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38A -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38A
KR20190033738A KR1020170122261A KR20170122261A KR20190033738A KR 20190033738 A KR20190033738 A KR 20190033738A KR 1020170122261 A KR1020170122261 A KR 1020170122261A KR 20170122261 A KR20170122261 A KR 20170122261A KR 20190033738 A KR20190033738 A KR 2019003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sentence
story
wor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871B1 (ko
Inventor
김효식
김드보라
Original Assignee
김효식
김드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식, 김드보라 filed Critical 김효식
Priority to KR102017012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6F17/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수자가 복수의 스토리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학습자가 단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제시할 때, 관련 그림 또는 사운드를 함께 제시하여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단어를 습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어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암기된 단어를 활용하여 스토리의 배경 또는 캐릭터의 심층을 묘사 작성하게 하는 것이며, 또한,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 및 발표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어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Language teaching method and system using teaching media}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수자가 복수의 스토리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학습자가 단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제시할 때, 관련 그림 또는 사운드를 함께 제시하여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단어를 습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어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암기된 단어를 활용하여 스토리의 배경 또는 캐릭터의 심층을 묘사 작성하게 하는 것이며, 또한,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 및 발표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어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외국어를 익히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유년기부터 외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실정이나, 효과는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보통의 언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는 한정된 양의 전형적인 문장의 구조를 암기하거나 분석함으로서 문장을 만드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생소하기도 하고 단어와 발음, 문장의 표현까지 모국어와는 다르기 때문에 익히는 데 쉽지 않아 흥미를 잃고 포기하는 경향이 많다.
이에 따라, 언어 학습을 위해 많은 암기법과 교수법들이 존재하기는 하나, 회화를 연결하여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회화 문장의 공부도 대부분 외우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의 언어 학습은 교사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주입시키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습득에 맞추어야 하며, 학습자가 모국어를 스스로 만들어 표현하듯이 외국어도 스스로 만들어 표현하게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언어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완하고자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A) 10-2010-0111331(공개일: 2010.10.1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교수자가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스토리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자에게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을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단어가 공란으로 표현된 문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상기 단어로 문장을 작성할 때, 상기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게 하도록 하고 작성된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와 토론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상기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게 하고, 작성된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드라마를 촬영 및 발표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 단계,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 단계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는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부,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부,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부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부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제시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자 문장은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 및 단말기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스토리의 단어 또는 문장이 학습자에게 제시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하므로, 학습자가 단어 또는 문장을 모국어처럼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장이 학습자에게 제시될 때, 단어 부분이 공란으로 표현되어 제시되므로, 학습자가 단어를 논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단어로 문장을 작성할 때,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게 하고, 작성된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와 토론을 하게 하여,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단어를 암기하고, 어법을 습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 시키고, 드라마를 촬영 및 발표하게 하므로, 단어 또는 문장을 사용할 때 긴장감을 주게 되어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의 단계 중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중 단어 제시 및 암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서버(100),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는 학습자 또는 교수자의 인원 수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기(2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기(2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기(3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단말기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는 학습자 및 교수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PC, PDA, 스마트 폰 등의 통산의 단말기이다.
또한,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외국어 학습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의 서버(10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100)의 저장부(10)에는 언어 학습에 필요한 교재의 데이터가 저장되며,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가 접속하여 언어 습득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교재는 교수자가 가르치고자 하는 외국어로 작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는 동화, 우화, 영화 또는 위인 전기 등의 내용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는 서버(100)의 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새로운 스토리를 저장부(10)에 추가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토리는 교수자 단말기(300)를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0)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부(10)는 내장메모리디스크, 외장메모리디스크 등과 같은 하드디스크가 포함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200)는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기(200)는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출력부(20) 및 입력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구성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300)는 언어를 가르치고자 하는 교수자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교수자 단말기(300)는 언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출력부(20) 및 입력부(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20)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출력하기 위해 출력부(20)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모니터,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입력, 녹음 또는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입력, 녹음 또는 촬영하기 위해 입력부(30)는 키보드, 마이크,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텍스트 및 이미지는 손으로 터치하여 입력 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는 상기 스토리의 단어, 문장 및 모국어 뜻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200) 또는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새로 작성된 텍스트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은,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 단계(S10),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S20),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 단계(S30)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 단계(S40)를 포함한다.
