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762A -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762A
KR20170009762A KR1020160088446A KR20160088446A KR20170009762A KR 20170009762 A KR20170009762 A KR 20170009762A KR 1020160088446 A KR1020160088446 A KR 1020160088446A KR 20160088446 A KR20160088446 A KR 20160088446A KR 20170009762 A KR20170009762 A KR 2017000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nut
collar
fast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다 아츠시
스츠키 신이치
사코다 칸지
나이토 노부하루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0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owel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체결 후 사용 중에 풀리지 않고 체결 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구 및 체결구조.
장착 구멍 (73,74)를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 (71,72)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1)는 핀(10)을 구비한다. 핀은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12),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3), 칼라의 결합을 위한 원둘레 홈이 형성된 결합부(15), 소정 이상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16)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17)가 있다. 체결구는 또한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된 칼라(20), 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30) 및 핀에 대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40,50)을 포함한다. 핀의 각형부(12)에 인접하여 오목 (11a)가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지는 고정링(60)을 구비하고, 스냅링은 핀에서 캡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Description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Fastener, fastening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핀과 칼라(collar)를 가지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체결 후 사용중에 풀리지 않고, 또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로서, 헤드 및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길쭉한 축부를 갖는 핀과,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원통부를 갖는 칼라를 구비하는 체결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려면 피 체결부재의 장착 구멍에 핀 축부를 통해 헤드를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 주위의 표면에 접촉시켜, 칼라를 핀 축부 주위에 배치한다. 체결 공구 코킹 부재를 사용하여 칼라에서 돌출된 핀 축부를 파지부재로 당기고 칼라의 원통부를 외주에서 코킹하여 핀 축부 칼라의 내주면을 결합시킨다. 축부의 직경이 가는 파단 가능부에서 파단시켜 핀의 헤드와 칼라의 플랜지 사이에 피 체결부재를 결합한다.
상기 체결구는 칼라를 코킹할(리베팅)때 칼라의 내면을 핀의 둘레 홈(평행 홈)에 가압 결합시켜 체결하기 때문에 칼라의 내주면에 암나사 또는 원둘레 홈의 가공이 필요없고, 칼라의 엄격한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칼라를 가압 체결하기 때문에 칼라는 핀보다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칼라를 가압하여 핀의 둘레 홈에 결합할 때, 체결 후 핀에서 칼라를 제거할 수 없어 피 부착 부재를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은 헤드와 길쭉한 축부를 갖는 핀과 칼라를 구비하는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핀의 헤드에서 먼쪽에는 핀을 당기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핀의 헤드 쪽은 고정용 오목부(둘레 홈)와 파단용 오목부(파단 가능부)를 조합한 조합 오목부가 형성된다. 칼라를 변형시켜 핀의 오목부 내에 밀고, 핀을 파단용 오목에서 파단시켜 핀의 헤드와 칼라 사이에 고정편(피 부착 부재)를 고정한다.
특허 문헌 1은 핀을 성형한 후 열처리하여 핀을 원하는 형태로 조직하여 파단용 오목부에서 확실하게 파단시키도록 하는 발명이다.
특허 문헌 1의 고정 장치는 칼라를 가압하여 핀 부에 결합함에 따라 핀의 헤드와 칼라 사이에 고정편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고정 장치는 칼라를 외주에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칼라는 핀보다 연질의 재료로 성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면이 원형인 인장 공구 부재로 칼라를 가압하기 때문에 체결 후 칼라의 단면은 원형이 된다. 따라서 체결 후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편을 회전시켜 제거할 수 없다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2는 헤드와 축부를 구비하고 나사 부재(볼트)와 턱있는 슬리브(칼라)에 의해 피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나사 부재는 헤드, 상기 헤드에 인접한 나사부, 선단 측의 공구 결합용 나사부, 나사부 및 공구 결합용 나사부 사이의 중간 축부를 갖는다. 턱있는 슬리브는 턱부분과 나사 부재의 나사부의 나사산 부분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원통부를 가진다. 코킹 공구의 코킹 형태로 인해 턱있는 슬리브를 피 체결부재에 압접하여, 원통부를 나사 부재의 나사부에 코킹 가공한다. 코킹 공구의 코킹 형태의 형공 단면은 다각형이 된다. 공구 결합용 나사 부분을 코킹 공구의 견인 공구로 올리고, 코킹 형태는 턱있는 슬리브를 피 체결부재에 압접하고, 원통부는 상기 형공에 인접하여, 원통부의 내면이 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되고, 원통부의 외면은 회전 공구 결합용 다각형부가 된다. 코킹 가공 후 나사 부재는 세경부에서 전단된다.
