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624A -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624A
KR20170008624A KR1020150100022A KR20150100022A KR20170008624A KR 20170008624 A KR20170008624 A KR 20170008624A KR 1020150100022 A KR1020150100022 A KR 1020150100022A KR 20150100022 A KR20150100022 A KR 20150100022A KR 20170008624 A KR20170008624 A KR 2017000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word
foreign language
sentence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남
Original Assignee
최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남 filed Critical 최형남
Priority to KR102015010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624A/ko
Publication of KR2017000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6F17/27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문장 학습 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형 암기 학습법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토리 기반의 내용을 모국어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과정중 주요 학습 지점에서 외국어 문장이 표현되어지고, 이 문장에 사용된 단어들이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래밍으로 연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특정 학습구간에 추출되어 학습시킴으로서 기억률을 높여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정해진 특정 학습 구간에서 문장에 사용되었던 단어들이 추출되어지고 이것을 활용하여 기억의 연상 작용을 높여 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국어로 전개되는 스토리라는 내용과 사용된 외국어 문장, 그리고 추출된 단어가 하나의 기억의 묶음으로 연상되게 하여 단어암기력과 문장 이해력을 동시에 높여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외국어 문장학습 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형 암기학습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EXTRACTING WORDS STUDYING SYSTEM FROM FOREIGN LANGUAGE SENTENCE COURSE}
본 발명은 외국어 문장 학습 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형 암기 학습법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토리 기반의 내용을 모국어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과정중 주요 학습 지점에서 외국어 문장이 표현되어지고, 이 문장에 사용된 단어들이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래밍으로 연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특정 학습구간에 추출되어 학습시킴으로서 기억률을 높여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정해진 특정 학습 구간에서 문장에 사용되었던 단어들이 추출되어지고 이것을 활용하여 기억의 연상 작용을 높여 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국어로 전개되는 스토리라는 내용과 사용된 외국어 문장, 그리고 추출된 단어가 하나의 기억의 묶음으로 연상되게 하여 단어암기력과 문장 이해력을 동시에 높여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외국어 문장학습 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형 암기학습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주로 한국에서는 영어) 학습 방법은 과거 책과 강사의 강의에 의존하다가 현재 인터넷 및 모바일/컴퓨터 프로그램 기술의 발달에 의해 모니터 내지 이동통신단말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매개로 인터넷 사이트, 모바일 페이지 등에서 외국어 단어학습 및 문장학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화되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오프라인 전통학습법과 최근의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은 동일한 방식의 학습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 방법은 단어학습, 문장학습, 읽기, 듣기, 쓰기 등 각각의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되어져 학습을 시키는 것이 일반화 되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학습 방법에서 대두되는 문제점은 단어학습으로 단어를 암기하고 문장은 문장학습대로 읽고, 듣고, 독해하는 등 각 학습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되어지므로 단어를 암기하였다 하여도 이것을 쉽게 문장으로 적용하여 영어를 사용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노출되어 왔었다
즉, 단어 따로 문장 따로 학습법에 의하여 단어는 많이 암기하였지만 막상 문장으로 매칭 하려면 머릿속에 단어들이 떠오르지 않는다거나 문장으로 만들지를 못한 다거나 하는 등의 매우 어려워했던 것이 외국어 학습에서의 일반적으로 노출된 문제점 이었다
본 발명자의 오랜 연구 결과, 외국어를 잘하는 사람이나 실제 외국에서 영어를 공부할 때 주요한 방법으로서 단어 하나하나를 암기하는 학습이 아닌 문장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면서 그 속에 적용된 단어를 저절로 외우게 된 경우가 더욱 기억 속에 오래 남고, 단어를 암기하는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문장을 사용하면서 사용된 단어의 뜻을 이해하고 학습했기 때문에 실제 외국어 사용 시에도 저절로 단어가 입에서 쉽게 나오는 결과를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의 효율성과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외국어를 이야기로 배우며 문장을 먼저 이해하고 의미를 알게 된 후 그 속에 사용된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짚어주며 이야기 전개 내용과 함께 사용된 문장의 이해 그리고 그 속에 사용된 단어의 뜻을 역 추적 하듯 외워 나가게 하는 방식으로 기억 연상 작용의 꼬리가 물리며 저절로 외워지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외국어 