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104A - 배수구커버 - Google Patents

배수구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104A
KR20170011104A KR1020150103090A KR20150103090A KR20170011104A KR 20170011104 A KR20170011104 A KR 20170011104A KR 1020150103090 A KR1020150103090 A KR 1020150103090A KR 20150103090 A KR20150103090 A KR 20150103090A KR 20170011104 A KR20170011104 A KR 2017001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ain
drain hole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450B1 (ko
Inventor
이찬우
Original Assignee
이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우 filed Critical 이찬우
Priority to KR102015010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4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로 투입되는 오물을 거르고, 배수구로부터 악취나 각종 벌레들을 통제하는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의 유입구(10)와, 상기 유입구(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외부커버(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배수구커버{Drain hole cover}
본 발명은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로 투입되는 오물을 거르고, 배수구로부터 악취나 각종 벌레들을 통제하는 배수구커버에 관한 것이다.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구 상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는 다용도실이나 욕실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구로 투입되는 오물을 거르고 배수구로부터 악취나 각종 벌레들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된다.
종래의 배수구커버는 배수관의 유입구 상측에 설치되며, 오물을 거르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배수구에 삽입되며 이차적으로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구커버는 사용하는 기간이 지날수록 상기 커버부재와 필터부 사이에 오물들이 적층되는 오물들의 양이 증가하여 청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커버부재를 열고 배수구에 삽입된 필터부를 빼내어 오물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커버부재를 열거나, 배수구에 삽입된 필터부를 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뾰족한 물체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배수구커버를 청소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물제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배수구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수구의 유입구(10)에 설치되는 외부커버(200)와 상기 유입구(10)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배수홀(120)은, 격자구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설치되는 배수구의 배수구 크기에 맞추어 절취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취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홈(130)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커버(20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는 탄성부(111)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111)의 타단과 결합하여 타단이 상기 외부커버(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평판(112)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112)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는 탄성부(111)의 일단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평판(112)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3) 및 하나 이상의 홈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커버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배수구커버의 탈착 및 오물제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커버는, 손잡이부가 상하이동되기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청소시 또는 통행시에 불편함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커버는, 휨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쉽게 부러지거나 꺾이지 않고 내구성이 크며, 사용자의 손 또는 발 등이 닿아도 상처를 주거나 걸림되지 않아 안전상의 문제점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구커버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손잡이부가 하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구커버에서 손잡이부의 변형례들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4는, 다른 예의 손잡이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배수구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절취홈이 추가로 형성된 본 발명의 배수구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커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커버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1)의 유입구(10)에 설치되는 외부커버(200)와 상기 유입구(10)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커버(200)는,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구(11)의 유입구(10)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배수구의 유입구(10)를 통해 빠져나가는 이물질들을 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여기서 배수구(11)는, 욕실, 화장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욕실, 화장실의 바닥 등에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욕실, 화장실 등에서 하수도와 연결되는 유입구로서 설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1)는, 후술하는 외부커버(200) 및 배수부커버가 설치될 수 있도록, 외부커버(200) 및 배수부커버의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등에 대응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200) 및 배수부커버가 외부로 돌출됨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욕실, 화장실 등의 바닥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11)는, 유입구(10)의 원활한 형성을 위하여 고리형상의 프레임부(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커버(200)는, 배수구(11)의 유입구(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부(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로서, 상기 외부커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공(210)들이 형성되는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210)들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손잡이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20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후술하는 본체부(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배수구의 유입구(10) 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는 간격유지부(22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221)는, 상기 외부커버(200)가 후술하는 본체부(1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형태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간격유지부(2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된 상기 외부커버(200)의 가장자리부가 유입구(1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외부커버(200) 및 유입구(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커버(200)로부터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들을 2차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프레임부(11)로부터 탈착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120)과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20)은, 상기 외부커버(200)로부터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들을 2차적으로 거르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0)를 지나는 이물질들을 거를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 타원형, 직선형, 곡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배수홀(12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버(200)와 대응되도록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격자구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설치될 배수구(10)의 유입구(11)의 크기에 맞추어 절취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배수구(10)의 크기에 맞추어 절취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형태로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절취홈(13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홈(130)은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로부터 절취홈(130)까지 절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라인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상기 필터부(20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 및 형태로서, 상기 필터부(20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구조 및 형태이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평판(1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판(112)의 타단은, 상기 외부커버(200)의 관통공(21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10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부(111)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결합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평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판(112)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는 탄성부(111)의 일단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112)은 상기 외부커버(2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21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판(112)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110)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돌출부(113) 및 홈부 중 적어도 하나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 및 상기 손잡이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본체부(100)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11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상하이동이 용이하도록 금속, 실리콘,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유입구 100: 본체부
110: 손잡이부 120: 배수홀
200: 외부커버

Claims (8)

  1. 배수구의 유입구(10)에 설치되는 외부커버(200)와 상기 유입구(10)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구커버로서,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배수홀(120)은, 격자구조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설치되는 배수구의 배수구 크기에 맞추어 절취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절취홈(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커버(20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는 탄성부(111)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111)의 타단과 결합하여 타단이 상기 외부커버(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평판(112)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112)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는 탄성부(111)의 일단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평판(112)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3) 및 하나 이상의 홈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휨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
KR1020150103090A 2015-07-21 2015-07-21 배수구커버 KR10179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90A KR101791450B1 (ko) 2015-07-21 2015-07-21 배수구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90A KR101791450B1 (ko) 2015-07-21 2015-07-21 배수구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04A true KR20170011104A (ko) 2017-02-02
KR101791450B1 KR101791450B1 (ko) 2017-10-30

Family

ID=5815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090A KR101791450B1 (ko) 2015-07-21 2015-07-21 배수구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83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티아이씨 배수트랩용 커버
KR20190041060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청완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2284144B1 (ko) * 2020-08-10 2021-08-02 도창회 배수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11Y1 (ko) 2020-11-09 2022-11-29 주식회사 돌돔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102318834B1 (ko) 2021-04-27 2021-10-28 이정민 배수구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36B1 (ko) * 2014-04-02 2014-07-04 서재식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83A (ko)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티아이씨 배수트랩용 커버
KR20190041060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청완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2284144B1 (ko) * 2020-08-10 2021-08-02 도창회 배수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450B1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450B1 (ko) 배수구커버
US9528252B2 (en) Debris trap for a drain
EP1992746A2 (en) Waste trap/plug assembly for sinks
JP2008025105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JP3915772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US20050223481A1 (en) Hair clogger stopper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EP2060682A3 (en) Floor drain with removable odour seal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JP4557943B2 (ja) 排水構造
JP4456961B2 (ja) 浴槽の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1427185B1 (ko) 세면기 팝업밸브에 부착 사용되는 스트레이너 캡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KR20200044761A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200415866Y1 (ko)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배수트랩용 상부 가이드판
JP2007016434A (ja) 浴槽体及びこの浴槽体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200400063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120138072A (ko) 욕실용 배수트랩의 봉수부재
KR200457301Y1 (ko) 소변기용 탈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