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896A -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896A
KR20170007896A KR1020150098880A KR20150098880A KR20170007896A KR 20170007896 A KR20170007896 A KR 20170007896A KR 1020150098880 A KR1020150098880 A KR 1020150098880A KR 20150098880 A KR20150098880 A KR 20150098880A KR 20170007896 A KR20170007896 A KR 2017000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ixing
coupled
bar
sphin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049B1 (ko
Inventor
김경호
한상현
임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시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시온
Priority to KR102015009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 발의 뒤꿈치가 서로 모아지는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하복부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통해, 체간중심근에 해당하는 골반저근을 포함하여 척추, 골반 및 대퇴골을 연결하는 모든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동할 수 있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Bridge sphincter and core muscle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 발의 뒤꿈치가 서로 모아지는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하복부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통해, 체간중심근에 해당하는 골반저근을 포함하여 척추, 골반 및 대퇴골을 연결하는 모든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동할 수 있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 중 골반저근(The muscle of pelvic floor)은 넓적한 골반 바닥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근육들의 집합체이고, 얕은층 근육과 깊은 층 근육으로 배열되어있다.
이러한 근육집합체는 아래쪽 골반의 장기(방광, 생식기, 곧창자)를 지지하고 받쳐준다.
한편 골반바닥을 형성하는 근육은 그 내측에 괄약근(요도조임근), 골약근(항문조임근), 곧창자의 근육 및 생식기의 근육 등 골반저근 보다 훨씬 작은 근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근육들은 섬유층이 서로 뒤얽혀 있다.
실제 골반저근이 수축할 때는 깊은 엉덩이 근육(deep hip muscles), 모음근(adductor muscles), 볼기근(gluteal muscles) 및 아랫배 근육(lower abdominal muscles)이 사용된다.
또한 골반저근을 비롯하여 갈비뼈를 받치는 횡경막, 척추를 지지하는 다열근 및 옆구리와 복강전면을 지지하는 복횡근은 신체의 체간중심근(Core Muscle)을 형성하여 신체의 중요한 기능 즉, 호흡, 배변, 배뇨, 분만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하루 중 장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는 생활로 인해 운동 부족, 신체 노화 및 근육량 감소와 같은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근육량의 감소는 신체 중심부에 위치하며 신체를 지탱하는 체간중심근의 약화로 이어지게 되므로 신체 밸런스 붕괴 및 자세 불균형에 의한 디스크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여성의 경우에는 임신 및 출산에 의해 관상기관(항문 및 요도)을 에워싸고 배출을 조절하는 근육인 괄약근(括約筋)이 약화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복강과 여러 장기의 아랫쪽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체간중심근인 골반저근 역시 약화되고, 이로인한 괄약근의 기능저하는 운동할 때나 활동할 때 정상적인 괄약근의 수축 및 이완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요실금이나 변실금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요실금, 자세불균형, 골반틀어짐 등등의 증상은 약화된 골반저근 및 체간중심근의 강화운동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데, 상기 체간중심근 단련은 직간접으로 중요 근육이 모두 개입되어 운동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개선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골반저근육 뿐만이 아니라 고관절부, 골반부, 및 척추부위를 연결하고 지탱해주는 중요근육들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체간중심근 및 괄약근 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의료기관에서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처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올바른 운동자세와 개개인에 맞는 운동횟수 및 운동강도이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9405호에는 골반 운동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골반 운동기구는 사용자 발의 후방측을 회전축으로 하고 발 앞부분을 좌우로 이동시켜 비틀어 주므로 골반 관련 근육들을 단련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기구는 괄약근을 비롯하여 골반 전반에 위치하는 근육과 신체 체간중심근을 한번에 단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올바른 운동자세와 횟수 및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골반저근 및 괄약근이 균등하게 강화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으로만 편중되어 운동하게 되므로 균형잡히고 올바른 운동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발 뒤꿈치를 이동시키는 기존의 운동양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체간중심근 전반을 운동함에 있어 효율적이기 보다 어느 한 국부에만 효과가 있으므로 신체의 여러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해야 하는 사용자는 여타 다른 운동까지 병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양 발의 뒤꿈치가 서로 모아지는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하복부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통해 체간중심근에 해당하는 골반저근을 포함하여 척추, 골반 및 대퇴골을 연결하는 모든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동할 수 있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발의 발 뒷꿈치가 모이는 형상으로 안착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베이스,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베이스의 측면에 높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어 고정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전후이동하며, 일측에 상기 레일과 수직이 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결합하는 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바는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2개의 고정바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삽입관, 상기 2개의 삽입관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관을 연결하는 중간바, 상기 2개의 삽입관 중 어느 하나의 외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와 결합하는 고정홈 및 상기 레일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2개의 삽입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는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발판이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고정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바를 지지하는 중앙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 고정구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이웃하며 중앙프레임의 관통홈을 통과하고 상기 중간바에 부착되어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조절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는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및 손잡이의 타측에 형성되는 의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고정홈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은 고정홈과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공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에 의하면,
첫째, 양 발이 발 뒷꿈치가 모이는 형상으로 고정되어 하복부를 이용하여 수평바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통해 괄약근을 비롯한 허벅지 안쪽 근육, 골반저근, 다열근 및 복횡근까지 지속적으로 자극하므로 신체를 지탱하는 체간중심근이 단련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정바와 고정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높이조절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수평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사람에게 최적화된 위치에서 운동할 수 있게 해주며, 올바른 운동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실린더의 내압을 조정하므로 수평바를 전방으로 밀 때 저항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의료처방에 맞는 올바른 운동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괄약근을 반복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켜 괄약근 약화로 인해 발행되는 요실금이나 변실금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발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전후진하는 이동부재를 사용하므로 수평바를 미는 운동과 더불어 다리 전체의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손잡이와 의자가 더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노약자나 재활치료환자가 사용할 때 운동중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하우징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측면에 높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의 내측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130), 높이조절부(130)와 결합되는 레일(140), 레일(140)이 삽입되어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150), 이동부(150)와 결합하여 이동속도와 압력을 조절하는 실린더(160), 및 하우징(120)의 내측에 부착되며 높이조절부(130)와 결합하는 높이조절고정구(1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10)는 도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으로 상부에 발판(111)이 부착된다.