문장 추출 단계(S10)는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스토리의 선정은 상기 교수자가 파악한 상기 학습자의 언어 실력에 기초하여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장 추출 단계(S10)는 상기 학습자의 언어 실력에 기초하여 선정되므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외국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S20)는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된 단어는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에 출력된 상기 추출된 단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리메이크 대본 작성 단계(S30)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리메이크 대본은 상기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메이크 대본은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상기 추출된 단어를 고민하게 되고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암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메이크 대본은 문장으로 작성하게 되므로,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반복적으로 작성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어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드라마 촬영 및 발표 단계(S40)는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연기한 모습은 학습자 단말기(200) 또는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연기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리메이크 대본에는 상기 추출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추출된 단어를 다시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암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상기 학습자 또는 다른 학습자는 연기한 모습을 발표하기 때문에 긴장하게 되어 상기 추출된 단어를 자연스럽게 암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리메이크 대본 역시 암기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어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의 단계 중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S20)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S20)는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 단계(S21)를 더 포함한다.
빈칸 문장 제시 단계(S21)는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빈칸 문장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는 상기 빈칸 문장에 알맞은 상기 추출된 단어를 고민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추출된 단어를 반복하게 되며, 암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S20)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 단계(S22)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 단계(S23)를 더 포함한다.
문장 작성 단계(S22)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학습자 문장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문장은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작성되므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추출된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암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어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학습자 문장을 작성할 때,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묘사를 통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의 암기 또는 문장의 어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되며,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암기할 수 있게 된다.
토론 단계(S23)는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의견은 다른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의견 역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작성되므로, 상기 다른 학습자가 상기 추출된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암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의견을 작성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어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은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제시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하게 되면, 상기 외국어인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은, 문장 작성 단계(S22), 토론 단계(S23), 리메이크 대본 작성 단계(S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문장, 상기 다른 학습자의 의견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견을 코멘트 하는 피드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드백 단계에서 상기 교수자의 의견은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교수자의 의견은 상기 상기 학습자 문장, 상기 다른 학습자의 의견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 중 적어도 하나의 어법에 대한 의견이며, 이에 따라, 상기 학습자는 자신들이 작성한 단어 또는 문장의 사용에 대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부(510),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부(520),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부(530)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부(540)를 포함한다.
문장 추출부(510)는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의 선정은 상기 교수자가 파악한 상기 학습자의 언어 실력에 기초하여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는 서버(100)의 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새로운 스토리를 저장부(10)에 추가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토리는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는 상기 스토리 뿐만 아니라,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 단어, 학습자 문장, 의견 및 촬영 등의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30)를 통해 생성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어 제시 및 암기부(520)는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상기 단어의 추출은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단어는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리메이크 대본 작성부(530)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한다. 이때, 상기 리메이크 대본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 중 단어 제시 및 암기부(5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어 제시 및 암기부(520)는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부(52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란 부분은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처리하여 상기 빈칸 문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빈칸 문장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단어 제시 및 암기부(520)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부(522)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부(523)를 더 포함한다.
문장 작성부(522)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한다. 이때, 상기 학습자 문장은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며, 상기 학습자 문장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토론부(523)는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한다. 이때, 상기 의견은 다른 학습자 단말기(2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학습자 단말기(200)의 출력부(20)에서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제시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한다.
또한,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100), 학습자 단말기(200) 및 교수자 단말기(300)에 구성된다.
