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886B1 -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886B1
KR101849886B1 KR1020170153483A KR20170153483A KR101849886B1 KR 101849886 B1 KR101849886 B1 KR 101849886B1 KR 1020170153483 A KR1020170153483 A KR 1020170153483A KR 20170153483 A KR20170153483 A KR 20170153483A KR 101849886 B1 KR101849886 B1 KR 10184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space
air
gas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도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도팜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도팜스
Priority to KR102017015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가 토사로 매립처리된 내부 밀폐식 축사 건물을 축조하여 축사 내부에 가축수용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살균처리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가축수용공간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가스와 유해세균을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강제 유입시켜 화학분해, 열분해 및 자외선 방식으로 살균 처리하거나 살수 처리한 후 배출함으로써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세균 등의 공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축사 내의 가축이나 인근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내부에 가축이 수용될 수 있는 가축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축사에 있어서, 상기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구조물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살균 처리되는 살균처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 일정 간격의 격벽층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벽체구조물과; 상기 출입구가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 및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의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벽체구조물의 외측면을 일정 깊이로 매립하도록 시공되는 토사매립층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이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외기유입수단과;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제거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 설치되는 제1 살균수단과; 상기 제1 살균수단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살균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ECO-FRIENDLY STALL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BAD SMELL AND SOUNDFROOF}
본 발명은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가 토사로 매립처리된 내부 밀폐식 축사 건물을 축조하여 축사 내부에 가축수용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살균처리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가축수용공간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가스와 유해세균을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강제 유입시켜 화학분해, 열분해 및 자외선 방식으로 살균 처리하거나 살수 처리한 후 배출함으로써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세균 등의 공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축사 내의 가축이나 인근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깨끗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닭, 돼지 등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는 지붕과, 칸막이로 설치하여 오물은 바닥을 경사지게 하거나, 바닥에 톱밥 등을 뿌려주거나, 그냥 방치하여 가축의 분비물과 암모니아 가스로 인한 불쾌한 환경과 가축의 오물을 가끔 제거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결과 최근 가축호흡기 질병의 하나인 구제역 질병과 암모니아 가스등으로 가축질병이 발생하고, 가축질병이 발발하면 급속도로 전염되는 비위생적인 축사를 사용하여 왔으며, 이를 개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특히, 돈사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면 주변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악취가스를 직접 배출하지 못하고 덕트에 의해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악취 제거후 배출하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악취가스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돈사에서 발생한 유기성폐기물을 가지고 퇴비를 만드는 퇴비화 공장에서는 이러한 악취가스 제거시설이 되어 있으나, 돈사에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을 직접 설치하는 경우는 드물고 돈사의 특성상 가축에서 발생하는 온도로 인하여 강제 배기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시설이 필요하였다.
축사의 슬러리피트에는 각종 가축의 배설물이 쌓여서 분뇨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직접 퇴비화 시설로 이동시켜 퇴비를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분뇨에 액비를 공급하면 발효화 된다. 이때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 특성상 유기성폐기물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발효열과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수증기로 증발되면서 유기물이 분해되므로 부피 및 질량이 크게 감소하고, 이때 상당량의 악취가스가 발생한다.
축사에 이러한 악취가스가 가득 차게 되면 가축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은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 등 직업병이 유발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증기와 악취가스를 따로 포집한 후 외부의 처리설비로 보내어 여과 처리 후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퇴비화시설에서 존재하고 축사에는 단지 강제 배기시설만이 존재하였다.