특허 문헌 2는 코킹 가공할 때, 턱있는 슬리브의 원통부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부는 다각형부분이 됨에 따라,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한 후 공구로 다각형부를 회전시켜 피 부착 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암나사와 다각형부분을 미리 냉간 가공 등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서는 턱있는 슬리브를 체결할 때 변형되기 때문에 나사 부재보다 변형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턱있는 슬리브를 체결 할 때 변형시켜 다각형부를 성형하기 때문에 외부의 다각형부분의 치수 정밀도가 낮다. 턱있는 슬리브를 체결한 후, 분리시 다각형부의 외면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한 후 사용 중 풀리지 않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체결한 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이 요구된다.
[특허 문헌 1] 특 60 - 8518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 7-16712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 후 사용중에 풀리지 않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 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결구는 핀의 나사부에 너트를 결합되고 상기 너트 및 핀의 각형부에 캡을 씌워 핀 조립체를 이루고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에 핀 조립체를 삽입하고 설치 구멍에서 돌출한 핀의 결합부에 칼라를 씌우고, 상기 칼라를 외부에서 코킹하여 핀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칼라와 너트로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제 1, 제 2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 1 양태는 체결구, 제 2 양태는 체결구조, 제 3 양태는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청구항 1 ~ 7)는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이며,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칼라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및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이다(제 1, 제 2 실시예).
핀의 나사에 너트가 나사결합되면, 캡은 핀에 대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핀에 대해 너트가 풀리지 않는다.
또한 체결 후, 캡을 분리하여, 핀의 나사에 나사결합된 너트를 역 회전시켜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캡은 상기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는 각공과,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너트 결합용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 실시예).
캡이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는 각공과 너트에 결합되는 너트 결합용 구멍을 갖는 경우, 각공이 핀 각형부에 맞물려 너트 결합용 구멍이 너트에 결합되어 핀에 대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상기 핀의 각형부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상기 캡의 각공의 단면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기 위해 평면부의 일측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너트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평면부의 타측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 실시예).
캡이 평면부의 일측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평면부의 타측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굴곡부를 갖는 경우, 캡의 돌출부는 핀 각형부에 결합되고 캡의 굴곡부는 너트에 결합되기 때문에 핀에 대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 핀은 각형부에 인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핀에서 캡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에 끼워 질수 있는 스냅링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 제 2 실시예).
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체결구에 오목부에 끼워지는 스냅링을 가지면 캡이 쉽게 빠지지 않고 유지된다.
상기 핀의 상기 결합부는 외주에 둘레 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제 2 실시예).
핀의 결합부 외주에 둘레 홈이 형성되는 경우, 칼라를 가압하여 결합부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의 상기 결합부는 외주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핀의 결합부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면, 칼라를 가압하여 결합부에 결합되고 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므로 체결 후 칼라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칼라는 원통형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 인접하여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라가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우, 체결 공구의 압착 부재로 압착하여 칼라의 내면을 결합부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청구항 8 ~ 11)는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구조이며,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가지며, 파단 가능한 부분에서 파단되는 핀,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너트,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 맞물리는 칼라로 구성되어,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이다.
상기 캡은 상기 핀의 상기 각형부에 결합되는 각공과, 상기 너트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너트 결합용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 실시예).
상기 캡은 상기 핀의 상기 각형부에 결합되기 위해 평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너트의 외주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평면부의 타측에 형성된 굴곡 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 실시예).
상기 핀은 각형부에 인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스냅링이 끼워져 상기 스냅링이 캡을 핀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양태(청구항 12)는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방법이며,
a)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및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체결구를 준비하고,
b) 상기 핀의 선단 측에서 상기 너트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에 상기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상기 너트와 상기 핀의 상기 각형부의 외주에 캡을 씌워 핀 조립체를 형성하며
c) 상기 핀의 후단부를 선두로 하여 상기 핀 조립체를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너트를 상기 피 부착 부재에 접촉시키고,
핀의 결합부 외주에서 상기 칼라의 면이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 주위에 맞닿도록 상기 칼라를 배치하고,
d) 상기 칼라를 지지하고, 상기 핀의 파지부를 후단 측에서 당겨내어 칼라의 외주가 가압되고, 핀의 결합부에 맞물려, 상기 핀이 파단 가능부에서 파단되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이다(제 1, 제 2 실시예).
핀에 너트와 캡를 설치한 핀 조립체를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하고, 장착구멍에서 돌출한 핀의 결합부에 칼라를 가압 및 결합하며, 핀을 파단 가능부에서 파단시켜 피 부착 부재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 4 양태는 체결구, 제 5 양태는 체결구조, 제 6 양태는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청구항 13)는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이며,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통과하는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및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는 외형이 육각형 너트 부분과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너트의 상기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상기 압입 핀 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압입 핀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체결구이다(제 3 실시예).
