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518A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518A
KR20170008518A KR1020150099810A KR20150099810A KR20170008518A KR 20170008518 A KR20170008518 A KR 20170008518A KR 1020150099810 A KR1020150099810 A KR 1020150099810A KR 20150099810 A KR20150099810 A KR 20150099810A KR 20170008518 A KR20170008518 A KR 2017000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vaporation gas
filler pipe
lin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73B1 (ko
Inventor
박주혁
이주한
김준회
신동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72Details of the fuel vapour pipe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필러파이프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밀폐밸브와 상기 증발가스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필러파이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 개폐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Vaporization gas control apparatus for plug-in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밀폐밸브의 문제 발생 시 증발가스의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Hybrid Electric Vehicle)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나, 대부분의 경우는 연료를 사용하여 구동력을 얻는 엔진과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되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얻는 차량을 일컫는다.
최근 연비를 개선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하이브리드 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용량을 종전의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크게 만들고 고전압배터리를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하여, 근거리 주행시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 (electric vehicle) 모드로만 주행하고, 고전압배터리가 고갈되면 엔진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의 회전력을 보조 동력으로 이용하는 보조 모드인 HEV(hybrid electric vehicle) 모드로 주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 In Hybrid ElectricVehicle : PHEV)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비상시 연료탱크 밀폐밸브(200)가 차단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주입 시 별도의 증발가스 배출 통로가 없기 때문에,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0)를 통하지 않고 재순환되어 주유구로 배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러파이프(100)로 주입되는 연료의 역류를 발생시켜 연료 주입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이 증발가스 법규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2489호(2012.06.14)
본 발명의 목적은, 필러파이프로 주입된 연료의 이동 시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체크밸브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로 이동하는 증발가스의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는 차량의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필러파이프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밀폐밸브와 상기 증발가스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필러파이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 개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러파이프는 내부 직경이 좁아지면서 주입되는 연료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벤츄리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개폐관은 상기 필러파이프 중 직경이 좁아지는 위치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과 연결되는 증발가스 통과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개폐관이 연결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증발가스가 인입되는 입측에 설치되고,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제1밸브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출측에 설치되고,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제2밸브 및 상기 밸브 개폐관이 연결된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과 상기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이 상기 증발가스 통과라인과 일치되도록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연결하고, 연료가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이 상기 증발가스 통과라인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증발가스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하는 상기 체크밸브의 차단 상태이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 개폐관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밸브본체와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따른 부압 발생 시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위상이 변화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위상 변화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개방하는 로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에서 상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로드의 복귀를 가이드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필러파이프로 주입된 연료의 이동 시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로 이동하는 증발가스의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증발가스 배출 통로 확보를 통해 연료가 필러파이프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연료탱크 밀폐밸브의 문제 발생 시에도 용이하게 연료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고착, 와이어링 단선 등으로 인한 연료탱크 밀폐 밸브의 차단 시에도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 법규에 대한 대응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필러파이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대한 체크밸브의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대한 체크밸브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체크밸브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체크밸브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필러파이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는 필러파이프(100), 연료탱크 밀폐밸브(200), 체크밸브(300) 및 밸브 개폐관(400)을 포함한다.
필러파이프(100)는 차량의 연료탱크(1)와 연결되며, 벤츄리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필러파이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직경이 좁아지면서 주입되는 연료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벤츄리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러파이프(100)는 직경이 좁아지는 위치에서 후술 될 밸브 개폐관(400)과 연결되며, 이는 주입되는 연료의 속도 차로 인한 부압 발생을 통해 체크밸브(300) 내부의 압력이 필러파이프(1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연료탱크(1)로부터 배출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0)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배출라인(L1)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연료 주유 시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증발가스 배출라인(L1)을 따라 캐니스터(10)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밸브 고착, 와이어링 단선 또는 배터리 방전 등의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증발가스 배출라인(L1)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증발가스 배출라인(L1)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증발가스의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연료 주입 시 역류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는 연료 주입을 불가능하게 하는 상황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엔진 작동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엔진 부압을 이용한 캐니스터의 퍼지를 충분히 하기 어렵고, 이는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엔진을 통해 충분히 소모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증발가스로 인해 환경 법규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차단을 통해 연료탱크(1) 내부에 증발가스를 가둬놓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연료탱크 밀폐밸브(200)는 연료탱크(1) 내부에 압력이 있을 경우 연료의 주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적인 개방을 통해 연료탱크(1) 내부의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밸브(3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체크밸브(300)는 증발가스 배출라인(L1)에서 분기되어 캐니스터(10)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L2) 상에 설치되고, 바이패스 라인(L2)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크밸브(300)는 연료탱크(1) 내부의 압력에 따라 정상적인 주유가 어려울 경우 연료탱크(1)에서 배출된 증발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L2)에 설치되고, 차량의 문제 발생 시 선택적으로 바이패스 라인(L2)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증발가스의 배출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크밸브(300)는 연료탱크 밀폐밸브(200)의 문제로 인한 증발가스 배출라인(L1)의 차단 시에도 증발가스의 배출통로를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료탱크(1) 내부의 압력 상승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상 시 연료의 주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300)는 상기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증발가스가 재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캐니스터(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증발가스 법규에 대한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300)는 연료 주입 시 발생된 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이패스 라인(L2)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의 압력이 필러파이프(100)로 이동함에 따라 바이패스 라인(L2)을 개방할 수 있도록 밸브 개폐관(400)과 연결된다.