한편,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500)은 상기 학습자 문장, 상기 다른 학습자의 의견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견을 코멘트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수자의 의견은 교수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장부 20: 출력부
30: 입력부 100: 서버
200: 학습자 단말기 300: 교수자 단말기
500: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510: 문장 추출부 520: 단어 제시 및 암기부
521: 빈칸 문장 제시부 522: 문장 작성부
523: 토론부 530: 리메이크 대본 작성부
540: 드라마 촬영 및 발표부

Claims (11)

  1. 학습자에게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언어 교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 단계;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 단계;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는,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제시 및 암기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제시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문장은,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6. 학습자에게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언어 교수 시스템에 있어서,
    교수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스토리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스토리로부터 스토리 문장을 추출하는 문장 추출부;
    상기 스토리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단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어 제시 및 암기부;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리메이크 대본을 작성하는 리메이크 대본 작성부; 및
    상기 리메이크 대본을 활용하여 상기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가 연기한 모습을 촬영하고 발표하는 드라마 촬영 및 발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스토리 문장에 상기 추출된 단어 부분을 공란으로 처리하여 생성한 빈칸 문장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빈칸 문장 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추출된 단어를 활용하여 학습자 문장을 작성하는 문장 작성부; 및
    상기 학습자 문장에 대해 다른 학습자의 입력을 기초로 의견을 코멘트하는 토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상기 빈칸 문장을 제시할 때, 모국어 뜻,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문장은,
    상기 선정된 스토리의 배경 및 캐릭터의 심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11. 제6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 및 단말기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시스템.
KR1020170122261A 2017-09-22 2017-09-22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5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1A KR102057871B1 (ko) 2017-09-22 2017-09-22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61A KR102057871B1 (ko) 2017-09-22 2017-09-22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38A true KR20190033738A (ko) 2019-04-01
KR102057871B1 KR102057871B1 (ko) 2020-01-22

Family

ID=6610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61A KR102057871B1 (ko) 2017-09-22 2017-09-22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660A (ja) * 2002-10-15 2004-05-13 Eigyotatsu Kofun Yugenkoshi マルチメディア外国語センテンス作成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00111331A (ko) 2009-04-07 2010-10-15 정관선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시스템 및 언어학습방법
KR20110132726A (ko) * 2010-06-03 2011-12-09 박향희 문장에 제시된 공란을 채우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70008624A (ko) * 2015-07-14 2017-01-24 최형남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660A (ja) * 2002-10-15 2004-05-13 Eigyotatsu Kofun Yugenkoshi マルチメディア外国語センテンス作成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00111331A (ko) 2009-04-07 2010-10-15 정관선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시스템 및 언어학습방법
KR20110132726A (ko) * 2010-06-03 2011-12-09 박향희 문장에 제시된 공란을 채우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70008624A (ko) * 2015-07-14 2017-01-24 최형남 외국어 문장 학습과정을 통한 단어 추출 학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871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g et al. An evaluation of primary English textbooks in Vietna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Cushman Wampum, Sequoyan, and story: Decolonizing the digital archive
Godwin-Jones Integrat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nto language learning through technology
US9478143B1 (en) Providing assistance to read electronic books
US20170017642A1 (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Martin et al. Would you watch it? Creating effective and engaging video tutorials
US11320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ose a story for a user depending on an attribute of the user
Nussbaum et al. Students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and use sign language: Consideration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spoken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Krčelić et al. A picture and a thousand words: Visual tools in ELT
Artamonova et al. Smartphone-based language practices among refugees: mediational repertoires in two families
Marlina Curriculum development in global Englishes
US20230116410A1 (en) System of Language Learning with Augmented Reality
KR101662753B1 (ko) 언어발달 장애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KR2011002488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83522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a cross-cultural communication dynamic
KR102057871B1 (ko) 교수 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수 방법 및 그 시스템
Björk-Willén Peer collaboration in front of two alphabet charts
Hassett Visual language, visual literacy: Education à la modes
KR102098377B1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7896B1 (ko) 양방향 유아 교육 서비스 장치 및 양방향 유아 교육 서비스 방법
Sayed et al. ع elmni-an Android application for teaching Arabic language and Arabic Literacy
KR101632055B1 (ko) 중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5143A (ko) 영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Sutton-Spence et al. Translating Cordel Literature into Libras—Some Challenges for Deaf Translators
Kittikong Isan Contemporary Performance: Embodied Isan Tone in Thai Contemporary Performance 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