  핀의 나사부에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되고, 너트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가지며, 또한 압입 핀을 구비하는 체결구는, 압입 핀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너트가 풀리지 않는다. 또한 압입 핀을 빼고 너트를 역 회전 시키면 쉽게 너트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청구항 14)는 체결구에 의해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구조이며,
외주에 나사가 형성된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되는 나사부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가지며, 파단 가능한 부분에서 파단되는 핀과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 맞물리는 칼라,
너트 부분, 및 상기 너트 부분에 인접한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너트,
 상기 핀의 압입 핀 구멍,
 상기 너트의 직경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압입 핀을 구비하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이다(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양태(청구항 15)는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방법이며,
a)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통과하는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외형이 육각형인 너트 부분, 및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상기 너트의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상기 압입 핀 구멍에 삽입할 수있는 압입 핀을 구비하는 체결구를 준비하고,
b) 상기 핀의 선단 측에서 상기 너트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에 상기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상기 너트의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상기 압입 핀 구멍에 압입 핀을 삽입하여 핀 조립체를 형성하고,
c) 상기 핀의 단부를 선두로하여 상기 핀 조립체를 상기 피 부착 부재의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너트를 상기 피 부착 부재에 접촉시키고,
상기 핀의 결합부의 외주에서 상기 칼라의 면이 상기 피 부착 부재의 상기 장착 구멍 주위에 맞닿도록 상기 칼라를 배치하고,
d) 상기 칼라를 지지하고, 상기 핀의 파지부를 후단 측에서 당겨내어 칼라의 외주가 가압되고 핀 결합부에 맞물려, 상기 핀이 파단 가능한 부분에서 파단되어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제 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면,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한 후 사용 중 풀리지 않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한 후 쉽게 제거 할 수 있는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핀, 너트, 캡, 및 스냅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체결구 핀에 너트, 캡 및 스냅링을 설치한 핀 조립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핀 조립체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핀 조립체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체결구 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핀 우측면도.
도 7은 도 1의 체결구 칼라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칼라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칼라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체결구 캡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캡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캡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체결구를 피 부착 부재로 설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체결구와 피 부착 부재의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상태에서 피 부착 부재를 체결 한 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체결구와 피 부착 부재의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상태에서 체결구를 제거하는 중간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체결구를 완전히 제거한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체결구 핀, 너트, 캡 및 스냅링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체결구 핀에 너트, 캡, 및 스냅링을 설치한 핀 조립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핀 조립체의 저면도.
도 22는 도 20의 핀 조립체의 우측면도.
도 23은 도 20의 핀 조립체의 좌측면도.
도 24는 도 19의 체결구 캡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캡의 정면도.
도 26은 도 24의 캡의 우측면도.
도 27은 제 2 실시예의 체결구에 의해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체결구, 핀, 너트, 및 압입 핀을 설치한 핀 조립체의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핀 조립체의 정면도.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체결구(1)의 핀(10), 너트(30), 잠금 캡 (캡)(40)및 스냅링(60)의 분해 사시도이다. 체결구(1)의 핀(10)에 너트(30), 캡(40)및 스냅링(60)(임의)를 설치한 핀 조립체를 형성한다. 도 2는 도 1의 핀 조립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핀 조립체의 우측면도, 도 4는 좌측면도이다. 도 1-4에는 칼라(20)를 도시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의 우측을 선단이라하고 좌측을 후단이라 한다.
체결구(1)는 핀(10), 칼라(20), 너트(30), 캡(40)및 스냅링(60)을 포함한다. 스냅링(60)은 없어도 가능하다. 이하, 체결구(1)의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핀)
도 5는 핀(10)의 정면도, 도 6은 우측면도이다. 핀(10)은 중심축에 따라 선단측에서 선단부(11), 오목부(11a), 각형부(12), 나사부(13), 원통부(14), 결합부(15), 파단 가능부(16), 파지부(17)및 후단부(18)를 갖는다. 핀(10)의 재질은 스틸 등이다.
선단부(11)의 선단측면은 원형의 평면이며, 선단부(11)의 후단측면은 각형부(12)와 동일한 형상의 모따기된 사각형이다. 핀(10)의 선단부(11)에 인접하여 홈 형상의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a)는 후술하는 스냅링(60)을 끼울 수 있다.
오목부(11a)에 인접하여 각형부(12)가 형성된다. 각형부(12)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모서리는 모따기 된다. 각형부(12)는 후술하는 캡(40)의 각공(42)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각형부(12)의 단면은 사각형이 아닌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캡(40)의 각공(42)역시 각형부(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각형부(12)에 인접하여 나사부(13)가 있다. 나사부(1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부(13)의 나사산은 후술하는 너트(30)의 암나사(32)가 결합된다.
나사부(13)에 인접하여 원통부(14)가 있다. 원통부(14)는 단면이 원형이다. 원통부(14)의 외경은 나사부(13)의 나사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원통부(14)의 외경은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의 내경보다 작고, 체결한 상태에서 원통부(14)는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에 들어간다.