또한, 악취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설비는 대부분 고가의 여과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구조가 복잡하여 열악한 축사에 적용이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7700호 ‘친환경 축사 구조’와 같은 기술에서는 축사 상부로부터 살균발효여과수가 분사되는 배관과 노즐을 갖고 살균발효여과수를 분사시켜 축사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분진을 흡수 및 제거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풍량과 풍속이 조절되는 공기급기가 이루어지고 공기급기는 지표면으로부터 3미터 이하의 하부공기 즉 상온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사육 가축에게 하절기에는 시원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급기장치를 땅속에 매설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친환경 축사 구조는 급기장치를 지하에 매설하는 구조로 축사 하부의 지하로 시설공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큰 공사 규모로 영세한 소규모 축산업자들에게는 쉽게 적용하기가 힘든 방법이며, 축사내부의 분진과 악취를 제거하도록 살균발효여과수가 가축이 수용되어 있는 축사 내부로 직접 분사되기 때문에 화학 약품이 가축의 호흡기로 유입되거나 피부에 접촉되어 가축의 생육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사 내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에 수분이 섞이게 됨에 따라 오염 발생으로 인한 청소작업을 곧바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러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낮은 산의 인근 변두리나 절토부가 형성된 언덕 등지에서 토사 매립식으로 건물을 축조하여 내부 밀폐식 축사 구조를 이루도록 한 후, 열분해, 화학분해, 살수 처리 등 오염도에 따라 단계별 다중 살균 방법으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인근의 농가나 민가에 발생되는 악취 및 소음공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축수용공간 내에서의 악취가스 및 유해한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하기 위한 살균처리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제거 및 살균한 후 배출함으로써 인체에나 가축에게 안전하고 저비용이면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가 스틸판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중의 일체형 아치 구조로 시공되어 토사매립시 견고한 구조의 축사 형태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또는 겨울철 단열 효과로 인해 가축 생육유지 온도에 유리한 것은 물론,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유지비가 절감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내부에 가축이 수용될 수 있는 가축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축사에 있어서, 상기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구조물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살균 처리되는 살균처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 일정 간격의 격벽층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벽체구조물과; 상기 출입구가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 및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의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벽체구조물의 외측면을 일정 깊이로 매립하도록 시공되는 토사매립층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이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외기유입수단과;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제거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 설치되는 제1 살균수단과; 상기 제1 살균수단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살균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은, 상기 가축수용공간에서 오염된 내부 공기를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강제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은 상기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가 일체로 호형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스틸판과, 상기 스틸판을 토대로 상기 스틸판의 외측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벽체구조물은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 동일한 스틸판과,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살균수단은,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열을 가하는 위한 제1 히팅장치와, 상기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살균광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살균수단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재차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살균배기수단에 설치된 제2 살균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살균배기수단은, 하방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서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입되도록 소정 내부공간을 갖고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배기관과, 상기 제1 배기관보다 좁은 내경을 갖고 상기 토사매립층 상단에서 일정 높이만큼 공중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배기관과 이어지는 제2 배기관과, 상기 제2 배기관 최상단부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외부 공중으로 강제 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살균수단은, 상기 제1 배기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열을 가하기 위한 제2 히팅장치와, 상기 제2 배기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재차 열을 가하기 위한 제3 히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살균수단은,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는 제1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살균수단은, 상기 제1 배기관에서 상기 배출가스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는 제2 살수장치와, 상기 제2 배기관에서 상기 배출가스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연무소독하기 위한 연무소독장치 또는 플라즈마 화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화염발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는 살수된 물이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의 외측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분사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살균처리공간에서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를 통해 배출된 물을 모아 정수 처리하는 정수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수장치는 정수 처리된 물을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로 순환시켜 재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유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토사 매립식으로 내부 밀폐식 축사 구조를 이루도록 건물을 축조하되, 내부에 밀폐식으로 별도 마련된 살균처리공간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균 처리하는 구조를 이루어 외부 환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공중을 향하여 최대한 원거리로 날려보내 인근의 주민들에게 공해가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저비용이면서 매우 효율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오염된 내기를 