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56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565A
KR20170010565A KR1020150102346A KR20150102346A KR20170010565A KR 20170010565 A KR20170010565 A KR 20170010565A KR 1020150102346 A KR1020150102346 A KR 1020150102346A KR 20150102346 A KR20150102346 A KR 20150102346A KR 20170010565 A KR20170010565 A KR 2017001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water guide
wash water
seal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456B1 (ko
Inventor
최규형
김백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0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5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7846 priority patent/WO2017014534A1/en
Priority to US15/303,687 priority patent/US10264946B2/en
Priority to EP19195225.8A priority patent/EP3610770A1/en
Priority to RU2016148420A priority patent/RU2645666C1/ru
Priority to CN201680002807.6A priority patent/CN106714646B/zh
Priority to JP2016565021A priority patent/JP6291084B2/ja
Priority to AU2016297228A priority patent/AU2016297228B2/en
Priority to EP16828038.6A priority patent/EP3197334B1/en
Publication of KR2017001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암과 워터가이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막는 구조와 실링부재가 분사암과 워터가이드를 연결시키는 가이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들을 통해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실링부재가 설치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에 세척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하고 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등으로 구성되며,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건조 기능을 갖춘 식기세척기의 경우, 터브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식기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수단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과정 중 습한 공기의 제습은 제오라이트를 사용하거나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암(32)으로 공급된다. 특히 워터가이드(31)를 지난 세척수는 상부암(321)으로 향한다.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부암(321)을 워터가이드(31)에 설치할 때 고무 재질의 부품을 이용해 측면 간섭에 의한 실링면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 경우 고무 재질 사이의 간섭에 의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실링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누수 방지 효과가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위험의 감소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를 수용하는 섬프;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척 대상을 수납하는 랙;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인 워터가이드; 상기 워터가이드에 착탈되고 상기 워터가이드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고 상기 분사암과 상기 워터가이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분사암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워터가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가 압축하면서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압축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이 가능한 연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실링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가이드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구;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실링부재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구가 위치하도록 돕는 가이더;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가이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실링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바디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분사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후 압착에 의한 실링부를 통해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링부의 압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링부의 변형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사암의 높이 조절을 통해 세척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사암과 워터가이드 사이에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분사암의 결합이 더욱 용이해지고, 보다 용이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탈부착 가능한 분사암과 워터가이드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실링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실링부재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실링부재의 높이를 높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가 고정부재에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실링부재가 고정부재에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분사암의 높이를 가장 높게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분사암의 높이를 가장 낮게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을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식기세척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식기세척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고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와 터브(2) 하측에 결합되고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3) 및 섬프(3)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4)로 구성될 수 있다.
터브(2)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챔버(21)가 형성되고, 세척챔버(21)에는 식기를 얹을 수 있는 복수의 랙(22)이 설치된다. 랙(22)은 상부랙(221)과 하부랙(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는 워터가이드(31)를 지나 분사암(32)을 통해 랙(22)에 놓인 식기로 분사된다.
분사암(32)은 상부랙(221)의 하측에 배치된 상부암(321)과 하부랙(222)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암(322)으로 구성된다. 상부암(321)과 하부암(332)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분사암(32)에는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는 펌프(4)에 의해 워터가이드(31)을 통해 상부암(321)과 하부암(322)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될 수 있다.
섬프(3)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급수관(41)을 통해서 유입되며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배수관(42)을 통해서 식기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급수량 및 배수량은 급수관(41) 및 배수관(42)에 설치된 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도 2는 분사암(32)과 워터가이드(31)를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암(32) 중에서도 상부암(321)과 워터가이드(31)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암(321)은 상부암연결관(323)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암연결관(323)과 워터가이드(31)는 실링부(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분사암(32)은 워터가이드(3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랙(22)과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암(321)이 워터가이드(3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랙(221)과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실링부(5)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링부(5)는 분사암(32)과 워터가이드(31)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워터가이드(31)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5)는 분사암(32)과 워터가이드(31)를 연결시켜주는 실링부재(51), 실링부재(51)와 분사암(32)을 연결하는 지지부재(53) 및 워터가이드(31)에 구비되고 실링부재(51)가 압축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52)로 이루어진다.
실링부재(5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재질이나 형태도 가능하다. 도 3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51)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51)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대 면적을 가지는 단면과 최소 면적을 가지는 단면이 교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바라 형태의 실링부재(51)는 실링부재(51)가 신축 가능한 특징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살펴보면 실링부재(51)는 최대 면적을 가지는 단면에 해당하는 제1단면(A) 및 최소 면적을 가지는 단면에 해당하는 제2단면(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단면(A)과 제2단면(B)은 교차로 혼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자바라 형태를 띄게 된다.