원통부(14)에 인접하여 결합부(15)가 있다. 결합부(15)는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인 원둘레 홈이 형성된다. 결합부(15)의 상부 외경은 원통부(1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결합부(15)의 외주부에 후술하는 칼라(20)를 배치하고 체결 공구의 압착 부재를 이용하여 칼라(20)를 외주에서 압착하여 칼라(20)의 내면을 결합부(15)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5)에는 원둘레 홈 대신에 나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나사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칼라(20)를 외주에 코킹하여 나사에 결합할 수 있다. 나사가 형성되면, 칼라(20)를 역 회전시켜, 칼라(20)를 제거할 수 있다.
결합부(15)에 인접하여 결합부(15)보다 외경이 작은 파단 가능부(16)가 형성된다. 파단 가능부(16)는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로 핀(10)의 축부를 당겨낼 때 인발 힘을 넘으면 파괴되는 부분이다.
파단 가능부(16)에 인접하여 원둘레 홈이 형성된 파지부(17)가 형성된다. 파지부(17)의 원둘레 홈의 상부 외경은 파단 가능부(16)의 외경보다 크고, 원통부(14)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파지부(17)는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로 핀(10)의 축부를 파지하고 당겨내는 경우 파지되는 부분이며, 미끌어지지 않도록 둘레 홈이 형성된다.
또는 파지부(17)에 원둘레 홈 대신 다른 형상의 요철을 형성하여도, 미끌어지지 않고 파지부(17)를 분리 할 수있다.
파지부(17)에 인접하여 후단부(18)가 있다. 후단부(18)는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후면으로 테이퍼형태로 가늘어진다.
(칼라)
 도 7은 칼라(20)의 사시도, 도 8은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9는 우측면도이다. 칼라(20)는 원통부(21)와 상기 원통부(21)에 인접한 경사면(22)을 갖고, 중심축을 따라 관통 구멍(24)이 형성된다.
칼라(20)는 핀(10)보다 연질의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는 핀(10)과 같은 스틸 등으로 만들 수도 있다.
원통부(21)는 원통형이다. 원통부(21)의 외경은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의 내경보다 크고, 원통부(21)는 장착 구멍(73,74)을 통과 할 수 없다.
경사면(22)은 원통부(21)에 인접하고 원통부(21)에서 점차 외경이 가늘어진다. 경사면(22)의 외형은 원추 사다리꼴이다. 경사면(22)에 체결 공구를 코킹하는 코킹 부재가 맞물려 원통부(21)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관통 구멍(24)의 내경은 핀(10)의 결합부(15)의 상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고, 칼라(20)는 핀(10)의 결합부(15)의 외주에 배치할 수 있다. 핀(10)의 결합부(15)의 외주에 칼라(20)를 배치하고, 체결 공구의 코킹 부재를 사용하여 칼라(20)를 외주에서 압착하여 칼라(20)의 내면을 핀(10)의 결합부(15)에 결합할 수 있다.
(너트)
도 1을 참조하면, 너트(30)는 정상적인 외형이 육각형인 너트이며, 나사 구멍이 형성된 암나사(32)가 형성된다. 너트(30)는 핀(10)의 나사부(13)에 나사결합된다. 너트(30)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핀(10)의 나사부(13)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너트(30)의 단면은 육각형이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른 다각형일 수도 있다.
(캡)
도 10는 캡(40)의 정면도, 도 11은 좌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캡(40)은 수지로 형성된다.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한 후, 캡(40)은 너트(30)의 외주부와 핀(10)의 각형부(12)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핀(10)에 대해 너트(30)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캡(40)은 금속 성형될 수 있다.
캡(40)의 선단부는 원형이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얕은 원형 구멍(41)이 형성된다. 원형 구멍(41)에는 후술하는 스냅링(60)이 들어간다.
캡(40)의 외주 단면은 원형으로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의 반경이 점차 커진다. 원형 구멍(41)에 인접하여 단면이 사각형인 각공(42)이 형성된다. 각공(42)은 핀(10)의 각형부(12)에 적합한 형태이며, 각공(42)의 축 방향 길이는 각형부(12)의 축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핀(10)의 각형부(12)이 사각형이 아니며, 다른 각형의 경우 캡(40)의 각공(42)은 핀(10)의 각형부(12)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 된다.
각공(42)에 인접하는 후단까지 단면이 육각형인 너트 결합구멍(43)이 형성된다. 너트 결합 구멍(43)의 단면은 각공(42)의 단면보다 크다. 너트 결합 구멍(43)은 너트(30)의 육각 외경에 적합한 형태이며 너트 결합 구멍(43)의 축 방향 길이는 너트(30)의 축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너트(30)가 육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인 경우 캡(40)의 너트 결합 구멍(43)은 너트(30)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다.
캡(40)의 후단은 외부가 원형이고 내부가 육각형인 평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0)에 너트(30), 캡(40) 및 스냅링(60)을 설치 한 상태에서 캡(40)의 원형 구멍(41)에는 스냅링(60)이 들어가고, 캡(40)의 각공(42)의 안쪽에는 핀(10)이 각형부(12)가 들어가며, 캡(40)의 너트 결합 구멍(43)의 안쪽에는 너트(30)가 들어간다.
