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059A -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059A
KR20170007059A KR1020150098713A KR20150098713A KR20170007059A KR 20170007059 A KR20170007059 A KR 20170007059A KR 1020150098713 A KR1020150098713 A KR 1020150098713A KR 20150098713 A KR20150098713 A KR 20150098713A KR 20170007059 A KR20170007059 A KR 20170007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curtain
wire
win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476B1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15009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2017/149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방풍 망의 공극률(porosity)을 낮게 하여 방풍 효과를 높이면서도, 그로 인해 에 따라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와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지주; 상기 제1,2 지주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설정된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1,2 와이어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튼형 방풍 망; 및 상기 제3 와이어에 상단이 고정되어 결합 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형 방풍 망;을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WINDBREAK FENCE WITH WINDBREAK NET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OPEN AND CLOSED}
본 개시(Disclosure)는, 방풍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풍 망의 공극률(porosity)을 낮게 하여 방풍 효과를 높이면서도, 그로 인해 에 따라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방풍 펜스는, 과수의 낙과 방지를 위하여 과수원 주변에 설치한 그물망 형태의 방풍 망을 가지는 시설물로 방풍울타리 혹은 SHELTERBELT 등으로 불린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 2014-78호(2014.9.15.) 원예특작시설 내 재해형 규격 설계도 시방서에서 그 설치 방법을 명시하고, 방풍 펜스의 설치시 5m/s의 풍속 저감 효과를 설계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방풍 펜스의 기본 원리는 망 형태의 방풍 망을 활용하여 풍속을 감소시키는 원리이다.
벽이 바람의 통풍을 완전 차단하여 그 상단 및 주변에 부분적으로 더 빠른 바람을 발생시키는 것과 다르게 일부의 공기 흐름을 유지함으로서 방풍 펜스 주변(주로 방풍 펜스의 상단)에 국부적으로 더 빠른 기류가 형성되는 것을 막아 주며, 방풍 펜스 상단의 상대적으로 빠른 흐름의 공기가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거리를 더 길게 유지하여 방풍 펜스의 효과 범위를 넓혀 준다.
그러나 기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풍 망은 공극률이 85~90% 이어서 풍속 저감 효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고, 농림수산식품부의 고시 규정에도 부합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극률이 작은 방풍 망을 사용하여야 하나, 이는 화아율(花芽率)과 일조량에 불리한 단점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는,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107727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63258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26672호를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방풍 망을 대신하여,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블라인드(6)을 설치하고, 그 회전 각을 조절하여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는 방풍 펜스 전체를 철판 또는 금속판으로 구비함으로써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는, 방풍 망(3)의 하단을 개폐장치(3)에 의해 위로 말아 올리거나 아래로 폄으로써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는 야생 동물의 침입을 제한하는 방풍 펜스의 하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 하단의 개폐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유속이 큰 방풍 펜스의 상부에 풍압이 집중되고 지주(1)에 가해지는 굽힘력이 커져 지주(1)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특허문헌 3은, 지주(10,30)의 상단에 구비되는 2개의 풀리(503,901)와 벨트(509,905)를 이용하여 방풍 망(70)을 횡 방향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도 3 참조).