밀폐식 살균처리공간 내로 강제 유입시킨 후 열분해, 화학분해, 살수 처리 등 오염도에 따라 단계별 다중 살균 방법으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가 스틸판과 콘크리트층이 아치형 이중 구조로 일체로 시공된 복합구조체로 건축되어 토사매립시 견고한 구조의 축사를 축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벙커형 구조로 인해 여름철과 겨울철 단열 효과로 인해 가축 생육유지 온도 및 습도 관리에 유리함은 물론, 그에 따른 냉방 또는 난방비 등 유지비가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가축수용공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천장과 벽체에 살수장치를 통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살수장치로 배출되는 물을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온도 및 습도 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가 토사매립층으로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외기유입수단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살수장치 및 정수장치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이하에서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가 토사매립층으로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외기유입수단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살수장치 및 정수장치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내부에 가축이 수용될 수 있는 가축수용공간(100)이 마련되고 일측에 출입구(110)가 형성된 축사에 있어서, 제1 벽체구조물(10)과, 제2 벽체구조물(20)과, 토사매립층(30)과, 외기유입수단(40)과, 제1 살균수단(51)과, 제2 살균수단(52)과, 살균배기수단(60) 및 정수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종래의 공지된 축사에서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평지에 철재프레임 등으로 골조를 이루고 그 상부로 지붕을 시공하여 건축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구조를 이루도록 건축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즉,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토사 매립식으로 건물이 축조되는데, 예를 들면 낮은 산의 인근 변두리나 절토부가 형성된 언덕 등지에서 동굴과 같이 깊은 내부공간을 이루는 구조로 축사가 설치되어 내부 밀폐식 구조를 이루도록 한 후, 축사 내부에 별도 마련된 살균처리공간(200)에서 열분해, 화학분해, 살수 및 플라즈마 살균 처리 등 다중 살균 방법으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인근의 농가나 민가에 발생될 수 있는 악취 및 소음공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천장과 벽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과 함께 일정 간격의 격벽층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은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을 경계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외측으로 별도 마련되는 소정 폭의 내부공간인 것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가축으로부터 발생된 오염공기 즉, 악취가스나 공기 중의 유해세균이 유입되고, 후술되는 상기 제1 살균수단(50)에 의해 살균 및 살수 처리되는 공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천장과 벽체가 일체로 호형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스틸판(11)과 콘크리트층(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틸판(11)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일체형 천장과 벽체의 기초가 되는 내벽을 이루도록 호형, 아치형 또는 터널형의 단면 구조로 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층(12)은 상기 스틸판(11)을 토대로 상기 스틸판(11)의 외측면에 일정 두께만큼 일체로 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층(12)은 상기 스틸판(11)을 기초로 상기 스틸판(11)의 외측면에 철근이 고정되도록 배근한 후 일정 두께만큼 시멘트 타설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콘크리트층(12)은 상기 스틸판(11)에 의해 하중이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틸판(11)의 외측면에서 일체로 부착되게 시공됨으로써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외벽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이 천장과 벽체 일체형으로 호형 단면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경우, 상기 스틸판(11)과 상기 콘크리트층(12)이 복합구조체를 이루어 인장력과 압축 강도 및 하중에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상기 제1 살균수단(51)의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콘크리트층(12)의 표면을 타고 하방으로 흐를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살수장치에서 물이 분사되는 구성 등은 이하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오염된 내부 공기를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강제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장치(13)가 설치된다.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이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이 외측 방향을 아치형으로 둘러싼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공기유통로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다수의 공기유통로를 통해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오염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지만, 밀폐식 축사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에서 상기 출입문이 밀폐된 상태에서 축사 내의 오염공기가 쉽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 축사 내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통하는 다수의 통로 각각에 상기 내기흡입장치(13)가 설치되고, 상기 내기흡입장치(13)와 후술되는 상기 외기유입수단(40)의 적절한 작동 및 개폐 단속으로 축사 내의 공기 유통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상기 스틸판(11)과 콘크리트층(12)과 동일한 형태의 스틸판(21) 및 콘크리트층(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벽체구조물(10)과 대동소이한 형태로 호형, 아치형 또는 터널형의 단면 구조로 시공되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과의 사이에서 소정 폭을 갖는 아치형 구조의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은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의 내벽을 이루고,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의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구조에 의해 아치형 공간을 이루게 되고, 또한 일측 즉, 후술되는 토사매립층(30)에 의해 유일하게 밀폐 처리되지 않은 정면 부분으로 소정 크기의 출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110)는 출입문에 의해 밀폐 처리될 수 있게 구성되고, 이때 상기 출입구에는 외기유입의 차단을 위한 외기차단장치(1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기차단장치(112)는 다양한 형태의 외기차단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입문 상단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하방으로 분출함으로써 공기 유막을 만들어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커튼(air curtain)과 같은 장치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토사매립층(30)은 상기 출입구(110)가 막힌 상태 즉,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및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의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의 외측면을 일정 깊이로 매립하도록 