(스냅링)
도 1을 참조하면, 스냅링(60)은 핀(10)에서 캡(40)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부재이다. 스냅링(60)은 없어도 된다. 스냅링(60)는 C 자 형상으로 한쪽이 열려있다.
스냅링(60)의 외경은 캡(40)의 원형 구멍(4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스냅링(60)의 두께는 캡(40)의 원형 구멍(41)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스냅링(60)은 캡(40)의 원형 구멍(41)에 적합하다.
스냅링(60) 내부의 3 개소에 돌출부(62)가 있다. 돌출부(62)는 C 자 형상의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 있다. 돌출부(62)는 핀(10)의 선단부(11)와 각형부(12)사이의 오목부(11a)에 결합된다. 스냅링(60)은 캡(40)의 원형 구멍(41)에 들어가 각공(42)주위의 캡(40) 접촉면을 줄이고 캡(40)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체결구 세트)
다음으로, 체결구(1)를 피 부착 부재(71,72)에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체결구(1)이 핀(10)에 너트(30), 캡(40) 및 스냅링(60)을 설치한 핀 조립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체결구(1)를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에 넣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정면도이다.
핀(10)의 선단 측(도 2의 우측)에서 너트(30)를 삽입하고 암나사(13)에 너트(30)를 나사 결합시킨다. 다음, 캡(40)을 삽입하고 너트(30)의 외주부를 캡(40)의 너트 결합 구멍(43)이 덮고 핀(10)의 각형부(12)의 외주부를 캡(40)의 각공(42)이 덮도록 한다. 이 때, 너트(30)와 핀(10)의 각형부(12)가 함께 캡(40)에 들어가도록 너트(30)를 나사 결합시키는 각도를 조정한다. 캡(40)의 너트 결합 구멍(43)과 각공(42)사이의 평면은 너트(30)의 전면에 접촉한다.
다음, 스냅링(60)을 캡(40)의 원형 구멍(41)에 넣고 스냅링(60)의 돌출부(62)를 핀(10)의 선단부(11)과 각형부(12)사이의 오목부(11a)에 결합한다. 이제 너트(30)는 핀(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제 도 2에는 핀 조립체가도시된다.
다음, 피 부착 부재(71,72)을 장착 구멍(73,74)가 맞게 겹친다. 도 14의 우측에서 핀(10), 너트(30), 캡(40) 및 스냅링(60)으로 형성된 핀 조립체를 핀(10)의 후단부(18)을 선두로하여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 74)에 삽입한다. 너트(30)의 후면이 피 부착 부재(72)의 장착 구멍(74) 주위에 접촉하면 핀 조립체의 이동은 정지한다.
다음, 핀(10)의 후단 측(도 14의 좌측)에서 칼라(20)를 삽입한다. 칼라(20)의 관통 구멍(24)의 내경은 핀(1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칼라(20)는 파지부(17), 파단 가능부(16)의 외주를 도 14의 우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칼라(20)의 면이 피 부착 부재(71)의 장착 구멍(73)의 주위에 접촉하면 칼라(20)의 이동은 정지한다. 이때 칼라(20)는 핀(10)의 결합부(15)의 외주에 위치한다.
(피 부착 부재의 체결)
다음, 체결구(1)에 의해 피 부착 부재(71,72)를 체결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2 개의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피 부착 부재(71,72)의 수는 2 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1 개의 피 부착 부재에 체결구(1)를 설치할 수 있다. 또는 3 개 이상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할 수 있다.
도 15는 체결구(1)에 의해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는 정면도이다.
체결 공구의 압착 부재(미도시)에는 선단부가 단면이 경사면으로 된다. 압착 부재의 선단부를 칼라(20)의 경사면(22)에 접촉시키고, 체결 장치의 파지부재(미도시)에서 핀(10)의 파지부(17)을 지지하여 핀(10)의 후단 측(도 14의 좌측)으로 당겨낸다.
칼라(20)는 압착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외경이 작아진다. 외경이 좁혀지고, 맞물린 후 칼라(20)는 참조 번호 20'로 표시된다. 경사면(22)은 경사를 이루지 않게 된다. 체결 공구의 압착 부재로 가압되어, 칼라(20')의 선단 측에 압착된 경사 면(22')이 형성된다. 칼라(20')의 관통 구멍(24)은 내경이 작아지고, 칼라(20')의 내면은 결합부(15)의 원둘레 홈에 결합된다. 이 동작으로 피 부착 부재(71,72)가 칼라(20') 와 너트(30)사이에 단단히 유지된다. 칼라(20')의 소성 변형이 커지면 가공 경화시 소성 변형이 어렵게 된다.
핀(10)에 걸리는 인장 응력이 파단 가능부(16)의 파단 한도를 초과하면 핀(10)은 파단 가능부(16)에서 파단되고 파단부(16')가 된다. 선단부(11)에서 파단 부(16') 까지 체결된 부분에 남아있다.