그러나 이 역시 특허문헌 2와 같이 야생 동물의 침입을 제한하는 방풍 펜스의 하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 방풍 망(70)의 상단이 벨트(509)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풀리(503)에 의해 벨트(509)가 회전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개폐 동작이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이며, 설령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방풍 망(70)이 풀리(503)와 벨트(509) 사이에 끼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107727호 2.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63258호 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26672호
본 개시는, 방풍 망의 공극률을 낮추되 주변 조건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풍 망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방풍 펜스를 통한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지주를 가지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와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지주; 상기 제1,2 지주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설정된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1,2 와이어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튼형 방풍 망; 및 상기 제3 와이어에 상단이 고정되어 결합 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형 방풍 망;을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그 테두리에 덧대어져 구비되는 보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결합 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공과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상기 제2 와이어를 결합시키는 고리형 결합부재;로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2 와이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리형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2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구비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간격이 2mm인 복수의 통공이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으로 구비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3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 올;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 올;이 직조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로 올과 상기 세로 올은 동일한 굵기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임의의 하나는 2가닥의 상기 가로 올과 5가닥의 상기 세로 올에 의해 형성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의 높이는 5m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되, 1~1.3m로 구비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는, H 빔으로 구비되며, 평행한 양 측면이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3 와이어가 상기 평행한 양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인 고정 면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면을 관통하며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 고정홀이 상기 제1,2,3 와이어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와이어 고정홀에 체결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 고정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제1,2,3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압착하여 상기 고정 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6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가용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일 측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의 상기 고정 면 상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걸이 부재를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는, H 빔으로 구비되며, 평행한 양 측면이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평행한 양 측면을 연결하는 중앙 면에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고정 홀;을 가지며, 상기 제1,2,3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상기 2개의 고정 홀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고정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8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8 발명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일 측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를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제9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고정된 고정형 방풍 망에 의해 야생 동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으며,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를 통해 일조량과 화아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커튼형 방풍 망의 상단과 하단이 제1,2 와이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됨으로써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커튼형 방풍 망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2mm인 복수의 통공이 격자로 형성됨으로써, 풍속을 30% 감소시킬 수 있는 공극률(73~75%)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풍속에 의한 풍압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세로방향의 올을 5가닥으로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방풍 망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통공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4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 구조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를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는, 농가에 사용되는 방풍 펜스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공사장 등의 방진 망, 도로의 방무 망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바람에 취약한 구조물의 경우 본 개시에 따른 방풍 망을 활용함으로써 설계풍속의 감소를 통하여 안정성이 확보된 새로운 형태의 구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100)는, 제1,2 지주(110,120), 제1,2,3 와이어(131,133,141), 커튼형 방풍 망(130), 고정형 방풍 망(140)을 포함한다.
제1,2 지주(110,12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하단이 일정 깊이 만큼 매설되어 구비된다.
제1,2 지주(110,120)는,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제1 와이어(131)는, 강선으로 구비되되, 코팅된 강선으로 구비되며, 제1,2 지주(110,120)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된다.
제2 와이어(133)는,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제1 높이에서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된다.
제3 와이어(141)는,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와 다른 설정된 제2 높이에서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된다.
커튼형 방풍 망(130)은, 제1,2 와이어(131,133)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
여기서, 커튼형 방풍 망(130)은, 그 테두리에 덧대어져 구비되는 보강 부재(130a)와, 보강 부재(130a)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결합 공(130b)을 가진다.
보강 부재(130a)는 나일론으로 직조 된 띠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강 부재(130a)는 커튼형 방풍 망(13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설계조건(최대풍속, 방풍 망의 넓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형태를 그 일 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커튼형 방풍 망(130)의 상단을 제1 와이어(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커튼형 방풍 망(130)의 하단을 제2 와이어(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리형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된다.
고리형 결합부재(135)는, 커튼형 방풍 망(13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 공(130b)과 제1 와이어(131) 또는 제2 와이어(133)를 결합시킨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튼형 방풍 망(130)의 중앙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2 와이어(131,133)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보강 와이어(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 와이어(132)는, 다양한 풍속에 대한 보강의 역할 뿐만 아니라, 커튼형 방풍 망(130)의 개폐 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커튼형 방풍 망(130)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보강 부재(130a)가 구비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공(130b)이 구비되며, 보강 와이어(132)가 결합 공(130b)에 끼워져 구비된다.
고정형 방풍 망(140)은, 제3 와이어(141)에 상단이 고정되어 결합 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된다.
고정형 방풍 망(140)의 상단은 위에서 설명한 커튼형 방풍 망(130)의 보강 부재(130a) 및 결합 공(130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방풍 망(140)과 제3 와이어(141)의 고정을 위해 집게와 같은 기능을 하는 고정부재(140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된 고정형 방풍 망에 의해 야생 동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으며,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를 통해 일조량과 화아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튼형 방풍 망의 상단과 하단이 제1,2 와이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됨으로써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2 지주(110,120)의 높이는 5m로 구비되며,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되, 1~1.3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 감나무의 높이는 1m이고, 사과나무의 높이는 2m인데, 지면으로부터 5m의 높이로 방풍 펜스를 설치하는 것이, 지면으로부터 1~2.5m의 높이에서 풍속 감소율이 30% 내외를 유지하는데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높이를 1~1.3m로 형성하는 것은,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높이임은 물론, 고정형 방풍 망(14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커튼형 방풍 망(130)을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형 방풍 망(140)에 가해지는 풍압에 의해 제1,2 지주(110,120)에 가해지는 굽힘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높이이다.