상기 발판(111)에는 양발의 발뒷꿈치가 모아지는 형태로 발이 안착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에는 손잡이(113)가 더 부착될 수도 있는데 상기 손잡이(113)에는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표시해주는 모니터링수단(11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수단(115)은 종래의 운동상태 표기수단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후면에는 의자(114)가 더 부착될 수도 있는데, 운동하는 사용자가 노약자이거나 신체 근력이 부족할 경우 수회 운동한 후 앉아서 호흡을 가다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측면에는 하우징(120)이 높이방향으로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도 3 내지 도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결합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0)의 하단은 베이스(110)의 측면과 결합되고, 하우징(120)의 중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앙프레임(122)이 위치한다.
상기 중앙프레임(122)의 상부에서부터 높이방향으로 고정바(121)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바(121)는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때에 따라서는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고정바(121)가 2개로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프레임(122)에는 높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홈(123)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상기 하우징(120)의 고정바(121)에 끼움삽입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도 3 내지 5에 명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되는 고정바(121)에 대응하도록 2개로 형성되는 삽입관(131), 각각의 삽입관(131)을 연결하는 중간바(132), 상기 2개의 삽입관(131) 중 어느 하나의 외부에 위치하며 실린더(160)와 결합하는 고정홈(134) 및 상기 레일(140)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2개의 삽입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삽입관(131)은 고정바(121)에 끼워지고 상하로 이동하므로 상기 고정바(121)에 대응하는 갯수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삽입관(131)이 고정바(121)에 끼워지므로 사용자는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위아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삽입관(131)이 고정바(121)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2개의 삽입관(131)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바(132)는 각각의 고정바(121)에 끼워지는 삽입관(131)이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중간바(132)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고정구(170)가 부착되어 임의로 조정된 높이조절부(130)가 설정된 높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받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삽입관(131) 중 어느 하나의 외부에는 고정홈(134)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60)와 결합고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131)의 외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편(133)은 레일(140)의 양단이 결합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편(13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고정편(133)과 결합되는 레일(140)은 상기 도 3에 명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40)은 상기 레일(140)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150)가 끼움결합된 채로 양단이 상기 고정편(133)과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150)는 상기 레일(140)과 수직이 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15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바(153)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폰지 원통이 끼움결합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때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30)의 고정홈(134)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151)을 포함하는데, 이로써 상기 실린더(160)는 이동부(150)와 높이조절부(130)에 양단이 고정되어 이동부(150)가 전진 및 후진할 때 속도와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150)는 상기 레일(140)형태에 대응하는 가이드(15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 내지 5 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152)는 상기 레일(140)이 관통하는 파이프형태로 예시하였으나 이외에 이동이 가능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린더(16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실린더(160)에 의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할때 실린더가 인출입되고, 각 사용자에 맞게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60)의 일단에는 고정부(16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부(161)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실린더(16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162)는 상기 높이조절부(130)의 고정홈(134)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6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부(161)는 상기 이동부(150)의 결합공(151)과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높이조절부(130)와 이동부(150)는 실린더(16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써, 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실리더(160)의 인출입은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고정구(170)는 지지부(172) 및 조절대(171)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고정구(170)에는 일반적인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액츄에이터 내부의 유체이동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유체이동을 차단하여 임의로 조정된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대(171)는 도 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22)의 관통홈(123)을 통과하고 상기 중간바(132)의 하부에 부착되어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72)는 도 3 및 도 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프레임(12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조절대(171)와 이웃하고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110)의 발판(111)에 발꿈치가 모아지는 형태로 발을 안착시킨 후 기립한 후 양 손으로 손잡이(113)를 잡는다.