체결 공구의 압착 부재와 파지부재를 도 16의 왼쪽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체결 동작이 완료된다.
(피 부착 부재의 제거)
체결구(1)에 의해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하는 도 15,16의 상태에서 체결구(1)을 제거하고 피 부착 부재(71,72)의 체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은 피 부착 부재(71,72)에서 체결구(1)을 제거하는 중간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18는 완전히 제거한 후 사시도이다.
먼저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을 사용하여 스냅링(60)를 제거한다. 스냅링(60)을 제거하면 캡(40)를 분리할 수 있다.
캡(40)를 빼내면 핀(10)에 너트(30)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너트(30)를 역 회전하여 나사부(13)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17은 스냅링(60), 캡(40) 및 너트(3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핀(10)에서 너트(30)를 제거하면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에서 칼라(20')와 핀(10)을 후단 방향(도 18의 왼쪽 윗쪽)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8은 칼라(20')와 핀(10)을 당겨서 피 부착 부재(71, 72)의 체결을 해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칼라(20')는 핀(10)의 결합부(15)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분리 할 수 없다.
다시,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하려면 도 18의 상태에서 칼라(20')가 고정 된 핀(10)을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에 삽입하고 선단 측에서 너트(30)를 나사결합하여 캡(40)를 덥는다. 필요에 따라 스냅링(6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피 부착 부재(71,72)를 핀(10)의 결합부(15)에 결합하는 칼라(20')와 핀(10)의 나사부(13)에 나사 결합시키는 너트(30)에 의해 피 부착 부재(71,72)을 고정할 수 있다.
캡(40)이 각공(42)에 핀(10)의 각형부(12)가 삽입 유지되어 캡(40)의 너트 결합 구멍(43)에 너트(30)가 들어가서 유지된다. 핀(10)에 대해 너트(30)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을 때 너트(30)가 느슨해지거나 피 부착 부재(71,72)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한 후, 칼라(20')는 핀(10)에 맞물려진다. 그러나 스냅링(60), 캡(40) 및 너트(30)를 순서대로 제거하면 칼라(20')가 맞물려있는 핀(10)를 분리할 수 있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체결구(1')의 핀(10), 너트(30), 캡(50) 및 스냅링(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체결구(1')의 핀(10)에 너트(30), 캡(50) 및 스냅링(60)을 설치한 핀 조립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핀 조립체의 저면도, 도 22은 우측면도, 도 23은 좌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수지 캡(40)을 대신하여금속 캡(50)을 사용한다. 제 2 실시예의 캡(50)은 제 1 실시예의 캡(40)과 마찬가지로, 핀(10)에 대해 너트(30)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핀(10), 칼라(20), 너트(30) 및 스냅링(60)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핀(10). 칼라(20), 너트(30) 및 스냅링(60)과 동일하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냅링(60)은 없어도 좋다.
 도 24는 도 19의 체결구(1')의 캡(50)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정면도, 도 26은 우측면도이다.
캡(50)은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면부(51)가 있다. 핀 조립체의 상태는 평면부(51)가 너트(30)의 전면에 접촉한다.
캡(50)은 개구부의 마주 보는 단부에서 곡선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52)가 있다. 돌출부(52)는 선단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 지도록 연장된다. 돌출부(52)의 대향단부 사이의 거리는 핀(10)의 각형부(12)의 두면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고, 한 쌍의 돌출부(52) 사이에 핀(10)의 각형부(12)가 적합된다.
캡(50)에는 평면부(51)의 2 개의 단부로부터 곡선 연장되는 2 개의 곡선부(54) 가 있다. 만곡부(54)는 후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만곡부(54)의 선단은 굴곡부(53)에서 만곡되여 선단부(55)를 향해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다. 대향하는 굴곡부(53) 사이의 거리는 너트(30)의 두 측면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고, 한 쌍의 굴곡부(53) 사이에 너트(30) 적합된다.
도 20에 표시된 핀 조립체에는 돌출부(52)가 핀(10)의 선단부(11)의 두 면에 접촉한다.
굴곡부(53)는 너트(30)의 두 측면에 접촉한다.
스냅링(60)에는 캡(50))의 돌출부(52)의 선단에 접촉한다. 스냅링(60)의 돌출부(62)는 핀(10)의 선단부(11)와 각형부(12) 사이의 오목부(11a)에 결합된다. 캡(50)의 돌출부(52)가 핀(10)의 각형부(12)에 닿고, 캡(50)의 굴곡부(53)가 너트(30)의 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너트(30)는 핀(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스냅링(60)를 사용하여 핀(10)에 대해 너트(30)가 풀리지 않도록 유지되어 의도하지 않는 피 부착 부재(71,72)의 체결 해제가 방지된다.