한편, 도 5는 도 4에서 방풍 망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튼형 방풍 망(130)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구비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간격이 2mm인 복수의 통공(130p)이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커튼형 방풍 망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2mm인 복수의 통공(130p)이 격자로 형성됨으로써, 풍속을 30% 감소시킬 수 있는 공극률(73~75%)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도 5에서 통공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튼형 방풍 망(13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 올(130h)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 올(130v)이 직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가로 올(130h)과 세로 올(130v)은 동일한 굵기로 구비되되, 2가닥의 가로 올(130h)과 5가닥의 세로 올(130v)이 각각 통공(130p)의 한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풍속에 의한 풍압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세로방향의 올을 5가닥으로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도 4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제1,2 지주(110,120)는, H 빔(또는 I 빔)으로 구비된다. 즉,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평행한 양 측면(110h)과 그것에 공통으로 수직에 배치되는 중앙 면(110v)을 가진다. 도 7에서는 제1 지주(110)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제2 지주(120)도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평행한 양 측면(110h)은 커튼형 방풍 망(13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양 측면(110h) 중 어느 일 면은 제1,2,3 와이어(131,133,141)가 고정되는 고정 면(111)으로 제공된다.
고정 면(111)에는, 제1,2,3 와이어(131,133,141) 각각의 고정을 위한 2개의 와이어 고정홀(111t)이 구비된다.
2개의 와이어 고정홀(111t)은, 고정 면(111)을 관통하며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제1,2,3 와이어(131,133,141)는 각각 2개의 와이어 고정홀(111t)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한편, 2개의 와이어 고정홀(111t)에는 제1,2,3 와이어(131,133,141)를 고정 면(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150)가 체결되어 구비된다.
와이어 고정부(150)는, 고정 면(111)의 반대 측에서 2개의 와이어 고정홀(111t)에 끼워지며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U'자 형의 체결 부재(151)와, 고정 면(111)에서 'U'자 형의 체결 부재(151)에 끼워지며 제1,2,3 와이어(131,133,141)를 사이에 두고 고정 면(111)과 맞대어지게 배치되는 판부재(152)와, 'U'자 형의 체결 부재(151)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153)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1,2,3 와이어(131,133,141)는, 너트(153)에 의해 고정 면(111)과 판부재(152)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보강 와이어(132)도 제1,2,3 와이어(131,133,141)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커튼형 방풍 망(130)의 개폐를 위해, 개폐 와이어(161)와, 고정 면(111) 상에 구비되는 걸이 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개폐 와이어(161)는, 가용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커튼형 방풍 망(130)의 일 측 또는 고리형 결합부재(135)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제1 지주(110) 및 제2 지주(120)의 고정 면 상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걸이 부재(160)를 커튼형 방풍 망(1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제1,2 지주(110,120)에 배치되는 개폐 와이어(161)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김으로써, 커튼형 방풍 망(130)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제1,2 지주(210,220)는, H 빔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H 빔의 평행한 양 측면(210h)이 방풍 망(230,24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앙 면(210v)에 상하로 배치되는 고정 홀(210t)을 통하여 제1,2,3 와이어(231,233,241)의 양단이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2,3 와이어(231,233,241)의 양단은, H 빔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고정 홀(210t)을 순차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8에서 커튼형 방풍 망의 개폐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커튼형 방풍 망(130)의 용이한 개폐를 위해, 개폐 와이어(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와이어(261)는, 커튼형 방풍 망(230)의 일 측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제1 지주(210) 및 제2 지주(220)를 커튼형 방풍 망(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에 의해, 개폐 와이어(261)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커튼형 방풍 망(23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폐 와이어(261)는, 안정적인 개폐 동작을 위하여, 커튼형 방풍 망(2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Claims (9)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와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지주;
    상기 제1,2 지주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설정된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2 지주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1,2 와이어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튼형 방풍 망; 및
