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005A - 배출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출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005A
KR20170011005A KR1020150102840A KR20150102840A KR20170011005A KR 20170011005 A KR20170011005 A KR 20170011005A KR 1020150102840 A KR1020150102840 A KR 1020150102840A KR 20150102840 A KR20150102840 A KR 20150102840A KR 20170011005 A KR20170011005 A KR 2017001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as
inlet
photocatalytic filte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플랜트
Priority to KR102015010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005A/ko
Publication of KR2017001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장 지붕의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유입된 가스를 내부에서 순환시킨 후,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상기 가스의 순환통로 형성을 위한 다층구조의 격벽; 상기 하우징의 내부 격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세균, 유기물,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촉매 필터;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고,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건조 및 열분해 하기 위한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벤틸레이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가스 처리장치{The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배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퇴비공장, 비료공장 또는 축사와 같은 복합악취를 발생하는 장소의 지붕 환기구에 설치되어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탈취, 살균, 소독, 건조 및 정화 처리를 위한 배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스처리장치는, 공장,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 종균배양실, 병원, 연구소, 보육시설 등 다양한 밀폐공간에 설치되어 살균 및 탈취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시설들 중 퇴비공장은, 각종의 동물의 분뇨, 음식 폐기물, 어류찌꺼기, 식물 잔재물 등을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한다.
이러한 퇴비공장에서 사용하는 복합악취 및 가스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와 팬(fan)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대형 관로와 필터를 거쳐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가스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건물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큰 공사가 우려될 수도 있으며, 설치비용 및 기계장치의 단가로 인한 비용부담이 크게 작용하며, 모터, 팬(fan) 등 각종 기계부품 등을 사용하여 작동시 소음 및 떨림이 발생한다.
또한, 대형체의 가스처리장치는 대부분 컴퓨터 제어시스템들로 구성되므로, 과다한 설비와 유지비가 투입, 주변환경, 온도차, 컴퓨터시스템오류 등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오작동시 여러 부품, 장치들로 구성된 복잡한 기계장치는 고장의 원인부를 찾기 어려우며 이를 수리하기 위해 장치를 탈거와 조립하는 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장치의 탈거와 조립이 어려우므로 관리가 소홀해질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한 가스처리장치는 먼지가 쌓이고 내부에 각종의 균류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이러한 먼지와 균류들은 공기에 포함되어 호흡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각종 질병의 원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복합악취 및 분진처리를 위한 가스처리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간단한 설치와 설치 비용부담이 적은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복합악취 및 분진 처리를 위한 가스처리장치의 오작동시 수리가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가스에 포함된 오염균 또는 유기물들의 살균, 소독, 악취제거 및 건조 기능이 향상된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공장 지붕의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유입된 가스를 내부에서 순환시킨 후,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상기 가스의 순환통로 형성을 위한 다층구조의 격벽, 상기 하우징의 내부 격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세균, 유기물,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촉매 필터,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고,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건조 및 열분해 하기 위한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벤틸레이션팬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는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재차 살균, 정화 및 탈취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 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는 복합악취, 분진 및 유해가스 처리를 위한 가스처리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간단한 설치와 설치 비용부담이 적다.
아울러, 가스처리장치의 오작동시 수리가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광촉매 필터, 자외선 램프,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및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균 또는 유기물들을 효과적으로 살균, 소독, 악취제거 및 건조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도다.
상기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공장 지붕의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11) 및 유입된 가스를 내부에서 순환시킨 후,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은 배출가스 처리장치(100)가 장착되는 공장 지붕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110)이 항상 외부환경에 노출되며 공장의 지붕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식성 향상 및 경량화를 위해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190)가 구비되는데, 이는 배출가스 처리장치(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공장의 지붕에 설치되는 관계로 크레인을 이용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견인고리(19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 (110)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상기 가스의 순환통로 형성을 위한 다층구조의 격벽(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격벽(120)을 설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장의 환기구 및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가스가 바로 배출되어 버리는 경우, 후술할 광촉매 필터(130), 자외선 램프(140),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 및 음이온 발생기(180)와 배출가스의 반응시간이 짧아져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균 또는 유기물들의 살균, 소독, 악취제거 및 건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다층구조의 격벽(120)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배출가스의 유동거리를 늘려 상기 광촉매 필터(130), 자외선 램프(140),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 및 음이온 발생기(180)와의 반응시간을 늘림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수직단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환기구 및 유입구(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격벽(120a), 상기 제1격벽(120a)을 감싸는 제2격벽(120b)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밑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격벽(120c)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격벽(12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격벽(120b)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세균, 유기물,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촉매 필터(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촉매 필터(130)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12)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3개 총 6개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총 3차에 걸쳐 배출가스에 포함된 세균, 유기물,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광촉매 필터(1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140)는 상술한 광촉매 필터(130)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며, 다양한 작동방식의 자외선 램프(140)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건조 및 열분해 하기 위한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상부에 1개, 상기 유입구(1110의 양측 상기 제1격벽(120a)과 제2격벽(120b) 사이에 각각 1개씩 총 3개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가스는 상기 광촉매 필터(130)에 도달하기 전에 1차적으로 건조 및 열분해 된다.
한편, 상기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는 3개 모두 동일 램프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할로겐과 원적외선 램프가 혼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2)에 구비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130)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60) 및 상기 송풍팬(160)의 상부에 구비되는 벤틸레이션(ventilation)팬(17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160)은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벤틸레이션팬(170)은 외부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여과, 살균 또는 건조된 배출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2)에 상기 광촉매 필터(130)를 통과한 가스를 재차 살균, 정화 및 탈취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1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발생기(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하며 또한, 상기 음이온 발생기(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2)에 구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촉매 필터(130)와 배출구(112)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출가스의 악취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센서를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가스센서에 의해 감지된 악취의 농도에 따라 상기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150), 자외선 램프(140), 음이온 발생기(180) 및 송풍팬(160)을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악취 농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160)을 저속, 중속 및 고속의 3단계로 구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는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는 가스처리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간단한 설치와 설치 비용부담이 적고 아울러, 가스처리장치의 오작동시 수리가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광촉매 필터, 자외선 램프,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및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균 또는 유기물들을 효과적으로 살균, 소독, 악취제거 및 건조 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배출가스 처리장치
110 :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20 : 격벽
120a : 제1격벽
120b : 제2격벽
120c : 제3격벽
130 : 광촉매 필터
140 : 자외선 램프
150 :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160 : 송풍팬
170 : 벤틸레이션팬
180 : 음이온 발생기
190 : 견인고리