또한,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한 후 스냅링(60), 캡(50) 및 너트(30)를 순서대로 제거하면 칼라(20)가 고정된 핀(10)를 분리할 수 있고, 피 부착 부재(71,72)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체결구(1")의 핀(10") 에 너트(80)와 압입 핀(85)을 설치한 핀 세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9은 정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체결구(1")은 제 1, 제 2 실시예의 너트(30)대신에 너트(80)와 압입핀(85)을 이용한다. 캡(40)과 스냅링(60)은 사용하지 않는다. 체결구(1")의 핀 조립체는 핀(10"), 너트(80) 및 압입핀(85)을 갖는다. 너트(80)의 직경 홈(83)과 핀(10")에 형성된 압입 핀 구멍(19)에 압입핀(85)을 통과한다. 압입핀(85)으로 인해 핀(10")에 대해 너트(80)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체결구(1")의 핀(10")은 각형부(12)가 없다. 핀(10")은 선단부(11"), 나사부, 원통부(14), 결합부(15), 파단 가능부(16), 파지부(17) 및 후단부(18)를 갖는다.
선단부(11")는 나사부의 연장된 부분에서 나사부와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며 테이퍼 형상으로 선단부가 가늘어진다. 선단부(11")의 중심에는 선단 측에서 너트(80)의 고정 부분(82)의 깊이까지 단면이 다각형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거시 공구(스패너 등)와 결합될 수 있다.
나사부(13")는 압입핀(85)을 삽입하기 위해 중심축을 통해서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압입 핀 구멍(19)이 형성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너트(30)대신에 너트(80)를 사용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80)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의 너트 부분(81)과 상기 너트 부분(81)에 인접한 고정 부분(82)을 갖는다. 너트 부분(81)과 고정 부분(82)에는 암나사(32)가 형성된다.
고정 부분(82)은 중심축을 통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직경 홈(83)이 형성된다.
압입핀(85)은 얇은 원통형 핀이며, 너트(80)의 직경 홈(83)에 삽입될 수 있고, 동시에 핀(10")의 압입 핀 구멍(19)에 삽입될 수 있다. 압입핀(85)이 너트(80)의 직경 홈(83)과 핀(10")의 압입 핀 구멍(19)에 삽입되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압입핀(85)이 너트(80)의 직경 홈(83)과 핀(10")의 압입 핀 구멍(19)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핀(10")에 대해 너트(80)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제 3 실시예에서도 핀(10")에 대해 너트(80)가 풀리지 않도록 유지되어 의도하지 않은 피 부착 부재(71,72)의 체결 해제가 방지된다.
또한, 피 부착 부재(71,72)을 체결한 후 압입핀(85)를 빼내어 핀(10")에서 너트(80)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피 부착 부재(71,72)의 장착 구멍(73,74)에서 칼라(20)가 고정된 핀(1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피 부착 부재(71, 72)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제 2 실시예보다 부품 수가 적고, 의도하지 않을 때 체결구(1")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며 제거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1,1', 1": 체결구 10,10": 핀
11,11": 선단부 11a: 오목부
12: 각형부 13: 나사부
14: 원통부 15: 결합부
16: 파단 가능부 16': 파단 부
17: 파지부 18: 후단부
19: 압입 핀 구멍 20:  칼라
20': 칼라 21: 원통부
22: 경사면 22': 압착 경사면
24: 관통 구멍 30: 너트
32: 암나사 40: 캡
41: 원형 구멍 42: 각공
43:  너트 결합구멍 50: 캡
51: 평면부 52: 돌출부
53: 굴곡부 54: 만곡부
55: 선단부 60: 스냅링
62: 돌출부 71: 피 부착 부재
72: 피 부착 부재 73: 장착 구멍
74: 장착 구멍 80: 너트
81: 너트 부분 82: 고정 부분
83: 직경 홈 85: 압입 핀

Claims (15)

  1.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에 있어서,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 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및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는 각공과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너트 결합용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기 각형부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상기 캡의 상기 각공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핀의 상기 각형부에 결합되기 위해 평면부의 일측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너트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평면부의 타측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각형부에 인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에서 상기 캡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질 수있는 스냅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결합부는 외주에 둘레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원통형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 인접하여 점차 외경이 가늘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8.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및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가지며, 파단 가능한 부분에서 파단되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 맞물리는 칼라,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너트 및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을 가지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는 각공과, 상기 너트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너트 결합용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핀의 각형부에 결합되기 위해 평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너트의 외주부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평면부의 타측에 형성된 굴곡 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각형부에 인접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스냅링이 끼워져서 상기 스냅링은 상기 캡이 핀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
  12.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면이 각형인 각형부,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
    상기 핀에 대해 상기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체결구를 준비하고,
    b) 상기 핀의 선단 측에서 상기 너트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에 상기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상기 너트와 상기 핀의 각형부의 외주에 상기 캡을 씌워 핀 조립체를 형성하며
    c) 상기 핀의 단부를 선두로 하여 상기 핀 조립체를 상기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너트를 상기 피 부착 부재에 접촉시키고,
    상기 칼라를 상기 핀의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 상기 칼라의 면이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 주위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d) 상기 칼라를 지지하고, 상기 핀의 파지부를 후단 측에서 빼내어 상기 칼라의 외주가 가압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맞물려, 상기 핀이 파단 가능부에서 파단되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상기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하는 체결 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통과하는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및
    외형이 육각형인 너트 부분과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압입 핀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압입 핀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14.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통과하는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가지며, 파단 가능한 부분에서 파단되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주부에 맞물리는 칼라,
    너트 부분, 상기 너트 부분에 인접한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핀의 상기 압입 핀 구멍과 상기 너트의 직경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핀에 대해 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압입 핀을 구비하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조.