    상기 제3 와이어에 상단이 고정되어 결합 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형 방풍 망;을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그 테두리에 덧대어져 구비되는 보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결합 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공과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상기 제2 와이어를 결합시키는 고리형 결합부재;로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2 와이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리형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구비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간격이 2mm인 복수의 통공이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 올;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 올;이 직조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로 올과 상기 세로 올은 동일한 굵기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임의의 하나는 2가닥의 상기 가로 올과 5가닥의 상기 세로 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의 높이는 5m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되, 1~1.3m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는, H 빔으로 구비되며, 평행한 양 측면이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3 와이어가 상기 평행한 양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인 고정 면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면을 관통하며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 고정홀이 상기 제1,2,3 와이어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와이어 고정홀에 체결되고 상기 2개의 와이어 고정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제1,2,3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압착하여 상기 고정 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용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일 측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의 상기 고정 면 상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걸이 부재를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주는, H 빔으로 구비되며, 평행한 양 측면이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평행한 양 측면을 연결하는 중앙 면에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고정 홀;을 가지며,
    상기 제1,2,3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상기 2개의 고정 홀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의 일 측에 일단이 결합 되고, 타단은 둘로 나뉘어 각각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를 상기 커튼형 방풍 망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커튼형 방풍 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KR1020150098713A 2015-07-10 2015-07-10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KR10174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13A KR101741476B1 (ko) 2015-07-10 2015-07-10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13A KR101741476B1 (ko) 2015-07-10 2015-07-10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59A true KR20170007059A (ko) 2017-01-18
KR101741476B1 KR101741476B1 (ko) 2017-05-30

Family

ID=5799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713A KR101741476B1 (ko) 2015-07-10 2015-07-10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65U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도래 개폐형 안전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855B1 (ko) 2017-10-23 2019-04-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프레임을 이용한 풍속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672A (ko)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퍼 회로
KR20130107727A (ko) 2012-03-23 2013-10-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팀부재 일체형의 방풍용 가설펜스
KR101363258B1 (ko) 2013-09-03 2014-02-12 황규석 바람막이그물 자유개폐형 전동식 방풍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672A (ko) 2007-09-10 2009-03-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퍼 회로
KR20130107727A (ko) 2012-03-23 2013-10-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팀부재 일체형의 방풍용 가설펜스
KR101363258B1 (ko) 2013-09-03 2014-02-12 황규석 바람막이그물 자유개폐형 전동식 방풍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65U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도래 개폐형 안전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476B1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1565A1 (en) Canopy
US9163401B2 (en) Retractable roof
KR101741476B1 (ko) 개폐 가능한 방풍 망을 가지는 방풍 펜스
EP2634298A1 (en) Agricultural covering
US20150351330A1 (en) Netting material with grommets
EP2371207B1 (en) Covering system for crops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EP2578767A1 (en) Retractable horizontal awning
JP5273562B2 (ja) シート及びシートを用いた果樹栽培用簡易ハウス及びシートを用いた果樹栽培用簡易ハウスの組立方法
JP2011110037A5 (ko)
US1022415A (en) Metal-slat venetian blind.
WO1995025424A1 (en) Protective canopy
WO2016189297A1 (en) Tunnel arrangement
JP7041465B2 (ja) カーテン開閉装置
KR101897482B1 (ko) 광폭형 인삼 재배 시설
JP5035645B2 (ja) 果樹覆いシート及び果樹覆いシートを具備した果樹栽培用簡易ハウス
WO2003067964A1 (en) A viticultural accessory and method of using same
JP3963419B2 (ja) 防風網装置
JP2005253552A (ja) 軒下等用通風雨よけ具、接触防止具、取付兼接触防止具、延長固定具及び樋取付具
JP3038612U (ja) 開 閉 式 防 風 網 装 置
KR102038002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101077983B1 (ko) 휘장망 설치구
KR101761272B1 (ko) 비닐하우스용 내부차광장치
JPH0746135Y2 (ja) 防護網装置
EP0201432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végétaux contre la grêle et filet destiné à sa fabrication
CN208480396U (zh) 一种蓝莓种植固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