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토사매립층(30)은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가 토사 매립식 구조의 건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토사매립층(30)을 인위적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양의 토사가 필요하고, 공사 작업 공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농가 주변에 위치하는 낮은 산의 인근 변두리 지역이나 절토부가 형성된 언덕 등지에서 동굴과 같은 형태로 깊은 공간을 이루도록 토굴 작업 등을 통해 축사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사매립층(30)은 상기 토굴 작업 등으로 축사의 일정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 및 제2 벽체구조물(20)의 시공을 마친 상태에서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의 외측면 전체를 매립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문(110)이 형성된 축사의 일측면 방향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으로 사람이나 가축이 출입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축사를 건축하는 장소가 평지일 경우 상기 토사매립층(30)을 인위적으로 축조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의 외측면에 상기 토사매립층(30)을 일정 두께로 축조하여 상기 출입문이 설치되는 일측방향을 제외한 축사의 사방을 매립하는 실시예도 충분히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토사매립층(30)이 시공되는 경우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축사의 골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상기 스틸판(21)과 상기 콘크리트층(22)의 복합구조체로 시공되어 상기 토사매립층(30)의 하중에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은 상기 토사매립층(30)에 의해 매립된 상태로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장점과 함께 상기 스틸판(21)이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의 내측에서 견고하게 지탱함으로써 침하되는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지만,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내부 밀폐식 축사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외기유입수단(40)은 상기 출입구(110)의 출입문을 밀폐시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기유입수단(40)이 유입관(41) 및 외기흡입댐퍼(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관(41)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으로부터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축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축사의 사방이 상기 토사매립층(30)에 의해 매립된 구조이기 때문에 축사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유입관(41)을 연장시키는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관(41)이 축사가 외부로 노출된 방향 즉, 상기 출입구(110)가 형성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메인관(41a)과, 상기 메인관(41a)에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벽으로 연통되게 상기 메인관(41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기관(4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41)은 매립 등을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의 필요 없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 및 제2 벽체구조물(20) 사이에 마련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외기흡입댐퍼(42)는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의 오염된 실내공기 즉, 악취가스나 공기 중의 유해세균이 상기 유입관(4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관(41)을 통해 외기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내부로 충분히 유통될 수 있게 작동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기흡입댐퍼(42)는 상기 내기흡입장치(13)와 함께 유기적으로 작동 및 개폐 단속되면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내부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기흡입장치(13) 및 외기흡입댐퍼(42)의 작동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및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 설치되어 공기 오염도를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오염감지센서(도면미도시) 등의 센서수단의 감지 여부에 따라 작동되게 하는 실시예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축사 내부가 밀폐식 구조로 이루어져 축사 내에서의 각종 소음이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아 방음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사에 의한 매립식 축사 구조로 여름철 또는 겨울철 축사 내부의 단열 성능 효과가 뛰어나 가축 생육유지 온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유지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 또한 발생된다.
상기 제1 살균수단(51)은 상기 가축수용공간(100)에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제거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살균수단(51)은 제1 히팅장치(51a), 살균램프(51b) 및 제1 살수장치(5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히팅장치(51a)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열을 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열분해 방식으로 오염된 공기를 살균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히팅장치(51)는 최하 300°이상 고온으로 가열되는 전기식 히팅열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51b)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서 상기 제1 히팅장치(51)와 함께 설치되는 구성으로, 오염공기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제거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살균램프(51b)는 오염공기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자외선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는 할로겐 히터로 구성되는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살균수단(51)이 상기 제1 살수장치(5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살수장치(51c)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 다수개 배치되어 공중의 여러 곳으로 물 또는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하여 오염된 공기 중에 악취나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살수장치(51c)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의 바닥에서 집수하여 후술되는 상기 정수장치(70)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살균배기수단(60)은 상기 제1 살균수단(51)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O)를 재차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살균배기수단(60)은 제1 배기관(61)과, 제2 배기관(62) 및 송풍팬(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배기수단(60)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굴뚝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관(61)은 하방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서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입되도록 소정 내부공간을 갖고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형 관체이다.
