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610A -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610A
KR20170009610A KR1020150101931A KR20150101931A KR20170009610A KR 20170009610 A KR20170009610 A KR 20170009610A KR 1020150101931 A KR1020150101931 A KR 1020150101931A KR 20150101931 A KR20150101931 A KR 20150101931A KR 20170009610 A KR20170009610 A KR 2017000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ctronic board
light irradiation
module
objec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동
Original Assign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610A/ko
Publication of KR2017000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레이저 선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전자보드 상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난반사된 레이저 광이 맺히는 복수의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광 검출 모듈, 및 광 조사 모듈의 위치와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각각의 위치 및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광 검출에 근거하여 객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Detection apparatus of object position for electronic board}
전자보드, 특히 전자보드 상에서 객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7064호에는 전자보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른 전자보드은 음파-전압 변환부와 연산부를 포함한다. 음파-전압 변환부는 관심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관심 영역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음하여 해당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한다. 그리고 연산부는 음파-전압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압 레벨에 따라 초음파가 반사된 위치를 연산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선광원을 이용하여 전자보드 상의 객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보드 상의 다중 객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는 레이저 선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전자보드 상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난반사된 레이저 광이 맺히는 복수의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광 검출 모듈, 및 광 조사 모듈의 위치와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각각의 위치 및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광 검출에 근거하여 객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광 조사 모듈은 레이저 점광(point light)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 및 조사된 레이저 점광을 선광(line light)으로 전환하는 전환 렌즈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다중 객체의 검출을 위해 광 조사 모듈은 복수이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광 조사 모듈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거나 서로 상이한 시점에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는 단일의 레이저 선광원을 이용하여 전자보드 상의 객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는 전자보드 상에 단일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중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객체들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객체 검출을 위한 광 모듈 배치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위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는 광 조사 모듈(100)과 광 검출 모듈(200) 및 프로세서(300)를 포함한다. 광 조사 모듈(100)은 전자보드 상으로 레이저 선광(line light)을 조사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광 조사 모듈(100)은 레이저 광원(110)과 전환 렌즈(120)를 포함한다. 레이저 광원(110)은 레이저 점광(point light)을 조사한다. 그리고 전환 렌즈(120)는 조사된 레니저 점광을 선광으로 전환하는 렌즈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 렌즈는 실린더리컬 렌즈이다. 조사된 레이저 선광(130)은 전자보드 상에 객체(400)가 존재할 경우에 객체(400)에서 난반사된다. 광 검출 모듈(200)은 둘 이상의 이미지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 검출 모듈(200)은 제 1 이미지센서(210)와 제 2 이미지센서(220)를 포함한다. 제 1 이미지센서(210)와 제 2 이미지센서(220)는 CCD(charge coupled deivce)일 수 있으며, 객체(400)에 의해 난반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를 통해 맺힐 경우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광 조사 모듈(100)과 광 검출 모듈(200)은 전자보드의 테두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보드의 코너에 배치된다. 그리고 광 조사 모듈(100)과 광 검출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는 단일 광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 모듈에 속하지 않는 이미지센서가 있을 경우, 그 이미지센서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광 조사 모듈(100)은 둘 이상일 수도 있다. 광 조사 모듈(100)이 하나만 있어도 객체 혹은 객체들을 검출할 수 있으나, 객체들일 경우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 의해 가려질 수 있어 하나의 광 조사 모듈(100)만으로는 객체들을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광 조사 모듈(100)은 복수일 수 있으며, 객체의 가리워짐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광 조사 모듈(100)이 복수일 경우에는 각각의 광 조사 모듈(100)은 광 검출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 이미지센서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다. 프로세서(300)는 광 조사 모듈(100)의 광 조사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이미지센서(210)와 제 2 이미지센서(220)의 노출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0)는 광 조사 모듈(100)의 광 조사 시간과 이미지센서의 노출 시간을 동기화할 수도 있다. 이 같은 프로세서(300)는 광 조사 모듈(100)의 레이저 광원(110)과 객체를 검출한 제 1 이미지센서(210) 및 제 2 이미지센서(220)의 위치차이를 이용하여 삼각법으로 객체의 위치를 산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선광은 객체(400)에서 난반사되어 제 1 이미지센서(210)와 제 2 이미지센서(220)에 맺히게 된다. 두 이미지센서에 레이저 광이 맺히게 되면, 프로세서(300)는 레이저 광원(110)의 위치와 광이 반사되는 위치에 따른 이미지센서들의 위치차이를 이용하여 삼각법으로 객체의 위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참고로, 선광원의 경우에는 두 이미지센서 사이의 대응점을 계산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도 2에 예시된 바로부터 삼각법 위치 산출을 위한 연산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자명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객체 검출을 위한 광 모듈 배치 예시도이다. 다중 객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멀티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광 모듈들(101, 102, 103, 10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전자보드의 각 코너에 제 1 광 모듈(101)과 제 2 광 모듈(102)과 제 3 광 모듈(103) 및 제 4 광 모듈(104)이 배치되어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복수의 광 모듈은 광 조사 모듈만일 수도 있으며, 광 조사 모듈과 광 검출 모듈이 일체화된 모듈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복수의 광 검출 모듈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으로부터 확인되듯이, 제 3 광 모듈(103)의 레이저 광의 경우에는 제 1 객체(410)에서 반사되는 것이 가능하나, 제 2 객체(420)에서는 반사될 수가 없다. 제 1 객체(41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 2 객체(420)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제 1 광 모듈(101)이나 제 2 광 모듈(102) 또는 제 4 광 모듈(104)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광 조사 모듈들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거나 서로 다른 시점에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이에 맞춰 대응되는 광 검출 모듈만이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이미지센서의 노출 시간을 대응되는 광 조사 모듈의 레이저 광 조사에 맞춰 제어할 수 있다. 즉, 멀티 터치 검출을 위해 주파수 동기화 또는 시간 동기화를 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 조사 모듈 110 : 레이저 광원
120 : 실린더리컬 렌즈 200 : 광 검출 모듈
210 : 제 1 이미지센서 220 : 제 2 이미지센서
300 : 프로세서