이때 사용자는 도 6에 명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모습으로 기립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부(150)의 수평바(153)를 상하로 움직여 본인의 신체 조건에 맞게 수평바(153)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평바(153)가 알맞게 맞춰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6에 명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53)가 전진하도록 밀어내는 방식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수평바(153)를 신체에 맞게 상하로 조절할 때 상기 높이조절부(130)가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높이조절부(130)로 높이를 조절한 후에는 높이조절고정구(170)에 의해 임의로 설정한 높이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수평바(153)를 밀어내는 운동양식을 통해 골반저근을 비롯하여 괄약근운동이 가능하며, 척추를 지탱하는 다열근 및 복횡근을 자극하게 되어 코어근육 단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또다른 예시로써 도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내측에는 상부에 발판(111)과 결합되는 이동부재(112)가 더 부착될 수도 있는데 상기 발판(111)의 하부에 이동부재(112)가 부착될 경우 사용자는 수평바(153)를 복부로 밀어내면서 다리 전체가 이동하게 되므로 다리 전반에 걸쳐 근육을 자극하는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재(112)는 도 2에서와 같이 네 모퉁이에 바퀴가 부착되는 수레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이동부재(112)의 위치가 이탈하지 않도록 이동통로(1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12)가 서로 동일하게 전진 및 후진 하도록 연결대(116)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에 맞게 이동부재(112)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더 부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에 일반적인 액츄에이터 조절장치로써 유체이동식 피스톤(118)이 추가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이동부재(112)는 바람직한 예시로써 발판(111)에 부착된 수레형태로 기술하였으나, 스프링장치, 톱니와 체인결합체 등등 다른 이동방법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강도에 맞게 상기 실린더(160)의 압력을 조절하여 수평바(153)를 밀어낼 때 작용하는 저항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안전한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베이스
120 : 하우징
130 : 높이조절부
140 : 레일
150 : 이동부
160 : 실린더
170 : 높이조절고정구

Claims (6)

  1. 양 발의 발 뒷꿈치가 모이는 형상으로 안착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베이스;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베이스의 측면에 높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어 고정바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삽입관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전후이동하며, 일측에 상기 레일과 수직이 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결합하는 실린더; 및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2개의 고정바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삽입관;
    상기 2개의 삽입관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관을 연결하는 중간바;
    상기 2개의 삽입관 중 어느 하나의 외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와 결합하는 고정홈; 및 상기 레일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2개의 삽입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발판이 전진 및 후진하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고정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바를 지지하는 중앙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 고정구는
    상기 중앙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이웃하며 중앙프레임의 관통홈을 통과하고 상기 중간바에 부착되어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조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측에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및
    손잡이의 타측에 형성되는 의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고정홈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은 고정홈과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공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KR1020150098880A 2015-07-13 2015-07-13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KR10173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80A KR101730049B1 (ko) 2015-07-13 2015-07-13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80A KR101730049B1 (ko) 2015-07-13 2015-07-13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896A true KR20170007896A (ko) 2017-01-23
KR101730049B1 KR101730049B1 (ko) 2017-04-25

Family

ID=5798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880A KR101730049B1 (ko) 2015-07-13 2015-07-13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84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4104B1 (ko) 2021-10-12 2022-03-14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823Y1 (ko) * 2005-07-25 2005-10-07 김석몽 괄약근 단련장치
KR101351985B1 (ko) * 2013-01-30 2014-01-15 김상호 힙업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84B1 (ko) 2020-10-15 2021-03-0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9365B1 (ko) 2020-10-15 2022-03-28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KR102374104B1 (ko) 2021-10-12 2022-03-14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힙업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049B1 (ko)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118B2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8529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US9884221B2 (en) Exercise bench with enhancements that allow the obese, elderly, and physically challenged to participate in exercises performed on a conventional exercise bench
Seo et al. Effect of 12-week swiss bal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US3787048A (en) Exercise device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KR101730049B1 (ko) 괄약근 및 체간중심근 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SK288613B6 (sk) Zariadenie na posilňovanie brušných svalov
CN102553160A (zh) 弹性大腿练习器
CN215351828U (zh) 一种股四头肌训练椅
KR101745345B1 (ko) 괄약근 운동기구
CN110787421A (zh) 三角形仰卧起座健身器
TW202041254A (zh) 下肢機能提升架
KR101347159B1 (ko) 팔다리 단련용 운동기구
CN102626552B (zh) 健身器械
CN219250841U (zh) 一种老年医护用腿部康复辅助设备
CN214860925U (zh) 人体滚背健身器
KR102261771B1 (ko) 햄스트링 유연성 개선을 위한 운동기구
CN102526964A (zh) 摆腿健肌器
KR200368130Y1 (ko) 다목적 운동기
CN102553158A (zh) 杠铃腰背健肌器
KR101669456B1 (ko) 전신 운동기구
CN116688441A (zh) 下肢锻炼康复训练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