 최대 방출 파장의 변화를 보인다.
이에, 본 형광물질이 세포 내 특정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E.Coli cell에서 과발현시켜 분리 정제한 재조합 PDEδ 및/또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형광을 각각 280 nm 빛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내에서 PDEδ 단백질 (빨간색 점선)은 340 nm에서 최대 방출 파장을 보이며,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파란색 점선)은 약 500 nm에서 최대 방출 파장을 보였다. 또한, PDEδ와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섞은 후 형광을 측정한 경우 (녹색 실선), PDEδ 단백질의 340 nm에서의 최대 방출 파장은 줄어들며,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의 최대 방출 파장은 475 nm로 이동되고, 자체 형광 세기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FRET 현상의 관찰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PDEδ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Q 2 화합물과 같이 형광의 세기가 낮거나 IQ 13 화합물과 같이 형광의 변화가 없는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들에 대하여 결합 확인 실험을 추가적으로 실시 하였다.
6-2. 형광편광 (fluorescence polarization)을 이용한 적정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세포 내 특정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0.5 μM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PDEδ 단백질을 0에서 32 μM까지 농도를 증가시키며 적정 (titration)하여 편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 정도가 PDE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며 쌍곡선 (hyperbolar) 형태를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여 300-500 nM 수준의 높은 친화도 (affinity)를 갖는 화합물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실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그 중 8 종의 화합물 (IQ 1, 3, 4, 6, 8, 9, 10 및 42)을 선정하였다.
Figure pat00057
Entry # R λabs(nm) λmax em(nm) Kd(μM)
1
Figure pat00058