Claims (5)

  1. 레이저 선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
    전자보드 상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난반사된 레이저 광이 맺히는 복수의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광 검출 모듈; 및
    광 조사 모듈의 위치와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각각의 위치 및 복수의 이미지센서들의 광 검출에 근거하여 객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 조사 모듈은 :
    레이저 점광(point light)을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 및
    조사된 레이저 점광을 선광(line light)으로 전환하는 전환 렌즈;
    를 포함하는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중 객체의 검출을 위해 광 조사 모듈은 복수이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 조사 모듈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 조사 모듈은 서로 상이한 시점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KR1020150101931A 2015-07-17 2015-07-17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KR20170009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31A KR20170009610A (ko) 2015-07-17 2015-07-17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31A KR20170009610A (ko) 2015-07-17 2015-07-17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610A true KR20170009610A (ko) 2017-01-25

Family

ID=5799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931A KR20170009610A (ko) 2015-07-17 2015-07-17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921B2 (ja) Tof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より距離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
KR101975971B1 (ko) 깊이 카메라, 다중 깊이 카메라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동기 방법
KR101652393B1 (ko)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20500310A5 (ko)
WO2012147496A1 (ja) 物体検出装置および情報取得装置
JP6805504B2 (ja) 距離測定装置、移動体装置及び距離測定方法
JP2014122789A (ja) 情報取得装置、投射装置および物体検出装置
WO2018173720A1 (ja) 電磁波検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磁波検出システム
WO2014108976A1 (ja) 物体検出装置
JP2013124985A (ja) 複眼式撮像装置および測距装置
JP2016009474A (ja) 物体識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623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epth image
US9235947B2 (en) Subject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US202202560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4070936A (ja) 誤差画素検出装置、誤差画素検出方法、および誤差画素検出プログラム
EP3156825B1 (en) Dimensioning system with multipath interference mitigation
JP2016045161A (ja) 付着物検知機能付き測距装置
KR20170009610A (ko)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KR101690269B1 (ko) 전자보드용 객체 위치 검출 장치
JP5533739B2 (ja) 光学情報読み取り装置
JP2015200566A (ja)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および距離測定プログラム
JP6379646B2 (ja) 情報処理装置、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92755A (ja) 測距装置
JP2014194341A (ja) 物体検出装置および情報取得装置
JP2017032391A (ja) 距離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