고정부재(52)와 접하는 단면은 최소 면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2단면(B)이 고정부재(52)와 접하게 된다. 실링부재(51)가 압축하면서 고정부재(52)에 결합될 때 고정부재(52)와 접하는 실링부재(1)의 단면이 제1단면(A)과 같이 최대 면적을 가지게 되면 결합 후에 누수의 위험이 최소 면적을 가질 때 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지지부재(53)는 실링부재(51)와 분사암(32)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재(53)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5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54)가 구비되어 있으며 실링부재(51)의 압축가능한 거리를 제한시킬 수 있는 연장면(544)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재(52)는 워터가이드(31)에 구비되어 있으며 실링부재(51)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부재(52)는 고정부재(52)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520), 바디(520)에 구비되고 실링부재(51)의 압축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524), 바디(520)에 구비되고 워터가이드(31)의 세척수를 분사암(32)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구(522), 바디(520)에 구비되고 실링부재(51) 압축시 상기 실링부재(51) 내부에 세척수공급구(522)가 위치하도록 돕는 가이더(523) 및 실링부재(51)가 압축하면서 고정부재(52)에 결합될 때 세척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가스킷(5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링부재(51)의 단면 넓이는 세척수공급구(522)의 단면 넓이보다 크다. 즉, 실링부재(51) 단면의 높이 및 너비는 세척수공급구(522) 단면의 높이 및 너비보다 크다.
실링부재(51)의 단면과 세척수공급구(522)의 단면은 원형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링부재(51) 단면의 직경은 세척수공급구(522)의 직경보다 크다.
실링부재(51)가 고정부재(52)에 압축하면서 결합할 때 실링부재(51) 단면 내부에 세척수공급구(522)가 위치한다면 실링부재(51)의 설치 위치는 자유롭게 변동 가능하다.
즉, 실링부재(51)는 분사암(32)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정부재(52)와의 결합 위치가 상하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재(51)의 높이 길이에서 세척수공급구(522)의 높이 길이의 두배를 뺀 길이만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스킷(521)의 넓이는 실링부재(51)의 단면 넓이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실링부재(51)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범위만큼 누수를 예방하는 가스킷(521)의 높이 길이가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51)가 고정부재(52)에 압축하면서 결합할 때 스토퍼(524)에 의해 실링부재(51)는 일정 길이 이상 압축을 할 수 없다. 실링부재(51)의 압축이 점점 진행됨에 따라 스토퍼(524)는 연장면(544)과 닿게 된다.
스토퍼(524)와 연장면(544)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실링부재(51)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51)의 변형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524)는 실링부재(51)가 고정부재(52)와 결합될 때 실링부재(51)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디(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1)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524)는 바디(520)로부터 소정거리 실링부재(5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스토퍼(524)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는 실링부재(51)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할 수 있다면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바디(520)를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도록 구비되어야 실링부재(51)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 크다.
가이더(523)는 실링부재(51) 압축시 실링부재(51) 내부에 세척수공급부(522)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51)가 압축되면서 고정부재(52)에 결합될 때 가이더(523)는 연결부(54)와 체결된다. 실링부재(51)의 높이 조절을 위해 연결부(54)는 지지부재(53)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더(523)는 실링부재(51)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디(5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더(523)와 체결되는 연결부(54) 또한 지지부재(5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가이더(523)는 바디(520)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어 구비되되 스토퍼(524)보다는 돌출된 정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더(523)는 바디(520)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분사암(32)이 고정부재(52)에 균형 있게 결합되기 위해서 가이더(523)는 바디(520)를 기준으로 좌우측 같은 높이에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연결부(54)는 지지부재(53)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541), 제1연결부(54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제2연결부(542) 및 제2연결부(54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제3연결부(543)로 구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542)는 제1연결부(541)와 제3연결부(5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연결부(541)가 가장 위쪽에 위치한다.