밸브 개폐관(400)은 필러파이프(100)와 체크밸브(300)를 연결하고, 필러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체크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밸브 개폐관(400)은 연료 주입 시 부압이 발생됨에 따라 체크밸브(300) 내부의 압력이 필러파이프(100)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대한 체크밸브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에 대한 체크밸브의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는 바이패스 라인(L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체크밸브(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크밸브(300)는 밸브본체(310), 제1밸브(320), 제2밸브(330) 및 탄성부재(340)를 구비한다.
밸브본체(310)는 내부 중심부에 바이패스 라인(L2)과 연결되는 증발가스 통과라인(L3)이 형성되고, 밸브 개폐관(400)이 연결된다.
제1밸브(320)는 밸브본체(310)의 바이패스 라인(L2)을 따라 증발가스가 인입되는 입측에 설치되고,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L4)이 형성된다.
제1밸브(320)는 밸브본체(310)의 내부에서 증발가스 통과라인(L3)이 형성된 내부 중심부의 하부를 감싸며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밸브(330)는 밸브본체(310)의 내부에서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출측에 설치되고,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L5)이 형성된다.
제2밸브(330)는 밸브본체(310)의 내부에서 증발가스 통과라인(L3)이 형성된 내부 중심부의 상부를 감싸며 회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밸브(330)는 탄성부재(340)에 의해 제1밸브(320)와 연결된다.
탄성부재(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개폐관(400)이 연결된 밸브본체(310)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고,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L4)과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L5)가 증발가스 통과라인(L3)와 일치되도록 제1밸브(320)와 제2밸브(3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1밸브(320)와 제2밸브(33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필러파이프(100)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밸브 개폐관(400)으로 빠져나가는 압력에 의해 제1밸브(320)와 제2밸브(3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증발가스 통과라인(L3),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L4) 및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L5)이 일치되어 바이패스 라인(L2)을 따라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340)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밸브(320)와 제2밸브(330)를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료가 필러파이프(100)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제1밸브(320)와 제2밸브(330)를 용이하게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파이프(100)로 연료가 주입되지 않으면, 부압 또한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 개폐관(400)으로 빠져나가는 압력이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바이패스 라인(L2)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밸브(320) 및 제2밸브(330)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한다.
이때, 초기위치는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L4)이 증발가스 통과라인(L3)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증발가스가 밸브본체(31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하는 체크밸브(300)의 바이패스 라인(L2) 차단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체크밸브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의 체크밸브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는 바이패스 라인(L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체크밸브(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크밸브(500)는 밸브본체(510), 다이어프램(520) 및 로드(530)을 구비한다.
밸브본체(510)는 밸브 개폐관(400)과 바이패스 라인(L2)를 연결한다.
다이어프램(520)은 필러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따른 부압 발생 시 밸브본체(510)의 내부에서 위상이 변화하도록 형성된다.
즉, 다이어프램(5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개폐관과 연결된 밸브본체(510)의 입측에서 압력이 빠져나감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위상이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로드(5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다이어프램(520)에 결합되고, 다이어프램(520)의 위상 변화에 따라 이동하여 바이패스 라인(L2)을 개방한다.