상기 제2 배기관(62)은 상기 제1 배기관(62)과 일체로 이어지는 관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 배기관(62)은 상기 제1 배기관(62)보다 좁은 내경을 갖고 상기 토사매립층(30)의 상단부 즉,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공중으로 높이 솟아오르도록 길게 연장된다.
상기 송풍팬(63)은 상기 제2 배기관(62) 최상단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외부 공중으로 강제 배기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송풍팬(63)은 축사 내의 상기 살균처리공간(200)과 상기 살균배기수단(60) 내에서 살균 처리 완료된 공기를 공중 방향으로 최대한 멀리 보내도록 설치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송풍팬(63)은 제트엔진 원리로 바람이 분산되지 않고 직선거리로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하는 고출력의 산업용 서큘레이터(circulato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살균수단(52)은 상기 제1 살균수단(51)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O)를 재차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후술되는 상기 살균배기수단(6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살균수단(52)은 제2 히팅장치(52a), 제3 히팅장치(52b), 제2 살수장치(52c) 및 연무소독장치(5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히팅장치(52a)는 상기 제1 배기관(61)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 즉, 상기 배출가스(O)에 열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 히팅장치(52a)는 상기 제1 히팅장치(51)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전기식 히팅열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기관(61) 내에 복수개 배치되어 열분해 방식으로 상기 배출가스(O)에 잔류할 수 있는 악취 및 유해세균을 제거하거나 살균하게 된다.
상기 제3 히팅장치(52b)는 상기 제2 배기관(62)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재차 열을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제3 히팅장치(52b)는 상기 제1 히팅장치(51a)와 상기 제2 히팅장치(52a)에서 순차적으로 열이 가해진 후 상기 제2 배기관(62)까지 상승된 배출가스에 재차 열을 가함으로써 더욱 완벽한 살균작용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제3 히팅장치(52b)는 상기 제2 히팅장치(52b)와 동일한 전기식 히팅열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기관(62) 내에 복수개 배치되어 바람직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살수장치(52c)는 상기 제1 배기관(61)에서 상기 배출가스(O)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제2 살수장치(52c)는 상기 제3 히팅장치(52b) 상부측에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제2 히팅장치(52a) 및 제3 히팅장치(52b)에 의해 연속 가열됨으로써 건조된 상태의 기체가스를 재차 살수 처리하여 상기 배출가스(O)에 잔류될 수 있는 악취 및 유해세균을 제거하거나 살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살수장치(52c)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세척수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의 바닥에서 집수하여 후술되는 상기 정수장치(70)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연무소독장치(52d)는 상기 제2 배기관(62)에서 상기 배출가스(O)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연무소독하기 구성이다.
상기 연무소독장치(52d) 상기 살균배기수단(60) 내에서 살균 작업이 마무리되는 과정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살균수단(51) 및 제2 살균수단(52)의 모든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의 과정에서 상기 배출가스(O)에 연무소독을 실시함으로써 악취 및 유해세균이 완벽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연무소독장치(52d)는 기존에 경유와 약제를 희석해 경유를 태워 약제를 살포하던 연막소독과는 달리, 물과 약제를 희석하여 가열해 활성화된 물 분자에 약제를 실어 확산시키는 소독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연무 소독법을 실시하여 기존과 같은 경유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화학물의 배출이 없어 환경오염과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인체 및 가축에 무해한 소독법으로 악취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2 살균수단(52)은 플라즈마 화염발생장치(52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화염발생장치(52e)는 상기 제2 배기관(62)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무소독장치(52d)로 상기 배출가스(O)가 통과하기 전에 상기 배출가스(O)를 최대한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플라즈마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6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이전에는 상기 배출가스(O)에서 악취 및 유해세균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살수장치(51c) 및 제2 살수장치(52c)는 살수된 물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분사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살수장치(51c)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에서 상기 제2 벽체구조물(20)의 내벽면을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설치된 경우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외측 표면을 향하여 물 또는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 배기관(61) 내의 벽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제2 살수장치(52c)는 분사된 물 또는 세척수(W)가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최상단부에서부터 표면을 타고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제1 살수장치(51c) 및 제2 살수장치(52c)를 통해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을 냉각할 수 있는 기능 및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상승하는 날씨에 상기 제1 살균수단(51) 및 제2 살균수단(52)이 작동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은 밀폐식 축사 구조에서 열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지 않아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의 