430 530 0.284
3
Figure pat00059

440 526 0.491
4
Figure pat00060

430 515 0.505
6
Figure pat00061

430 515 0.729
8
Figure pat00062

430 515 1.285
9
Figure pat00063

430 515 1.541
10
Figure pat00064

430 530 0.643
42
Figure pat00065
440 526 0.425
6-3. 경쟁적 결합 (competition binding)을 이용한 PDE-δ6 단백질 결합 확인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과 PDEδ 단백질이 복합체 (complex)를 형성한 후 형광을 갖지 않는 델타라신을 과량 첨가하였을 때, 델타라신과 IQ 화합물이 같은 결합 자리 (binding site)를 공유하면 과량의 델타라신에 의해 IQ 화합물은 free form이 되어 탈편광 (depolarization) 될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 6-2의 형광편광 스크리닝을 통해 도출한 8 종의 화합물 (IQ 1, 3, 4, 6, 8, 9, 10 및 42)에 대해 PDEδ 저해제로 알려진 델타라신 (deltarasin)과 경쟁적 결합 (Competition binding)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과 PDEδ 단백질 복합체에 의한 편광 수치는 변하지 않는데 반해, 델타라신을 과량 첨가한 경우 편광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델타라신과 IQ 화합물이 같은 결합 부위 (binding site)에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편광 정도가 감소하는 그래프를 통해 과량의 경쟁 화합물이 존재할 때 측정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반감기 (half-life)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좋은 친화도 (Kd)를 갖는 화합물이 더 긴 반감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형광 스크리닝을 통해 도출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들은 Kd값이 300-500 nM 수준의 높은 친화도를 가지며 형광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PDEδ의 저해제에 관한 연구 시, 프로브 화합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경제성 및 효율성 면에서 또한, 항체를 이용한 검출법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실시예 7: 형광 단백질로서의 성질을 실제 응용한 예
7-1. 타겟 특이성 (Target specificity) 확인
IQ 화합물과 PDEδ 단백질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 각 분획 (Sol: Soluble, FT: Flow through, W1: Washing 1, WF: Washing final, M: Marker, E1-5: Elution)에 하기 화학식 13의 화합물 (IQ 3)(1: 0.5 mM, 2: 0.1 mM)을 첨가하여 실험하였으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66
7-2. PDEδ와 화합물 3의 상호작용 확인
상기 실시예 7-1의 결과를 바탕으로, native gel을 이용하여 단백질과의 결합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mageQuant LAS 4000을 이용하여 12% native gel에 대한 상기 화학식 13의 화합물의 형광 분석 (Ex 312 nm, Em 585-625 nm) (A) 및 Coomassie blue 염색을 통한 native gel에 대한 화학식 13의 화합물의 형광 분석 (B)을 실시하였으며(1: Lysate에 DMSO 첨가, 2: Lysate에 화합물 3 5 μM 첨가, 3: Lysate에 화합물 3 50 μM 첨가, M: Marker, 4: 정제한 PDEδ에 DMSO 첨가, 5: 정제한 PDEδ에 화합물 3 5 μM 첨가, 6: 정제한 PDEδ에 화합물 3 50 μM 첨가), 그 결과는 도 16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브래드퍼드 (Bradford) 시약과 같이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시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형광단백질의 분리 정제가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8: 세포 투과성 분석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세포 투과성이 우수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8-1. 형광 이미징
HeLa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세포에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처리하고, 37℃, 5% CO2 조건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를 1x DPBS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세포를 4 % 포름알데히드로 상온에서 10 분동안 고정하고, 1x DPBS로 세척하였다. 세포 이미지는 Operetta HTS 이미징 시스템 (PerkinElmer)으로 스크린하였다.
8-2. live cell 공초점 이미징 (confocal imaging)
HeLa 세포를 공초점 디쉬 (SPL life science) 면적의 70-80 % 접종하고 밤새 배양시킨 후, 기존 DMEM 배지를 제거하고 DMEM에 섞어서 준비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10uM)을 분주하여 30분-1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필요한 경우 DMEM에 LysoTracker (50nM)를 섞어서 기존 배지를 제거한 후 분주하여 30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인큐베이션이 끝나면 세척 없이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Leica TCS SP8 SMD, Leica, Mannheim, Germany)으로 확인하였다. 단, lysotracker와 동시염색 (costaining)한 경우 DPBS로 2회 세척한 뒤 확인하였다.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은 blue channel (ex:405nm, em:409>nm) 및 green channel (ex:488 nm, em:493>nm)에서 확인하였으며, LysoTracker는 red channel (ex:561 nm, em:566>nm)에서 확인하였다.
8-3. HeLa cell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IQ 화합물이 세포막을 쉽게 투과하여 세포를 염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10 μM에서 5분 정도로 DNA 마커로 시판되고 있는 DAPI와 비슷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IQ 화합물들을 형광을 감지하는 세포 내 소기관과 분자 종류에 따라, A) 핵 (nucleus) 부분에 집중되어 염색되는 화합물 (IQ 7, 8, 16 및 17), B) 세포질 (cytoplasm)과 핵소체 (nucleolus)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포 되는 화합물 (IQ 6 및 36), C) 미토콘드리아에 분포되는 화합물 (IQ 18) 및 D) 리소좀 (lysosome)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화합물 (IQ 56 및 57)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또한 B 그룹 화합물 (IQ 6 및 36)은 세포 내 RNA를 인식하여 형광을 내고, A 그룹 화합물 (IQ 16 및 17)은 DNA를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핵을 염색 시킬때 사용하는 DAPI가 blue 파장인데 비해, 상기 A 그룹 화합물은 green 파장에서 염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이로써 상기 화합물들이 세포 내의 특정 물질이나 조건을 감지하여 장파장 쪽의 빛에서도 작용 (turn-on)하는 민감한 (sensitive) 프로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8-2의 live 세포 공초점 이미징 (confocal imaging)에서, 하기 화학식 17 및 18의 화합물 (IQ 56 및 57)은 green 파장과 blue 파장에서 각기 상용되는 마커인 Lysotracker와 co-localization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형광물질들은 형광물질을 제거하지 않고도 선택적인 세포 내 소기관에만 염색될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세포투과성이 우수하고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른 타겟을 인식한다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67