다시 말해, 로드(530)는 다이어프램(520)의 위상 변화에 따라 왕복운동하며, 이러한 로드(530)의 단부에는 바이패스 라인(L2)을 단면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볼(530a)이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520)의 위상 변화에 따른 로드(530)의 왕복 운동을 연료의 주유 시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러파이프(100)에 연료가 주입되면 벤츄리관으로 형성된 필러파이프(100)의 형상에 따라 연료의 속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밸브 개폐관(400)과의 연결부위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밸브본체(510)의 내부 압력이 필러파이프(100)와 밸브 개폐관(400)의 연결부위 보다 높기 때문에, 압력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520)의 위상이 우측으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다이어프램(520)에 결합된 로드(530)가 다이어프램(520)의 위상변화에 따라 이동하여 볼(530a)이 바이패스 라인(L2)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연료의 주유 시 바이패스 라인(L2)은 개방되게 되고,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바이패스 라인(L2)을 따라 캐니스터(10)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밸브(500)를 통해 주유 시 증발가스의 배출통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 밀폐밸브(200)의 차단 시에도 연료 주입을 가능하게 하며, 연료 주입 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캐니스터(10)로 배출하므로 증발가스 법규에 대한 대응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500)는 탄성부재(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540)는 밸브본체(510)에서 로드(530)와 연결되고, 다이어프램(520)의 위상 변화에 따라 로드(530)의 복귀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40)는 주유 시 다이어프램(520)의 위상이 우측으로 변화하게 되면, 로드(530)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540)는 주유가 이루어진 후 로드(530)가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신속하게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바이패스 라인(L2)을 차단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러파이프로 주입된 연료의 이동 시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로 이동하는 증발가스의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증발가스 배출 통로 확보를 통해 연료가 필러파이프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연료탱크 밀폐밸브의 문제 발생 시에도 용이하게 연료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고착, 와이어링 단선 등으로 인한 연료탱크 밀폐 밸브의 차단 시에도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 법규에 대한 대응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연료탱크 10 : 캐니스터
100 : 필러파이프 200 : 연료탱크 밀폐밸브
300, 500 : 체크밸브 310, 510 : 밸브본체
320 : 제1밸브 330 : 제2밸브
340, 540 : 탄성부재 400 : 밸브 개폐관
520 : 다이어프램 530 : 로드
530a : 볼 L1 : 증발가스 배출라인
L2 : 바이패스 라인 L3 : 증발가스 통과라인
L4 :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 L5 :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

Claims (8)

  1. 차량의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필러파이프;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된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밀폐밸브;
    상기 증발가스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필러파이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의해 발생된 부압을 통해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 개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러파이프는,
    내부 직경이 좁아지면서 주입되는 연료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벤츄리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관은,
    상기 필러파이프 중 직경이 좁아지는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과 연결되는 증발가스 통과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개폐관이 연결되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증발가스가 인입되는 입측에 설치되고,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제1밸브;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출측에 설치되고,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이 형성되는 제2밸브; 및
    상기 밸브 개폐관이 연결된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과 상기 제2증발가스 연결라인이 상기 증발가스 통과라인과 일치되도록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연결하고, 연료가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지 않는 경우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제1증발가스 연결라인이 상기 증발가스 통과라인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증발가스가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하는 상기 체크밸브의 차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 개폐관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밸브본체;
    상기 필러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 차에 따른 부압 발생 시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서 위상이 변화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위상 변화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개방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에서 상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로드의 복귀를 가이드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KR1020150099810A 2015-07-14 2015-07-1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KR10216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10A KR102163973B1 (ko) 2015-07-14 2015-07-1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10A KR102163973B1 (ko) 2015-07-14 2015-07-1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18A true KR20170008518A (ko) 2017-01-24
KR102163973B1 KR102163973B1 (ko) 2020-10-12

Family

ID=5799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10A KR102163973B1 (ko) 2015-07-14 2015-07-1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466A (ja) * 1996-12-27 1998-07-14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10246156A (ja) * 1997-02-28 1998-09-14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蒸発燃料回収装置
JP2004068738A (ja) * 2002-08-08 2004-03-04 Honda Motor Co Ltd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4189074A (ja) * 2002-12-10 2004-07-0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KR20120062489A (ko)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증발가스 퍼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466A (ja) * 1996-12-27 1998-07-14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10246156A (ja) * 1997-02-28 1998-09-14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蒸発燃料回収装置
JP2004068738A (ja) * 2002-08-08 2004-03-04 Honda Motor Co Ltd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4189074A (ja) * 2002-12-10 2004-07-0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KR20120062489A (ko)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증발가스 퍼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73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85B2 (en) Evaporated fuel treatmen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0603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using a throttle body comprising a slidable throttle valve
US10030780B2 (en) Integrated valve assembly
JP6380676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98852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using a throttle body comprising a slidable throttle valve
US10495232B2 (en) Dual path dual purge valve system and valve assembly for turbo boosted engine
US9346351B2 (en) Valve device
JP2016065526A (ja) 二段切替弁
KR20170008518A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증발가스 제어장치
JP6551213B2 (ja) 燃料戻し装置
US8196605B2 (en) Air intake device for engine
US105908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cuum generation using a throttle
US10166962B2 (en) Noise reduction device for negative pressure line of brake booster
CN107074097A (zh) 燃料系统的主动放泄液体捕集器
CN101255828A (zh) 化油器的加速器装置
US11085381B2 (en) Integrated fuel filter device for vehicle
KR101620795B1 (ko) 엔진 내부의 카본 퇴적 방지구조
KR101611067B1 (ko) 우회유로가 구비된 연료가스 퍼지 제어 밸브
KR102237194B1 (ko) 연료 주유 시스템의 연료 역류 방지 장치
US20150122221A1 (en) Two-way metering device and applications of said metering device
US20220213850A1 (en) Magnetically latching valve for fuel vapor management systems and systems incorporating same
JP4563861B2 (ja) 吸気ダクト
JP200826127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8076820A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US20200114755A1 (en) Ventilation flow rate regulator for a pressurized vehicl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