가열될 수 있는 현상으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내의 온도가 함께 상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상기 제1 살수장치(51c) 및 제2 살수장치(52c)를 통해 분출되는 물 또는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제1 벽체구조물(10)을 적절히 냉각시킴으로써 악취 및 유해세균의 제거와 함께 고온의 날씨에도 가축이 수용된 상기 가축수용공간(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가축생육온도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다발적 기능과 그에 따른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정화장치(70)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에서 상기 제1 살수장치(51c) 및 제2 살수장치(52c)를 통해 배출된 물을 모아 정수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에,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장치(70)는 상기 살균처리공간(200) 내의 바닥면에서 물 또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정(71)과, 상기 집수정(71)에서 집수관을 통해 모아진 물을 정수처리하는 정수처리기(72) 및 상기 정수처리기(72)로부터 정수 처리된 물을 상기 제1 살수장치(51c) 및 제2 살수장치(52c)로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순환공급유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내부 밀폐식 축사 구조로 이루어져 열분해, 화학분해 및 살수 처리를 통한 다중 살균 방법으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인근의 농가나 민가에 발생되는 악취 및 소음공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인체에나 가축에게 안전하면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살수에 사용되는 물을 순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친환경 밀폐식 축사는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가 스틸판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중의 일체형 아치 구조로 시공되어 토사매립시 견고한 구조의 축사 형태를 구축할 수 있으며, 여름철 또는 겨울철 단열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가축 생육유지 온도에 유리한 것은 물론,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유지비가 절감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 또한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악취가스 제거 기능이 구비된 친환경 축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벽체구조물
11 스틸판
12 콘크리트층
13 내기흡입장치
20 제2 벽체구조물
21 스틸판
22 콘크리트층
30 토사매립층
40 외기유입수단
41 유입관
42 외기흡입댐퍼
51 제1 살균수단
51a 제1 히팅장치
51b 살균램프
51c 제1 살수장치
52 제2 살균수단
52a 제2 히팅장치
52b 제3 히팅장치
52c 제2 살수장치
52d 연무소독장치
52e 플라즈마 화염발생장치
60 살균배기수단
61 제1 배기관
62 제2 배기관
63 송풍팬
70 정화장치
100 가축수용공간
110 출입구
112 외기차단장치
200 살균처리공간

Claims (8)

  1. 내부에 가축이 수용될 수 있는 가축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축사에 있어서,
    상기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구조물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살균 처리되는 살균처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 일정 간격의 격벽층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벽체구조물과; 상기 출입구가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 및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의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벽체구조물의 외측면을 일정 깊이로 매립하도록 시공되는 토사매립층과; 상기 가축수용공간이 밀폐된 경우 상기 가축수용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외기유입수단과;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제거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 설치되는 제1 살균수단과; 상기 제1 살균수단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도록 상기 살균처리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살균배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살균수단은,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열을 가하는 위한 제1 히팅장치와, 상기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살균광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살균수단은,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는 제1 살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살균수단에 의해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를 재차 살균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살균배기수단에 설치된 제2 살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배기수단은, 하방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서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입되도록 소정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토사매립층(3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공중으로 길게 연장되어 최상단부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송풍팬을 통해 배출가스를 외부 공중 방향으로 강제 배기시키고,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은, 상기 가축수용공간에서 오염된 내부 공기를 상기 살균처리공간으로 강제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흡입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은 상기 가축수용공간의 천장과 벽체가 일체로 호형 또는 아치형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스틸판과, 상기 스틸판을 토대로 상기 스틸판의 외측면에 일체로 시공되는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벽체구조물은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의 사이에서 아치형 구조의 상기 살균처리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벽체구조물과 동일한 스틸판 및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배기수단은, 하방으로 상기 살균처리공간 내에서 살균 처리된 