  15.  장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피 부착 부재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며, 중심축을 통과하는 압입 핀 구멍이 형성된 나사부, 칼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는 파단 가능부, 및 체결 공구의 파지부재에 지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핀,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칼라,
    외형이 육각형인 너트 부분과 중심축을 통과하는 직경 홈이 형성된 고정 부분을 갖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
    상기 너트의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압입 핀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압입 핀을 구비하는 체결구를 준비하고,
    b) 상기 핀의 선단 측에서 상기 너트를 삽입하여 상기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너트의 직경 홈과, 상기 핀의 압입 핀 구멍에 압입 핀을 삽입하여 핀 조립체를 형성하며,
    c) 상기 핀의 단부를 선두로 하여 상기 핀 조립체를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너트를 피 부착 부재에 접촉시키고,
    상기 칼라를 핀의 결합부의 외주에 상기 칼라의 면이 피 부착 부재의 장착 구멍 주위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d) 상기 칼라를 지지하고, 상기 핀의 파지부를 상기 후단 측에서 빼내어 상기 칼라의 외주가 가압되고 상기 핀 결합부에 맞물려, 상기 핀은 파단 가능부에서 파단되고, 상기 칼라와 상기 너트 사이에 피 부착 부재가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0088446A 2015-07-17 2016-07-13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KR201700097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2642A JP2017025962A (ja) 2015-07-17 2015-07-17 締結具、締結構造及び締結方法
JPJP-P-2015-142642 2015-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62A true KR20170009762A (ko) 2017-01-25

Family

ID=5784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46A KR20170009762A (ko) 2015-07-17 2016-07-13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25962A (ko)
KR (1) KR20170009762A (ko)
CN (1) CN106351935A (ko)
TW (1) TW201708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216A1 (en) * 2017-09-22 2019-03-28 Arconic Inc. PRE-STRAP ADJUSTING LOCK BO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712A (zh) * 2018-12-29 2019-05-07 天津市盛立达机械设备有限公司 套入限位锁紧螺栓
WO2021010891A1 (en) * 2019-07-12 2021-01-21 Akribis Systems Pte Ltd Locating pin for dimensionally variable parts
AU2021333394A1 (en) * 2020-08-27 2023-03-23 Engentus Pty Ltd Fasteners, fastener arrangements and tools for application and/or release of fasteners
CN113107951B (zh) * 2021-04-09 2023-03-24 中航飞机起落架有限责任公司 一种螺栓连接螺母防松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216A1 (en) * 2017-09-22 2019-03-28 Arconic Inc. PRE-STRAP ADJUSTING LOCK BOLT
US11473605B2 (en) 2017-09-22 2022-10-18 Howmet Aerospace Inc. Preload controlled stud lockbo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1935A (zh) 2017-01-25
TW201708720A (zh) 2017-03-01
JP2017025962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762A (ko) 체결구, 체결구조 및 체결 방법
US11982303B2 (en) Captive shear bolt
US9500219B2 (en) Stud locking device
US20060067804A1 (en) Deforming member and captive fastener retaining method
JP4431773B2 (ja) セキュリティナット締結用工具、セキュリティナット解除用工具およびセキュリティナット締結兼解除用工具
KR20150077304A (ko) 볼트
US9009937B2 (en) Sleeve removal tool and sleeve removal method
CN110121602B (zh) 具有保持爪的用于限制转矩的装置
US11739782B2 (en) Quick—disconnect fastening system
GB2421555A (en) Tamper resistant fastener
EP0674109B1 (en) Insert nut and fastener
US6666639B2 (en) Threaded fastening device
KR101102103B1 (ko) 호스연결구의 조립방법
US20040182206A1 (en) Noback bolt
US10436237B2 (en) Fastener
EP2453142B1 (en) A blind rivet and fastening method thereof
JP2000145742A (ja) 付き回り防止雄ねじ部材
JP2013249850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その締結方法
JP6598346B1 (ja) セキュリティナット用着脱工具
JP2013087946A (ja) インサートナット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4725852B2 (ja) 取り外し防止具
WO2017213519A1 (en) Bolt with safety device for a bolt head and a method for releasing the bolt
JPH066730U (ja) ダブルロックナット
JP6567060B2 (ja) ファスナ及びファスナ取付具
JP2003106489A (ja) 管継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