제1연결부(541), 제2연결부(542) 및 제3연결부(543) 중 어느 하나에 가이더 (523)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에 따라 분사암(32)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며 분사암(32)의 높이 조절에 따라 세척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가이더(523)가 제2연결부(542)에 연결되기 전과 연결된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링부재(51)은 고정부재(52)의 가스킷(521)으로 압축하면서 결합되게 되며 스토퍼(524)와 연장면(544)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부재(51)의 압축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1)의 내부에 세척수공급구(522)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가이더(523)가 제3연결부(543)에 연결되기 전과 연결된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더(523)이 제2연결부(542)에 연결되었을 때보다 분사암(32)이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스토퍼(524)와 연장면(544)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부재(51)의 압축 가능한 거리는 제한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51)의 내부에 세척수공급구(522)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사암(32)의 위치를 가이더(523)가 제2연결부(542)에 연결되었을 때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시키려면 가이더(523)를 제1연결부(541)과 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도 스토퍼(524)와 연장면(544)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부재(51)의 압축 가능한 거리는 제한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51)의 내부에 세척수공급구(522)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분사암(32)가 높이를 달리하여 워터가이드(31)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가이더(523)가 제2연결부(543)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분사암(32)이 워터가이드(31)에 한 가운데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가이더(523)가 제3연결부(541)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분사암(32)이 워터가이드(31)에 가장 높게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더(523)를 제1연결부(541), 제2연결부(542) 및 제3연결부(543)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암(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식기의 종류에 따라 세척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더(523)가 어떤 연결부에 연결되더라도 실링부재(51)가 가스킷(521)이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킷(521)의 넓이는 실링부재(51)의 단면 넓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암(32)은 가스킷(521) 면적 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착탈 가능하다.
다시말해 실링부재(51)의 자유단은 가스킷(521)이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압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식기세척기
1: 캐비닛
2: 터브
3: 섬프 31: 워터가이드 32: 분사암
4: 펌프
5: 실링부 51: 실링부재 52: 고정부재 53: 지지부재 54: 연결부

Claims (11)

  1.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를 수용하는 섬프;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척 대상을 수납하는 랙;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인 워터가이드;
    상기 워터가이드에 착탈되고 상기 워터가이드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고 상기 분사암과 상기 워터가이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분사암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워터가이드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가 압축하면서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압축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스토퍼와 접촉이 가능한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실링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가이드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구;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실링부재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구가 위치하도록 돕는 가이더;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 압축시 상기 가이더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실링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바디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분사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02346A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KR10236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6A KR102366456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US15/303,687 US10264946B2 (en) 2015-07-20 2016-07-19 Dishwasher
EP19195225.8A EP3610770A1 (en) 2015-07-20 2016-07-19 Dishwasher
RU2016148420A RU2645666C1 (ru) 2015-07-20 2016-07-19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PCT/KR2016/007846 WO2017014534A1 (en) 2015-07-20 2016-07-19 Dishwasher
CN201680002807.6A CN106714646B (zh) 2015-07-20 2016-07-19 洗碟机
JP2016565021A JP6291084B2 (ja) 2015-07-20 2016-07-19 食洗機
AU2016297228A AU2016297228B2 (en) 2015-07-20 2016-07-19 Dishwasher
EP16828038.6A EP3197334B1 (en) 2015-07-20 2016-07-19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6A KR102366456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65A true KR20170010565A (ko) 2017-02-01
KR102366456B1 KR102366456B1 (ko) 2022-02-23

Family

ID=5810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46A KR102366456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503A1 (ko) * 2018-02-08 2019-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730A (ko) * 2005-07-29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080088123A (ko) * 2007-03-28 200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20120097198A1 (en) * 2009-06-23 2012-04-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especially domestic dishwas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730A (ko) * 2005-07-29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080088123A (ko) * 2007-03-28 2008-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20120097198A1 (en) * 2009-06-23 2012-04-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especially domestic dish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503A1 (ko) * 2018-02-08 2019-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456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1084B2 (ja) 食洗機
US20070289615A1 (en) Washing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373181B1 (ko) 식기 세척기
US10980395B2 (en) Dishwasher
KR20130033812A (ko) 식기세척기
KR101206831B1 (ko) 식기세척기의 살수 장치
EP3703544B1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KR20160104336A (ko) 식기세척기
KR101063292B1 (ko) 세척기
KR20170010565A (ko) 식기세척기
US11464391B2 (en) Spray arm assembly
KR20170010566A (ko) 식기세척기
KR102330103B1 (ko) 식기세척기
KR101283777B1 (ko) 식기 세척기
US10172508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detergent dispenser
US11389043B2 (en) Dishwasher spray arm assembly
WO2018103952A1 (en) A dishwasher
KR101634173B1 (ko) 식기세척기
WO2016155797A1 (en) Dishwasher having a cutlery basket with improved cleaning performance
WO2019091666A1 (en) A dishwasher
KR940001087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구조
KR101214680B1 (ko) 식기 세척기
WO2018099672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spray arms with flow guide
KR0132473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WO2015096921A1 (en) A dishwasher with improved washing effectiv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