배출가스가 유입되도록 소정 내부공간을 갖고 일정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배기관과, 상기 제1 배기관보다 좁은 내경을 갖고 상기 토사매립층 상단에서 일정 높이만큼 공중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배기관과 이어지는 제2 배기관과, 상기 제2 배기관 최상단부에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외부 공중으로 강제 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살균수단은, 상기 제1 배기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열을 가하기 위한 제2 히팅장치와, 상기 제2 배기관에서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에 재차 열을 가하기 위한 제3 히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살균수단은, 상기 제1 배기관에서 상기 배출가스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살수 처리하는 제2 살수장치와, 상기 제2 배기관에서 상기 배출가스에 남은 악취가스 및 유해세균을 연무소독하기 위한 연무소독장치 또는 플라즈마 화염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화염발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는 살수된 물이 상기 제1 벽체구조물의 외측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분사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공간에서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를 통해 배출된 물을 모아 정수 처리하는 정수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수장치는 정수 처리된 물을 상기 제1 살수장치 및 제2 살수장치로 순환시켜 재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유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KR1020170153483A 2017-11-17 2017-11-17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KR10184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483A KR101849886B1 (ko) 2017-11-17 2017-11-17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483A KR101849886B1 (ko) 2017-11-17 2017-11-17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886B1 true KR101849886B1 (ko) 2018-04-17

Family

ID=620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483A KR101849886B1 (ko) 2017-11-17 2017-11-17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8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31B1 (ko) * 2019-01-31 2019-08-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원에프앤디 바이오커튼과 플라즈마 공법에 의해 생성된 활성라디칼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1004754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삼도환경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118A (ja) * 2008-07-30 2010-02-12 Minoru Josa 畜舎及び家畜の飼育方法
KR20100006092U (ko) * 2008-12-08 2010-06-17 한빛찬얼 조류독감 및 세균박멸 가축 폐사 방지 장치가 구비된 사육장
KR101201440B1 (ko) * 2009-12-16 2012-11-14 대한민국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317355B1 (ko) * 2013-04-05 2013-10-14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KR101407472B1 (ko) * 2012-09-27 2014-06-1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118A (ja) * 2008-07-30 2010-02-12 Minoru Josa 畜舎及び家畜の飼育方法
KR20100006092U (ko) * 2008-12-08 2010-06-17 한빛찬얼 조류독감 및 세균박멸 가축 폐사 방지 장치가 구비된 사육장
KR101201440B1 (ko) * 2009-12-16 2012-11-14 대한민국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407472B1 (ko) * 2012-09-27 2014-06-1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101317355B1 (ko) * 2013-04-05 2013-10-14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31B1 (ko) * 2019-01-31 2019-08-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원에프앤디 바이오커튼과 플라즈마 공법에 의해 생성된 활성라디칼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10047548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삼도환경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KR102304882B1 (ko) 2019-10-22 2021-09-24 주식회사 삼도환경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023649B1 (ko) 분뇨악취제거장치
KR101407472B1 (ko)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CN112568133B (zh) 一种环保猪舍
CN111296299A (zh) 一种无臭防疫猪舍工艺及结构
KR101849886B1 (ko)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KR20120098411A (ko) 가축 매몰지의 악취 및/또는 온실가스 처리 시스템
KR101362064B1 (ko) 악취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140033190A (ko) 가금류축사환기시스템
KR101545182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KR101554455B1 (ko) 탈취 수단이 설치된 악취발생시설용 덮개
KR20180031648A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200446050Y1 (ko)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102547440B1 (ko)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학교,군대,지하철,지하주차장,식물재배사,가축사육장,지렁이 사육장,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다중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친환경 공법
KR100889486B1 (ko) 축분 악취 제거 시스템
KR20110007266U (ko) 웰빙 에어 워셔 크리링
CN212816054U (zh) 一种墙体中空排气旱厕
CN209771801U (zh) 一种负压抽风收集的除臭装置
KR101000074B1 (ko) 간이화장실용 오물저장조의 악취 정화 배출장치
CN212232568U (zh) 一种无臭防疫猪舍
JP2004091367A (ja) 消臭殺菌剤
CN112791575B (zh) 一种臭气净化和杀菌消毒系统
CN215352895U (zh) 一种臭气净化和杀菌消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