암기능력 향상 제공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국어 문장들을 포함하고 있는 스토리 기반의 콘텐츠 예컨대 동화 및 만화이야기 등 영어 문장들로 이야기가 구성된 내용과 문장에 적용된 단어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특정 구간별로 문장에 사용된 단어들을 추출하여 이야기 내용, 사용된 외국어 문장, 그리고 여기에 적용된 단어를 반복적으로 기억의 연상 작용을 일으키도록 설계된 학습프로세스가 포함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어 능력 향상의 비법은 반복에 있다는 차원에서 외국어 단어리스트가 기억 작용의 매개제가 되어 단어를 클릭하면 단어가 사용되었던 이야기 내용 부분과 사용된 문장이 순차적으로 보여 지며 이미 이해한 이야기 내용과 외국어 문장이 도출되면서 기억의 재 상기를 시키며 단어의 뜻을 명확하게 학습하도록 하고, 이것이 이동 저장되어져서 이후 지속적으로 학습자가 단어를 학습하면서 그 뜻을 보려 할 때 학습한 이야기 내용과 사용된 문장이 묶음으로 지속 제공되고, 이런 가벼운 반복을 통해 기억력을 자극하여 주며 단어, 문장, 이야기 내용을 하나의 추억처럼 뇌에 저장되고 오래도록 기억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모국어 이야기 구조로 구성된 스토리와 학습할 외국어 문장을 포함하여 준비된 문장 데이터베이스와, 이 문장에 적용된 외국어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적용된 시점의 스토리 부분과 문장내용을 포함단어핵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어리스트가 특정 구간에서 추출되도록 설계된 학습 프로그래밍과,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각 문장이 사용된 핵심어를 저장하는 핵심어 저장부를 포함한 핵심어 파악모듈을 포함한 문장 분석 인터페이스; 상기 외국어 문장 및 사용된 스토리 부분을 데이터로 포함한 학습창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매개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창 제공모듈과, 학습자에게 상기 문장에서 사용된 핵심단어를 선택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선택한 단어와 상기 핵심 문장 및 스토리 데이터를 비교 처리하여 스토리 전개순서로 화면에 제공하는 인터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1) 단어의 뜻을 단순하게 암기하는 틀을 벗어나 기억된 스토리 구조와 여기에 적용된 문장을 이해하고 학습하며 단어의 적용을 이해하고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방식을 제공하여 외국어 단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문장과 함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2) 학습자가 단어를 스스로 클릭하도록 하여 적용된 문장을 이해하고 기억을 상기하며 외국어 문장학습도 병행하도록 하면서,
3) 문장이 적용된 스토리 상황과 함께 핵심문장을 단어와 매칭하여 학습자가 집중력을 잃지 않으면서 보다 쉽게 단어의 뜻과 문장의 적용 그리고 문장이 적용된 실제 상황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4) 외국어 학습에서의 핵심영역인 문장과 단어 그리고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는 실제 상황을 함께 기억에 저장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외국어 지문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독해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은 외국어 구사 능력을 학습자로 하여금 쉽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외우기 어려운 단어의 기억력을 향상시키면서 외국어가 활용된 상황과 지문을 동시에 기억의 연상 작용으로 끌어들임으로서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시하는 것으로 크게 두 개의 인터페이스로 구성이 되어 있는바, 외국어 지문과 사용된 상황 및 연동된 단어를 상호 연결 지으며 연상 작용 하도록 설계된 핵심 단어 데이터베이스부 (100)와, 제공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프로그래밍의 진행에 의해서 스토리를 보고, 사용된 지문을 이해하며 연관된 단어를 연상하고 학습하며 기억을 지속적 재상기 시키도록 설계된 학습 프로그래밍이 제공되는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부(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핵심 단어 데이터베이스(100)는 학습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제공되는 스토리 영상과 사용된 외국어 지문과 핵심단어를 연관 지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모국어 스토리 전개 영상파일 데이터부(110), 외국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부(120), 외국어 지문 사용 비교 추출부(130), 핵심단어 데이터베이스부(140), 핵심어 단어 파악모듈(150)로 구성되어 있다.
모국어 스토리 전개 영상파일 데이터부(110)는 학습자가 외국어가 사용되는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토리 전개방식의 영상파일이 학습커리큘럼에 맞도록 외국어 지문과 연동되어지도록 구성된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진 곳이다. 예컨대 영어에서 “I am hungry"라는 문장이 사용되기 위하여 만화형태 또는 애니메이션 영상 등의 형태의 스토리로 상황을 전개해 나가는데, 스토리 내용 속에서 배고픈 특정 상황이 전개되며 주인공 또는 다른 조연이 배가 너무 고픈 상황을 연출하며“I am hungry"라는 문장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I am hungry"라는 문장 지문과 이 상황을 연출하는 스토리 영상 파일과, 사용된 단어 "Hungry"가 상호 연동되도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언제든지 특정 단어나 문장을 검색 또는 클릭 등의 이벤트를 주게 되면 해당 영상파일을 불러올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부(120)는 본 발명의 지문을 구성하는 개별 문장의 의미와 사용례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록한 것으로서, 스토리 상황에 의해서 사용된 외국어 지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외국어 지문 데이터베이스(120)는 단어학습과정에서 단어의 의미를 학습자가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더 나아가 후술할 핵심단어 파악 모듈(150)에서 단어 목록에서 단어의 뜻이나 활용사례를 학습자가 파악하고자 할 경우 제공될 뿐 아니라 후술할 학습트레이닝 시스템(210)에서 학습자의학습과정에서 정해진 커리큘럼 순서에 의하여 문장을 추출하고 학습자를 학습시키는 과정에서이용 되기도 한다.