8-4. MCF7 cell 및 NIH-3T3 cell
상기와 같은 양상은, 실시예 8-2의 live 세포 공초점 이미징 (confocal imaging)을 통해, HeLa 세포뿐 아니라 유방암 관련 MCF7 세포 (도 20 위) 및 정상 세포인 NIH3T3 세포 (도 20 아래)에서도 같은 분포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20).
8-5. Sf21 cell
또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Sf21 세포에 처리한 결과,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10, 11 및 8의 화합물이 세포 내로 투과하여 치환체에 따라 세포 전체가 균일하게 염색되거나 세포질만 염색됨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8]
Figure pat00068
실시예 9: 기존 개발 시약들과의 세포 투과성 비교
기존의 핵을 염색시키는 DAPI와의 동시염색 (costaining)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다른 시판되고 있는 염색약과 비교하여 세포 투과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화학식 11의 화합물 (IQ 16)은 거의 DAPI와 유사하게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DAPI가 청색인데 반해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녹색으로, 세포에 손상을 덜 줄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화학식 2 및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 (IQ 6 및 36)은 RNA를 염색시키는 RNA select와 흡사한 양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중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핵을 염색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DAPI와 상보적으로 염색시킴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69
또한, 도 23a 및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8의 화합물 (IQ 18)은 미토트래커 (Mitotracker)와의 co-localization 실험을 통해 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s coefficient)가 0.8 이상임을 확인하였으며(도 23a), 이를 통해 화학식 8의 화합물이 미토콘드리아를 선택적으로 염색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학식 8의 화합물은 빛을 받을수록 형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furan (퓨란)기를 가지는 IQ 53을 통해서도 비슷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23b).
실시예 10: 기존 개발 시약들과의 형광 안정성 비교
본 발명의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이 다른 시판되고 있는 염색약과 비교 실험을 통하여 Sytoselect 또는 Mitotracker에 비해 형광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 (IQ 36)은 현재 상용화된 Sytoselect (RNA marker)와 비슷한 양상으로 RNA를 염색시키되, 안정성은 더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화학식 8의 화합물 (IQ 18)의 경우 위에서 기술 한 바와 같이 빛을 받을수록 형광이 증가하는 양상을 정량적으로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세포 독성 확인
형광 프로브에 응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로서, 상기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96-well에 웰당 1x104 세포를 접종한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다양한 농도 (0.5, 1, 2, 5 및 10 μM)로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을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100 μl로 교체 후, MTT시약 (5 mg/ml in DPBS) 20 μl를 첨가한 뒤 3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DMSO를 이용하여 포마진 (formazin)을 녹인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여 약물의 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조군으로는 DMSO 0.1 %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MCF7 세포l에 10 μM 이하 농도에서 24 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도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A549 세포 및 Hela 세포에 24 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세포 이미징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광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형광 프로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7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 6알킬, C1- 6알콕시, COOR8, 아릴, 헤테로아릴,
    Figure pat00071
    ,
    Figure pat00072
    및 C1- 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는 C1- 6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또는 3이고,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 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C1- 6알킬 및 C1- 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
    Figure pat00073
    ,
    Figure pat00074
    ,
    Figure pat00075
    ,
    Figure pat00076
    ,
    Figure pat00077
    , CF3, COO-, C1- 6알킬 및 C1- 6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와 연결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R4 및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3알킬, C1- 3알콕시, COOR8,
    Figure pat00078
    ,
    Figure pat00079
    및 C1- 3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6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3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
    Figure pat00082
    ,
    Figure pat00083
    ,
    Figure pat00084
    , CF3, COO-, C1- 3알킬 및 C1-3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와 연결된다.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바이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딜, 피리미딜, 티오페닐, 피롤릴, 퓨라닐 및 트리아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OOR8이고, R6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기 화학식 20 또는 화학식 21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8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검출 시약.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한, 핵산, 단백질 또는 세포 이미징 방법.
  10.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인돌리지노[3,2-c]퀴놀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2]
    Figure pat00089