Claims (3)

  1. 공장 지붕의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및 유입된 가스를 내부에서 순환시킨 후,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된 상기 가스의 순환통로 형성을 위한 다층구조의 격벽;
    상기 하우징의 내부 격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세균, 유기물,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촉매 필터;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고,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건조 및 열분해 하기 위한 할로겐 또는 원적외선 램프;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는 벤틸레이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는 상기 광촉매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재차 살균, 정화 및 탈취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 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20150102840A 2015-07-21 2015-07-21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170011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840A KR20170011005A (ko) 2015-07-21 2015-07-21 배출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840A KR20170011005A (ko) 2015-07-21 2015-07-21 배출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05A true KR20170011005A (ko) 2017-02-02

Family

ID=581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840A KR20170011005A (ko) 2015-07-21 2015-07-21 배출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0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782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KR101832849B1 (ko) 반도체 생산현장의 voc 가스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장치
US8388731B2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US2015035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irborne Contamination
KR1018733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90024390A (ko) 세라믹 필터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103673121A (zh) 一种新型正压空气净化柜
JP6727766B2 (ja) 畜産環境保全設備
KR20190049960A (ko) 광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KR102331251B1 (ko)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20170011005A (ko)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KR101849886B1 (ko)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KR101929418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식품 조리과정의 악취 제거 장치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KR20070036763A (ko) 피에이치아이 모듈을 적용한 조립식 환기유니트
CN108240655B (zh) 一种吸油烟机
CN102335446A (zh) 喷淋-光催化组合式除臭装置
CN210544387U (zh) 一种雪茄养护房
KR102531431B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
JP3997540B2 (ja) 脱臭システム
CN219120750U (zh) 一种具有消菌杀毒功能的空调出风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