외국어 지문 사용 비교 및 추출부(130)은 학습자가 단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스토리 전개상에서와 외국어 지문학습과정에서 상기 해당 단어가 사용된 사례를 보여줌에 있어서 다수의 문장과 상황에서 단어가 사용되었을 경우 스토리 전개순서를 고려하여 스토리 초반부에 사용된 사례부터 순차적으로 문장을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제로 한 단어는 스토리 전개과정에서 여러 문장에 사용됨이 빈번하며 또한 자주 사용된 단어의 문장 지문을 순차적으로 스토리 전개 상황 순서와 비교하며 지문을 추출해 줌으로서 스토리 전반의 내용을 이해한 학습자로 하여금 기억을 상기시키고 반복시킴으로서 학습효율을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외국어 지문사용 비교 및 추출부(130)은 문장의 사용된 사례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을 순차적으로 밟아가게 함으로서 학습효율을 높여주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핵심 단어 파악모듈(140)은 학습자가 배워야할 단어 리스트를 미리 정해진 커리큘럼에 의하여 정리하여 저장한 데이터부로서 단어 하나하나마다 사용된 외국어 지문과 적용된 스토리상에서의 영상 파일들을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핵심 단어 파악모듈(15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110, 120, 130, 140 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배워야할 단어리스트 커리큘럼상의 순서에 의하여 핵심단어를 추출시키는 핵심단어 추출부(151)과 핵심 단어가 사용된 시점의 영상파일을 불러올 수 있도록 설계된 스토리 영상 파일 추출부(152)와 소토리 전개상 핵심 단어를 사용한 외국어 핵심지문을 파악하고 불러올 수 있도록 설계된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1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 영상파일 추출부(152)와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153)은 상호 연동되어 학습자가 매칭이 되는 핵심 단어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동 학습프로그램에 의하여 단어학습이 전개되는 시점에서 상기 영상파일 추출부(152)와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153)은 동시에 화면에 출력되어지고 플레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2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 코스와 이것을 기반으로 화면에 데이터를 제공 및 추출하도록 설계된 학습 트레이닝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200)은 상기 핵심단어 데이터 베이스(100)에서 분석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환경으로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학습자가 학습프로그램으로 트레이닝 되어질 수 있도록 학습트레이닝 모듈(210)을 포함하고 있는데, 학습트레이닝 모듈(210)은 학습자에게 스토리가 일정부분 진행이 된 시점을 1개 구간으로 하여 지정된 구간마다 자동으로 학습 코스가 학습자의 화면에 제시되고 학습자마다 상기 학습코스대로 학습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핵심단어 구간별학습 실행부(211)을 실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핵심단어 구간별 학습 실행부(211)은 핵심 단어 데이터 베이스(100)내에 핵심단어 데이터 베이스부(140)과 핵심단어 추출부(151)의 데이터를 불러와서 학습자의 화면에 실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핵심단어 구간별 학습 실행부(211)은 정해진 구간 내에 배워야 할 단어 리스트를 상기 핵심단어 추출부(150)으로부터 불러오고 또한 단어의 뜻 및 단어가 사용된 지문과 연동된 정보 등을 내장한 핵심단어 데이터베이스부(140)으로부터 불러와서 단어와 관련된 정보 즉, 단어의 뜻, 발음 나래이션, 배워야할 단어 리스트 등을 한 화면에서 실행되도록 조합하여 제작된 핵심단어 구간별 학습 실행부(211)이다. 또한 상기 핵심단어 구간별 학습 실행부(211)은 스토리 기반의 영상의 특정 구간을 자동 실행되는 지점으로 설정하여 스토리 이야기가 일정부분 진행이 도달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 학습자에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으로 유도하고, 실제 학습을 학습자가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단어선택 데이터 베이스 제공부(212)는 학습자 환경의 화면에서 특정 시점의 스토리에 적용된 단어들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학습자가 특정 단어를 직접 터치 및 클릭하도록 유도하고, 특정 단어를 선택할 시에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213)과 스토리 영상전개 추출부(214)를 가동하여 화면상에서 학습자에 의하여 선택되어진 단어의 정보 즉, 단어가 사용된 스토리상의 이야기 영상 부분과 이 때 사용된 지문 리스트 및 상기 선택된 단어의 뜻과 음성 등을 포함하여 화면에 출력되어 지도록 실행 한다.