    상기 화학식 22에서,
    R1은 수소, COOEt,
    Figure pat00090
    ,
    Figure pat00091
    및 C1-6알키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Figure pat00092
    ,
    Figure pat00093
    ,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또는 2 이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및 C1- 6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만, R1이 수소 또는 COOEt이고, n이 0일 때, R2
    Figure pat00096
    인 경우는 제외한다.)
KR1020160092867A 2015-07-23 2016-07-21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KR10185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059 WO2017014601A1 (ko) 2015-07-23 2016-07-22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US15/877,872 US10787448B2 (en) 2015-07-23 2018-01-23 Indolizino [3,2-C] quinoline-based fluorescent p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04107 2015-07-23
KR1020150104107 2015-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115A true KR20170012115A (ko) 2017-02-02
KR101850607B1 KR101850607B1 (ko) 2018-04-19

Family

ID=5815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67A KR101850607B1 (ko) 2015-07-23 2016-07-21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7448B2 (ko)
KR (1) KR101850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819A (ko) * 2015-11-04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8204A1 (en) * 2017-01-01 2018-07-05 Sylvester Tumusiime Use of charged quinine sulfate or other precursors or derivatives of quinine alkaloids in visualization of nucleic acids
CN112679474B (zh) * 2020-12-08 2022-03-04 南方医科大学顺德医院(佛山市顺德区第一人民医院) 一种比率型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5347A4 (en) 1990-10-31 1995-01-11 Smithkline Beecham Corp Substituted indolizino 1,2-b)quinolinones
GB9717576D0 (en) * 1997-08-19 1997-10-22 Xenova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US20040077674A1 (en) * 2002-03-01 2004-04-22 Curran Dennis P. Mappicine analogs, intermediates in the synthesis of mappicine analogs and methods of synthesis of mappicine analogs
JP2007514472A (ja) * 2003-11-20 2007-06-07 アンジオ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ゲー 軟組織移植片および瘢痕化抑制剤
US8420647B2 (en) * 2010-01-21 2013-04-16 Hoffmann-La Roche Inc. 4-phenoxy-nicotinamide or 4-phenoxy-pyrimidine-5-carboxamide compounds
WO2012062925A2 (en) * 2010-11-11 2012-05-18 Akron Molecules Gmbh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pain
EP3041492A4 (en) * 2013-09-03 2017-08-02 New York University INHIBITING INTERACTION BETWEEN HIF-1alfa AND P300/CBP WITH HYDROGEN BOND SURROGATE-BASED HELICES
KR101721029B1 (ko) 2014-10-16 2017-03-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돌리지노[3,2-c]퀴놀린 유도체,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낭포성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0457662B2 (en) * 2015-05-20 2019-10-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ubstituted amide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an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819A (ko) * 2015-11-04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07B1 (ko) 2018-04-19
US10787448B2 (en) 2020-09-29
US20180230144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393B2 (en) Small molecular probes, processes and use thereof
Seferoğlu et al. Synthesis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of fluorescent arylstyrylimidazo [1, 2-a] pyridine-based donor-acceptor chromophores
KR101850607B1 (ko) 인돌리지노[3,2-c]퀴놀린계 형광 프로브
Saito et al. Synthesis of 1, 8-naphthalimide-based probes with fluorescent switch triggered by flufenamic acid
Hranjec et al. Synthesis, crystal structure and spectroscopic study of novel benzimidazoles and benzimidazo [1, 2-a] quinolines as potential chemosensors for different cations
Krstulović et al. New quinoline-arylamidine hybrids: Synthesis, DNA/RNA binding and antitumor activity
Zhang et al. Microwave-assisted solvent-free synthesis and spectral properties of some dimethine cyanine dyes as fluorescent dyes for DNA detection
Madhu et al. A novel pyridine-pyrazole based selective" turn-off" fluorescent chemosensor for Fe (III) ions
Soumya et al. Synthesis of bioactive and fluorescent pyridine-triazole-coumarin peptidomimetics through sequential click-multicomponent reactions
Bonacorso et al. New 2-(aryl/heteroaryl)-6-(morpholin-4-yl/pyrrolidin-1-yl)-(4-trifluoromethyl) quinolines: synthesis via Buchwald–Hartwig amination, photophysics, and biomolecular binding properties
Singh et al. Synthesis of novel fluorescence xanthene–aminoquinoline conjugates, determination of dipole moment and selective fluorescence chemosensor for Th4+ ions
US20050186555A1 (en) Naphthofluorescein-based metal sens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Singu et al. Benzimidazole-1, 2, 3-triazole hybrid molecules: synthesis and study of their interaction with G-quadruplex DNA
Kurutos et al. Bright green-emitting ds-DNA labeling employed by dicationic monomethine cyanine dyes: Apoptosis assay and fluorescent bio-imaging
Gomes et al. Squaraine dyes derived from indolenine and benzo [e] indole as potential fluorescent probes for HSA detection and antifungal agents
JP2008156556A (ja) 蛍光色素及びその製造方法
Brandner et al. Multicomponent synthesis of chromophores–The one-pot approach to functional π-systems
JP2008510734A5 (ko)
Čipor et al. Structure-dependent mitochondria or lysosome-targeting styryl fluorophores bearing remarkable Stokes shift
Suganya et al. Heterocyclic thiosemicarbazones as fluorescent sensors for the selective recognition of cations in the aqueous phase
Hagimori et al. 2-Pyridone-based fluorophores containing 4-dialkylamino-phenyl group: Synthesis and fluorescence properties in solutions and in solid state
Jia et al. Synthesis, crystal structures, and spectral properties of double N-alkylated dimethine cyanine dy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biomolecules and living cells
US11786520B2 (en) Method for producing benzazoloquinolium (BQs) salts and us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composition
WO2021176428A1 (en) Phenanthroline, carbazole and flavylium based cyanin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iktorowski et al. Water-soluble pyrrolopyrrole cyanine (PPCy) near-infrared fluorescent pH indicators for strong aci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