도 3는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절차를 밟아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 학습을 제공하는바, 물론 이에 대해서 상기 구성의 설명을 통해 언급을 하였으나 정리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핵심단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수록되어 외국어 지문으로 제공되는 각각의 지문과 스토리 영상과 단어에 대해서 데이터를 분류 저장하여 영상을 플레이 시킨다
그 다음, 상기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200)에 포함된 학습트레이닝 모듈(210)에 의하여 학습구간으로 설계되어 자동 플레이 되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 학습구간에 도달하기 이전까지는 계속 스토리 영상을 전개하다가 특정 시점에 도달함이 파악되면 학습창에 핵심단어를 제시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한다. 물론 이것은 자동 프로그램에 의하여 학습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핵심단어들을 스토리 영상에 표현된 순서대로 하나씩 자동으로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학습자에게 모니터 내지 터치스크린을 통해 핵심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학습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동 선택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 단어의 이벤트 기능이 실행되어져서 단어가 사용된 특정 지점의 스토리 영상과 사용된 지문이 화면에 출력되어지면서 영상과 음성이 함께 출력되며 학습자로 하여금 스토리 내용의 기억을 상기시키며 자연스럽게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 다음 학습자가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학습한 단어를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학습한 단어들로 저장하게 된다. 그 다음 학습자가 배운 단어 복습하기를 터치 및 클릭하면 다시 핵심단어 제시 및 선택 과정으로 반복하여 하습자가 다시 이미 학습한 단어에 대하여 스토리 영상화면 및 사용된 지문과 함게 반복하여 복습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핵심 단어 데이터베이스
110 모국어 스토리 전개 영상파일 데이터부
120 외국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부
130 외국어 지문 사용 비교 및 추출부
140 핵심단어 데이터베이스부
150 핵심단어 파악모듈
151 핵심단어 추출부
152 스토리 영상 파일 추출부
153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
200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
210 학습트레이닝 모듈
211 핵심단어 구간별 학습 실행부
212 단어선택 데이터베이스제공부
213 핵심지문 파악 추출부
214 스토리 전개 영상 추출부

Claims (1)

  1.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외국어 지문과 사용된 상황 및 연동된 단어를 상호 연결 지으며 연상 작용 하도록 설계된 핵심 단어 데이터베이스부와, 제공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프로그래밍의 진행에 의해서 스토리를 보고 사용된 지문을 이해하며 연관된 단어를 연상하고 학습하며 기억을 지속적 재상기 시키도록 설계된 학습 프로그래밍이 제공되는 단어학습제공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어, 학습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제공되는 스토리 영상과 사용된 외국어 지문과 핵심단어를 연관 지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여 제공되는 핵심 단어 데이터베이스부, 모국어 스토리 전개 영상파일 데이터부, 외국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부, 외국어 지문 사용 비교 추출부, 핵심단어 데이터베이스부, 핵심어 단어 파악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1020150100022A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8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22A KR20170008624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22A KR20170008624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24A true KR20170008624A (ko) 2017-01-24

Family

ID=5799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22A KR20170008624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38A (ko) * 2017-09-22 2019-04-01 김효식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38A (ko) * 2017-09-22 2019-04-01 김효식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éguinot Understanding why translators make mistakes
KR101148790B1 (ko)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JP2018091978A (ja) 学習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rookes Critical language pedagogy
Woore Thinking aloud about L2 decoding: an exploration of the strategies used by beginner learners when pronouncing unfamiliar French words
Subekti et al. Vocabulary Acquisition Strategies of Indonesian Postgraduate Students through Reading.
Watts et al. Is systematic synthetic phonics enough? Examining the benefit of intensive teaching of high frequency words (HFW) in a year one class
KR20110096425A (ko) 영어 학습법, 그 장치 및 출판물
Wijaythilake et al. Instruction matters to the development of phoneme awar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akshara knowledge and word reading: Evidence from Sinhala
KR102031482B1 (ko)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JP2019513243A (ja) 言語学習インターフェース
Godwin-Jones Emerging technologies
Herwanto et al. UKARA: A fast and simple automatic short answer scoring system for Bahasa Indonesia
Murphy et al. Corpus types and uses
KR101296747B1 (ko) 문장구성요소의 순차적 배열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70008624A (ko)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Woore Beginner learners' progress in decoding L2 French: Transfer effects in typologically similar L1-L2 writing systems
Zulkifli Applying pause analysis to explore cognitive processes in the copying of sentences by second language users
Stockwell Investigating an Intelligent System fo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Abdumanapovna The Use of Technology in Corpus Linguistics
Yang et al. Learning to construct English (L2) sentences in a bilingual corpus-based system
Crosthwaite Corpora for Language Learning: Bridging the Research-practice Divide
Hirsh Learning vocabulary
Rahimadinullah et al. Development of Word Root-Based Digital Dictionary for Shorof Mastery
ABDINAZAROV ENHANCING READING SK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